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운드 설치 작품의 의미 축조와 현상학적 이해 - <까마귀의 살해>를 중심으로

        박영주 ( Park Young-ju ),이수진 ( Lee Soojin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19세기 중반부터 시작된 사운드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아주 오랜시간동안 시각 기호와 문자에 기반을 두었던 문화 패러다임에 변화를 가져왔다. 레코드, 테이프, CD, MP3 등 사운드 저장매체의 변화는 청취의 시공간적 자유와 원음의 현장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고 요약할 수 있다. 반면 스피커로 대변되는 사운드 재생기술의 발전은 청취자의 지각 및 인터랙션과 밀접하게 연관된다.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의 전환은 창작의 유연성을 가중시키는데 일조하였다. 사실 문화예술 영역에서 지배적인 감각으로 자리한 시각에 비해 청각은 여전히 부수적인 역할에 머무르고 있으나, 인공지능 기술과 사물 인터넷, 음성인식 기술이 융합되면서 주요 매개 감각으로 청각이 대두되는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맥락에서, 청각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면서 보조적인 수단이 아닌 중심 역할을 하는 작품에 주목하고자 한다. 자넷 카디프(Janet Cardiff)의 사운드 설치 작품 < 까마귀의 살해(The Murder of Crows) >(2012)는 시각 기표는 모두 배제한채, 전방위적으로 배치된 98개의 스피커를 통해, 다양한 사운드의 겹침과 사라짐, 음량변화, 울림 등을 전달하고 있다. 음향, 음악, 음성의 중첩은 시공간의 깊이를 만들고, 픽션 세상을 축조하며, 소리로 가득 찬 공간 속에서 관객은 현장감을 경험하게 된다. <까마귀의 살해>를 통해, 사운드 기표들이 어떤 의미작용을 하는지, 관객의 지각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인지적 참여는 어떻게 일어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e development of sound technology, which began in the mid-19th century, has changed the cultural paradigm that has long been based on visual signs and texts. It can be summarized that the change of the sound storage medium such as record, tape, CD, and MP3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guaranteeing the spatial-temporal freedom of listening and the presence of original sound.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of sound reproduction technology represented by speakers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ception and interaction of listeners. In addition, the transition from analog to digital has helped to increase the creative flexibility. In fact, while the hearing is still a secondary role compared to a vision, which is the dominant sens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with the converge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ternet network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the hearing is currently emerging as one of the major mediating senses. In this context, we would like to pay attention to works in which the hearing sense plays a central role, not auxiliary means, by being used independently. Janet Cardiff`s sound installation work, The Murder of Crows(2012), while excluding all visual signifiers, conveys the overlapping and disappearance of various sounds, the volume change, and its resonance through the 98 speakers arranged in all directions. The structure of the piece tries to connect juxtapositions that we experience in the dream world. One soundscape moves into another with an electronic dreamscape composition shifting into sound effects such as factory noises, crashing waves or birds wings and then into a guitar and strings composition then into a choir sequence and marching band. The overlap of sound, music, and voice creates the depth of time and space, constructs the fiction world, and the audience experiences a sense of presence in the space filled with sound. Through The Murder of Crows, we will examine the signification of the sound signifier, how they affect the perception of the audience, and how cognitive participation occurs.

