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주의적 시민 만들기 : 1950년대 초기 중국의 집단 신문 읽기의 관행을 중심으로

        陳細晶(Sei Jeong Chin) 중국근현대사학회 2009 중국근현대사연구 Vol.44 No.-

        This paper examined the practice of collective newspaper reading in the Newspaper Reading Group organiz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CCP) in the early 1950s and analyzed the new pattern of political communication and more broadly political culture in the grass-roots level that the CCP intended to promote. The CCP organized the Newspapers Reading Group as a key institution mediating between party and people within the hierarchical context of political communication. Ten to fifteen people would gather each day for about thirty minutes to read newspapers collectively and orally, which contrasted with other modern notions of “reading” as a private and silent practice. With the unprecedented penetration of the state power into the society, the CCP intended to change the practice of constructing public opinion in the grass-root society by intervening not only in the production of the media, but also in the consumption of the media. By doing so, the CCP intended to make the party cadres or party activists to become mediators between the party and the masses. Whereas illiterate populations of the pre-1949 period had largely depended on non-state networks for information, those same populations after 1949 became incorporated into formal “political” communications networks systematically organized by the CCP. Previous studies before the start of the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generally perceived the Chinese state as totalitarian as it seemed that the state's control over the society was extremely effective. Thus, persuasion of the masses by the media as party propaganda was regarded as considerably effective. However, graduall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the limits of the state power and the media effect on mass persuasion was notice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effect of the media on mass persuasion or on changing the subjectivity of the people, I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intention of the CCP in transforming the practice of constructing public opinion imbedd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Newspaper Reading Group, practice of collective newspaper reading, and pattern of public discussion in the Newspaper Reading Group. I argued that the CCP intended to regulate free interpretation of news or editorials published in the newspapers and create new political culture in the public realm by spreading the new practice of reading. Public discussion on the news was also encouraged in the Newspaper Reading Group in order to construct public opinion that is favorable to the party line and party policy by setting the boundaries of public display of subjectivity. For once the interpretation of news items became an act of public verbalization within Newspaper Reading Group sessions, there remained little room for alternative interpretations that might also occupy public space. Thus, the effectiveness of political communication during the early 1950s period did not solely derive from the fact that readers were simply persuaded by cadres' interpretations of newspaper content, but also resulted from a system in which supervised practices of public interpretation subsequently limited the presence of competing alternatives within communal contexts.

      • KCI등재

        사회여론에 대한 법관의 인식: 법관 대상 FGI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과 토픽 모델링 비교

        강태경 한국법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13 No.1

        In this study,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24 incumbent judges were conducted on how they conceptualize public opinion and what attitude they take toward it in relation to judicial tri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STM).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judges distinguished concepts such as social rules, socially accepted ideas, legal emotion, and public mood from public opinion, and subdivided public opinion into temporary and emotional reactions to specific legal cases and consistent attitudes toward law and polic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udges' attitudes toward public opinion and social norm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ases or legal issues. Topic modeling results significantly corresponded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In this model, the effects of the types of cases dedicated to participants on topical preva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본 연구에서는 현직 법관 24명을 대상으로 법관들이 재판과 관련하여 사회여론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와 사회여론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에 대한 초점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과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을 수행하였다.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상규, 사회통념, 법감정, 국민정서를 여론과 개념적으로 구분하였고, 여론을 특정한 법적 쟁점이나 사건에 대한 일시적이고 감정적인 반응과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의견으로 구분하여 이해하였다. 그리고 사건의 종류나 법적 쟁점에 따라 여론이나 사회통념에 대해 다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모델링 결과는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와 상당한 유사성을 보였고, 특정 토픽의 발현 가능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담당 사건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집단정체성과 선거여론조사의 수용

        박영환(Young Hwan Par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3 No.1

        이 논문은 집단정체성과 선거여론조사 결과보도의 편향적 수용의 관계를 분석한다. 일반 대중의 정치인식과 행위는 특정 집단에 대한 유대감과 소속감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이런 이론적 논의에 기반하여 한국에서 집단정체성을 대표하는 정당의 호감도와 지역 소속이 일반 대중의 선거여론조사 결과의 수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운다. 각급의 선거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다. 경험적 분석결과 정당에 대한 호감도와 지역 소속의 변수의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정당의 호감도 변수의 영향력과 방향성이 지역 소속의 변수보다 더 강하였다. 이런 분석결과를 통해 민주주의 사회에서 선거여론조사의 수용성을 재검토해 본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identity and accommodation of election opinion poll. Mass publics’ political perceptions and behaviors are constrained by group identity, such as group attachment and membership. Based on this argument,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party likability and region of birth which are composed of group identity in Korea are likely to influence on mass public’s accommodation of election opinion poll. Using election surveys, this paper tests this hypothesi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party likability and region of birth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accommodation of election opinion poll. Above all, the influence and direction of party likability are even stronger than region of birth. Through these findings, we rethink the accommodation of election opinion poll in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신라의 분쟁 처리와 지방지배-중성리비와 냉수리비 비교분석-

