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진천훈련원 개원에 따른 과학적 훈련지원 방안

        최종환,임영태,김현주 한국웰니스학회 2014 한국웰니스학회지 Vol.9 No.2

        본 연구는 효율적인 스포츠과학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스포츠과학 지원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지역 스포츠과학 혁신센터 의 운영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천훈련원에 2011년에 입소한 6개 종목의 지도자 25명과 선수 150명을 대상 으로 스포츠과학 지원 필요성 인식도와 스포츠과학 지원 실태를 알아보았다. 또한 지도자 25명과 스포츠과학 전문 연구 인력 5명 및 진천훈련원 담당자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 및 면접 조사를 이용하여 스포츠과학 지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역 스포츠과 학 혁신센터의 구축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과학 지원이 예산과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일부 종목에만 한정되어 이루 어지고 있으며, 체력 및 심리적 진단, 연구 인력의 현장지원, 스포츠과학 교실 지원 등 전반적인 분야에 걸쳐 스포츠과학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적·물적 풀을 갖춘 지역 협력 시스템(RSIC)이 체육과학연구원과 진천훈련원의 스포츠과학 전문가, 연구, 교육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 In order to support scientific training for Jincheon National Athlete Training Camp(JNATC)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nt state(2011) of sports-science supports nationally, and suggest implementation of Regional Sport-Science Innova- tion Center(RSIC) linked with KI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were surveyed(25 coaches, 150 players): national sports-science supports(equipments, specialists, and sports-science class) and roles and specific contents of RSIC??were suggested by interview and survey of coach, players, staff of JNATC, and researchers of KISS. As a result, the supports of sports-science were limited to some sport events due to lack of support budget and experts, and sports-science supports??were lacked. Therefore, this study may suggest that the cooperation system(RSIC) with the expert resource pool and equipment/facilities pool supports efficiently the sport-science expert, research, and education with KISS and JNATC.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국립자연사박물관 설립 추진을 위한 여정: 과학관과 자연사박물관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향숙,문만용 한국과학사학회 2023 한국과학사학회지 Vol.45 No.3

        In South Korea, the role of natural history museums has been closely linked to the nature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since shortly after liberation. However, scientists studying nature in Korea believed that natural history museums should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research, which led to disagreements with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saw science museums primarily as public relations spaces. As a result, scientists pushed for a natural history museum in cooperation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but this was halted due to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In addition, a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n 2001 highlighted problems of low economic feasibility and overlap with existing institutions with similar functions, and the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has not yet been built. The Korean National Science Museum is characterized as a comprehensive science museum that includes the functions of a natural history museum in addition to the functions of a science center that displays scientific artifacts and make scientific principles tangible, making it difficult to establish an independent natural history museum. Therefore, the rhetoric that Korea is the only country without a natural history museum is no longer effective. It is now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identity of a natural history museum through historical analysis of previous attempts to establish one, and to explore new approaches to overcome existing obstacles.

      • KCI등재

        체육학술기관 운영 활성화 방안

        최관용(KwanYongChoi),구창모(ChangMoKoo),정영린(YoungLinChung),전호문(HoMunJun),이재구(JaeKooLee),손환(HwanSon)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5

        본 연구는 체육학술기관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체육학술기관들의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4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첫째, 체육학술기관의 운영 현황 파악이다. 둘째, 체육학술기관의 운영 문제점 분석이다. 셋째, 국내ㆍ외 학술기관 사례분석이다. 넷째, 체육학술기관의 운영 활성화 방안이다. 국내 체육학술기관들(한국체육학회, 15개 분과학회, 기타 학회, 체육관련 대학 연구소)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체육학계가 지속적으로 세분화됨으로써 발생되는 역할, 기능, 조직, 사업, 재정 등에 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대학체육연구소를 대상으로 그 역할과 사업, 예산구조와 그 열악성, 체육과학연구원의 지원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체육학회의 역할 재조명 및 재정구조 개선, 한국체육학회와 분과학회 관계 재정립, 기타학회의 분과학회로의 진입 가능성 및 대학체육연구소의 자생력 제고 등에 대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체육학술기관 활성화 방안은 크게 한국체육학회의 대표성 강화와 분과학회의 모학회로서의 기능 확대, 한국체육학회 및 분과학회의 안정적·지속적 재정확보, 한국체육학회와 분과학회 간 관계 정립방안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e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to identify involved issue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ir operation. The study is consisted of four contents, Firstly, the operating states of major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was analyzed, And the role, functions, Secondly, issues involved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were analyzed. Thirdly, successful cases of local and abroad academic associations were addressed as a way of providing a boost for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Lastly, the direction toward improving and accelerating the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was provided based on issue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operating state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operating states of major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KAHPERD, its 15 disciplinary divisions, other academic associations and college-based phys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s) and identify issues involved in steadily segmented physical education services in terms of role, functions, structure, business elements and financial status. At the same time, the role, business, budget structure and its weakness of college-based phys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 and the subsidy from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were reviewed. Base on the findings, the study is also intended to suggest the improvement in the role of KAHPERD, its financial resources and its relationship with 15 divisions and other academic associations and the viability of college-based physical education research centers. Improvements required for better operation of physical education providers are divided into the increase in representation in KAHPERD and expanded functions of KAHPERD as an umbrella group of disciplinary divisions, stable and steady financial resources to KAHPERD and its disciplinary divisions 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establishment between KAHPERD and its disciplinary divisions.