      • KCI등재

        1930년대 극장의 음향환경과 ‘소리’의 분화

        이광욱 한국극예술학회 2015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0

        The showing of talkie has triggered to introduce the electrical sound in the theater of colonial era. Consequently, the theater has redetermined as a space that could experience the sensual border between electrical sound and acoustic sound. Such a technical changing causes differentiating the sounds in the theater.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discourses about the drama and cinema. The introduction of talkie has been come gradually, and the technical flaw of the early talkies causes the extension of effective life of the sound performers for a long time in the theater of colonial era. This circumstances require the audile techniques of the consumers to select the active communication channel for dividing the signal and noise. Moreover, such technique has formed the system of taste in accordance with the knowledge level 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consumers. Meanwhile, the Chosun-talkie has a purpose to make the perfect text without support of the sound performers. As a result, the acoustic sound has been expelled from the movies, and the voice that has the features such as a originality, corporality, site-ness get settled as a sound feature of the live performance including the play. The art-oriented theatrical people who regard the audile features as a essence of the drama, have emphasized the dynamism of the stage form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nd this currents have been reinforced moreover, as the theatrical people tried to define the voice as the distinctive sound feature of the play. On the other hands, the electrical sound was the effective way to transmit a sound for the wide space, and the talkie that using technically mediated sound, regarded as a media could show more realistic expression. Compar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voice and electrical sound consciously, some theatrical people of New-drama tried to reinterpret the realism of the theatrical expression. In fact, this viewpoint has started to appear from the staging of the New-drama in grand theater. Therefore, the media discourse of New-drama that emphasizing the sound of the talkie has more realistic feature than the play, was the way to justify the dialogue-centric play performed in the space beyond the transmittable range of the voice. In other words, the backgrounds of the discourses in 1930`s, like the grand theater centrism and the revising of realism, was the result of the dilemma caused by the sound-circumstance of the grand theater ; The voice should be used in the specialized space for electrical sound. 발성영화의 상영은 식민지 조선의 극장에 본격적으로 전기음향을 도입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에 따라 어쿠스틱 음향이 지배적이었던 극장은 비로소 전기음향과의 감각적 경계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규정되게 되었다. 본고는 이와 같은 기술적 변화가 극장 내의 소리를 분화시키는 결과를 불러왔음에 주목하면서, 연극과 영화를 둘러싼 담론의 추이를 검토하고자 했다. 식민지 조선의 극장에서 발성영화의 정착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초기 발성영화에 내재된 기술적 결함들은 소리 연행자의 유효기간을 상당기간 연장시킨 원인이었다. 이러한 환경은 신호와 잡음을 적극적으로 분리하면서 소통의 채널을 선택하는 수용자의 청취 기술을 요구하는 것이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기술은 수용자의 지식수준이나 문화적 배경에 따라 분화되면서 취향의 체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다시 말해, 초창기 서양 발성영화는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을 전제로 유통되었던 것이다. 한편, 조선어 발성영화의 제작은 소리 연행자의 도움을 받지 않는 완결적 영화 텍스트를 목표로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어쿠스틱한 소리들은 점차 영화에서 축출되게 되었으며, 원본성, 육체성, 현장성과 같은 특질을 지닌 ‘육성’은 연극을 비롯한 ‘실연’의 음향적 특질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청각적인 것’을 연극의 본령으로 여겨왔던 예술지향적 연극인들은 관객과의 즉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구연공간의 역동성’을 강조해왔으며, 이러한 경향은 연극이 ‘육성’을 발성영화가 갖지 못하는 청각적 특질로 여길 수 있게 됨에 따라 더욱 강화되었다. 반면 전기음향은 광범위한 공간에 소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었으며, 기술을 통해 매개된 ‘소리’를 사용하는 발성영화는 보다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한 매체로 인식되기도 했다. 이처럼 육성과 전기음향의 특장점을 의식적으로 견주는 가운데 신극진영의 몇몇 연극인들은 연극적 표현의 리얼리즘 문제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양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와 같은 태도는 신극의 대극장 진출이라는 사건과 맞물려 나타나고 있는 바, 영화의 소리를 보다 리얼한 것으로 간주했던 신극인들의 매체담론은 육성의 전달범위를 넘어선 공간에서 상연되는 대사중심적 연극을 정당화하기 위한 방편이기도 했다. 다시 말해, 1930년대의 대극장론과 리얼리즘 수정론의 배후에는 전기음향에 특화된 공간에서 무리하게 육성을 발화해야만 했던 당대 극장의 음향환경과 그에 직면한 연극인들의 딜레마가 가로놓여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사운드 디자인 아이덴티티 검증을 위한 렌즈모델 평가방법 제안

