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의 실천성 보완을 위한 방안 모색: 「성학십도」와 「성학집요」의 수양 체계를 중심으로

        강보승(Bo-Seung Kang) 한국도덕교육학회 2021 道德敎育硏究 Vol.33 No.3

        이 논문은 현재 도덕 교육과정의 실천성 향상 방안을 「성학십도」와 「성학집요」의 수양론 체계를 중심으로 검토함으로써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현재 교육과정에서는 ‘도덕함’을 도덕적 탐구, 윤리적 성찰, 실천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제시하면서 도덕 교과의 실천성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용어의 모호성, 불필요성뿐만 아니라 교육과정에서 ‘도덕함’의 취지가 명확히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문제도 있다. 유교 윤리의 ‘수양론’ 체계를 검토하여 교육과정에 적용하면 도덕 교과의 실천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덕함’의 핵심 요소인 탐구, 성찰, 실천이 유교윤리의 수양론 체계와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다. 특히 퇴계 이황의 「성학십도」와 율곡 이이의 「성학집요」는 탐구, 성찰, 실천의 내용과 방법이 잘 구조화 되어 있다. 「성학십도」의 제1도~제5도를 활용하여 존재에 대한 이해와 성찰을 바탕으로 도덕적 수양을 통한 인격 완성과 이상사회 실현, 개인과 사회의 도덕 실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제6도~제10도를 활용해서는 본성과 마음, 감정에 대한 탐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공감, 배려의 자세 함양 및 시간과 장소에 따른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이해, 타인 이해, 공감과 배려, 일상에서의 도덕 실천이 체계적으로 제시된 「성학십도」의 수양론 구조를 사용한 교과 구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대 사회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 개인, 가정, 공동체로 범위를 넓혀가며 성찰하는 「성학집요」의 수양론 구조를 활용하는 것도 교과의 실천성을 향상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며, 완성된 인간을 향한 의지 고양과 자세 확립을 위해 「성학집요」에서 강조한 ‘입지(立志)’를 교육과정에 적용하면 도덕적 인간이 되고자 하는 내적 동력을 배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성학십도」와 「성학집요」의 구체적인 내용은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 수준에서는 생소하고 교사들도 가르치기 어려우므로 도덕적 탐구와 성찰, 실천의 측면에서 두 책의 구조와 취지, 실천 방법을 활용한다면 현행 교육과정이 ‘도덕함’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였던 도덕 교과의 실천성 향상의 목적을 달성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ethics curriculum presents “doing ethics”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moral exploration, ethical reflection, and practical processes, increasing the practicality of ethics teaching. However, the question arises whether “doing ethics”, which encompasses moral exploration, reflection and practice, is a necessary concept. It is better to use it separately by exploration, reflection, and practice instead of ‘doing ethics’.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purpose of “doing ethics” is not clearly reflected in the education process as well as the ambiguity and needlessness of terms.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doing ethics’, practice must be further supplemented to achieve the goals of ethics teaching. So how can we compensate for this problem of practice? The present writer suggest that a way to review the ‘self-cultivation theory’ system of Confucian ethics and apply it to the curriculum could be a way. This is because exploration, reflection, and practice, which are key elements of “doing ethics”, are exactly in line with the system of Confucian ethics. In particular,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by Toegye Yi-hwang and The Essentials of Sage Learning by Yulgok Yi-yi are well-structured in terms of exploration, reflection, and practice. Specific details of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nd The Essentials of Sage Learning can be difficult at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levels. Therefore, it would be better to use the structure, purpose, and practice of the two books in terms of moral exploration, reflection, and practice, not specific contents. This will help to achieve the goal of improving the practicality of ethical teaching that was sought through ‘doing ethics’ in the course of education. In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we consider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using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systematically presented with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others, empathy and consideration, and moral practice in a daily life. The use of the foster structure of The Essentials of Sagely Learning, which expands the scope of ethical issues in modern society to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can also help improve the practice of moral teaching.

