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5 : 한국"근대종교"의 탄생 ; 한국의 근대 신종교, 근대적 종교로서의정착과 그 한계: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윤승용 ( Seung Yong Yoo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 2012 종교문화비평 Vol.22 No.22

        이 글은 신종교의 개벽사상이 어떤 모습으로 형성되었고, 이후 한국사회 문명화와 식민지화 과정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신종교는 근대종교로서의 정체성을 어떻게 확립해갔으며, 또 그것에 어떻게 저항했는가를 밝혀보려고 하였다. 개벽사상은 한국의 근대 신종교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구원논리다. 이 사상은 전통적인 민중 신앙을 기반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구 근대성과는 전혀 다른성향, 즉 성속융합, 영육쌍전, 정교일치, 정신과 물질의 조화 등의 성향을 담고 있다. 이개벽사상은 근대를 수용하기도 하고, 그에 저항하기도 하면서 시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었다. 동학의 다시개벽과 정역의 일월개벽에서부터, 동학혁명의 실패 이후 등장한 증산교의 천지공사, 러일전쟁 전후에 등장한 천도교의 문명개벽과 대종교의 개천개벽, 3.1운동 이후 등장한 이돈화의 사회개벽과 원불교의 정신개벽으로 이어진다. 개벽사상은 과거와의 단절과 새로움에 대한 의식이라는 면에서는 근대 문명화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그 내용은 상당히 다르다. 그 때문에 근대 신종교는 서구적 근대종교와는 다른 근대화의 길을 갈 수밖에 없었다. 즉 근대사회가 인정을 하는 문명화된 근대종교로 가든지 아니면 더욱 종교적이 되는 이른바 신비종교로 가든지를 선택해야만 했다. 전자가 소위 근대가 만든 미신 극복과 정교 분리를 지향하는 종교화의 길이라면, 후자는 근대적이지만 세속과는 멀어진 종교화의 길이다. 그러나 근대 신종교의 개벽사상은 집단 구원의 논리인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고 있었기 때문에 이 두 가지 근대종교의 길에만 머무를 수는 없었다. 이후 신종교들은 일제가 인정하는 불교, 기독교, 신도에 기생하거나 근대 종교개념에서 파생된 미신이나 유사종교로 취급받아 해체당해 지하로 잠복하고 말았다. 그러나 불교나 유교와 같은 전통종교들의 근대화 길이나 기독교와 같은 근대 문명종교로서의 정착은 아니지만 제3의 근대적 종교로 정착하여 이 땅에 저항적 민족주의 형성에 원초적인 기틀을 제공하였다. 즉 서구에서 유입된 기독교나 근대 개혁을 추진한 전통종교들이 포괄해 낼 수없는 영역, 말하자면 민족의 정체성을 종교화하거나 문화적으로 담아내는 근대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This article aims at examing Gaebyeok ideas of New-religion, focusing on how it was formed in the beginning and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civilization and colonization of Korea.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New-religion established identity as a Modern-religion in the process. Gaebyeok ideas is salvation logic, commonly coming from Modernreligions of Korea. Because this ideas was formed based on the traditional folk beliefs, it is quite different from Western modernity. So it holds fusion of sacred and secular, blend of body and mind, sophisticated match of spirit and matter. Gaebyeok ideas has been deployed in various forms while accepting modernity or resisting it, depending on the time. It appeared first in the the Re-Gaebyeok of Donghak and the Calendar Gaebyeok of Jungryeok(正易), In the second place, after the failure of Donghak Revolution, Cheonjigongsa(天地公事) of Jeungsangyo emerged. In the third place, after the Russo-Japanese War, the Civilizathion-Gaebyeok(文明開闢) of Chondogyo and the Sky-brook gaebyeok(開天開闢) of Daejonggyo emerged.. Lastly, after 3·1 movement the New social geabyeok of Yidonhwa(李敦化) and the Spiritual gaebyeok (精神開闢) of Wonbuddhism followed by. The structure of Gaebyeok ideas and modern civilization is similar in the sense of stopping past and new consciousness, but the content is quite different. And so, Modern Religions were forced to go down the road of moderniz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Modern religion. They had to choose whether civilized modern religion which modern society has recognized or more religious, so-called mystery religions. If the former is the religious road, orienting to the modern superstition overcoming and the separation of church from politics, so the latter is religious road created by the modern but alienated from the secular. Gaebyeok ideas of New-religions, however, could not dwell only in the two ways of these Modern religions. Beacuse the logic of collective salvation takes form of nationalistic tendencies. New-religions fell dormant underground, after dismantling such recognized Japanese Buddhism, Christianity, Shindo concepts and superstition derived from Modern religion and treated as a religion received simlilar parasitic. The New-religion did go neither the way of traditional religions,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nor the way of christian religion as settled the civilized modernization. So it settled down the other way of modernization and finally the formation of primal resistance-nationalism in this land. They did perform the role of cultural or ethnic identity, which christianity coming from the west or traditional religion in promoting modernization are not able to cover.