        서지영(Seo, Ji-yo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3

        「중성리비」와 「냉수리비」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서술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분쟁을 처리하는 절차와 구성원의 역할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하급의 실무진이 사건을 조사하고, ‘간지’급 이상의 고위 지배층이 판결한 뒤 교를 내렸으며, 도사 등의 실무진이 판결내용을 집행하였다. 다만 下敎를 내린 의결집단과 집행을 담당한 실무 집단의 소속부와 관등의 양상은 차이가 있었다. 「중성리비」는 왕을 비롯하여 탁부, 사탁부인으로 의결이 이루어졌지만, 「냉수리비」는 탁부, 사탁부 이외 본피부와 사피부의 "간지" 계층도 참여하였다. 「냉수리비」의 "간지"들은 신라 왕의 소집 명령을 받아 국정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비록 과거 사로국 단계의 위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신라 왕에게 용인 받은 세력으로 관료집단으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냉수리비」에서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의결집단에 참여한 것은, 部의 수장적 지위보다 국왕의 관료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보유한 간지 관등은 기존 部主의 전통적 지위를 명목상 인정해 준 것으로, 일원적 관등체계가 마련되기 전 명예적 성격이 강한 간지를 예우하는 과도기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집행을 담당한 중앙의 실무진은 두 비 모두 탁부와 사탁부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나마 이하 하급관등자와 도사가 중심이었다. 「냉수리비」는 판결을 집행한 실무진을 ‘典事人’으로 하여 하나의 직군으로 기록하였지만, 「중성리비」는 역할에 따라 분산된 채 기록되어 있었다. 판결을 알리는 방식도 「중성리비」는 典書 여모두가 판결 사실을 기록하고 심도리를 통해 널리 알린, 반면 「냉수리비」는 중앙의 ‘典事人’이 “煞牛拔誥” 한 뒤 ‘故記’하였고, 이것을 다시 촌주가 “世中了事”하고 故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냉수리비」에서의 사건 처리는 중앙 왕경인 집단의 판결 집행, 지방 촌주의 확인이라는 이중적 절차를 행한 것이며,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敎令’ 전달 체계를 알 수 있다. 두 비의 분쟁은 모두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다툼이다. 「중성리비」의 분쟁은 두지사간지와 일부지가 빼앗은 4개 촌을 모단벌탁으로 다시 돌리는 수취와 관련된 문제이고, 「냉수리비」는 절거리 개인의 재산과 관련된 다툼이었다. 이 두 비는 농업생산력 증대와 이에 따른 재화의 유통, 市肆와 東市의 설치 등 당시의 경제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또 「냉수리비」는 "별교"의 형태로 상속자를 명시하였고, 패소측에게 이의를 제기하면 중죄를 받을 것임을 서약하도록 하여 법을 강제하였다. 이것은 지역, 촌에서 일어난 분쟁에 신라중앙이 개입하여 판결을 내리고, 이를 준수하도록 강제하여 지방에 미치는 중앙의 통치력을 확인할 수 있다. 6세기 초 신라 중앙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방에 행정력을 발동하고, 지방지배를 실현해나가고 있었다.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aspects of disputes and their handling process were examined. The two inscriptions were different in the way they were written. The procedure for handling disputes was the same. All the voting groups were high-ranking officials above the kan-ji(干支). The working group consisted of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such as nama-gwan-deung(奈麻-官等) or lower-ranking officials. Judgment and execution of disputes were centered on the king, the people of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The operation of the state was decided only by the king,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without going through a six-bu(6部) agreement. In the public opinion group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people such as Gan-ji-gwan-deung(干支-官等) and others from Bonpi-bu(本彼部) and Sapi-bu(斯彼部) participated. This indicates that he belongs to the royal priesthood, not the head of the bu(部). Bonpi-bu, Sapi-bu, and Jamtak-bu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Bongpyeong-ri Silla Stone Monument took part in state affairs by referring the kan-ji. This is an undifferentiated bureaucracy used i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small countries in the past.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king"s religious group. Modanbeol-tak (牟旦伐喙) and bonpa-tak(本波喙) are the structures of kan-ji-ilbeol(干支-壹伐) for public opinion-group. The Ch"on(村) shows a similar form in the structure of kan-ji-ilgeumji(干支-壹金知).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revealed their superior status through the use of differentiated kanji series including ilganji(壹干支). bu of Modanbeol-tak(牟旦伐喙), bonpa-tak(本波喙) and Ch"on(村) use different government structures, and a social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stages appears.

