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국어 명사화와 명사화된 절에 대한 일고찰

        김건희 ( Kim Keon Hee ) 국어학회 2021 국어학 Vol.- No.97

        본 연구의 목적은 명사절 형성 기반이 되는 ‘명사화’ 본래의 형식과 기능에 대해 체계적으로 논의하고 기존 내포절 체계 속의 명사절, ‘-음, -기’ 명사절보다 범위를 확장하여 명사화에 바탕을 둔 ‘절 명사화, 소위 명사화된 절(nominalized clause)’에 대해 범언어적인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명사화된 절’은 일반적인 내포절 체계 내의 ‘절’로서의 특성보다는 ‘명사화’에 초점이 맞춰진 절 단위로 형태, 통사적 관점에서 어휘적 명사화와 대비된다. 이러한 형태, 통사적 측면의 ‘어휘적 명사화’, ‘절 명사화(=명사화된 절)’에 대해 의미, 기능적 측면의 ‘명제 명사화’, ‘행위 명사화’, ‘개체 명사화’의 관점에서도 고찰하였다. 형태, 통사적 측면에서 ‘동사적 범주로 규정된 명사화(절 명사화)’와 ‘명사적 범주로 규정된 명사화(어휘적 명사화)’가 ‘명제 명사화’, ‘행위 명사화’, ‘개체 명사화’의 구분과 일치하지 않는다. 절 명사화의 경우, 동사성 범주로 동사적 특징을 보일지라도 명사화된 결과는 행위 명사화를 나타내지 않지만, 명사성 범주인 어휘적 명사화는 행위 명사화 및 명제 명사화를 나타낸다. 이처럼 범주와 의미, 기능적 특징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형태, 통사적 명사화와 의미, 기능적 명사화는 구분되어야 한다. 특히 Comrie(1985/2007)와 달라진 Comrie(2011)의 행위 명사류(action nominal)에 대한 최근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 명사화된 절에서도 동사적 성격도 아니고 명사적 성격도 아닌 점이 나타나는 것을 제시하였다. 첫째 국어에서는 핵이 뚜렷하여 명사적 성격을 보이는 ‘것’ 구문이 쓰였더라도 주어적 속격은 허용하지 않는 특이성을 보인다. 둘째 내부 논항들의 격 표시 변형 없이 주절에서 쓰이는 종결어미 표지나 종속절의 접속어미 표지까지 동일하게 절 전체가 명사화된 절에서도 나타나며, 이러한 절도 모두 ‘것’ 구문으로 바꿔 쓸 수 있다. 셋째 동사적 성격의 경우 절 내부 격 표시가 변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기’ 명사절에서는 격 표지 생략이 다양하게 나타나 이러한 동사적 성격과도 다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assification of nominalization and the so-called ‘nominalized clause’ which is based on this form and function of nominalization in the basis of the language typology. Nominalized clause is comprehensively nominal objectification unit regardless of formal marking. In this study, Both viewpoints of nominalization is examined, lexical nominalization and clausal nominalizaion are morpho-syntactic viewpoint and proposition nominalization(Noonan(1985/2007)), action nominalization(Fleck (2006)), participant nominalization(Fleck(2006)) are semantic-pragmatic viewpoint. Though clausal nominalization is verbal(verb-like) category on the morpho-syntactic viewpoints, the nominalized result can show the term (noun-like) category of participant nominalization on the semantic-pragmatic viewpoint, there must be not mixed the morpho-syntactic nominalization with semantic-pragmatic nominalization. In particular, on the basis of action nominal which was newly- presented in Comrie(2011), not in Comrie(1985/2007), the third properties with neither nouns nor verbs appear in the Korean nominalized clause as followings: First, the genitive marking of subject is not realized in the ‘kes’ construction which has overt or inferred nominal head. Second, without formal modification, the whole clause which has sentence ending or connective ending is realized directly in the nominalized clause and all these clause is converted into ‘kes’ construction. Third, in spite of being obvious clausal nominalization of verbal(verb-like) category, there is case marking drop, which is not the representative verbal characteristics of nominalized clause.

      • KCI등재

        역대 문법 교과서의 ‘-음, -기’ 명사화 기술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 명사형 어미와 명사절을 중심으로 -

        김건희 ( Kim Keon-hee ) 한말연구학회 2021 한말연구 Vol.- No.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ominal ending and noun clause in the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and discuss the ‘-eum, -ki’ nominalization on the language typological basis of the lexical and clausal nominalization. While the ‘-eum, -ki’ was defined as affix in some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there had been accounted for the clausal nominalized element such as the nominalization of sentence. A lot of the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showed the clausal nominalization view such as, ‘gerund’(the nominalized verb(or adjective)), ‘noun/nominal clause’(clausal nominalized unit) and ‘the nominalization of sentence’. Only in the past school grammar textbooks which showed the clausal nominalization view, there had been the replacement of ‘noun/nominal clause’ into ‘adnominal clause+kes’, and inclusion of ‘interrogatives’ into the ‘noun/nominal clause’. In particular, inclusion of ‘adnominal clause+kes’ and ‘interrogatives’ into the ‘noun/nominal clause’ clarifies the nominalized objectification irrespective of formal type in the viewpoint of clausal nominalization.