      • KCI등재

        한국 개벽종교와 토착적 근대

        허남진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 2018 종교문화연구 Vol.- No.30

        This article aims at investigating the way of indigenous modernity and indigenous modern religions pursued by Korean Gaebyeok religions through a counter discourse against the oppression of colonial pow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Joseon government during the opening of ports. In particular, it aims to examing the ways of ‘indigenous modernity’ and ‘indigenous modern religion’ which the modern Korean religion sought.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Korean Gaebyeok religions established identity as a indigenous modern religion in the process. The reason why I chose this view is that the Korean Gaebyeok religions is definitely a production of the modern age and searched for a quite different way from the western modernity.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ndigenous modernity or native modernity through discussions of ‘Alternative modernity’, ‘Multilayered modernities’ and ‘Indigenous modernity’ which are recently raised in critical discourse on western modernity. Based on this analysis, I examined ‘Gaebyeok’ as an idea for seeking a subjective modernization rather than the concept of the frequency of revolution. Also, the article did try to reveal how Korean Gaebyeok religions established identity as a Indigenous modern religions. The Korean Gaebyeok religions, which is not entirely accepted through acceptance and resistance of western modern civilization such as separation of religion and politics, has been transformed into ‘indigenous modern religions’ 본 연구는 개항기 조선 정부와 일제 강점기 식민권력의 탄압에 대한 한국 개벽종교의 대항 담론을 통해 한국 개벽종교가 추구했던 ‘토착적 근대’와 ‘토착적 근대종교’의 길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관점을 택하게 된 이유는 근대 한국 개벽종교는 분명 근대의 산물이며, 서구적 근대와 다른 길을 모색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서구적 근대에 대한 비판 담론에서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대안적 근대’, ‘중층적 근대’, ‘토착적 근대’의 논의를 통해 토착적 근대 혹은 자생적 근대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개벽’을 운도론적 대망사상이 아닌 주체적 근대의 모색을 위한 사상으로 위치시키고, 개항기 위정척사파, 개화파와 다른 한국 개벽종교가 지향했던 주체적 근대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한국 개벽종교는 정교분리 등 서구 근대문명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고 주체적 수용을 통해 서구적 근대종교가 아닌 민중과 민족이 요구하는 당시의 시대적 과제까지 결집한 ‘토착적 근대종교’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 KCI등재

