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화(余華) 소설의 서사 전략 및 그 특징 연구 -≪형제≫와 ≪제7일≫을 중심으로-

        김현주 동아인문학회 2022 동아인문학 Vol.59 No.-

        Among the many novels of Yu Hua, Brothers(兄弟) and The Seventh Day(第七天) are novels that reflect the social phenomenon of modern China after the reform and opening up, and it encompasses the various narrative strategies of Yuhua. This study is based on the novels Brothers(兄弟) and The Seventh Day(第七天), published since 2000, divide it into a Subject Concealing Narrative, Afterlife Background Narrative and Repetitive narrative, and identify narrative strateg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various narrative strategies, he denounced the absurdities of Chinese society, including the concern about the corruption of bureaucracy, the blocking of the media,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issue of collusion between the commercial industry and the media. He also consciously and clearly addressed one of China's most serious problems: human dignity. The narrative of Yu Hua's novels is directly related to the revelation of the absurdity of Chinese society, but within it lies the author's own strategy for China's restrictive writing. The writer would have wanted to show the social absurdity to his readers as broadly as possible, and share the awareness of the absurdity with his readers. The achievement of the purpose of such writer's writing was literally limited due to the limiting writing environment in China. The narrative strategy of subject concealing and Afterlife Background seems to insist a negative or hidden element, but in fact, as a result, it turns into a positive or visible element, presenting readers the narrative theme that the author intended more clearly. In other words, the artist is achieving the maximization of the reflection of reality through this narrative strategy. It also becomes clearer with another narrative strategy: repetitive narrative. It can be said that eventually the writer completely overcame the restrictive writing. 위화의 ≪형제≫와 ≪제7일≫은 위화의 여러 소설 중 개혁・개방 이후의 현대 중국의 사회상을 잘 반영해 낸 작품이자, 그의 다양한 서사 전략이 망라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발표된 위화의 장편소설 ≪형제≫와 ≪제7일≫ 두 작품을 연구 대상으로 주제 은닉 서사, 사후세계 배경 서사 및 중복 서사로 나누어 서사 전략 및 그 특징을 파악해 보았다. 위화는 다양한 서사 전략을 통해 관료의 비리와 언론 차단, 빈부격차에 대한 우려, 상업계와 언론의 결탁 문제 등 중국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한편, 중국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 중의 하나인 인간의 존엄성 문제에 대해서도 의식적으로 분명하게 언급하였다. 위화 소설의 서사는 중국 사회의 부조리에 대한 폭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나 그 이면에는 중국의 제한적 글쓰기에 대한 작가 나름의 전략이 깔려 있다고 볼 수 있다. 작가는 사회적 부조리를 독자들에게 가능한 한 폭넓게 보여주고 싶었으며 아울러 그 부조리에 대한 인식을 독자들과 함께하고 싶었을 것이다. 이러한 작가의 글쓰기 목적 달성은 아무래도 중국의 제한적 글쓰기 환경으로 인해 문자 그대로 제한적이지 않을 수 없었다. 주제 은닉 및 사후세계 배경 서사 전략은 음성적 내지 은닉적 요소를 내세우고 있는 듯 보이지만 사실 결과적으로는 양성적 내지 顯示적 요소로 바뀌어 작가가 의도했던 서사 주제를 더욱 선명하게 독자들에게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가는 이러한 서사 전략을 통해 현실 반영의 극대화를 달성하고 있는 셈이다. 아울러 또 하나의 서사 전략인 중복 서사와 함께 더욱 명확해진다. 작가는 결국 제한적 글쓰기를 완벽하게 극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베트남 불교서사의 성격

