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기림 시론에서의 다중 시선의 가능성과 영화시 연구

        한주영(Han, Ju-Yeong) 우리문학회 2019 우리文學硏究 Vol.0 No.63

        본고는 김기림 시론에서 ‘전체시론’을 재고한다. ‘전체시론’의 중핵으로 볼 수 있는 “각도의 문제”의 시선으로 그의 영화시편에서 드러나는 ‘근대 시선 주체’의 유연성과 ‘다중 주체’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지금까지 김기림의 시론은 시간적 고찰에 따라 해방 전 모더니즘 시론과 모더니즘 시의 반성을 통한 전체시론, 해방기의 현실 참여적 시론의 차원에서 인지되었기 때문에 김기림을 ‘실패한 모더니스트’로 속단하기 쉽다. 그러나 김기림의 시론은 ‘근대시론’의 층위뿐만 아니라 필연적으로 사회 · 문화적 담론을 병행하여야만 온당하게 규명할 수 있다. 저널리스트의 눈으로 세계정세를 예민하게 파악했던 김기림은 근대과학에 대한 문제의식 아래 조선 근대문학의 향방과 장래를 고민했다. 김기림의 ‘새로운 시학’, ‘과학으로서의 시학’을 전제로 한 ‘전체시론’은 그가 지녔던 치열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특히 ‘전체시론’에서 ‘과학’과 함께 지속적으로 강조된 것은 바로 ‘시 · 공간’이다. 김기림은 시의 재료인 말(언어)은 역사적 · 사회적 현실과 개인의 교섭을 통해 구성되며, 결국 시는 개인과 사회의 유기적이고 역학적인 관계에서 능동적 기능을 담당하는 정신의 부산물임을 주장하였다. 김기림의 영화시는 그의 ‘전체시론’을 가장 충실히 규명해낸다. 김기림은 제3의 관찰자인 카메라의 시선과 몽타주, 파노라마, 오버랩 등의 다양한 편집 기법을 통해 시공간에 대한 전통적인 질서를 파괴하고 그것을 확장 · 초월함으로써 오히려 가장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현실의 총체를 담아낸다. 관객(독자)들은 영상으로 재현[편집]된 당대의 생활을 보여주는 카메라의 시선에 자신의 시선을 일치시키면서 동일한 체험을 공유한 다중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지닌다. 주목할 점은 김기림의 전체시론이 그러하듯이, 영화적 요소를 내재한 시편들도 그의 시 세계에서 연속적인 의미 관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창작 시기상 김기림의 초기시에 해당하는 『太陽의 風俗』에 수록된 영화시편에서 드러나는 김기림의 기획은 『氣象圖』로 이어지며 본격화된다. 김기림은 근대문명이라는 시 · 공간에 대한 객관적 · 총체적 시각을 목표로 기획한 「氣象圖」를 통해 본격적으로 자신의 ‘전체시론’을 실현해나간다.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angular matter” and "whole poetics" in the poetics of Kim Gi-rim, and to examine the flexibility of subject of modern view and possibility of multiple subjects that are revealed in his Cine-poems. The poetics of Kim Gi-rim has been understood in terms of pre-liberation modernism poetics, whole poetics through the reflection of modernism poetry and the actual participation poetics of liberation according to temporal consideration. According to this reading, it is easy to conceive Kim Gi-rim as a "failed modernist". However, the poetics of Kim Gi-rim can be properly revealed not only by the level of "modern poetry" but also by social & cultural discourse inevitably. Kim Gi-rim, who grasped the world situation sensitively with the view of journalists, was worried about the direction and the future of Joseon modern literature under the consciousness of the problem of modern science. "Whole poetics" that was based on "new poetics" and "poetics as science" of Kim Gi-rim is the result of his intense worries. In particular, "time and space" was emphasized continuously together is "science" in his "whole poetics". Kim Gi-rim argued that the language of the poem is composed of the historical and social reality and individual negotiation and the poetry is a by-product of spirit that serves positive function in organic and ephemeral relationship of individual and society. Cine-poem of Kim Gi-rim revealed his "whole poetics" faithfully. He presents the most objective and realistic totality of reality by destroying the traditional order of time and space and expanding and transcending it by using various editorial techniques such as view of the camera, which is the third observer, montage, panorama and overlap. Audiences (readers) have the possibility of being multi-subjects who share the same experience while matching their own view to the camera"s view that shows the life of that time reproduced [edited] by videos. What is noteworthy is that poems that have a cinematic element also have a continuos semantic relationship in his poetic world as Kim Gi-rim"s whole poetics do. Kim Gi-rim"s plan which is revealed in the Cine-poem in the 「The wind speed of the sun」 which is the early poem of him, leads to「Weather chart」. Kim Gi-rim realizes his whole poetics through 「Weather chart」 which was planned with one goal for objective and overall view and comment on the time and space of the modern civilization.