        근대 이행기 한국종교사 연구 시론: 19세기 한국 천주교사를 중심으로

        조현범 종교문화비평학회 2018 종교문화비평 Vol.34 No.34

        한국종교연구회, 그리고 그 후신인 한국종교문화연구소의 한국종교사 연구는 근대 종교사 연구 분야에 관해서만큼은 독보적인 위치를 마련하였다. 개항을기점으로 시작된 한국 근대종교사에 대한 연구는 종교 개념의 형성, 종교자유나정교분리 등 종교지형의 변천, 개별 종교들의 근대적 변화 등을 탐색한다. 이러한작업의 결과들은 이제 종교학계에서 어느 정도 상식에 속할 만큼 널리 인정받고있으며, 또 관련 연구 논문들도 많이 인용되는 추세이다. 그러니까 근대종교 테제는 한국종교연구회/한국종교문화연구소가 지난 30년 동안 거둔 최대의 연구 성과라 자부할 수 있다. 이 글은 근대종교 패러다임에 대해서 새로운 문제를 제기하기위하여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엽까지 조선 천주교 문헌에서 발견되는 순교, 양심, 교 등의 의미를 재검토하였다. 먼저 무속이나 유교, 불교 등의 세계관과 비교할 때 순교라는 극적인 사건 속에서 드러나는 천주교의 세계 인식은 현세와 내세의 절대적 구별, 현세의 유일회성, 내세의 절대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말하자면 현세에 대한 세계부정의 태도이며, 현세의 시간과 공간을 상대화하고, 그렇게 상대화한 시간과 공간을 평가하는절대적 가치 기준을 현세의 바깥에서 찾는 세계관이다. 이것을 역으로 생각하면현세의 의미를 현세 밖에서 발견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탈세속적이라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현세적인 삶을 평가하는 불변의 고정된 준거를 마련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염세적인 것과는 상반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천주교의 순교 관념이 보여주는 세계관은 기존 한국종교사에서는 대단히 낯설고 새로운 사유 방식이었다. 한편 정하상은 유교의 조상 제사를 거부하는 이유로 양심이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기서 양심은 도덕적 행위의 준칙과 관련되어 있다. 즉 실천적인 행위의 준칙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어떤 행동을 실행하기 이전에 그것을 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또는 반대로 그것을 행하도록 강제하는 내적인 도덕률에 해당한다고 하겠다. 정하상이 사용한 양심 개념에 가까운 것은 서구 스콜라 신학에서 말하는 ‘콘쉬엔차(conscientia)’이다. 이것은 천주가 인간의 마음에 부여한 것으로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고, 천주의 계명에 따라서 행동하도록 인간을 강제하는내적 성향 또는 고유한 인간 능력이다. 그러므로 정하상이 사용한 양심 개념은 서구 천주교 교리에 등장하는 콘쉬엔챠의 번역어라고 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근대 이후에 사용하기 시작한 종교라는 말과 유사한 것들로는 도(道), 법(法), 학(學), 술(術), 교(敎) 등과 같은 개념들이 있었다. 가운데 특별히 우리의 시선을 끄는 것은 ‘교’라는 낱말이다. 19세기 근대 이행기에 사용되던 ‘교’와 근대 이후의 ‘종교’는 완전히 이질적인 개념이라고 하거나, 전자와 후자의 관계는 단절적이라고만 말하기는 어렵다. 오히려 종교 개념이 성립하기 이전의 역사를 형성하는 것이 교 개념의 용법이고, 종교 개념의 성립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아야 한다. 심지어 종교 개념이 성립된 이후에도 교 개념은 종교 개념에 완전히 포괄되지않고 종교 개념의 외곽에 포진하면서 종교 개념을 특정한 방향으로 이끄는 벡터적인 힘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종교 개념 형성에 미친 교 개념의 역할, 그리고 종교 개념의 변천 과정에서 발견되는 교 개념의 영향력 등을 입증하기 위해 ... The Korea Institute for Religion and Culture, formerly the Association of Korean Religions have established its own unique position in the field of the modern religious history of Korea. The research on this topic, which was started at the opening period of Joseon dynasty, explores under the subjects of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the religion”, the transition of religious terrain such as “the freedom of the religion” and the separation of “the religion and the stat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individual religions during the modernity of Korea.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re now widely recognized in the scholarship, and accepted as quoting the various citations from its research papers. Therefore, the thesis of “the modernity of Korean religions” can be claimed as one of the valuable achievements of this Institute, ever made for the last 30 years. In this essay I try to critically review the meaning of ”the religious concepts,” ie., “the martyrdom”, “the conscience”, and “the term of religion”, easily found in the Joseon Catholic literature from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Based on those concepts I raise some new questions about the modern religious paradigm. First, compared to the world views such as Sham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Catholicism's world recognition, which is implicitly revealed in the dramatic event of martyrdom is characterized by “the absolute distinction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once for all of this life”, and “the eternity of the future life”. It is the attitude of the world denial, ie., the world view of relativizing the temporal time and space, and seeking the absolute value standard, in which time and space are situated outside of the world. This world attitude is not pessimistic because it is intend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emporality outside of the temporal world, from the supraworld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it is de-secular, and at the same time, it aims to provide a constant reference for evaluating temporal life. Therefore, the world view of the martyrdom of Catholicism seems to be a quite different and strange, and even a new way of thinking in the history of Korean religions. Second, a certain Catholic lay-leader said that the reason of refusing the ancestral sacrifice of Confucianism is due to the “conscientious” objection. The “Conscience”, mentioned here is related to the rules of moral conducts. The concept of conscience used by this Korean Catholics is much closer to the 'Conscientia' in Western scholastic theology. Therefore, Western Catholic “Conscientia” can be possibly translated into “the conscience” as a Korean Catholics understood it. Finally, similar to the word “religion”, which began to be used after the modern era, there already used variable concepts such as way(道), law(法), learning(學) and art(術). Particularly, the term “school(敎)”draws our attention. It is not easy to decide whether “the religious concepts” used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19th century are different and heterogeneous to the concept which were used after modern era. More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can’t be totally disconnected each other. Rather, the various religious concepts already came into use before the conceptualized term of “religion” was established, and the concept of “religion” as modern terminology was affected therefrom. Even after establishment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the traditional religious concepts(敎) had not been completely displaced by the new concept of “religion”, but has acted as a vectorial force that pulls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in a specific direction. Another researches might be asked to make point of the role of “the concept of school(敎)” and identify it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oncept of religion, and if allowed, we might differently re-evaluate...