      • KCI등재

        수학 문장제의 명사화 여부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의 해결 과정 분석

        강윤지,장혜원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初等 數學敎育 Vol.26 No.2

        Nominalization is one of the grammatical metaphors that makes it easier to mathematize the target that needs to be converted into a formula, but it has the disadvantage of making problem understanding difficult due to complex and compressed sentence structures. To investigate how this nominalization affects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es,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233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of eight arithmetic word problems with or without nominaliz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r absence of nominaliza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roblem understanding and their ability to convert sentences to formulas. Although the students did not have any prior experience in nominalization, they restructured the sentences by using nominalization or agnation in the problem understanding stage. When the types of nominalization change, the rate of setting the formula correctly appeared high. Through this, the use of nominalization can be a pedagogical strategy for solving word problems and can be expected to help facilitate deeper understanding. 명사화는 문법적 은유 중 하나로, 수식으로 변환해야하는 대상의 수학화를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과 함께 복잡하고 압축된 문장 구성으로 인해 문장 이해를 어렵게 할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명사화가 실제 학생들의 문장제 해결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명사화 여부에 따른 사칙연산 문장제 8개를 제공하여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문장제의 명사화 여부는 문제 이해 및 수식화가능 여부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검사에 참여한 학생에게 명사화에 대한 사전 경험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문제 이해 단계에서 명사화 또는 탈명사화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명사화의 유형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성공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등 수식화 단계를 용이하게 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사화가 문장제의 문제이해 및 수식화 단계에서 교수학적 전략으로 활용될 수있으며 문장제의 학습에서 더 깊이 있는 이해를 유도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영어와 한국어의 명사화에 관한 비교 연구

        박기성 새한영어영문학회 2009 새한영어영문학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comparative study of nominalizations in English and Korean. The following findings are made. First, it is shown that the two languages have some markers for indicating the degrees in the strength of nominal characteristics. In English the degrees are signaled by derivational nominalizations, gerundive nominalizations, and factive nominalizations. In Korean, however, each nominal marker such as '-um' or '-ki' could indicate the different degrees of nominal characteristics. Second, it is shown that Korean shows more linear word order correspondences between the clauses and their nominalized phrases than English counterparts. Despite the differences,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align the two kinds of word orders similarly. Third, it is claimed that Korean nominals have more restricted meaning extensions than English ones. Fourth, it is claimed that English nominalizations play very important roles as the device for grammatical metaphors. It is also shown that the same important roles of nominalization could be given for Korean grammatical metaphors. I also analyse the subcategories of grammatical metaphors and provide the frequency of occurrences for each subcategory.

      • KCI등재

        A functional account for the productivity of English -er nominals

        Cheong min Yook,Yong hun Lee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6 언어연구 Vol.33 No.3

        This paper offers a descriptive generalization on the English -er nominalization based on a functional-cognitive-semantic concept habituality as a condition on -er nominalization. Fairly an extensive literature on this topic has so far been offered in terms of syntactic structures, particularly arguments structure of the base verbs. Many of these research works do shed a new light on the various facets of English -er nominalization, but still missing from these discussions i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henomena revolving around these nominalizations. These works simply exclude from their discussion the -er nominals that are derived from nouns, adjectives, prepositions, and various phrases simply because they do not involve argument structure. Various proposals couched in functional-semantic framework offer a comprehensive account for this phenomenon. Our proposal is an effort in this line of approach. We argue that -er nominalization is allowed if habituality or durativity is secured enough to be considered as representing inherent properties. (Hallym University ·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후보

