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 황진이 시조 <니언지 >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7 No.-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는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에 대한 면밀한 검토 결과를 체계적으로 통합하는 방향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번역 유형별 번역 사례가 가장 많은 작품 가운데 하나인 황진이 시조 를 통해 한국 고시가에 대한 번역 유형별 번역의 양상을 살피고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고시가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을 추론해 본 것이다. 번역된 텍스트는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이해하고 감상하기에 충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번역 대상 텍스트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얼마만큼 충실하게 번역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은 원전의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정확하게 번역하였다. 그에 비해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한어 번역은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원전과 전혀 달랐다. 이러한 문제점은 신위의 「소악부」에 포함된 한어 번역의 원전을 번역자가 잘못 비정하고, 원전과 한어 번역이 공통으로 함축한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데서 생겨났다. 그런데 일본 식민지 시대에 이루어진 원전 비정과 한어 번역의 결과는 이후 에 대한 해석과 번역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가 연가(love song)라는 해석이 지금까지도 널리 수용되고 있으며, 조선 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국어 번역에서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과 흡사하게 시적 상황이나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사뭇 다르게 번역되고 있는 데서 그러한 사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일본 식민지 시대의 한어 번역, 원전 또는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와 같이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모호하거나 원전과 전혀 달랐다. 따라서 원전에 대한 조선시대의 한어 번역과 같은 번역 수준을 보여 주는 원전에 대한 외국어 번역은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번역이 기본적으로 원전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을 바탕으로 하게 마련이라는 점에서 외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은 결국 원전 또는 조선시대 한어 번역에 대한 현대 한국어 번역이 지니는 문제점이 거듭 표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 결과는 한국 고시가의 번역에 다음 사항들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즉, 원전 비평(textual criticism)이 충분히 이루어진 작품을 선정해야 한다는 점, 번역 대상 텍스트와 번역된 텍스트 모두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분명해야 한다는 점, 현대 한국어 번역이 원전의 창작 상황에 부합하는 해석과 성공적인 외국어 번역에 관건이 된다는 점, 목표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번역된 텍스트에서 파악하는 시적 상황과 언어적 맥락이 재료 언어가 모어인 독자들이 원전 혹은 현대 한국어 번역에서 파악하는 것과 동일한지가 번역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된다는 점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modern foreign language, modern Korean language and old Chinese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 Jini's Sijo work, Have I ever,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most types of translation.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1) by three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Korea, do not have any problem because all of them had bilingual competence and could grasp the very inner context (poetic and linguistic context) and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OT-1). 2. Most translated lingual texts into old Chinese language (TT1-2) by one or two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Korea, have a little serious problems. The translaters did not have bilingual competence so sufficient to grasp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only the original texts (OT-1, OT-2) but the old Chinese translation by a former intellectual, Shin Wi. In fact, OT-2 is different from OT-1, but it seemed to be the very OT of Shin Wi's rendering version of which OT was not OT-2 but OT-2. In spite of it, the result and contents of their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of OT-2 have had an nation-wide authority as the very one of OT-1 over their modern subordinates after their times. 3. We are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he two, the original (OT-1) and the translated text (TT1-1). However, researchers whose mother tongue is Korean have not translated TT1-1 into modern Korean language entirely, or mistranslated it, it is, I think, related to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comprehend the same inner context of meaning of the two like former intellectuals in the colonial period, intellectuals who selected OT-2 as OT of the rendering by Shin Wi. 4. All the translated texts into foreign language (TT5) have the same problems as their source language texts which were translated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y Korean translaters, writers, or researchers (TT2). While meeting renderings of TT5, we are not able to grasp the same inner contexts in which all the texts have their own unity of meaning as ones of the original lingual texts (OT-1). These results implies several meaningful things as follows; 1. Textual criticism about Korean classical poems has not been sufficient for us to translate them into foreign languages. 2. We need to translate all the texts, OT and TTs, into modern Korean language before studying all the renderings of them. It will let us to know whether all the texts and renderings can be acceptable not only to us but also to foreigners. 3. While evaluating if every TT is successful, we have to check if the inner context and meaning of TT is the same one of its OT or source text because the primary goal of translation is to make readers whose mother tongue is the same one as the target language.

