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동향 - 국내 간호 연구를 중심으로 -

        안은경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2022 안전문화연구 Vol.- No.17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higher education as the core of tertiary education activities. The contact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xperiences, and promot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udents.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tudies on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nursing research are very scarce. Therefo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by analyzing domestic nursing research trends 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acilitating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0 pap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of this study among nursing studies 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key variables, and key findings were analyzed for the selected papers. As a result, the key variables on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Academic achievement, college life satisfaction,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career-related. Key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two categories;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evaluation factor of learning method. Results indicate tha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nursing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nursing. Nevertheless, there are only a few nursing studies 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Korea. For the future, a concept analysis, a qualitative stud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action phenomen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of the nursing, and an exploration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of nursing students related to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re needed. In addition, nursing professors need to actively attempt to interact with students.

      • KCI등재

        대학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고정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cooperative self-efficacy’s mediating effect in impact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 investig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has done. The subject were 636 university student at G university in gyeong sang nam do. To measure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 program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α verifica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lerance, Variance Inflation Factor(VIF), Correlation coefficient, mediator effect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effected on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positively. Second, cooperative self-efficacy had part mediator effect in rel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Conclusions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cooperative self-efficacy in relation of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 in untact class. On this study, our socity will have to devise various way to reinforce students’ Interac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cooperative self-efficacy for university student’ s class participation, class satisfaction’s improvement. 목적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인식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남 G시에 소재한 대학생 6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단순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외생변인으로서 자기조절학습, 내생변인으로서 학업기초능력과 융합역량을 선정하였다. 결과 학습자 간 상호작용,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력적 자기효능감,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 변수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고,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대학생의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변수로 유의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비대면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수업 참여도와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교수-학습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원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또한 학습자들의 협력적 자기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지영(Kim Ji Young),김우리(Kim Woo Ri),손윤실(Son Yun Sil),김정섭(Kim Jung Sub)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 교수-학생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한 전문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370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학업스트레스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이 있고,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생활적응은 정적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문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교수-학생상호작용을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전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개인 차원에서 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추는 것과 더불어 학교차원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 among academic stres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Second, are there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Data was collected from 370 students sampled from 3 colleges in South Korea. Three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Academic Stress Scal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ale, and Adjustment to College Scale.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of Baron and Kenny(1986), and Bootstrapping by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Second, the through mediation analysis, there was partial mediated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relations between academic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Therefore to maximize of college adjustment, it is needed to decrease academic stress and to promo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후보

        외식조리 전공 전문대 학생이 지각하는 내재적 동기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수-학생상호 작용의 조절효과

        이성숙,김진강 한국관광산업학회 2017 Tourism Research Vol.42 No.4

        Targeting students majoring in food service and cook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 kind of positive belief, on employment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ir relationship.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trinsic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an additional analysis conducted by separating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n the form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low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However, in the latter group,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was perceived, the higher the employment anxiety was perceived. Second, as a result of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one of the sub-variabl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all the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cceptability/accessibility, and reliability we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if reliability is perceived to be high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s a result of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in the presupposed group and the group with low intrinsic motivatio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no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employment anxiety. However,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only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mong sub-variable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mediating effect.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in the group with high intrinsic motivation, if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ensitivity and acceptability/accessibility are perceived to be high,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lower the causes of employment anxiety. In conclusion, employment anxiety could be lowered only when intrinsic motivation was high, and especially i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teraction based on reliability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lower employment anxiety. 본 연구는 외식조리를 전공하는 전문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신념의 일종인 내재적 동기가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는 취업불안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구분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의 경우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은 내재적 동기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불안에 대해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의 하위변인 중 취업불안 유발상황의 관계에 있어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모든 하위변인인 민감성, 수용접근성,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유발상황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교수-학생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전제 집단과 내재적 동기가 낮은 집단의 경우 교수-학생상호작용은 내재적 동기와 취업불안 상태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 있어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의 하위변인 중 민감성과 수용접근성만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동기가 높은 집단에서는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민감성, 수용접근성에 대해 높게 지각하면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취업불안 상태가 더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내재적 동기를 높여야지만 취업불안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교수-학생상호작용 중 신뢰성에 기반한 상호작용이 취업불안을 낮출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수업의 질, 대학생활 만족 간의 관계 구조분석