      • KCI등재

        김기림 문학에서의 근대 표상 재고 - ‘대건축’과 ‘대양(大洋)’의 기표를 중심으로

        육송이 어문연구학회 2019 어문연구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meaning of ‘architecture’ used as a metaphor in the poetry of Kim Gi-rim, and to see how it is applied in the poetry. Kim Gi-rim insisted that Asians should do a great architecture while pursuing novelty, away from their narrow-minded and lackadaisical thoughts and conventionality in his poetry. The attitude of Kim Gi-rim, who does not stay in the present but moves forward pursuing novelty, is very similar to the consciousness process which selects imagism as a new value and moves forward to ‘entire poetics’, getting away from sentimental and romanticism of the time. The novelty Kim Gi-rim pursues does not mean the exclusion of the old one. It is to develop as a higher and larger form of organiz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nfrontation, resistance and unification that can be harmonized by accepting positive parts of both sides while alerting the extremes. The result of this dialectical thinking might be the ‘architecture’ that Kim Gi-rim has declared. Kim Gi-rim realized his architecture in the Psalms. The sea of reality in the 「Shipwrecked(破船)」 was a place that was filled with grief with its silly and calm mood, but it changed into a sea of dynamic energy that drives out the ‘darkness’ by the ‘typhoon’ occurred in 『Weather Chart(氣象圖)』. This change was never a coincidence. ‘Architecture’ is based upon an active subject, a maker with a purpose. Kim Gi-rim has been imagining and calling the energetic ‘Pacific Ocean’ near the equator since the early 30s with a clear purpose to change the sea of reality where he is located. The sea of aspiration that appears in 「Let’s go to the sea, dreaming pearl(眞珠)」 and 「Family(家族) of Swallow」 can be guessed as the ‘Pacific Ocean’. Just as actual typhoons emit energy accumulated in the tropics while dissipating it, ‘typhoon’ occurred in the ‘Pacific Ocean’ brings dynamic energy of ‘Pacific Ocean’ to the sea of reality. Kim Gi-rim has built a ‘large building’ of the ‘Pacific Ocean’ to create the newly leaped reality after looking at the reality that he was in and thinking about his role in i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existing evaluation in which poetic subject of Kim Gi-rim recognizes the reality as superficial and schematic one. Kim Gi-rim was a poet who was active in changing the world while worrying and conflicting with the reality that he faced more than anyone. 본고는 김기림이 그의 시론에서 은유로써 사용한 ‘건축’의 의미를 해명하고, 그것이 시편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김기림은 그의 시론에서 동양인들이 그들의 편협하고 안일한 사고와 인습에서 벗어나 새로움을 추구하면서 큰 건축을 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현재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움을 지향하며 전진하는 김기림의 태도는 그가 당대의 센티멘탈·로맨티시즘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가치로써 이미지즘을 선택하고 이후 ‘전체시론’으로 나아가는 의식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김기림이 추구하는 새로움은 이전 것의 배격을 의미하지 않는다. 극단을 경계하면서 양자의 긍정적인 부분들을 수용하여 조화를 이루는 대립·반발·통일의 과정을 통해 더 높고 더 큰 형상의 조직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며, 이러한 변증법적 사고의 결과물이 바로 김기림이 언명한 ‘건축’이라고 볼 수 있다. 김기림은 그의 건축술을 시편에서 실현해낸다. 「破船」에서 드러나는 현실의 바다는 적막하고 고요해서 비애가 넘치던 곳이었으나, 『氣象圖』에서 발생한 ‘태풍’에 의해 ‘어둠’을 내모는 역동적인 에너지의 바다로 변모한다. 이러한 변화는 결코 우연이 아니었다. ‘건축’은 능동적인 주체, 즉 목적을 지닌 제작자를 전제로 한다. 김기림은 자신이 위치한 현실의 바다를 변화시키려는 뚜렷한 목적 아래 30년대 초반부터 이미 적도 근처의 활력적인 ‘태평양’을 상상하고 호명하고 있었다. 「꿈꾸는 眞珠여 바다로 가자」, 「제비의 家族」에서 나타나는 열망의 바다는 ‘태평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태풍이 열대 지방에서 축적한 에너지를 소멸하면서 방출하는 것처럼 ‘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은 ‘태평양’의 역동적인 힘을 현실의 바다로 옮겨온다. 김기림은 그가 처한 현실을 목도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고민한 결과, 새롭게 도약하는 현실을 만들기 위하여 ‘태평양’이라는 ‘대건축’을 축조해낸 것이다. 본고의 의의는 김기림의 시적 주체가 현실을 피상적이고 도식적으로 파악한다는 기존의 평가가 재고의 여지가 있음을 밝힌 데 있다. 김기림은 누구보다도 자신이 직면한 현실에 대해 고민하고 갈등하면서도 그 세계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키고자 실천한 시인이었다.