        정환국(Jung, Hwan Kuk) 동악어문학회 2014 동악어문학 Vol.63 No.-

        이 글은 베트남의 전통 불교서사물을 분석하여 그 성격을 일견해 본 것이다. 역사적으로 베트남은 동아시아에서 가장 장구한 불교사회를 구현한 바 있다. 그에 따른 불교서사가 적지 않아 다양한 자료에 산재한다. 그런데 현재 남아 있는 관련 서사물은 다음 몇 가지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이들 자료가 주로 유교사회로 전환하던 15세기 전후에 성립된 터라 구전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유교적인 관점에서 일정정도 훼손된 혐의마저 있어, 그 고유의 색채가 반감된 면이 없지 않다. 다음으로, 불교 소재가 베트남 고유의 神人사상과 접목되어 독특한 형태를 띠는 경우가 적지 않다. 동아시아 불교서사는 六朝시대에 형성되어 한국과 일본 등에서 초기서사의 중핵으로 자리했던 바, 그 형태는 동아시아적 공유성을 담보한다. 그런데 베트남의 불교서사는 이런 일종의 공식을 깨트리고 있다. 일단 그 내용은 고승담과 재생·환생담, 그리고 저승담 등으로 대별되며, 이는 불교서사의 일반적인 유형들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 불교적 영험은 神人사상과 도교가 혼효된 소재들과 결합하고 지역적 특성과 맞물리면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요컨대 불교 영험서사로서의 고유한 형태인 ‘구원’의 메시지로만 기능하지 않았다. 오히려 원한과 복수 등을 매개로 징치나 해원 따위에 관심이 많다. 무엇보다 현실의 상황 앞에서 자연스러운 인간의 반응들이 불교를 매개로 잘 드러나는 형국이다. 그런 점에서 현세이익적이다. 그러면서도 있는 그대로의 시선에 충실하다는 점에서 감성적이면서도 원초적이다. 이런 서사에서의 불력은 대자비와 대광명의 세계에 대한 메시아로서만 기능하지 않는다. 그 이유야 어쨌든 이념적으로 덜 분식된 이야기, 결국 이것이 베트남 불교서사만의 고유한 성격으로 봐도 무방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raditional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and investigated its characters. Historically, Vietnam has realized Buddhist society for the longest period in East Asia. Therefore, it has a lot of Buddhist narratives and those exist as various types of materials. Remaining narratives related with Buddhism have some characters as follows: First, it has a strong character of oral tradition, because most of these materials were formed around the 15th century when Vietnam changed into the Confucian society. In addition, as there is a suspicion of damaging a certain amount of materials on Confucian point of view, it seems like it marred its own color. Next, it often has a character that Buddhist materials grafted onto the Vietnamese own God-man idea and have a unique form. In general, East Asia’s Buddhist narrative has East Asian co-ownership in terms of its form, as formed in the Six Dynasties of China and held the central place of the early narrative in Korea and Japan.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however, is breaking this existing formula. Basically, in terms of its content, it simply shows general types of Buddhist narrative such as stories of high priests, rebirth and reincarnation, and afterlife. But if we deeply look into it, Buddhist divine effect combine with materials that Vietnamese own God-man idea was mixed with Taoism and engage with its regional features to make a considerable change. To sum up, it didn’t function only as the ‘salvation’ message that is a unique character of the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It rather has a lot of concern for functions such as discipline or retaliation one’s spite by the medium of grudge or revenge. After all, men’s natural responses are exposed in the realistic situation by a medium of Buddhism. It is unspiritual and for-profit, in that regard. And it could be seen as emotional and primitive at the same time in that it is faithful to its own eyes. This means that the power of Buddha in the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didn’t function only as the Messiah of the great merciful and brilliant world. Whatever the reason, the fact it is a story which is less divided into ideologically can be a unique character of Vietnamese Buddhist narrative.

      • KCI등재후보

        한국 대중문화 속에 나타난 사후세계의 환상성 - 웹툰 <신과 함께 - 저승편>을 중심으로 -

        장은진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Contemporary human beings express their fears, anxieties and dissatisfaction with corrupt world through worlds they have not themselves experienced; they also establish words of fantasy filled with curiosity and desires. They also dream of new fantasy worlds as a means of overthrowing the values of status quo. The webtoon <With God – Afterlife> presents a fantasy narrative, rich with satire and critique; discontent about the present generation, desires,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the existing regime are thought to have found an expression in its fantasy world. A critique of the reality of 21st Korea, such as the impossible housing ladder, death of 30-40s fathers from overwork, corruption in legal system and in politics, the so-called ‘sampo’ (for giving up three things; love, marriage, and children) generation is offered with an ideological representation of the desire to overthrow that suffocating social system. Regeneration and healing in fantasy narrative generate a comprehensive vision of the universe where everyone attains salvation. Given that such fantasy narrative offers consolation for the tired public and develops the value of webtoon as OSMU, the import of <With God – Afterlife> takes on its own weight for the culture industry. 현대인들은 현실에서 겪는 공포와 불안, 부조리한 세계의 불만을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세계로 표출하고 호기심과 욕망으로 채워진 가상의 세계를 구축한다. 또한 기존사회의 가치체계에 대한 전복으로 새로운 환상적 세계를 꿈꾼다. 웹툰<신과 함께_저승편>의 환상서사 속 풍자와 비판정신은 현세대에 대한 불만 표출과 욕구, 체제에 대한 전복 정신이 환상성으로 치환되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1세기 대한민국의 내집마련의 어려움, 3,40대 가장의 과로사, 법조계와 정치계의 비리, 3포세대 등의 현실 비판과 그 답답한 체제를 전복시키고 싶은 욕망의 이데올로기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환상서사에 나타난 재생과 치유를 통해 결국에는 모두가 구원을 받는 통합적인 우주관을 생성한다. 이러한 환상서사를 통해 대중은 피곤한 삶을 위로받고 OSMU로서 웹툰의 가치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신과함께_저승편>의 문화산업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몽인(柳夢寅)의 귀신서사 연구 : 귀신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주영 ( Lee¸ Juyoung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2