      • KCI우수등재

        근대 한국불교의 종교정체성 인식 : 1910-1930년대 불교잡지를 중심으로

        송현주 불교학연구회 2003 불교학연구 Vol.7 No.-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the modern Korean Buddhism responded to the concept ‘religion’, a western term newly imported in the late 19th century Korea. The concept ‘religion’ made a controversial effect on the modern Korean religious terrain. ‘Religion’ originally meant the recovering of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God after the Sin’ in the context of the western history. So it implied that only Christianity could be ‘a religion’ or a ‘true religion’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religion. With the introduction and the spread of the concept ‘religion’, ‘宗敎’,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Buddhism faced an identity crisis as a religion. Many Christians criticized Buddhism as ‘an idolatry and superstition’, ‘a kind of atheism’ or ‘a philosophy’. That is to say, they labelled Buddhism as a ‘non-religion’ or ‘pseudoreligion’. So modern Korean Buddhists made some important responses to this threat of Christianity. First, modern Korean Buddhists argued that Buddhism was not only a philosophy but also a religion including philosophy, that is, 'a philosophical religion’. Secondly, they accepted the idea of Buddhism as an atheism, but they went further. They insisted that atheism was a higher form of religion than theism in the evolutionary stages of religion, so Buddhism was superior to any other religion. Finally, they concluded that Buddhism had its own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values that were very unique and unsurmountable by any other religion. Adopting the typology of religion, modern Korean Buddhists could categorize Buddhism as a ‘religion of meditation’ whereas theistic religion was categorized as a ‘religion of prayer’. Through those reactions, the modern Korean Buddhism could secure its genuine religious identity among many religions of the world.

      • KCI등재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

        원영상(Won, Yong-S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7 佛敎學報 Vol.0 No.79