      • KCI등재

        김기림 초기시의 범주와 『태양의 풍속』 이 가진 문제들

        정영효(Jung, Young-hyo)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한국학연구 Vol.40 No.-

        이 글은 김기림의 발표작과 태양의 풍속 에 있는 수록작을 비교하고 그 과정 속에 드러나는 차이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1939년 9월 학예사에서 발행한 태양의 풍속 은 김기림의 두 번째 시집이고 그 속에 실린 모든 작품들은 1934년 가을까지 발표한 것들로 구성되어 있으나 발표작들이 전부 포함된 것은 아니다. 그는 자신이 추구한 모더니즘적인 감각, 즉 속도와 이미지 그리고 근대 풍경에 대한 인상을 그 속에 담기 위해 일관성을 저해한 작품들은 태양의 풍속 에서 제외하거나 수정하여 수록했다. 또한 감상주의적이고 단편적인 내용에 치우친 작품에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던 김기림을 생각할 때 사실적이고 직설적인 작품에 자기 검열이 작동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 대표적인 것들이 ?광화문통?과 ?유람버스?이다. 태양의 풍속 에 수록되지 않은 ?광화문통?은 김기림의 이면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이 작품은 경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고 있으며, 이는 김기림의 도시 체험을 조금 더 분명하게 해명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수정되어서 시집에 일부만 게재된 ?유람버스?는 식민지 조선과 도시에 대해 역사 인식을 저변에 두고 냉소적으로 발화한 흔하지 않은 작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의 상당수가 김기림의 초기시를 고찰할 때 태양의 풍속 을 확정 텍스트처럼 취급했고 이로 인해 ?유람버스?는 시집에 실린 부분으로만 해석을 시도하기도 했다. 한편에서는 ?광화문통? 과 같이 이 시집에 누락된 작품을 가볍게 다루기도 했다. 김기림처럼 발표작과 시집 수록작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는 둘 사이를 별도로 검토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즉 김기림 초기시를 시집의 범주에서 바라보던 경향을 재고하면서 그가 추구한 문학 활동을 보다 세밀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show some differences between works released and works contained of The Sun"s Custom . The Sun"s Custom which was published by Hakyesa press in September 1939 after being planned in 1934. Nevertheless, works contained in The Sun"s Custom are not the full series of works that were published by 1934. When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considered Kim, Gi-rim’s early poetry, they regarded The Sun"s Custom as a finalized text and the other parts of the studies made light of works omitted in this book of poetry. To contain the modern sense, that is to say the speed, image and impression on the modern scenery he pursued in it, Kim, Gi-rim ruled too realistic or works hindering consistency out of The Sun"s Custom or contained after correction. Al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elf-censorship was operated for his own realistic and plain-spoken works when considering Kim, Gi-rim’s tendency that showed extremely an acute response to the sentimentalism and contentism of tendency group and thought modernism as a new current of the times. ?Gwanghwamuntong? and ?Yuram Bus? are the representative works. However, ?Gwanghwamuntong? which is not contained in The Sun"s Custom is crucial to understand the inside of Kim, Gi-rim. The work is showing a critical viewpoint on Gyeongseong, which provides a room for explaining Kim, Gi-rim’s city experience more definitely. And ?Yuram Bus? which was corrected and partially contained is an unusual work produced based on Kim, Gi-rim’s comparatively a cynical perception of history in respect of colonized Joseon and cities. In case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works released and works contained in the book of poetry just like Kim, Gi-rim’s case,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works separately. Aesthetic achievement of works should be separately premised, but this is necessary because it is possible to be free from generalized determination of category in respect of Kim, Gi-rim’s early poetry only through close observation on the a series of literary activity he pursued. To achieve this, it is required to confirm the development of work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all the works contained in The Sun"s Custom and the converse.