        이 글의 목적은 유몽인(柳夢寅, 1559~1623)이 남긴 귀신서사의 특징적인 국면을 살피고 여기에 드러나는 귀신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여 그 심층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어우야담(於于野譚)』에 실린 50여 편의 단편 귀신담과 『묵호고(默好稿)』에 실린 장편 귀신담 「애귀(愛鬼) 이야기」에 주목하였다. 유몽인의 귀신서사는 다양한 귀변(鬼變) 및 물괴(物怪)에 대한 경험을 수용하였으며, 인간에게 해를 끼치는 귀신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축귀(逐鬼)의 과정과 축귀 방법을 서사화하였다. 또 저승 체험 등을 바탕으로 사후(死後)세계의 모습과 귀신으로서의 생활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귀신의 이치를 고찰하고 귀신과 사후세계의 실존에 관심을 드러내었다. 이 귀신서사들은 이전 시기에 비해 다양한 방면에서 인간 현실을 반영하였다. 귀신의 발생이나 그에 대한 대응은 인간의 현실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사후세계는 이승이라는 인간 생활의 연장선에서 이해되었다. 한편, 유몽인은 원귀(冤鬼) 문제, 공덕(功德)과 응보(應報)의 불일치 문제에 대한 문제의식도 표출하였다. 이 귀신서사들은 성리학적 귀신론과는 다르게 귀신을 실체로서 인정하는 귀신인식을 드러내기도 한다. 유몽인의 귀신서사는 이전 시기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도 17세기의 새로운 경향을 보여주며 이후 귀신담의 변화를 선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host narratives collected and recorded by Yu Mong-in (柳夢寅, 1559~1623), and to investigate his perception of ghosts. For this purpose, ghost stories in Eouyadam (於于野譚) and ‘the story of Ae-gui (愛鬼)’ in Mukhogo (默好稿) were analyzed. The ghost narratives of Yu Mong-in wa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various ghosts. And in order to respond to the ghosts that harm humans, the process of defeating the ghosts was narrated. It also described the appearance of the afterlife and the life of ghosts. Yu Mong-in acknowledged the existence of ghosts and the afterlife. These ghost narratives reflect human reality in various ways. The occurrence of ghosts and the response to them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reality, and the afterlife was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real world. Unlike Neo-Confucian ghost theory, these ghost narratives recognize ghosts as reality. Yu Mong-in's ghost narratives had a new trend of the 17th century while accepting the tradition of the previous period.

      • KCI등재

        한국 대중문화 속에 나타난 사후세계의 환상성

        장은진(CHANG EUNJIN)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6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1 No.-

        현대인들은 현실에서 겪는 공포와 불안, 부조리한 세계의 불만을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세계로 표출하고 호기심과 욕망으로 채워진 가상의 세계를 구축한다. 또한 기존사회의 가치체계에 대한 전복으로 새로운 환상적 세계를 꿈꾼다. 웹툰<신과 함께_저승편>의 환상서사 속 풍자와 비판정신은 현세대에 대한 불만 표출과 욕구, 체제에 대한 전복 정신이 환상성으로 치환되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21세기 대한민국의 내집마련의 어려움, 3,40대 가장의 과로사, 법조계와 정치계의 비리, 3포세대 등의 현실 비판과 그 답답한 체제를 전복시키고 싶은 욕망의 이데올로기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환상서사에 나타난 재생과 치유를 통해 결국에는 모두가 구원을 받는 통합적인 우주관을 생성한다. 이러한 환상서사를 통해 대중은 피곤한 삶을 위로받고 OSMU로서 웹툰의 가치를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신과함께_저승편>의 문화산업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Contemporary human beings express their fears, anxieties and dissatisfaction with corrupt world through worlds they have not themselves experienced; they also establish words of fantasy filled with curiosity and desires. They also dream of new fantasy worlds as a means of overthrowing the values of status quo. The webtoon 〈With God - Afterlife〉 presents a fantasy narrative, rich with satire and critique; discontent about the present generation, desires,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the existing regime are thought to have found an expression in its fantasy world. A critique of the reality of 21st Korea, such as the impossible housing ladder, death of 30-40s fathers from overwork, corruption in legal system and in politics, the so-called ‘sampo’ (for giving up three things; love, marriage, and children) generation is offered with an ideological representation of the desire to overthrow that suffocating social system. Regeneration and healing in fantasy narrative generate a comprehensive vision of the universe where everyone attains salvation. Given that such fantasy narrative offers consolation for the tired public and develops the value of webtoon as OSMU, the import of 〈With God - Afterlife〉 takes on its own weight for the culture industry.