        본 논문은 근대 한국종교의 하나인 원불교의 종교성과 공공성을 논한 것이다. 최근 공공철학이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종교에 대한 공공성 연구로도 확산되고 있다. 공공성 연구는 종교, 국가, 기업, 학계 등을 망라한 시각에서, 한국사회는 물론 지구 전체의 문제 해결에 대한 인식 전환을 촉구하는 지적 활동이다. 특히 동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은 연구의 연대 속에서 이를 주도하고 있다. 제국주의의 고통을 극복하고자 했던 한국의 종교들은 이러한 점에서 공공성 연구의 적절한 영역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를 위해 먼저 근대 한국종교의 공공성 연구의 범주를 설정하여 보았다. 근대 한국종교의 활동 영역은 정치, 경제, 문화, 예술, 시민운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있으며, 민족주의, 반자본주의, 계몽운동, 공동체, 이념의 공존, 시민적 자유의식, 사회참여, 사회적 다양성의 조화를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특히 이 가운데 자본주의에 대한 대응, 공공적 시민의식 운동, 독립운동 및 국권회복, 신문화운동의 네 가지 측면에서 공공성 연구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있다. 이어 이러한 연구 범주에 기반, 한 세기 동안 원불교가 어떠한 공공성의 역사를 구현해왔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종합적으로 공공종교로서의 구체적인 자기규정을 해가는 개혁불교의 이념 차원과, 실천적 차원의 민중구제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다. 전자는 백지혈인(白指血印)의 법인(法認), 박중빈의 『조선불교혁신론』과『불교정전』편찬을, 후자는 저축조합운동과 영산방언역사, 전재동포구호사업, 항일운동, 송규의 「건국론」 발표를 통해 그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불교의 종교적 공공성의 성격을 대승정신의 계승과 참여불교의 정신 측면에서 다루고자 하고 있다. 전자는 제생의세론 및 회통사상으로 보고 각각, 개벽사상 및 보편윤리와 연동되고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원불교는 아시아의 근현대 개혁불교와 맥락을 같이하고 있으며,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대 한국종교의 정신적 축인 개벽사상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참여불교의 입장에서 회통정신의 구현을 통해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적 가치를 교의로써 확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방 후, 원불교 공공성 발현의 한 측면인 종교연대운동을 부기했다. 결국, 원불교는 스스로 천명한 세계평화운동, 평등한 질서 건립, 세계적 정신운동 실천, 국제적 종교연합기구의 구현에 매진함으로써 공공종교로서의 객관성을 확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discusses the characteristic as a religion and the publicness of Won-Buddhism, one of the modern Korean religions. Recently while the public philosophy is being actively discussed, the discussion is expanding to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The research of publicness is an intellectual to urg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bout the solution to the whole global issues as well as Korean society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s covering religion, state, enterprise, and academies. Especially in East Asia Korea and Japan is leading a research among solidarity of these researches. The Korean religions which had tried to overcome sufferings from imperialism are appropriate aspects for the research of public concern from these points. To do it, first, I tried to set a categories of publicness research into modern Korean religions. The activity scope of modern Korean religions covers variety of scopes such as politics, economy, culture, art, and civil movement, and it took as core tasks nationalism, anticapitalism, enlightenment movement, community, coexistence of ideology, civil awareness for freedom, social engagement, and harmony of social diversity. From these perspectives, I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ublicness research through four aspects such as response to the capitalism, public movement of civil awareness, independence struggle and recovery of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new culture movement. Continuously, I studied how Won-Buddhism realized the history of public concern during it’s first century. Comprehensively, I arranged the ideological aspect of reformed Buddhism in which it define itself concretely as a public religion, and arranged it’s history of delivering people from the aspect of practice. I arranged the former’s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dharma authentication of ‘the seal of blood from bare fingers,’ Park Jung-bin’s compilation of The Reformation Theory of Buddhism in Joseon Dynasty (Chosŏn pulgyo hyŏksin non) and The Principal Book of Buddhism (Pulgyo chŏngjŏn), and arranged the latter’s through movement of the savings union, levee project at Yeongsan, anti-Japan movement, Song Gyu’s declaration of On Founding a State (Kŏn’guk non). Based on the history, I treated the public characteristics of Won-Buddhism as a religion from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Mahayana spirit and the spirit of engaged Buddhism. I saw the former as the theory of delivering sentient beings and curing the world, and the thought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and examined they are connected with the thought of Great Opening and universal ethics respectively. Won-Buddhism shares the context with modern reformed Buddhism in Asia, and it succeeded to the bodhisattvas spirit in Mahayana Buddhism. And it also accepted the thought of the Great Opening which was a spiritual axis in modern Korean religions. Won-Buddhism, as an engaged Buddhism, established as its doctrine the universal values that modern society requires through the realization of communicative interfusion thought. Last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 I added a solidarity movement of religions as one aspect of realizing the public concern by Won-Buddhism. After all, I saw Won-Buddhism can secure objectivity as a public religion by reflecting how it could realize in daily life the religious spirit through the world peace movement, establishment of equal order, practice of globalized spiritual movement and global organization of the United Religions that it declared itself.

      • KCI등재

        동아시아 종교의 근대화과 그 한계

        윤승용(Yun Seung Yo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8 한국종교 Vol.43 No.-