        남궁기찬(Namkung, Kiechan),반영환(Pan, Younghwa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8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7 No.3

        연구배경: 기업들은 기업의 이상적인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사용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들의 일관성 있는 관리방법론을 아이덴티티라 한다. 인간의 청각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활용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청각 커뮤니케이션 도구인 사운드는 아이덴티티로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사운드와 사운드 디자인 구성요소들의 아이덴티티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사운드 아이덴티티의 유형이라 할 수 있는 징글(사운드 로고)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전문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징글의 사운드 디자인 구성요소들을 추출하였다. 아이덴티티 검증 실험은 인터뷰와 조사를 활용한 혼합접근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사운드와 사운드 디자인 구성 요소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감성 이미지가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는 심리 연구 프레임 워크인 렌즈모델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렌즈모델 검증법을 사용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밝혔다. 첫째, 사운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사운드 디자인 구성 요소들을 검증할 수 있다. 둘째, 특정 사운드의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핵심 디자인 요소를 찾을 수 있다. 셋째, 디자이너와 사용자 간의 감성적 차이를 발생시키는 디자인 요소를 찾을 수 있다. 결론: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정의하지 못했던 사운드 아이덴티티 영역과 사운드 디자인 구성요소들을 제시하였으며, 새로운 방법의 사운드 디자인 아이덴티티 검증법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Background: Companies use a variety of communication tools to communicate their ideal image to the user. A consistent management methodology for this communication is called identity. The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using human auditory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refore, the sound, which is an auditory communication tool, needs to be managed in the identity domain. Method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verifying the identity of sound and sound design components. Through the study of literature, Jingle (sound logo), which is a type of sound identity, was selected as a study subject and the sound design elements of Jingles were extracted through an expert focus group interview. We conducted an identity verification experiment with a mixed approach using interviews and surveys. We analyzed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a lens model, which is a psychological research framework, to see if the ideal image that the company wants to convey through the sound and design components is delivered to the user.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using the lens model verification method. First, we can verify the sound design components that convey the sound identity. Second, we can find key design elements that convey the identity of a specific sound. Third, we can find design elements that create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designer and user.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design elements of sound identity area which is not defined in the existing research and suggests sound design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 KCI등재

        사운드 설치미술에서 청각과 시각의 공감각적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기관의 소음)을 중심으로

        심준섭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4

        본 연구는 2013-14년도에 제작하고, 작품으로 발표한 사운드 설치미술을 공감각의 표현방식으로 연구한 것이다. 연구자의 청각에서 병적으로 들리는 소음이 이명증인데 이것을 작품으로 제작한 것으로 부터 시 작하였다. 처음 드로잉으로 시작된 작품의 시각화는 실제 이명 현상에서 들리는 소음을 재현하기 위한 사운드 장치들로 제작되었다. 이명은 실제 음원이 없는 소음이지만 물소리의 파장된 음이 이와 유사함을 발견하였고, 이때부터 ‘물’은 사운드를 시각화하여 다른 감각 즉, 청각으로 전환하는 것에 응용하여 제작 되었다. 그러나 작품을 통해서 외부로 표출된 사운드는 귓속의 울림과는 다르게 소음으로 공유되지 않는 다. 이명에서 들리는 소음은 일상의 유사한 음원을 감지하면서 일상의 대상인 ‘물’로 치유되고, 소음이 관객의 청각적 기관에 개입하면서 물 또는 심장소리라는 이미지와 조우하기 때문이다. 몸에서 들리는 소 음이 일상화 되는 순간 그 외의 사운드와 경계가 허물어진다. 소음과 그 외의 사운드라는 구분은 사운드 를 지각하는 체계에 의해 해체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기된 문제점인 기술을 중요시한 사운드 설 치미술보다는 조형적인 면에 중점을 가지는 사운드 설치미술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사운드 의 형상을 차용한 이미지로서 사운드 설치미술이라는 개념에 대해 다시 한 번 되짚어 보고, 연구자의 작 품을 통하여 사운드라는 매체를 설치미술의 형식을 통해서 새롭게 바라 볼 수 있게 하며, 작품을 제작함 에 있어서 이를 뒷받침 해주는 이론들을 간략히 설명하고 연구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during 2013 and 2014, investigated sound installation art works presented as a representation of synesthesia. The study considers pathological tinnitus in the production of art works. Visualization of the work began with a drawing in conjunction with a sound system to reproduce the sound heard by someone suffering with tinnitus as real phenomena. Although there is no actual tinnitus noise source, it was found that the sound of rushing water has a similar wavelength but with a different feeling. Thus, the sound of this 'water' is used to visualize sound, and it was applied as a replacement for hearing. However, the sound channel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rt work is not heard differently by your ear. Tinnitus refers to a noise which is heard, while a sense of sound similar to a target in our everyday lives is 'water', whereas the audience uses their auditory organs to connect with images of water or heart sounds. The moment the noise is coming from within the body, it breaks down the boundaries of routine and other sounds. It distinguishes noise and other sounds that will be dismantled by the system to perceive sound. Rather, sound installation art with an emphasis on the issues is raised in this paper to discuss technology for sound installation art by focusing on its formative aspects. Therefore, researchers can utilize the new format of the medium of sound installation art through works by artists looking to revisit the concept of sound installation as an image borrowing the shape of a sound, and can support them in creating the work as that which briefly describes the theory and focus of this study.