      • KCI등재

        김영란법에 대한 신문, 여론 및 시민단체의 입장

        박근용 한국입법학회 2015 입법학연구 Vol.12 No.1

        ‘김영란법’이라고 불리며, 2015년 3월 3일 국회가 제정한 ‘부정청탁 및 금품수수 금지에 관한 법률’은 여론의 지지속에 제정된 법이다. 정부의 법안이 국회에 제출되기 전까지 많은 사회적 관심을 받았으나, 국회에 법안이 제출된 후에는 별로 주목을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던 법이었다. 그러나 2014년 4월 16일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는 이 법에 대한 여론의 관심을 높였다. 부패근절을 바라던 시민들의 생각은 김영란법 통과의 중요한 동력이었다. 입법과정의 초기에는 신문들은 이 법의 제정에 적극적으로 찬성했다. 하지만 입법과 정의 막바지에 적용대상에 언론기관 종사자가 포함되자 법안의 문제점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태도를 바꾸었다. 하지만 신문들의 태도 변화는 여론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신문사들의 부정적인 보도에도 불구하고 여론조사결과 적용대상 확대 찬성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한국의 대표적인 반부패 시민사회단체들은 입법과정 초기부터 완료단계까지 일관되 게 김영란법의 제정을 찬성했다. 입법과정의 막바지에 불거진 적용대상 확대 논란과 관련해서도 문제없다는 입장이었다. Widely known as the “Kim, Young-Ran Act”,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s an act that was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on March 3, 2015 with the support of the public opinion. Although the government’s bill received much social attention prior to its submission to the National Assembly, it was left for neglect without receiving much attention afterwards. However, the Sewol Ferry Tragedy of April 16, 2014 increased the public’s interest regarding this law. The people’s thoughts and desires to eradicate corruption served as a key force for the passing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During the initial stages of the legislation, newspapers actively agreed with the enactment of the law. However, as the law’s scope of applicability was changed to include workers of the press media near the end of the legislation process, newspapers changed their views on the law and emphasized the issues concerning the bill. Still, the change in attitude of newspap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blic opinion. Despite of the negative reports of newspapers, the public opinion polls showed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agreed to the expanded scope of applicability was overwhelmingly higher. Korea’s main anti-corruption civil society groups consistently welcomed the enactment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from the early stages to the completion of its legislation. They also took the position that there was no issue with respect to the controversy over the expanded scope of applicability which was raised at the last stage of the legislation process.

      • KCI등재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통한 주민참여 활성화의 정부와 시민단체의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

        송용훈(宋勇勳),정문기(丁文基)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3

        기존의 재개발, 재건축 등 각종 정비 사업의 대안으로 도시재생의 논의가 활발하다. 도시재생의 한 유형인 마을만들기에는 여러 주체가 참여하며 주민들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주민참여와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선언적인 주장에 그쳤다. 이에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주민참여 활성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로서 여론수렴, 또 다른 주체인 시민단체의 교육기능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이러한 역할이 주민들의 정치효능감에 영향을 주어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시민단체주도형인 장수마을과 정부주도형인 산새마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민단체주도형과 정부주도형을 종합해볼 때 시민단체의 교육기능은 주민들의 내적효능감을 통해 참여도를 높였다. 또한 정부주도형에서는 지방정부의 여론수렴이 외적효능감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여 주민들의 참여를 진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Urban regeneration has gain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It is essential for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generation process. However, previous researches made only a declarative argument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and the role of the government are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specifically on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for public opinion and the education function of the citizen group.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political efficacy on participa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civic organization and the government increased the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ernal efficacy of the residents. In addition, in the government-led type, the convergence of opinion by the local government acted positively on the external efficacy, thereby promo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 KCI등재

        The convergence of public opinion and interest group lobbying and the disruption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n United States immigration policy

        주재연 한국국제정치학회 2019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Vol.17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power and influence of interest groups and public opinion in configuring the immigration policy direc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discusses how the pro-immigrant consensus between the two entities was disrupted by the Trump administration. As interest groups have been traditionally a pro-immigrant party due to the economic benefits immigration brings to certain sectors of business, notably the agricultural and high technology industries, it has remained at odds with the moderately anti-immigrant U.S. public for many years. Recently, however, these two previously divergent entities have been converging into a pro-immigrant (in aggregate) position as the public grew more favorable of immigration in recent years. In this light, we trace this convergence of public opinion and interest group lobbying and then examine how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disrupted this seemingly harmonious trend in order to push through a series of anti-immigration policies that in essence represent the minority view in the United States. We further show how the growing polarization between the anti- and pro-immigrant public created an opening for Trump to exploit: capturing just enough support to win the election regardless of general public sentiment and interest group lobbying.