        신소영,권성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8 평생교육 · HRD연구 Vol.1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satisfaction to prevent dropout and improve level of satisfaction in college. As a results of analysis for 1,258 college students in C province,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instructional quality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a college life satisfactio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influenced instructional quality,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d interaction with professor. Additionally, instructional quality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interaction with professor and satisfaction. Particularly, indirect effect of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was more powerful than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erefore, to improve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as well as both peers and professor in cla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Especially,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had not only direct but also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the instructional quality on satisfaction, and their indirect effect size were greater than direct effect. So, the impotance of instructional quality should be highlighted to enhanc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 제공을 위해 대학생활만족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분석을 하였다. C시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1,258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만족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수업의 질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 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적 학습활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수적으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각각에서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수업의질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수업의질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과 함께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등 학생 상호 간,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 만족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효과보다 더 높은 간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대학교육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학풍토, 교수-학생상호작용, 직업탐색,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이하정,박미라,윤지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University Clima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Job Search, and Self-efficacyHajeong Lee, Meera Park, & Jiwon Y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for finding ways to support students’ meaningful college life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college climate, teaching-learning interaction, job search, and self-efficacy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students of University C,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from December 2 to 8,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n this study,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an average of 3.61 points, college climate averaged 3.39 points, faculty-student interaction averaged 3.32 points, job search averaged 3.39 points, and self-efficacy was relatively high with an average of 3.33 point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life satisfaction, university climate, and job search according to majors. Third, college lif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clima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job search, and university climat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job search. And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earch. Fourth,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the university climate, followed by th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Key Words: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ociety, University Climate,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Job Search, Self-efficacy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대학풍토, 교수-학생상호작용, 직업탐색,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이 하 정*ㆍ박 미 라**ㆍ윤 지 원*** 요약: 본 연구는 대학생의 대학풍토, 교수-학습상호작용, 직업탐색,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재학생들의 의미 있는 대학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대학교의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0년 12월 2일부터 8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대학생활만족도는 평균 3.61점이었고, 대학풍토는 평균 3.39점, 교수-학생상호작용은 평균 3.32점, 직업탐색은 평균 3.39점, 자기효능감은 평균 3.33점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활만족도와 대학풍토, 직업탐색은 전공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학생활만족도는 대학풍토, 교수-학생상호작용, 직업탐색과 순상관관계가 있으며, 대학풍토는 교수-학생상호작용과 직업탐색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리고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직업탐색과 순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풍토이고, 그 다음으로는 교수-학생상호작용이었다. 핵심어: 대학생활만족도, 대학풍토, 교수-학생상호작용, 직업탐색, 자기효능감 □ 접수일: 2022년 5월 12일, 수정일: 2022년 6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창신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hjlee@cs.ac.kr)** 공동저자,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Co-author, 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minerva32@cs.ac.kr)*** 교신저자, 창신대학교 카리스교양대학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jwyoon@cs.ac.kr)

      • KCI등재

        미용학과 교수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생과의 즐거운 관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임선희 ( Sun Hee Lim ),진용미 ( Yong Mi Jin ) 한국미용학회 2015 한국미용학회지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icient way for a professor’s communication style to enjoyabl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its loyalty in order to determine the loyalty of the professor’s communication styles on the formation of enjoyable interaction with students.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questionnaire survey amongst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Cosmetology, 290 copies were used for an empirical stud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According to a factor analysis, three (3) factors were derived in terms of communication styles. In terms of loyalty two (2) factors were obtained. According to analysis of the effects of a professor’s communication styles on enjoyabl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intimate, professional, and controlled communication sty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njoyable interaction. In terms of the effects of intimate, professional, and controlled communication styles on loyalty, controlled had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trust typ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loyalty type with students on loyalty, a significant effect was found in enjoyable interaction. The empirical analysis found that a professor should spend more time in enjoyabl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enhancing expertise. Loyalty to the professor of students will improve loyalty by encouraging student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discussions, presentations, and Q&A sessions. In addition, Regarding a professor’s communication styles in the future, submit an active class participation and challenges are will increase loyal to the students.

      • KCI우수등재

        실용음악전공 학생의 전공만족도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박세진(Park Sejin),라종민(Ra Jongmin) 한국음악교육학회 2019 음악교육연구 Vol.4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A대 실용음악전공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반영된 경로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공만족도는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진로성숙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카이제곱 차이검증결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성숙도에 대해 전공만족도가 교수-학생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with applied music major students. Results obtained from path analysis were follows as. First, major satisf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s well as career maturity. Seco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maturity. Third,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xisted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Last, indirect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via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areer maturity. The current study showed importance of how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to enhance students’ career maturity.

      • KCI등재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고정리(JEONGLEE G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본 연구는 경남 G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870명의 1~2학년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이 인식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남도 G시에 소재한 국립G대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 87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20년 9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간 대학 내 LMS를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변수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대학생의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부분매개변수로 유의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와 전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친밀감과 신뢰감에 근거한 교수-학생 상호 간의 적극적인 소통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and instruction particpation, major satisfactio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 were university 1~2 grade 870 student while at G university in J city in gyeong sang nam do question investigation was performanced aimed at this students during 5 days. To measure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struction partic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question materal was collected and collected question materal was analyzed using SPSS 25.0 program.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rel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struction partic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effected on instruction partic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positively. Seco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part mediator effect in 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and instruction particpation,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Conclusions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in relation of university student’ s academic self-efficacy and instruction particpation, major satisfaction. On this study, our socity will have to devise various way to reinforce academic self-efficacy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for university student’ s instruction particpation, major satisfaction’s improvement.

      • KCI등재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 하브루타 학습만족도 간의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민형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Communication Ability and Havruta Learning SatisfactionHyungduk M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 student interaction in the effect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in Havruta class situ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84 students who completed teaching courses at C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using SPSS program. The effects of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Havruta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and Havruta learning satisfaction were analyzed.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avruta learning satisfaction,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as significa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ethods for Havruta learning to settle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Key Words: Havrut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Learning Satisfaction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 하브루타 학습만족도 간의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민 형 덕*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하브루타 수업 상황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이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광주광역시 C대학 교육대학원에서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학습자 8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하브루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의사소통능력과 하브루타 학습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및 의사소통능력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하브루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브루타 학습이 대학교육 현장에 정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핵심어: 하브루타, 자기주도학습능력, 의사소통능력,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 만족도 □ 접수일: 2022년 11월 24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목포대학교 외래교수(Professor, Mokpo National Univ., Email: jasmin4310@hanmail.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