      • KCI등재

        소리특성과 생리적 반응을 이용한 편성물의 소리디자인 시스템(I) -위편성물의 소리특성과 역학적 특성-

        조길수,김춘정,Cho, Gil-Soo,Kim, Chung-Jeong 한국섬유공학회 2006 한국섬유공학회지 Vol.43 No.5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ound characteristics of weft knitted fabrics for establishing database of sound design system for knitted fabrics. The specimens consisted of 27 weft knitted fabrics.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knitted fabrics were measured with Kawabata evaluation system (KES). The frictional sounds of specimens were recorded by a sound generator and transformed into sound spectrum by FFT. The level pressure of total sound (LPT), level range ($\Delta$f), and frequency difference ($\Delta$f) were calculated from the sound spectra obtained in the FFT analysis. Zwicker's psychoacoustic parameters such as loudness(Z), sharpness(Z), roughness(Z), and fluctuation strength(Z) were calculated. The weft knitted fabrics have similar values of roughness(Z) and fluctuation strength(Z). Polyester fabrics with low elongation at maximum load (EM) and high coefficient of friction(MIU) showed the loudest and the sharpest frictional sound. The lyocell fabrics with low bending properties (B, 2HB) and thickness showed the most quiet and softest frictional sounds. Bending properties, surface properties, thickness and weight in weft knitted fabrics showed high relationship with the physical and psychoacoustic properties of frictional sound.

      • KCI등재

        영화 공간 사운드 제작연구

        성재현(Sung, Jae-Hyun),이민아(Lee, Min-Ah) 한국영화학회 2014 영화연구 Vol.0 No.61

        Space in the film is expressed by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f meaning and furthermore space could be the reason in the presence of a work. space in the film plays a important roll of tasks in making up the area of the screen image and sound over the visual space through sound consists of auditory space. sound has its own screen composition techniques that generate an idea of adding space in space, as well as in the surrounded existing through amalgamate a foe space to a visual image. In production’s aspect, it is very important in sound configuration that an ambience of stems in term of expressing film sound, makes people to concentrate in storytelling. sound, the configuration of ambience is to relocate the two-dimensional space into the three dimensional space. this reproduces the overall expression of images and realistic nature. there are many kinds of sound system, however none of these are excludable. people may think all of these difference stem’s components are recognized through psycho-acoustic system. although an ambience gives understanding of psycho-acoustic system, people can be disturbed if a main idea of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e image. Many scenes in the film make the decisions by using the continuity of sound. discontinuity of scenes often happens in low budget featured films, or student films due to the different size of pictures and disharmony of ambience. In order to have the power of persuasion in spatial sound in the film, it is important to acquire the audience’s perception by efficient operation system, arrangement and design.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cuss the ambience in sound system. This paper is written to describe the sound system by stems. it will analyze theories specifically for ambience and detail relationship between visual and sound in the film 〈Gravity〉.despite to other movies,〈Gravity〉 has been praised for using whole new different realistic visual and sound effect that people have never experienced in the field of cinematic spacious and it received sound award and sound editing award in Academy Award 2013. 〈Gravity〉has contributed a lot in the field of ambience analysis and this paper will talk about the technical and artistic parts of the research and discussions in the special sound.