      • KCI등재

        실천윤리적 측면에서 분석해 본 무속

        김덕묵 ( Duk Muk Kim )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4 No.1

        본고는 황해도굿과 무속공동체를 중심으로 하여 행위주체 간의 관계에서 보여 지는 실천윤리를 살펴보았다. 실천윤리란 인간행위의 실천영역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현상으로 무속에도 올바른 도리라고 생각되는 행위방식이 있다. 무속의 실천윤리는 경신(敬神)에서 비롯된다. 무속의례와 무속공동체의 실천윤리에는 개성존중, 해원, 조화와 평등성, 의례를 봉헌하는 도리, 섬김의 윤리, 근신의 윤리, 호혜성과 같은 윤리성이 도출된다. 이것은 다신관, 애니미즘, 조상숭배사상, 생명존중사상, 조화와 평등사상, 효사상을 근거로 하고 있다. 무속의 실천윤리는 인간사회 어디에 서나 행해지는 일반적인 윤리.도덕이 그대로 투영되는 부분이 있는가 하면 무당의 종교체험, 무속공동체를 통해 전승되는 지식 등이 결부되어 나타나는 무속공동 체만의 특성도 있다. 이러한 무속의 윤리는 무속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환경윤리와 생명윤리가 요구되고 인간소외, 가족해체, 각종 갈등이 증대 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무속을 통해 지혜를 얻을 수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practical ethic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s of actors in Hwanghaedo gut(shaman ritual) and musok(巫俗) community. Practical ethics are ethical phenomena practiced in human behavior. There are ethical behavioral patterns in musok. Practical ethics of musok are based on worshiping gods. In musok ceremonies and practical ethics of musok communities, ethical characteristics of respect for individuality, dissolving problems, harmony and equality, ceremonial propriety, serving others, behavioral prudence, mutuality are observed. They derive from polytheism, animism, ancestral worship, respect for life, respect for harmony and equality, and filial piety. Practical ethics of musok reflect common ethics and morals in human societies and uniqu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religious experiences of shamans and transmitted knowledge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musok communities. Understanding musok ethics helps in understanding the nature of musok. Musok ethics also give wisdom in solving the problems of human alienation, family dissolution, and various conflicts in contemporary society by environmental and life ethics.

      • KCI등재

        스포츠에서의 덕 윤리 적용 가능성 연구 : A. MacIntyre 덕 윤리에서 ‘실천’ 개념을 중심으로

        이지항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1 No.-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sports from a ethical viewpoint, in keeping with the current trend of academic convergence. Preceding researches on the ethical issues of sports typically brought up the several critical issues like biased judgment, drug use, beating and gender discrimination, and tried suggest ethical standards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However, it is often unclear to determine either ‘right' or 'wrong' without disputes. In particular,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oo much emphasis on the outcome of sports and disregards of the essence in sports, inevitably, results in ethical disputes among parties. Such situations, of course, are not limited to sports. Facing such incommensurable ethical judgements, A. MacIntyre proposes 'virtue ethics' as an alternative ethics applicable to sports. Based on MacIntyre's virtue ethics, sport science researchers like P. Arnold has also proposes a new sports ethics. When compared to the 'act-centered’ ethics, Virtue ethics are 'agent-oriented' approach of ethics in an effort to settle the ethical conflicts of the contemporary society. First, the necessity for applying MacIntyre's virtue ethics to sports was introduced by recognizing current problems. Then, discussions about the necessity of recovering the essence of sports followed. In particular,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sports' based on the concept of 'practice' proposed by MacIntyre in his definition of virtue, an effort was made to diagnose the problems of current sports and suggest a possible solutions. Thus, this paper concentrates mainly on re-establishment of sport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virtue ethics and the concept of virtue, and tries to avoid the conventional int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sports ethics as an applied ethics. The overall discussion puts significant emphasis on the convergence of sports and virtue ethics to evade the negative viewpoints toward sports, and to reestablish the original form of “healthy life,' the essence of sports. 본 논문은 학문간의 통합이 요구되는 시에 맞춰, 스포츠를 윤리학으로 시선으로 바라보는 하나의 시도이다. 그동안 스포츠에서의 윤리 문제는 편 정, 약물 복용, 구타, 성 차별 등을 극복하기 해서 도덕 기을 제시하는 방향 으로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에 해 일으로 ‘옳음’과 ‘그름’을 결정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스포츠의 본질을 잃고 결과만을 요하게 여기는 사회에서 상반된 도덕 단들은 마다의 정당성을 주장하는 도덕 논쟁 에 그치고 있다. 물론 이러한 상황은 스포츠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윤리학 자 맥킨타이어(A. MacIntyre)는 이러한 통약불가능한(incommensurability) 도 덕 단들이 직면한 상황 앞에 ‘덕 윤리’(Virtue Ethics)를 안으로 제시했다. 스포츠 학계에서도 아놀드(P. Arnold) 등 몇몇 학자들이 맥킨타이어의 덕론에 근거해서 새로운 스포츠 윤리를 제시하고 있다. 덕 윤리는 결과지향인 ‘행 심’이 아닌 ‘행자 심’의 윤리로의 이행을 통해 사회의 도덕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본 논문은 맥킨타이어 덕 윤리가 왜 스포츠에 용되어야 하는지에 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덕 ’의 특성을 ‘스포츠’에 용하고, 이를 통 해 스포츠 본질 회복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했다. 특히 매킨타이어가 덕을 정의 하면서 제시한 ‘실천’ 개념을 통해 ‘스포츠’를 재해석하면서, 재 스포츠의 문제 을 진단하고 그 해결의 단를 제시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반인 구성상 기존의 응용 윤리학으로서의 스포츠 윤리학에 한 소개 해석은 제외하고, 덕 윤리에 한 소개와 덕 개념을 통해 재구성된 스포츠를 규명하는 데 집했다. 본 논문은 ‘스포츠’와 ‘덕 윤리’의 만남이 사회에서 스포츠를 향한 부정인 시선이 극복되고 스포츠의 본질인 ‘좋은 삶’의 원형을 회복하기 한 하나의 시도 라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