      • KCI등재

        번역 유형별 사례를 통해 본 한국 고시가 번역의 문제 ⑵ : <황조가>를 중심으로

        임주탁(Yim Ju tak) 한국문학회 2014 韓國文學論叢 Vol.68 No.-

        이 논문은 에 대한 번역 유형별 사례를 통해 한어시가의 번역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하고, 그 문제점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밝혀, 향후 한국 고시가 특히 한어시가의 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점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논의 내용과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에 대한 최초의 번역은 일본 제국주의 시대에 게일에 의해 이루어진 영어 번역인데, 이 번역은 조선시대의 문인학자들과는 사뭇 다르게 추론한 창작 상황에 바탕을 두고 있다. 게일은 를 치희라는 한 여성으로부터 실연당한 남성의 비통한 심정을 표현한 노래로 해 석함으로써 서양인에게 보편적인 공감이 가능한 연가로 수용되도록 번역하였다. 그런데 게일은 또한 인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는 국왕의 비통한 심정을 표현한 노래로 해석하는 길을 아울러 열어두었다. 하지만 게일이 추론한 창작 상황과 번역이 이후 외국어 번역자(그릭스비)와 한국어 번역자(김병곤)에게 수용되면서 는 한 여성에게서 버림받은 남성의 심정 상황을 표현한 노래로 해석되고, 따라서 특히 제4구는‘누구와 함께 돌아갈까?’와 같이 번역되었다. 이러한 번역은 한어와 한국어의 이중 언어 능력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는 조선시대 문인학자들의 수용 사례에서 찾아볼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도 김병곤에 의해 이루어진 최초의 한국어 번역은 대중 매체를 통해 널리, 오래 수용되었다. 김병곤이 이해한 의 창작 상황은 대중 매체를 통해 소설적으로 재구성되기도 하면서 대중적 수용의 폭이 확대되고 해방 이후 의 한국어 번역은 물론 외국어 번역에도 수용되었다. 결과적으로 김병곤의 한국어 번역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해 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어떤 언어로 번역하든 간에 번역 대상이 된 한어시가 작품을 작품이 번역의 바탕이 되는 원전의 언어 내적 맥락과 창작 맥락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진 작품인지를 먼저 살펴야 함을 말해 준다. 대중의 취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보다 원전 비평이 얼마만큼 충실한지에 더 먼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고, 원전 비평을 통해 창작 상황과 언어 내적 맥락이 합치할 수 있는 방향에서 대중의 특성과 취향을 고려한 번역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외국어 번역의 문제를 다룰 때에도 원전과 바로 비교하여 평가하는 방식은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what is problematic, important, and needed now in translating Korean classical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other target languages which contain only modern foreign language but modern Korean language, through comparing translated texts with their source language texts. So it deals those issues with all the renderings of a Hwang-Jo-Ga, Song of Yellow Birds, the oldest Korean poem and song, the renderings can be classified by three types of translation, “translated text of Original text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foreign language”(TT1), “translated text of Original text into Korean language” (TT2), and “translated text of Korean language text (TT2) into foreign language”(TT3). The results of it are as follows; 1. The first English translation (TT1), preceding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TT2), by J. S. Gale from Canada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contains not only the original text but also more or less expended rendering of the record of the third year of Yiri-myeongwang (the second king of the Goryeo Dynasty, Korea)'s reign period into English language, has a serious problem not in analysing the lingual context (inner context) but in deducing about the creation context based on the original historic record. The results of his deduction turned aside from the ones by some former readers who might have the bilingual competence of Classical Korean and Classical Chinese. In spite of this problem, Gale had open another reading way in which readers could imagine the creation context as like this; the king Yuri, seeing yellow birds that are flying in a tree beneath which he also is resting, fluttering and mating each others, is feeling that it is contrast to his situation that all the people have not taken to him. 2. Byeong-gon Kim, who made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in the same period, more or less misread the Gale's translation, especially, could not appreciated the latter, and made two Korean translation versions of the original text. However, his renderings has been influential wider and longer than other Korean rendering, because they was presented and cited via mass media as newspapers by whom expended the same creation context that Gale had deducted and Byeong-gon Kim had misread like a fiction. 3. Most translations, not only Korean translations (TT2) but also English translations (TT3), have been made under the influence of Gale and Kim's translation. But it is true that Kim misread Gale's translation and Gale's translation of the creation context contains a serious problem. Those results imply that we have to make deeper source criticism of original texts and contexts before we translate Korean poem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into different language from the original texts, or evaluate the renderings of the original text and translated texts.