      • KCI등재

        사운드아트 담론의 출발: 그 개념의 불확실성, 폭넓은 역사, 실천적 양상에 관하여

        김경화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音樂論壇 Vol.49 No.-

        Recently, when looking around art creation scene such as music, visual art or performance, sound work that expresses and delivers a certain meaning with the theme of sound, or sonic activity that induces the listener’s listening experience is often found. These sound-based art activities are broadly called ‘Sound Art’. Sound Art can be an artistic phenomenon that is booming more in this era when all kinds of things make sound and the importance of sound and listening activity is highlighted.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multimedia, the possibilities of expressing sound art are expanding without any limit. However, sound art is something that is still unfamiliar to the public, and it is also considered as a field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even its concept. This study started from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goes through where the ambiguous concepts of sound art came from, and examines the debates and discourses of participants in the field, such as theorists, scholars, artists and curators, related to the definition of conceptual categories and meanings of sound art. Also, this paper study covers what kind of historical context this new field has by looking through historical works that have influenced in forming sound art.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art and how they are distinguished from music, and various practical aspects are observed. Thus, this study can be a way to understand this new art phenomenon that reveals various perspectives, issues and even boundless artistic potential at the same time in this age.

      • KCI등재

        다양한 소리의 객체를 담은 영화 사운드

        김은혜(Kim, Eun-Hye),이원덕(Lee, Won-Duc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7

        영화 속 사운드는 영상의 리얼리티를 돕기도 하고 감정을 증폭시킨다. 또한, 청각적 표현으로 인해 영상의 움직임은 가속화 되고 심도 깊은 표현이 가능해진다. 이렇듯 영상과 사운드는 수직적, 수평적인 관계를 속에서 상호작용을 한다. 영화 속에는 다양한 종류의 사운드와 음악이 쓰이는데 그 범위는 생각보다 넓다. 리얼 사운드, 20세기 음악에서 시도된 여러 가지 사조를 포함한 난해한 소리에서 부터 비선율적인 음악, 소음, 타악기적인 소리 등, 다양한 소리의 객체(sound object)들은 영화 사운드 표현의 중요한 대상이 된다. 소음이나 그 동안 흔히 사용되지 않았던 소리들이 소리의 객체로 등장한 것은 구체음악의 영향이라 할 수 있다. 구체음악의 등장은 음 소재의 확장에 있어서 일대 변혁을 가져오게 되었고, 다양한 음 소재의 사용으로 영화 속 음악과 음향의 경계는 불확실하게 된다. 이러한 다양한 청각적 표현들은 영화의 내러티브를 더 섬세하고 객관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영화 〈밀정〉은 일제하 암울하고 불안정한 시대의 이야기이다. 등장인물간의 갈등과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불신, 불확실한 시대적 배경을 영화의 사운드 역시 불분명한 표현으로 일관하고 있다. 타악기적인 음색의 지속적인 사용, 불협화음의 등장, 비 선율적인 음악의 사용으로 인해, 음악인지 음향인지 혹은 엠비언스 인지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하다. 불확실한 시대상이 서사에 표현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영화의 모티브는 사운드 연출에 적용되었다. Sounds in a film not only adds reality to the film but amplifies emotions like love, rage and sorrow. The auditive expressions accelerates the motion of the video and enables a profound expression. The video and sound interacts with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lationship. A film uses a wide range of sound and music. Different kinds of sound objects are an important object in sound expression, including the real sound, complex sounds of the various trends tried in the 20th century and the unmelodic music, noise or percussion sound. The unusual sound like noise became the sound object under the influence of concrete music. The advance of concrete music brought a revolution to expansion of sound materials which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music and sound in a film. These diverse auditive expressions allows a film to describe the narrative in more delicate and objective way. The film The Age of Shadows is a story of the unstable age under Japanese imperialism. The vague film sound describe the conflict and distrust between the characters and the unclear background of the age. The continuous percussion sound, disoonance and unmelodic music makes it meaningless to determine whether it is music, sound or ambience. The motive, instead of the unclear background of the age limited only to the narrative expression, is applied to the sound direction.