      • KCI등재

        프로페셔널리즘과 전문직 윤리 교육

        정연재 ( Yeon Jae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4

        사회 각 부문에서 고도의 성취를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윤리의식이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 대가 형성되고 있다. 특히 윤리적 성찰과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에 대한 필요성은 전문직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이와 같이 전문직에 대한 새로운 위상과 역할 정립이 필요한 이 때 본 논문은 전문직 윤리가 소극적 의미에서의 예방윤리(preventive Ethics)의 차원을 넘어서야 함을 강조할 것이다. 변화하는 사회환경에서 전문직의 도덕적 정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개념적 장치가 바로 프로페셔널리즘(Professionalism)이며, 이러한 정체성을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전문직 윤리 교육(Professional Ethics Education)의 핵심이다. 물론 전문직 윤리는 일차적으로 전문직에서의 윤리적 의사결정과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데 목 적이 있지만, 이것을 넘어서서 ``인간의 이해와 윤리적 삶의 요청``이라는 보다 광범위한 철학적 컨텍스트 안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정체성을 묻는 작업이 우선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의 전문직 윤리가 각 영역별로 실무 현장에서 필요한 단편적 논의에 집중되었다면, 이제 전문직 윤리 교육은 장기적 교육과정 속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직업적 소명의식과 책임감을 길러내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Professional Ethics means practical Ethics in the profession, and particularly aims to develop moral awareness and ethical competence of professionals and students preparing for major professions(lawyers, health care professionals, educators, business people, public servant, etc.). Professional Ethics encourages teaching and research on ethical issues and dilemmas in professional life. In addition, it reflects the need for active collaborative research as related to law, medicine, engineering, business administration, pedagogy, life science, etc. The basic themes of professional Ethics are professionalism, conflicts between duties of professional roles and those of general morality, the duty of professional authority, an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professionals.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have a long history of active management of courses and programs in Professional Ethics, and they have acquired diverse academic results with their own institutes for professional Ethics. However, Korean universities have yet to develop systematic and uniform Professional Ethics education programs. What is more, there still is not a single institute for professional Ethics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nd it proves that there is littl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Ethics in Korea.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is now implementing a new program for a number of professional schools, such as Law School and Medical School. And at this point it is required to have more interest and to conduct in- depth related research.