      • KCI등재

        발원가류 불교 가사의 존재 위상과 성격

        전재강(Jeon Jae-gang) 한국어문학회 2012 語文學 Vol.0 No.117

        This dissertation is written in order to research for the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in two aspects. The first aspect is about the contexts of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the second aspect i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Firstly, in the aspect of the contexts of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there are two kinds of contexts, which are the historical site and Gasa style site. In the historical site of prayer in Buddhism, there are two directions, which are the prose and the poetry. The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was developed by receiving the good points of the prose and the poetry lately. Secondly, in the site of Gasa style,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received the sentence of other Buddhist Gasa style works. For example, the sentence of Hymn song Buddhist Gasa style works(讚佛歌類佛敎歌辭), Nirvana song Buddhist Gasa style works(往生歌類佛敎歌辭), Buddhist meditation song Buddhist Gasa style works(參禪曲類佛敎歌辭), empty dream song Buddhist Gasa style works(夢幻歌類佛敎歌辭) were adapted to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which means that the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is related with those Buddhist Gasa styles briefly. And except those Buddhist Gasa styles, there are expressed general Buddhist teaching in the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for the most part. T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and the other of Buddhist Gasa style are being brief and being indirect, being inclusive. Thirdly, in the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I discussed four points which are the prayer subject and the prayer object, the contents and expression skills in it. At first the writers used one prayer subject and one prayer object for expressing their private petitions, and they used multi prayer subject and multi prayer object for expressing their private petitions and Buddhist community petitions at one time. Fourthly, in the contents and expression skills, the writers of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expressed their private petitions and Buddhist community petitions in the process of Buddhist activities at temple, for example, in paying homage to Buddha, and Buddhist meditation, in prayer to Buddha, in starting some kinds of work and so on. And the writers of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used the skill of enumerating many facts mainly for teaching much more people Buddhism, in some times used the skill of emphasizing conclusions of some paragraphs or whole works. Even though I studied the prayer song Buddhist Gasa style in this research paper, there could be the other Buddhist Gasa style to study. I might continue researching the other Buddhist Gasa style being related with this style next time in the near future, for example, the Hymn song Buddhist Gasa style.

      • KCI등재

        『韓非子』「內儲說上·七術」의 서사 구조 분석을 통한 설득커뮤니케이션 전략 검토- ‘經·說·傳’ 및 ‘一曰’ 의 내재적 의미를 중심으로 -

        김원중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9

        본고는 『韓非子』 「內儲說上·七術」을 통해 법가적 사유가 지니는 우언을 활용 한 설득술을 검토하였으며, 「儲說」의 함의 및 ‘經’의 가정형 문장 구조에 나타난 ‘故事性’과 ‘寄託性’, 그리고 ‘參觀’·‘一曰’의 내재적 가치를 고찰하였다. 필자는 연역식 방법론을 취하고 있는「內儲說上·七術」편에서 經說의 서사 구조가 우언을 들어 예증하는 방식으로 치밀하면서도 설득효과가 탁월한 점과 다분히 고사적 특성을 띠는 것에 주목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傳의 ‘一曰’ 구조가 호기심을 유발하는 탁월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본고는 논변체의 건조함을 상쇄할 문학적 묘미를 갖춘「內儲說上·七術」의 우언적 특성을 고찰하고, 군주를 설득하기 위한 서사 구조적 특성을 최적의 설득 전략으로 활용한 것을 분석하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아울러 『한비자』 전편의 설득 유형 분석의 서단으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멈둘레꽃> 수용 양상의 문학교육적 성찰