        이글은 동아시아 근대국가 형성과정에서 형성된 종교담론과 그것에 의해 형성된 종교지형을 비교 분석하고 각국의 민중종교가 그 지형 속에서 부여받은 위성과 특성들을 찾아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구의 “충격”에 대처하는 방식은 한․중․일 삼국이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었다. 이어져 온 역사적 전통, 그리고 동아시아 삼국 사이의 서로 놓여 있는 위치가 달랐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동일한 민중종교들이 비슷한 시기에 삼국에서 발생했다하더라도 그들은 각국이 서구 근대성과 대면한 방식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띠었다. 근대적 종교 개념들이 만들어낸 이들 종교 지배 담론들은 삼국의 민중 종교들을 재편하는데도 중심축의 역할을 하였다. 이들 지배담론들은 모두 근대 민족국가 형성과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 고 있다. 이들은 현재 동아시아 각국의 종교지형을 만드는 데 기본 토대가 되었을뿐 아니라 지금도 동아시아의 종교논쟁의 중심에 서 있다. 일본총리의 신사참배문제, 중국의 종교탄압 문제, 한국의 종교의 정치참여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데, 이들이 남긴 잔영들이다. 지난 150년간 동아시아의 ‘종교의 근대화’의 결과를 보면, 일본에서는 신도라는 민중종교를 인민을 통합하고 교화하는 세속적 종교로 활용하였고, 중국에서는 민간종교라고 불리는 민중종교를 문명과 대립된 반사회적인 사교나 반종교적인 미신으로 치부하여 금압하였으며, 한국에서는 민중종교가 사회변혁의 의지를 담은 개벽의 종교로 등장하였다. 특히, 한국의 개벽종교들만이 당시 시대적 과제였던 신문화 운동과 반식민지 투쟁의 전면에 나설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민중들의 이해를 잘 대변할 수 있었던 민중종교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서구 근대성의 핵심으로서 신의 죽음이 가져온 이성에 대한 무한한 신뢰, 자연을 인간의 이용대상으로 여기는 인간중심주의, 그리고 서구 문명화에서 말하는 진보 혹은 발전이데올로기를 넘어서서 생태주의와 평화가 담긴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 대안들이 종교를 비롯한 여러 곳에서 현재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저항적 근대성 수순에 머물러 있는 것은 아닌지, 한 걸을 더 나아가 대안적 근대성의 수용이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인지는 아직은 분명하지 않은 것 같다. This paper seek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igious discourses produc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modern states in East Asia, and religious geographical features formed by it,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that the public religion of each nation were bestowed with by such geographical features. Ways to cope with Western influence were necessari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among the three nations of Korea, China, and Japan. This was because of the differences in inherited historical traditions and location among the three nations in East Asia. Therefore, even though identical public religions arose in the three nations in similar periods, they had different aspect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he ways that Western modernity was treated in each nation. These religious dominant discourses that influenced concepts about modern religions have made played a central role in re-organizing the public religions of the three nations. These dominant discourses all have a close relation with the formation of modern nation states. These have not only become a foundation in making religious geographical features of each nation in present East Asia, but are also at the center of religious disputes that continue in East Asia even now. The issues of the Japanese Prime Minister’s visit to the Divine Shrine, China’s suppression of religions, and the engagement in politics by Korean religious groups are issues that continue to stir controversy and debate. These types of issues stem from the legacy of those discourses. For the past 150 years, if we examine the results of ‘modernization of religion’ in East Asia, Japan has utilized the public religion of Shinto as a secular religion to incorporate and edify people. China has criticised and oppressed public religion, referred to as ‘people religion,’ as an anti-social perverted religion or anti-religious superstitions that were against civilization. In Korea public religion appeared as a religion of the Great Opening (gaebyeok; great unfolding) that contained volitions to reform societies. Especially, only Korean religions that advocated the Great Opening were very active in the new culture movement and anti-colonial struggle that were tasks of that time, and it was possible only because they were the public religions that championed the interests of the populace. Lastly, alternatives to find a life style that embraces ecology and peace are currently being sought in many areas including among religions, and the alternatives have transcended the limitless confidence about rationality that the death of God, as a core of Western modernity, has brought, the anthropocentric ideology that considers nature as objects of human beings’ utilization, and the ideology of progress or development proclaimed in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it is not certain yet, whether these alternatives remain at the level of resisting modernity, or go one step further to the acceptance that an alternative modernity is possible in reality.