      • KCI등재

        문순태 소설의 사운드스케이프 연구

        조은숙 ( Eun Sug C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2

        본 연구는 최근 소리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에서 음악이나 건축, 환경 분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사운드스케이프를 문학 작품 연구로 그 지평을 확장시키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현대 작가 중 문순태는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사운드스케이프를 서사적 행위의 내적 의미를 함축한 가시적 표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문순태 전체 소설작품에 산재해 있는 사운드스케이프를 범주화하여 초기와 중기, 후기로 나누고 그 의미를 분석한 뒤, 각 시기에 따라 작가가 지향해 왔던 작가의식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사운드스케이프가 단지 청각적인 소리 자체가 아니라 우리들에 의해 의미 지어지고 구성되는 소리 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하나의 사상이자 이념이므로 문학작품 연구의 틀이 될 수 있음을 밝힌 후, 문순태의 전체 작품에 산재해 있는 사운드스 케이프를 범주로 묶어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누어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초기소설은 국가주도하에 이루어진 근대화의 폭력성과 언론 탄압의 실상을 ‘불도저 소리’로, 이촌 농민들의 뿌리 뽑힌 삶과 한을 ‘징소리’로 대변하고 있었다. 중기 소설은 ‘총소리’를 통해 한국현대사에 반공 이념이 여전히 ‘비극적 광맥’으로 내재되어 우리의 삶을 끊임없이 분열시키고 있음을 보여준 뒤, ‘물레방아소리, 단소 소리, 무당의 굿소리’라는 친밀하고 정감이 가는 소리를 이용하여 우리 사회의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분단 이전의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여 역사의 꽉 막힌 문맥을 열고자 했다. 후기 소설은 ‘개구리 소리, 대 바람 소리, 숲 속의 오케스트라 소리, 뜸부기 소리’ 등 소리 풍경이 아직도 오염되지 않은 채 남아있는 생오지를 형상화하여 아름다운 농촌공동체의 복원 가능성을 제시했다. 다음으로 문순태가 초기, 중기, 후기에 걸쳐 일관되게 서사적 장치로써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했던 이유는 달라진 지각환경에 기민하게 반응하여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현실을 정확히 꿰뚫기 위한 작가의식의 발로였음을 밝혔다. 왜냐하면 사운드스케이프의 존재양상은 단순히 ‘소리’ 그 자체만으로 성립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 전체와 얽혀삶을 일깨우는 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초기 소설은 기자 생활을 하면서 취재한 소재로 사회 현실의 구조적 모순을 밝혔으며, 중기 소설은 5·18광주민주화운동으로 기자직에서 해직된 뒤 역사적 사실과 관련된 이데올로기 문제를 서사화했고, 후기 소설은 교단을 떠난 뒤 55년 만에 돌아온 고향에서 다문화 사회의 경계 허물기를 실천하여 농촌공동체의 새로운 소통방법을 제시했다. 본고는 그 동안 음악이나 건축, 환경 분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는 사운드스케이프 개념을 한 작가의 전체 작품을 망라하여 분석했다. 본고의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 다른작가의 작품 연구나 지역 사회의 소리 연구에까지 그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the interest in sound environment has increased, and Soundscape has been studied with music and architectural sectors at its center. Under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began with a sense of problem to expand the horizon of Soundscape to the study of literary works. Among contemporary writers, Moon Soon Tae has continued to suggest Soundscape as a visual presentation implicating internal meaning of narrative behavior in his early, middle and later works. Accordingly, this study classified Soundscape scattered in his whole works in the early, middle and later period and analyzed its meanings, followed by the extraction of the writer consciousness at each respective stage. First, the study discerned that Soundscape is not a simple sound itself, but a thought and idea that considers sound environment signified and composed by us important, which can be a frame of a study on literary work. Next, the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Soundscape in the works of Moon Sun Tae at its early, middle and later period. His early novels represent the abandoned life and agony of farmers who migrated to cities with ‘the sound of bulldozers’ and ‘Jing sound’. His novels in the middle period show that ideology is still immanent as ‘vein’ in contemporary Korean history dividing our life ceaselessly from ‘gun sounds’ and attempted to open the context of our society confined with the homogeneity before the national division by means of ‘waterwheel sound, Danso sound, and Gut sound’. In his later period novels, he proposes a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beautiful rural community through the uncontaminated wile remote areas where there are sound atmospheres such as ‘frog sound, bamboo wind sound, orchestra sound in forest and crake sound.’ Next, this study discovered that Moon Sun Tae continued to use Soundscape as a narrative device in his early, middle and later period was because of the initiation of his awareness of writer to make prompt responses to a changed cognitive environment and to penetrate surrounding reality accurately. This is because the existence of different Soundscape is not composed of ‘sound’ itself, but works to awaken by interlocking with the whole world. His initial novels revealed the social structural contradiction based on his resources collected from his journalist life. In his middle period novels, he narrated ideology issues with the historicity after being dismissed from the journalist position due to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His later novels suggests a new communication method of rural community by breaking boundaries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his home town where he settled after retirement and returned after 55 years. While the concept of Soundscape has been studied in music and architecture, this study analyzed it with the whole works of one writer.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expand the horizons to the study of sound landscape of other writers’ works or a specific local society.