      • KCI등재

        스포츠윤리의 부박함 개선: 실천윤리 다지기

        김은영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2

        It seems that the discussion over the sports ethics applying methodology of general philosophy to solve the evil practice of modern sports was not sufficient for hardening the spirit of modern sports. Because all assertions proposed were abstractive, they were not proper for active thought, comprehensive logic, troubleshooting and practical means. Therefore, the study will define it as an 'insincerity' of sports ethics. We have to avoid insincere sports ethics such as irresponsible, unpractical academic selfishness, arbitrary decision and antinomy from now on. When practical ethics hardened for sports development is used and practiced in daily life as well as discussion, its meaning will be enlarged. If we have prepared the ground of sports ethics and maintained its life from various viewpoints until now on, now, it is time to add flesh and make it substantial.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methodology, which is modified and reinforced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y and objective ground, as the practice hardening of sports ethics. First, it is necessary to change unwritten sports rule into written rule.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social space of sports library and enables it to play the role of practical reference in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education of sports-concerned person. Even the outstanding rule may be a useless thing if there is no understanding and adoption. Fourth, there shall be a connection between sports organization and government to secure and input budget. As shown above, the hardening of practical sports ethics is one of improvement work and it is a recollective means to reinforce human's consciousness. 그 동안 현대스포츠에 있는 병폐를 해결하려고 일반 철학의 방법론을 스포츠 문제에 접목시킨 윤리적 논의는 실천적 스포츠윤리의 사조를 다지는 것에는 부족해 보였다. 제기되는 주장들의 다수가 추상적이어서 능동적 사고, 보편타당한 논리,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실천적 수단의 창조가 미약했던 것이다. 이에 이것을 스포츠윤리의 ‘부박함’이라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앞으로 무책임하거나 실증이 없는 학문적 이기나 독단화, 이율배반과 같은 부박한 스포츠윤리는 지양해야 한다고 본다. 즉 체육의 진보를 위한 실천윤리 다지기는 담론으로써 뿐만 아니라 일상에서 활용되고 실천될 때 그 의미가 증대될 것이다. 지금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스포츠윤리의 준거를 만들고 명맥을 유지했다면 이제는 살을 찌워 내실을 기할 때다. 따라서 선행연구와 객관적 근거에 기초하여 수정, 보완한 방법론을 스포츠윤리의 실천 다지기로 제시하였다. 첫째, 스포츠규범으로서의 불문율을 성문화해야 한다. 둘째, 스포츠자료실의 사회적 공간을 확보하여 교육에 있어서 실질적 참고자료의 역할을 하게 만든다. 셋째, 스포츠관계자의 교육 강화이다. 훌륭한 법칙도 행위자의 몰이해와 수용 없이는 무용지물이 된다. 넷째, 예산 확보 및 투입에 따른 체육기관의 역할과 정부와의 연계성이다. 이와 같이 스포츠의 실천윤리 다지기는 개선작업의 하나로써 인간의 의식을 강하게 하는 반성장치이다.

      • KCI등재

        In Defense of Practical Ethics in Moral Education: A Reply to Jonathan Haidt

        John M. McGuire 한국도덕교육학회 2014 道德敎育硏究 Vol.26 No.1

        In his book The Happiness Hypothesis, the moral psychologist Jonathan Haidt provides an interesting critique of current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in certain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t the heart of Haidt’s critique is a distinction between two traditions in ethical thinking in the West: ‘virtue ethics’ and ‘quandary ethics’. While the former approach has deeper historical roots, the latter approach tends to dominate in contemporary ethics debates and moral education. Haidt(2006) claims that this transition from virtue ethics to quandary ethics has been a ‘profound mistake’ for two reasons: first, it limits the scope of morality; second, it relies on rationalist models of the mind that contemporary psychology has shown to be flawed. While Haidt’s objections to contemporary approaches to moral education are not entirely without merit, his critique of quandary ethics is overstated and in need of qualification. In this article I do two things: first, I explain the key ideas at the heart of the two main traditions in ethical thinking in the West; second, I argue against Haidt’s critique of quandary ethics by showing that moral reasoning,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quandary ethics tradition, is not as limited and ineffective as he assumes. I claim that this rationalist approach to ethics has in recent decades given rise to the field of practical or applied ethics and that much of the work in this field reveals a richer and more demanding notion of ethics than Haidt acknowledges. I argue that if the ultimate aim of moral education is to nurture good global citizens, then practical ethics should play a central role in moral education.

      • KCI등재

        생활윤리 실천중심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의 효과 분석 : S 대학 사례 연구