        김석회 ( Kim Seok-hoi ) 한국문학치료학회 2009 문학치료연구 Vol.13 No.-

        본고는 미당 서정주의 초기시 가운데 하나인 <멈둘레꽃>의 수용양상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을 짚어 보는 데서 출발한 작은 시론(試論)이다. 미당의 초기시는 당대의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역사적인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는데, 교육의 현장에서는 물론, 일부 젊은 연구자들까지 역사적인 이해를 건너 뛰어 곧바로 해석으로 비약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 학생들은 대체로 텍스트의 통사적 맥락에 대한 성찰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텍스트가 산출되어 나온 배경으로서의 사회역사적인 정황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경우가 많았고, 이 둘 사이의 조응을 통한 작품 이해에까지 나아간 경우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본고의 검토 결과 <멈둘레꽃> 텍스트의 정합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거쳐야 될 탐구의 과정이나 절차가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의 서지에 대한 이해, 텍스트의 변용 양상과 그 변용의 의미해석, 텍스트의 구조와 사회역사적인 배경의 조응 관계 해명, 시대사회적인 환경이나 작가의 계층성에 기인하는 독특한 상징의 형성에 대한 파악 등등이 그것이다. <멈둘레꽃>은 말기에 이른 문둥이의 출구 없는 삶의 고뇌를 절박하게 읊은 작품으로서 선행 작품인 <문둥이>보다도 훨씬 더 비극적인 세계를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은 미당이 출구로 여기고 갔던 만주에서 겪은 환멸의 반영으로 해석된다. 일제 통치의 확산과 함께 절망의 심화와 확대가 땅 끝까지 미치고 있음을 확인한 데서 형성된 미당의 내면풍경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모든 과정이나 절차 등은 문학교육의 현장에서 꼭 참조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모든 것을 학생들의 탐구활동으로 돌릴 수는 없겠지만, 강의안 속에 이러한 탐구의 결과들을 전략적으로 배치해 냄으로써, 정합적인 해석에 이르는 길을 찾아 나갈 수 있도록 유도할 수는 있을 것이다. 이것은 일견 너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인상이 들지만, 이러한 탐구를 통해야만 역사 속의 인간 조건이나 문학 탄생의 비의(秘意)를 새롭게 발견해 내는 안목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문학교육, 특히 시대를 달리하는 문학에 대한 교육에서는 반드시 그 작품의 시간적인 타자성(他者性)이 제대로 이해될 수 있도록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다른 시대의 인간과 그들의 삶, 그들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6차 교육과정(1994~) 이후 수용 중심주의가 확산된 결과 텍스트 자체의 의미나 그 컨텍스트에 대한 이해가 소홀히 된 채로 주관적인 감상이 지나치게 장려되고 확산되는 추세에 있다. 이제는 그 교정과 조율이 필요한 단계에 이르렀다고 생각된다. 현대 청소년 독자들의 다기한 해석과 다양한 수용태도는 그것대로 긍정적인 측면이 있긴 하지만, 의미 구성의 정합성을 통해 해석의 타당성에 이르는 훈련 또한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This paper is an observation on poetry appreciation, especially on < Mumduleggot(멈둘레꽃) > written by Midang(미당,未堂) Seo Jeong-ju (서정주). Generally speaking, the attitude of student`s poetry appreciation is subjective-oriented. There is no proper consideration on the textual context or historical background. Therefore their levels of understanding on the poetry and the poet`s inner self are low and shallow. We must educate them in proper way of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