        스페인어 사건 명사구에서 나타나는 논항보어의 이동과 피(被)영향성 해석

        곽재용 ( Jae Yong Kwak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08 외국어교육연구 Vol.22 No.1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will try to give a syntactic account for the movement of the affected argument with respect to the Event Nominal in Spanish. As the point of departure the researcher will take the proposals of Bleam(1999, 2000a, 2000b) and Picallo(1999) in which they relate the affected interpretation to the movement of the affected argument in syntax. In section 1, the researcher will review the two types of Nominalizations that Grimshaw(1990) and Picallo(1999) described in their papers: event nominal and result nominal. In section 2, the researcher will sketch the central properties of event nominals related to the locative alternation and the psychological verb in both some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pects. In section 3, the researcher will present my own proposal, based on the distributed morphology of Halle & Marantz(1993) and Harley & Noyer(1998a, 1998b). The researcher will basically claim that the affectedness with respect to the event nominalization can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the passive nominal derivation to denote eventuality in the nominalization, by exploiting the mechanism of overt movement of the affected argument to the outer specification of verb phrases (Bleam, 1999, 2000a, 2000b). In section 4, the researcher will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En este trabajo intentaremos ofrecer un analisis sintactico del movimiento del argumento afectado con respecto al Nominal Eventivo en espanol. Para nuestro punto de partida, adoptaremos las propuestas de Bleam (1999, 2000a, 2000b), Travis(1991) y Picallo(1999) en las que ellos relacionan la interpretacion de afectividad con el movimiento del argumento afectado en sintaxis. En la seccio`n 1, repasaremos dos tipos de Nominalizacion que describen Grimshaw(1990) y Picallo(1999): nominal eventivo y nominal resultativo. En la seccion 2, observaremos las propiedades centrales de nominales eventivos relacionados con los verbos de alternancia locativa y tambien con los verbos psicologicos desde el punto de vista empirico y teorico. En la section 3 mostraremos nuestra propia propuesta basandonos en la Morfologia Distribuida de Halle y Marantz(1993) y Harley y Noyer(1998a, 1998b). Insistimos en que la afectividad con respecto a la Nominalizacion puede explicarse como el resultado de la derivacion del nominal pasivo para denotar la eventualidad en la Nominalizacion, con el mecanismo de movimiento explicito del argumento afectado al Espec exterior del Sv (Bleam, 1999, 2000a, 2000b). En la seccion 4 ofreceremos un resumen de esta investigacion.

      • KCI등재

        한국어 명사화 현상에 대한 중국어 번역 양상 -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주선 한중인문학회 2019 한중인문학연구 Vol.62 No.-

        형용사(구)나 동사(구) 등이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명사화라고 한다. 명사화 현상은 언어의 보편적인 특징 중의 하나며,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명사화 현상을 실현하는 방식이 각 기 다르다. 중국어에 비하면 한국어에서 보다 자유롭게 명사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한중 번역시 의미와 형식상 완전히 일치한 대응어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번 역학적 차원에서 명사화를 다루는 연구가 아직 드물다. 따라서 한국어 명사화 현상이 중국어 번역문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고는 소설 2권 및 시집 1권을 분석 자료로 선정하여 실제 번역 사례를 통해서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으로 인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이의 중국어 번역 양상을 고찰하고 유형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에서 명사화를 실현하는 방식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명사화소 ‘-ㅁ/음’은 동 일한 형태로 명사형 어미로서 명사화를 이룰 수도 있고, 명사 파생 접미사로서 명사화를 이룰 수도 있기 때문에 서로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이들을 구 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명사형 어미 ‘-ㅁ/음’과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의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더 나아가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번역 사례의 중국어 번역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구축한 말뭉치 자료를 살펴본 결과는 ‘대응어, 명사 화, 삽입, 생략, 전환, 대체’와 같이’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중에 대응어와 명사화는 직역 의 범주로, 삽입과 생략, 전환, 대체는 의역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한중 번역할 때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 현상으로 인한 어려움이 발생 시 본고에서 제시한 6가지 방법을 고려한다면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Nominalization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verbs, adjectives and phrases that act as nouns in sentence. The ways of actualizing nominalization are different in Chinese and Korean. Compared with Chinese, Korean is able to actualize nominalization more freely. Therefo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it is difficult to fine the corresponding language that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meaning and form of the original language, which increases the difficulty of translation. Since now, there are few studies who have explored the problem of nomin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ology.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such study. Under this context, this paper selects two novels and one collection of poetry as the corpus data, investigating the phenomenon of nominalization in terms of Korean through the practical translation cases and summarizing in terms of the translation methods. There are several ways of actualizing the nominalization in Korean. Among this part, ‘-m/um’ is able to be regarded as both noun ending and noun-derivational suffix to actualize the nominalization. They share the same morphology. First of all,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un ending ‘-m/um’ and the noun-derivational suffix ‘-m/um’ to help distinguish them through investigating the previous research. Then, noun-derivational suffix is regarded as the core to make the research and the case analysi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corpus, this paper summarizes six types of translation methods, which are the corresponding words, nominalization, addition, omission, transformation and substitution.