      • KCI등재

        영화 사운드 디자인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의 사례와 이해

        김영삼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2

        As the fourth industry changes, the sound design production in the movie industry changes. The change in computer music is the big reason as it may be manipulated and transformed. The introduction shows the need for a business industry applying sound design in various industries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in the field of movie sound design. The main contents include the cases of the character-centered sound design of a movie applied to various brand sounds and the cases of making the brand’s corporate image and identity soun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uditory image sound design, that captures people’s minds which has developed since the early 2000s.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distribution and production of sound sources applying AI, and business model cases of a new level of sound design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siders various cases that sound design methods limited to a movie are applied as brand sound models, and planned as automobile auditory image sound, in addition to changes of the methods of distribution, education, production, and performance of sound sources. 4차 산업의 변화에 따라 영화 산업의 사운드 디자인 제작 또한 변화 하고 있다. 음원을 조작, 변화 할 수 있는 컴퓨터 음악의 변화가 큰 이유이다. 서론은 영화 사운드 디자인 분야의 빠른 변화에 따라 다양한 산업에서 사운드 디자인을 활용하고 있는 비즈니스 산업의 필요성을 나타낸다. 본론은 영화의 캐릭터 중심의 사운드 디자인이 다양한 브랜드 사운드에 적용되는 사례와 그 브랜드의 기업 이미지와 아이덴티티 사운드를 만드는 사례를 살펴본다. 그리고 2000년대 초반 영화 리얼리티 사운드 디자인에서 발전하여 인간의 심리를 사로잡는 청각심상 사운드 디자인의 발전과 활용의 사례를 살펴본다. 그 외에 AI로 인한 음원의 유통과 제작, 새로운 차원의 사운드 디자인 공연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도 조사한다. 결론으로 영화에 국한된 사운드 디자인 방법이 브랜드 사운드 모델로 적용되고, 자동차 청각심상 사운드로 기획되고, 음원의 유통, 교육, 제작, 공연의 방식이 변화되고 있음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