      • KCI등재

        포스트 모던과 신종교

        신광철 ( Kwang Cheol Shin ) 한국신종교학회 2008 신종교연구 Vol.19 No.-

        이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모던의 관점에서 한국 신종교의 현재 지점을 점검하고 미래적 전망을 실시하는 데에 있다. 구체적으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핵심 지표를 이루는 `이후`, `반대`, `넘어서`의 맥락을 적용하였다. `넘어서`의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긍정의 의미를 지닌다. 이 경우, `모던/포스트모던`은 `연속` 혹은 `계승`의 구조를 이룬다. `반대`의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부정의 의미를 지닌다. 이 경우, `모던/포스트모던`은 `반대` 혹은 `충돌`의 구조를 이룬다. `이후`의 맥락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초극` 혹은 `극복`의 의미를 지닌다. 이 경우, `모던/포스트모던`은 `지양` 혹은 `초월`의 구조를 이룬다. 한국 신종교는 그들의 설립 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지니고 있으며, 그러한 자부심은 여전히 유지,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신종교는 또한 그러한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기보다는 반추하는 데 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신종교는 `개창`의 모티브에 사로잡혀 왔다. `진부함의 혁파!` 이것이야말로 한국 신종교의 존재근거이자 강점이다. 최근, 우리는 한국 신종교 지형의 변화의 조짐을 목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주목되는 것이 현대문화 내지는 대중문화를 수용하는 `신영성운동`의 경향이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the present situation of new religions from the point of view `postmodern` and to think of their future. In the concrete, I apply context of `after`, `anti`, and `trans` that consist of central index of postmodernism. Postmodernism from the context of `after` has positive meaning generally. In this case, `modern/postmodern` constructs a structure of `continuance` or `succession`. Postmodernism from the context of `anti` has negative one. This `modern/postmodern` forms a structure of `opposition` or `discord`. And postmodernism from `trans` has a context of `transcendence` or `conquest`. In this case, `modern/postmodern` constitutes a structure of `sublation(Aufheben)` or `transcendence`. I find that the new religions of Korea take pride in their history of establishment and are still trying to continue and repeat it. I also point that their effort has a limit that it is rather a kind of rumination on their history than creative succession of it. New religions of Korea have been in possession of a strong motif, that is `the foundation`, `the beginning`. `To break banality!` This is the basis of existence and forte of Korean new religions. Recently we see that there is a sign of new change in a topographic map of Korean new religions. Some of them show a current of `new spirit movement`, trying to accept modern culture or popular culture.

      • KCI등재

        종교의 공공성 논의: 호세 카사노바의 공적 종교(Public Religion) 논의를 중심으로

        서동은 한국평화종교학회 2023 평화와 종교 Vol.- No.16

        While there are many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publicness of religion, this article will introduce José Casanova’s discussion of public relig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new public religion that actively embraces his meaning of public religion. In Public Religion in the Modern World, José Casanova refutes the position that the secularization of religion since the Enlightenment has reduced religion to the private sphere, and argues that religion has still reemerged in a new public sphere. He finds examples of this in Catholic and Protestant fundamentalism in the U.S., People’s church in Brazil, the civic church in Poland, and the churches of the Disestablishment movement in Spain. Against the argument that religion since the Enlightenment has been reduced to the private sphere of individuals and no longer exerts a public force, he argues that religion still functions as a public religion in the midst of a secular society. His argument has many implications for discussions of the publicness of religion in Korea today. In this paper, I will compare the horizons of his case study with the phenomenon of public religion in Korea and discuss the function of public religion in the contemporary sense.

      • KCI등재

        “불교는 철학적 종교” :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의 ‘근대일본불교’ 만들기

        송현주(Song, Hyun Ju) 한국불교연구원 2014 불교연구 Vol.41 No.-

        일본의 메이지시기 대표적 불교사상가의 한 사람인 이노우에 엔료(井上円了, 1858~1919)는 일본불교를 새로 정의함으로써 ‘불교의 근대화(modernization)’라는 과제를 수행하고자 했다. 그의 사상적 업적의 하나는 ‘불교는 철학적 종교'라는 명제 혹은 담론의 체계화이다. 본 논문은 이 명제의 배경과 논리, 의미와 영향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신불분리(神佛分離)와 폐불훼석(廢佛毁釋)으로 침체된 불교는 자신을 근대적이며 국가에 유익한 종교로 보일 필요가 있었다. 또 서구문명과 함께 유입된 ‘철학', ‘과학' 등의 신조어와 기독교를 모델로 하는 ‘종교' 개념은 ‘불교가 종교인가 철학인가?' 등의 논쟁을 낳았다. 엔료의 ‘근대일본불교 만들기'는 불교를 당시의 보편적 진리의 표준인 철학․과학과 부합하는 종교로 설명함으로써 하나의‘근대적 종교(a modern religion)'로 만들기 위한 해석학적 노력이었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는 ‘철학'과 연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기독교 중심의 ‘종교' 개념의 외연을 넓히는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것이 그의 ‘신판석(新判釋)'과 ‘종교신론(宗敎新論)'이었다. ‘불교는 철학적 종교'임을 뒷받침하는 논리로는 1) 불교는 철학․과학과 부합함, 2) 불교의 절반은 철학이며, 불교사는 철학사와 유사함, 3) 종교는 철학의 응용이라는 점을 들었다. 엔료의 사상의 영향은 중국의 양계초와 한국의 한용운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Inoue Enryō(1858-1919)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uddhist thinkers in the Meiji period(1868-1912) of Japan. With the Meiji Restoration, Buddhism lost its traditional power and meaning. It faced a crisis of extinction by the policy of Meiji government. By importing Western civilization, new classifications of scholastic disciplines, cultural categories and terms like ‘philosophy', ‘science' and‘religion' were introduced and they caused a confusion and challenge to the Meiji intellectuals. Japanese Buddhism had to prove that Buddhism was a rational and modern religion which had a value for society and nation. It had to solve th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arisen between Buddhism and those western terms. As a reformist and revivalist of Buddhism, Inoue Enryō devoted his life to make Japanese Buddhism as modern and acceptable to the Japanese. For this aim, he made various efforts and contributions. One of those was the making of a thesis such as “Buddhism as a philosophical religion". This study examines the main logical structure, contents and meaning of that thesis. It can be esteemed as a new version of ‘the critical classification of teachings(敎相判釋)'. Inoue Enryō himself called his work as‘a new hermeneutics of Buddhism(新判釋)' and ‘a new theory of religion(宗敎新論)'. In the thesis, the strategies for Inoue Enryō to make Japanese Buddhism as a modern religion were twofold. On the one hand, he explained Buddhism by the terms of philosophy and revaluated Buddhism to correspond with the truth of science and philosophy and to be superior to Christianity. On the other hand, he enlarged the scope and changed the meaning of ‘religion' which was centering around Christianity. His idea aided to defend Japanese Buddhism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to resist the danger of distortion caused by the concept of‘religion' and the threat of Christianity. We can find the influence of Inoue Enryō in China and Korea, especially in the work of Liang Qichao(梁啓超) and Han Yongwoon(韓龍雲).