      • KCI등재

        ‘명사화’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문장제의 계열성 분석: ‘비와 비율’ 단원을 대상으로

        이관희,장혜원 대한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학연구 Vol.31 No.1

        As part of linguistic approaches to narrowing the gap between everyday words a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in the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of word problems as known to cause difficulties for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nominalization of the grammatical metaphor in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s. We analyzed word problems in the unit “Ratio and Rate” from the mathematics textbook 6-1 using two conceptual frameworks: types of nominalization and methods for nominalization. Our analysis shows that not only do [Type 1], [Type 2], and [Type 2'] of the nominalization fail to have proper sequence but also nominalizations by clause composition, phrase composition, and vocabulary are present with little consideration of sequence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s regards students’ ability to use nominalization to identify objects for mathematical objectification in word problem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and method for appropriate curricular sequencing of word problems in mathematics textbooks relative to both the types of and the methods for nominalization.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어려움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문장제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상어와 수학적 표현 사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한 언어적 접근의 일환으로, 체계기능 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을 기반으로 논의되는 문법적 은유(grammatical metaphor) 중 ‘명사화(nominalization)’의 문제를 다루었다.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비와 비율’ 단원에 제시된 문장제를 ‘명사화의 실현 여부에 따른 유형’과 ‘명사화의 문법적 실현 방식’의 두 축을 분석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명사화의 [유형 1], [유형 2], [유형 2'] 간의 계열성이 확보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언어적 관점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만큼 절 구성, 구 구성, 어휘에 의한 명사화가 일정한 계열성이 없이 출현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문장제의 언어적 표현 과정에서 수학적 대상화를 위한 개체를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명사화의 기능을 고려할 때, 명사화의 유형 및 문법적 실현 방식의 양 측면에서 수학 교과서의 문장제 간의 긴밀한 계열성을 확보하는 것의 중요성과 그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从“NP+的+VP”结构的外部功能看其内部构造

        이은경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1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27

        This study focused on the syntactic function of the “NP+de+VP” structure (syntactic distribution), to examine when we put this dependent structure into a larger syntactic structure, what kind of syntactic position that can take, what kind of syntactic and semantic constrains exist with its related components. Then, from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come back to see the internal construction and the originate of the structure. In other words, through this structure’s external features and limited options, test the two viewpiont about that construction of its structure and sources ; (1) the predicate component “VP” of the “NP+de+VP” is first nomialized, then by structural modification “de”, constitute the nominal-modified structure. This theoretical assumption can be called “The partial nominalization viewpoint”. (2)“NP+de+VP” is a nominalization form by inserting the nominalizational marker de in the subject-predicate construction, rather than an endocentric construction in which the predicate component “VP” not nominalized. This theoretical assumption can be called “The whole nominalization viewpoint”. Finally, this study found the “The whole nominalization viewpoint” of the structure is more logically consistent, more in line with the language fact than “The partial nominalization viewpoint”.

      • KCI등재

        테드(TED) 강연의 명사화 사용 빈도 특성

        이은정 ( Lee Eunjung ),김미란 ( Kim Mir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7 외국어교육연구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테드 강연의 언어사용적 특성을 명사화 어휘 빈도 분석을 통하여 이해하고자 한다. 최근 높은 접근성, 주제의 다양성, 자료의 실제성이라는 장점으로 테드 강연은 영어교육자와 학습자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장점들은 TED 강연자료의 언어적 속성에 대한 이해가 더해질 때 영어교육 현장에서 효율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중점은 다양한 레지스터에서 정보 밀도, 객관성, 주제, 화자의 입장을 표현하는 명사화의 빈도에 있다. 명사화 어휘 빈도는 담화분석에서 레지스터의 형식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하나의 척도로 사용된다. 160개의 테드 강연에 나타난 명사화 빈도를 조사한 결과, TED 강연은 BNC와 COCA의 구어데이터와 강연 자료인 MICASE에 비해 명사화 된 단어가 더 자주 사용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가능한 첫 번째 해석은 명사화 단어의 빈도 사용과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TED 강연이 학술적 구어 데이터에 좀더 가까운 특징을 보인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 TED 강연자는 명확한 메시지를 표현하는 전략으로 학술레지스터에 서와 유사한 기능으로 명사화 단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TED 강연이 명사화의 언어적 기능과 관련하여 영어 프레젠테이션 방법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방향을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ED talks with respect to the lexical frequency of nominalized words, which is often related to a measure of formality or register types in discourse analysis. TED provides presentations from experts and has been particularly interesting to English-language educators and learners because of its accessibility, authenticity, and diversity in topics. With these merits, an understanding of the TED talks` linguistic nature can provide further benefits for employing authentic material such as for language-focused input. The focus will be on the frequency of nominalization, which is used to express information density, objectivity, themes, and writer stance in various registers. By investigating the nominalization frequency from 160 TED talks, we found that nominalized words were used more frequently when compared to other corpus, such as the spoken data of BNC and COCA, and the lecture data of MICASE. Possible interpretations include firstly that a higher frequency of nominalized words characterizes TED as being close to academic spoken data and, secondly, that TED presenters may use nominalization as a strategy to express clear messages similar to the function in the academic register. As one implication, TED talks can be incorporated into English presentation strategies with the focus on linguistic and communicative functions of nomin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