        문정화(Moon, Junghwa),김은경(Kim, Eunky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대학의 인성교육 중에서 생활윤리 실천중심 인성교육 교양교과 목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명예규약 교과목은 대학생활 및 일상생활에서 지켜야할 윤리적 규범들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천방안을 모색하여 실제 생활 현장에서 실천함으로써 미래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좋은 인성을 가진 세계 시민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본 과목에서 다루는 주제 영역은 사이버윤리, 학습윤리, 인권윤리, 가정윤리(부모자녀 관계, 부부관계), 대인관계 윤리(이성 관계, 의사소통), 기독교윤리로 학생들이 접하는 학교, 가정, 사회 등의 생활 영역에서의 생활윤리 실천형 수업방식을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 대학의 인성 교과목과 구별된다. S명예규약 교양강좌를 수강하는 86명과 교양선택 교과목 수강 학생 중 29명의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인성과 핵심역량 향상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생활윤리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S명예규약 교과목은 인지, 정의, 행동의 모든 영역에서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비판적사고/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협력, 학습역량의 핵심역량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성 덕목에 대한 지식의 함양 뿐 아니라 학교, 가정, 사회의 삶의 영역에서 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생활윤리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 교양교과목은 대학의 인성교육의 새로운 형태로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인성교육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ethics of life practice within personality education at universities. The subject of the S Honor Code course attempted to cultivate global citizens with a good personality to adapt well to the future society by examining ethical norms to be observed in college life and daily life and practicing them in real life. The subject areas covered in this course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universities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areas of life, such as cyber ethics, study ethics, human rights ethics, family ethics (parent-child relations, marital relations), interpersonal ethics (dating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Christian ethics. The ethics in life were practiced in the students’ real life. The effect of improving personality and core competency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ponse data of 86 students taking the S Honorary Code course and 29 students taking the elective cours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 Honor Code course, centered on ethics of life practi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personality development in all areas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t also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in critical thinking/problem solving,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learning capabilities.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life ethics not only fosters knowledge of personality virtues bu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to practice ethics in school, at home, and in society. Thus, it can be applied as a new form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how personality education develops in the future.

      • KCI등재

        현상학의 심미적 이성과 체득윤리 -『초대받은 여자』론(論)의 도덕관을 중심으로-

        송석랑 ( Suck Rang Song ) 한국동서철학회 2013 동서철학연구 Vol.70 No.-

        ‘체득윤리’는 어떤 추상적 관념의 인식원리가 아니라 “구체성의 변증법”의 존재원리에 따르는 ‘행위의 해석’을 통해 도덕성을 교육하거나 비도덕성을 교정함으로써 우리 인간의 이타적 공존의 감수성을 ‘함양/회복’시킬 수 있는 윤리를 가리키기 위해 쓴 말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체득윤리’의 의미를 현상학의 실존론적 관점에서 ‘심미적 이성’과 연계해 규명함으로써 후설 이후의 현상학에 함축된 전통극복의 대안윤리를 제시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우선, (1) 도덕의 교육과 교정 및 치유의 기재로 취해져온 전통의 선험주의적인 혹은 경험주의적인 태도에 입각한 규범윤리의 이론적 타당성과 그에 따른 실천적 유효성에 내재된 문제를 비판적으로 진단하는 한편, (2) 전통의 윤리를 지양하는 자리에서 대안성을 갖는 ‘체득윤리’의 가능한 모습을 보브와르의 《초대받은 여자》(L``Invitee)에 대한 현상학자 메를로-퐁티의 도덕론적 비평문 『소설과 형이상학』(Le roman et la metaphysique)의 논리에 기대어 드러낸 후, (3)<‘실존현상학의 윤리적 측면’을 구체화한 체득윤리>와 <종래 전통윤리>의 관계를 그 둘의 양립 가능성 수준에서 수렴함으로써, 체득윤리가 전통윤리의 ‘이론/실천’적 문제를 보완하는 동시에 최근 응용인문학의 한 갈래로서 모색되고 있는 “윤리적 치료”를 위한 실질의 토대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주장했다. The ethics getting from experience is termed at my option for the purpose of indicating the basic ethics which educates person in morality and reforms an immorality through the <explicating of our conduct> that is carry out in accordance with not a abstract principle of knowledge but a concrete principle of being.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present that such ethics can be regarded as an alternative one, and it has been implicated in the phenomenology since E. Husserl concerning the aesthetical logos(existence`s reason) at a phenomenological view of point. And this paper deal with fellowing matters to realize the purpose : (1) To examine critically the traditional theories id est normative ethics which fellows the method of metaphysical or of psychological or of sociological approach, concerning the problem of ethics in theory and practice (2) To reveal a possible figure of the ethics getting from experience which has an alternativity on the ground of Merleau-ponty`s philosophical comment upon Simone de Beauvoir`s novel (L`Invitee) in terms of sublating tradition`s normative ethics. (3) To make elucidate the compatible relation between the normative ethics of tradition and the ethics getting from experience that gives shape to the ethical side of existential phenomenology, which aims at dissolving the traditional ethics` problem in the ethics getting from experience. Besides these matters, this paper also refers to the foundational function of the ethics getting from experience acts on ethical therapy.