      • KCI등재

        현대문명의 위기와 후천개벽 사상의 포스트모던적 함의

        김철수 ( Kim Chul So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20 선도문화 Vol.28 No.-

        현대문명의 중요한 근원은 서구 근대적 세계관이다. 이 세계관은 기계론적 자연관에 근거하여 과학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자유와 이성을 확보했고 산업혁명과 근대국가의 현대문명을 형성하여 왔다. 현대문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류의 삶은 풍요로워졌고 합리적 문명건설이 가능해졌지만 현 인류가 근대적 세계관에 고착되어 발전을 추구하고 달성할수록 행복하기 보다는 대립과 갈등이 심화되고 생태적 문제들과 심리적 불안이 가중되는 역설적인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크리쉬나의 수레처럼 끊임 없이 달려온 현대문명이다. 현대문명의 현재 상황은 불안하고 위태로우며, 우리는 현대문명 이후 곧 포스트모던 시대를 담론하고 있는 것이다. 지금 인류에게 절실한 것은 서구 근대적 세계관에 대한 반성과 현대 이후의 세계관의 모색이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현재 인류의 문명은 어떤 상태에 있는가?’ ‘현대문명 위기와 현 인류가 겪고 있는 고통의 본질은 무엇인가?’ ‘우리는 어디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 이러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으려 고민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후천개벽 사상은 좋은 기반을 제공해 준다. 19세기 조선사회에서 전개되었던 후천개벽 사상은 바로 이러한 새로운 문명에 적합한 세계관적 토대를 제공하여 준다. 모든 존재들의 근원적인 시·공간적 통일이라는 통일체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후천개벽 사상은 존재물을 대립과 갈등 보다는 조화와 상생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이해한다. 뿐만 아니라 인간을 온 우주를 자신 안에 품고 있는 우주적인 존재로 인식함으로써, 포스트모던적 삶은 자신에 내재된 우주성을 깨닫고 자신과 세계와의 통일성을 회복하는 것이 된다. 메타종교는 인간개벽을 통해 이러한 깨달음의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새로운 문명을 여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Modern civilization is confronted with serious crisis, and stands at the crossroads of great transformation. The important basis of modern civilization is a world-view of modern Western Europe, that is dualism and a mechanistic world-view. This world-view has been a base in development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s scientific technology, economic capitalism, civil society, political institution such as nation-state, so far as modern religions. But in these days, modern civilization pumps a huge amount of social, political, institutional, ecological problems, and we are hoping for a transformation to new civilization. This new civilization is based on a holistic world-view as distinct from modern civilization. The many components of new civilization are embedded in the thought of the Later-World Transformation. This thought has developed by greatest religious thinker as Choi Su-un, Kim Il-bu, Kang Jeung-san in the 19th century of Korea. Accordingl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 holistic world-view of coming new civilization and the function of meta-religion in post-modern era. In order to do this, the focus will be on its relationship of characters the Later-World Transformation’ thought and post-modern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