      • KCI등재후보

        무용전공대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직업관 조사분석

        백현순,김이영 한국무용연구회 2013 한국무용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서울 경기권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무용학과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과 직업관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한 조사연구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생의 연령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알아 본 결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평균치 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결정시기에 따른 자기효능감 차이분석 결과 연령대는 세부전공과 마찬가지로 자신감이나 자아조절, 난이도 선호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가계수준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분석 결과 자신감, 자아조절, 난이도선호에서 잡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신감요인에서는 가계수준 상 집단(3.90)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하 집단(3.28)의 평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조절 요인에서도 가계수준에 따라 상(3.84) > 중(3.45) > 하(3.40)의 순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난이도 선호요인에서는 상 집단(3.71)과 중 집단(3.24)간 차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연령대에 따른 직업관의 차이 분석결과 내재적 직업가치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4세 이상 집단의 평균이 4.14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내재적 직업가치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연령대 집단별 외재적 가치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섯째, 전공에 따른 직업관의 차이 분석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외재적 직업가치의 요인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전공결정 시기에 따른 직업관 분석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 및 외재적 직업가치 요인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가계수준에 따른 직업관 분석 결과에서도 상, 중, 하의 가계집단 간의 직업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urvey aims to investigate, based on statistics of population, self-efficacy and occupational view among dance-majoring students of some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bjects consist of 34 men and 230 women; age groups are made up of 19-20 years(80 people), 21-22(74), 22-23(71), and over 24(39). Major categories include Korean dance(99people), modern dance(108), and ballet(57).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 survey on dance-majoring students' self-efficacy by age groups, there do not exis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means; in case of preference of level of difficulty, the same.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ir self-efficacy by timing of choosing major, there are no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me factors, such as age groups, major, confidence, self-control and preference of level of difficulty. Third, from what an analysis on their self-efficacy by family size tell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re found among the groups in confidence, self-control, and preference of level of difficulty; in confidence factor, means of top group is the highest(3.90), with low one the lowest(3.28). In terms of self-control, the sequence of top(3.84) > medium(3.45) > low(3.40) is shown, depending on family size. In the element of preference of level of difficulty,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op group(3.71) and low group(3.24) is uniquely significant. Four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differences of students' occupational view by age group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re seen only in internal job value. The means of the group over 24 years is 4.14, the highest of all age groups, which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ternal job value by age groups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Fifth, according to an analysis on their occupational view by major, there a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both internal job value and external one. Last, based on an analysis on their occupational view by timing of choice of major, there does not exis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both internal job value and external one. As an analysis on their occupational view by family size shows, there a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iew among all the three groups, classified by family size. This consequence indicates that dance-majoring students' self-efficacy can be determined by family size.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specializing in dance helps to contribute to job creation, when it gets financial support.

      • KCI등재

        일본의 개정 교육기본법과 학습지도요령을 통해 본 교육정책의 변화–고등학교 역사과 학습지도요령을 중심으로–

        서종진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nges in Japanese education policy through the revised Basic Act on Education and Japanese High School National Curriculum. The Basic Act on Education(1947) reflected the imperial assimilation policy during the imperialist period. However, after 60 years, the Basic Act on Education was revised in 2006 to reflect the conservative values of patriotism, publicness and morality. After that, with the prolongation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s Abe regime, the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for school education were revised in 2017 and 2018, and it is expected that Japan's educational policy and textbook contents will change considerably in the future. The revised Framework of Basic Act on Education has changed significantly in terms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e second revision of the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after the revision of Basic Act on Education, is the largest revision since World War Ⅱ. To summarize, Basic Education Law and teaching guidelines have been revised to reflect the needs of conservatives and historical revisionists.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has made it possible to induce influences in the textbook examination process by revising the regulations, thus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leading them to Japan-based history education and textbook narrative. 이 논문은 일본 교육정책의 변화를 개정된 교육기본법과 고등학교 학습지도요령을 통해서 살펴보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교육기본법이 2006년에 보수세력이 주장하는 애국심과 공공성, 도덕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60여년 만에 개정되었다. 이후 자민당 아베 정권이 장기화 되는 가운데 2017년과 2018년에 걸쳐 개정된 소·중·고 학습지도요령이 고시되어 향후 일본의 교육정책과 교과서 기술 내용 등이 상당히 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개정된 교육기본법에서는 교육 목표와 교육 행정 관련 부분에서 규정이 대폭 변경되었다. 먼저 교육 목표로서 애국심, 公共성, 도덕심 등 20여개 덕목이 구체적으로 제시되고 강조되었다. 또 교육 행정 부분에서는 국가가 주도하여 교육 시책을 실행할 수 있도록 개정되고 새로운 조항도 신설되었다. 교육기본법 개정 이후 2번째 개정된 이번 학습지도요령은 전후 가장 큰 폭으로 개정되었다고 평가되고 있다. 특히 고등학교 역사과 학습지도요령에 나타난 역사 교과의 특징은, 첫째는 교육 현장의 자율성이 제한받고 교과서 기술 내용이 ‘위축’될 수 있고, 둘째는 애국심의 지나친 강조로 자국중심적인 역사 교육을 유도할 수 있으며, 셋째는 근린제국조항을 형해화시키는 내용이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넷째는 근대 일본의 식민 통치와 침략전쟁에 대한 언급이 결여되어 있고, 다섯째는 정부 견해를 기술하게 함으로써 다각적이고 다면적인 학습을 강조하는 방침과 모순되어 있다는 점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교육기본법과 학습지도요령이 보수세력과 역사수정주의론자들의 요구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개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문부과학성을 중심으로 한 교육 당국은 교육 정책과 행정을 통해 교육의 중립성을 훼손하고 나아가 외부 세력의 교육정책에 개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졌다. 문부과학성은 개정된 규정들을 내세워 교과서 검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됨으로써 자국중심적인 역사 교육과 교과서 기술로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고 그 결과로 정부 방침에 따른 역사인식이 형성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문제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