      • 학제적 윤리경영 연구를 위한 논의: 메타윤리학 관점에서

        김승범 ( Seung Bum Kim ),신호상 ( Ho Sang Shin ) 한국윤리경영학회 2016 윤리경영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윤리경영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일환으로 윤리학적 관점 중심의 윤리경영에 대한 하나의 시도이다. 윤리학의 영역은 크게 이론규범윤리학, 실천응용규범윤리학, 메타윤리학으로 분류되며, 윤리경영은 실천응용규범윤리학 중 한 분야로 간주된다. 이 분류 중 메타윤리학은 윤리학적 논의에 대한 언어논리학적 접근이다. 선에 대한 논의가 맞는지, 명제가 윤리적 명제인지 등에 대해 분석철학적 관점에서 지난 20세기의 100여 년간 연역논리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메타윤리학적 유산들이 국내 연구에는 사실상 전혀 반영되지 않은 채 윤리경영에 대한 논의들이 다분히 귀납추론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에 윤리학과 경영학의 학제적 연구로서 윤리경영의 일환으로 메타윤리학적 유산 중 하나인 ‘자연주의적 오류’와 ‘존재-당위 논쟁’을 통해 현재 비중있는 연구주제들에 대한 검토 및 이견 제시를 진행했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 메타윤리학의 비판을 가장 성공적으로 극복한 윤리이론인 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의 특징을 제시하여 향후 윤리경영 연구가 메타윤리학적 관점의 비판으로부터 대안을 도출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one of the trial for discipline research with view of Ethics toward Business Ethics. Ethics is divided into 3 parts; Theoretical Normative Ethics, Practical and Applied Normative Ethics, and Meta-Ethics, moreover Business Ethics is included in a part of Practical and Applied Normative Ethics. Meta-Ethics is an approach of Linguistic Logics for Ethical agenda. It was analyzed with Logic of Deduction about “Is it for Good?” or “Is this proposition Ethical?” on the view of Analytical Philosophy, during the last century. However, there is nothing on Business Ethics which has been studied without any Meta-Ethics ways, but only the way of Induction. So, it was suggested for criticizing recent Business Ethics study with ‘Naturalistic Fallacy’ and ‘being-ought to argue’ as the impacted legacy of Meta-Ethics through discipline study. As a alternative, the best answer for criticizing with Meta-Ethics, called theory of Moral Reasoning of Kohlberg, to variously progress for local Business Ethics studies.

      • KCI등재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과 새로운 도전

        이학준,권욱동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lf-reflection and new challenge of sports ethics research.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in sports ethics is philosophical. It could also make a mistake of hasty generalization to look at only a few parts of the study rather than at the whole of it, and to argue that it is not philosophy. How to overcome this can be found in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ethics theory and the consistency of the argument. Second, the limit of sports ethics research is to try to solve ethical issue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moral autonomy.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can be found in the harmony and balance of personal and social ethics. Third, sports ethics studies should be made to help athletes and sports leaders at the site. Rather than enlightenment and lecture, we should study, apply, and practice sports ethics on a logical and coherent basis. From the above, the following directions of sports ethics research could be found. New challenge of sports ethic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search for victory by the athlete for his or her own interests, in the combined study of theory and practice, and in the communication of athletes and leaders. Ultimately, sports ethics will have to explore the rational solutions to winning and morality in sports, and sports ethics as a practical ethics required in the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과 새로운 도전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스포츠윤리연구를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이다. 첫째, 스포츠윤리연구가 논증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가이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윤리이론의 명확한 이해와 적용 그리고 논증의 정합성에서 찾을 수 있다. 둘째, 스포츠윤리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이다. 한계는 개인의 도덕적 자율성 강화만을 통해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법은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조화와 균형에서 찾아보았다. 셋째, 스포츠윤리연구가 현장을 개선 할 수 있는가이다.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포츠윤리연구가 되어야 한다. 계몽과 훈계보다는 논리적 정합성, 합리적 근거, 도덕적 정당성 차원에서 스포츠윤리를 연구하고 실천해야 한다. 스포츠윤리연구의 새로운 도전은 자기이익으로서의 승리와 규칙준수로서의 도덕의 조화, 이론과 실천의 융합 그리고 연구자와 지도자의 소통에서 찾아보았다. 결국, 스포츠윤리연구는 스포츠에서 승리와 도덕의 정당성 확보와 현장에서 필요한 실천윤리를 연구하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