      • KCI등재

        『서유기』의 저승서사와 현대의 저승서사 고찰

        송윤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20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2

        The narrative of an afterlife in the novel Journey to the West was born when the idea of hell in Indian 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and the idea of the afterlife of Taoism were combined. The narrative of the part “afterlife” of the webtoon Along With the gods (신과 함께) reflects not only Korean shamanistic epics, Korean shamanistic myths, and Buddhism, but also the ethical beliefs of modern South Korean society. The narrative of near-death experience in the modern West does not show any idea of hell, but delivers the message of the New Age.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hell, where dreadful punishments are imposed, is to give the message that humans should believe in and follow God, and a didactic message to warn the wicked or to mediate the sensation of reward for good people against bad people in reality. In addition, it has the meaning of healing, indicating that life on this earth can be heaven.

      • KCI등재

        저승의 의미에 대한 『신곡』과 『신과 함께』 비교 연구

        정영찬 ( Youngchan Jung ),성신형 ( Shinhyung S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저승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한 비교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서구 유럽 문화를 대표하는 단테의 『신곡』과 동아시아에서 큰 주목을 받은 주호민의 『신과 함께』를 연구한다. 서구문화는 영육이원론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분리를 말하고 있으며, 이는 연옥 교리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한편 동아시아 문화는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연결을 말하고 있고, 이는 사구제(중유)에서 잘 드러난다. 본 연구는 내세는 종교적인 차원의 불연속적인 세계가 아니라, 민중들의 삶의 현실이 반영되어 현실 삶에 대한 정당한 심판과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의 장소임을 논증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후 연구의 발전 과제로 조금 더 다양한 세계의 저승관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compares Dante’s La Divina Commedia with Ju Homin’s Along with the God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afterlif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Western culture speaks to the separation of this world from the afterlife based on the dualism of soul and body, which is well expressed in the doctrine of purgatory. Meanwhile, East Asian culture refers to the connec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based on the idea of Samsara and the principle of Saguje (Joongyu). This study argues that the afterlife is not a discontinuous world in the religious dimension, but a place of fair judgment and hope for a new life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people’s live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humanistic exploration of the afterlife, which is more diverse as a development task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만복사저포기>와 <하생기우전>에 나타난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과 의미

        김현화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4

        The dreaminess of the show appearing in Manboksajeopogi and Hasaenggiwoojeon contributes to the fantasy of these works. The desire of a contemporary person to look at the lives of beings beyond the real world appears in a way that solidarity the lives of the living and the dead. Both works also solidarity with life in terms of restoration and gaze of maternal love. The cause of absolute loneliness of male protagonists comes from the sense of loss due to the absence of mother who is the object of love. The desire to find the direction of life by restoring and gazing at the absolute solitude that will offset absolute solitude is a divisive connection between the life of the living and the dead. Furthermore, through the overthrow of wounds and healing spaces, we also carry out the solidarity of life. The overthrow of wounds and healing spaces is prominent in 'Manboksa', 'Naktakyo', and 'Tomb of female ghosts'. The wounds of desire that have collapsed in real space are healed in fantasy space, and Again, the reason that I realized there is to replace the sublime value of the real world space. So the intention to reveal the essence of coexistence appears as the solidarity of life. The solidarity of life in <Manboksajeopogi> and <Hasaenggiwoojeon> follows the ideology of the real world and It is the result of the 'exploration of the protagonist of the novel' which expresses the instinctive desire honestly. It also embodies the inclusion of a worldview to acknowledge 'win-win and extinction'. The principle of coexistence works on the principle of covering the living and the dead. It is because the successors of the male protagonist who negotiated with the world of death in <Choi Chihwon> repeatedly appear in <Manboksajeopogi> and <Hasaenggiwoojeon>. The order of extinction also works on the principle of the real world and the fantasy space. The fact that the male protagonists actively sympathize with the reincarnation and resurrection of female ghosts is a result of meeting the order of this extinction. 〈만복사저포기〉와 〈하생기우전〉의 관습적 서사의 구축 양상은 시간의 변속 기능을 통해 드러난다. 동선을 확보한 서사 주체에 따라 초월계에서 현실계로, 현실계에서 초월계로, 시간이 확장되거나 응축된다. 시간 변속은 작품의 환상성에 기여하며 현실계와 초월계의 삶을 연대한다. 또한 여성성의 환기와 치유라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여성성은 세계를 지탱하는 근원적 포용력이자 평화로움이다. 〈만복사저포기〉와 〈하생기우전〉은 ‘여성’, ‘어머니’, ‘모성’ 등으로 비유되어 온 ‘밤’과 ‘달’을 중점으로 여성성을 환기시킨다. 작품 전편에서 환기되는 안온한 여성성은 남성 세계의 질서로 인해 파국 난 삶을 치유하는 역할을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