      • KCI등재

        선거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수용자 경험과 인식 : 2022년 대통령선거 및 지방선거 국면 속 수용자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서도원,유용민 한국지역언론학회 2024 언론과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선거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수용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표적집단심층인터뷰를 통해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선거 여론조사와 언론의 역할을 둘러싼 논쟁적 지점들과 그 의미를 수용자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대안에 관한 함의를 고찰한다. 조사의 정확도를 제고하고 여론조사 뉴스의 신뢰도를 향상하면 여론조사가 민주적 선거 문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기대하는 생산자 접근 방식으로는 광의의 의미에서 현재의 여론조사 및 언론의 여론조사 보도가 야기하는 복잡다양한 문제들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용자들의 일상적 미시적 경험과 인식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연구진은 25명 참여자를 대상으로 지난 선거 시기 여론조사와 여론조사 보도에 관한 그들의 경험과 인식을 확인하는 표적집단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여론조사에 과잉 의존하는 선거에 대한 수용자들의 비판적인 불만과 이견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이들은 단지 여론조사를 기피하고 냉소하는 것을 넘어서 여론조사가 민주주의에 야기하는 구조적 영향력을 비판적으로 인지하면서 그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대항적 참여를 모색하고 있었다. 결론에서는 단순히 여론조사의 방법론적 개선이나 선거 저널리즘의 품질 수준을 넘어서 근본적으로 민주적 여론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확인되어야 하는가에 관한 문제의식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udience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political election public opinion poll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arget groups, and based on this, to examine the meaning of controversial aspects of poll culture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alternatives. This researchers conducted focus-group-interviews with 25 participants asking about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ublic opinion polls during the recent election phas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aning of public opinion polls in their daily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public opinion polls is spreading out of the traditional view such as improving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opinion polls and into the problematic contexts of the political culture seeming to be dominated by public opinion polls.

      • KCI등재
      • KCI등재

        통합 연구 방법 적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연구: 지역 보건 정책 결정을 위한 주민 의견 조사에 설문 조사와 포커스 그룹 방법의 통합적 적용

        강민아,손주연,김희정 한국행정학회 2007 韓國行政學報 Vol.41 No.4

        이 연구는 주민 의견 조사에서 질적 연구 방법과 양적 연구 방법의 구분을 넘어 각 조사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여 동일한 주제에 대해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적용하는 통합 연구 방법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특히, 지역 보건 정책에 관한 주민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된 기존 설문 조사들이 실시 주체나 방법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주민들의 인지도와 태도에 대한 표면적인 기술에 그치게 됨에 주목하여, 집단적 상황에서 참여자들이 어떻게 정보를 습득하고 주어진 정책 현안에 대한 의견을 형성하는 지를 파악할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같은 질적 접근을 병행함으로 정책 논점에 대한 일반인들의 심층적인 인식과 함께 그러한 인식과 의견을 형성하는 과정에 대해 보다 풍부하고 다각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고자 했다. 설문 조사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병행하는 통합적 조사방법을 적용하여 수집된 자료들은 다양한 자료와 증거를 통한 결과 확인(확증, corroboration), 표면에 드러나지 않고 이면에 숨겨져 있는 풍부하고 상세한 내용 발견(정교화, elaboration), 그리고 기존에 논의되지 않았던 새로운 아이디어나 연구 주제의 발견(창시, initiation)의 3가지의 측면으로 나누어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에서는 주민 의견 조사에서의 통합 연구 방법의 유용성 및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ppli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tounderstand the attitudes of local residents toward regional public health issues. Most survey methods are limited i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residents toward water fluoridation programs, as each survey produce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methods and respondents. While surveys are useful in policy decision making by providing summary statistics on public opinion and attitudes, focus group interviews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how people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and form opinions within an environment of group dynamics. This study took advantage of each research approach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public reactions to policy changes by facilitating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simultaneously. Data produced from both approaches showed the benefits of mixed methods research such as: 1) 'corroboration' of findings with a triangulation technique, 2) 'elaboration' of findings by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nd 3) 'initiation' of new ideas that were not identified in one method.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discusses implications of applying a mixed methods approach in future efforts of refining the methods of opinion research for the purpose of policy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