      • KCI등재

        김기림의 「午前의 詩論」 연구

        배호남(Bae Ho-nam)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3 No.-

        1935년은 김기림의 문학에 있어서 하나의 전환점이 된 시기이다. 이 해에 발표된 시론들 중 주목을 요하는 것이 『朝鮮日報』에 연재된「午前의 詩論」이다. 김기림은 「午前의 詩論」을 통해 이전의 무비판적인 서구 모더니즘 이론의 수용을 벗어나 1930년대 식민지 현실과 관계하는 그만의 독자적인 시론을 모색했다. 김기림은 1930년대 내내 서구 중심의 보편적 근대성에 대한 추구로 일관했던 모더니스트이다. 그는 1930년대 시문학이 극복해야 할 전통으로 20년대의 낭만주의의 센티멘탈리즘과 프로문학의 편내용주의를 내세웠다. 「午前의 詩論」을 통해 김기림이 발전시킨 독자적인 시론의 핵심은 바로 시적 태도로서의 ‘건강성’과 시적 기법으로서의 ‘새타이어’이다. ‘건강성’은 그가 이전 시단의 낭만주의자들과 프로 문인들의 공통된 문제점이라 여겼던 ‘감상적 낭만주의’를 넘어서려는 노력이었고, ‘새타이어’는 앞으로 전개될 새로운 문명비판 시에 적합한 기법이었다. Nineteen thirty-five was the year when Kim Gi-rim had a big change in his literary works. This study focused on 「Poetics of Morning」 which were serialized in the『Cho-sun Daily』 in 1935. Through the 「Poetics of Morning」, Kim Gi-rim tried to find a way to escape from his attitude of regardless acceptance of western modernism in the 1920s, and searched for his own poetics which were related to colonial reality in Korea in the 1930s. Kim Gi-rim was a modernist who consistently tried to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Korean modernity and universal modernity by western forces. He criticized both sentimentalism by romanticists and social realism by Marxists in the 1920s under the name of "Sentimental Romanticism". The core of Kim Gi-rim"s Poetics in Poetics of Morning」is a "Healthy attitude" as poetic attitude and "Satire" as poetic technique. "Healthy attitude" as poetic attitude was the effort of overcoming "Sentimental Romanticism" which romanticists and Marxists commonly had in the 1920s. "Satire" as poetic technique was the appropriate technique for the poetry of criticizing modern civiliz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정지용과 김기림의 문학적 상관성

        최동호 韓國批評文學會 2012 批評文學 Vol.- No.44

        정지용은 1902년 충북 옥천에서 출생하여 1923년 3월에 휘문고보를 졸업하고 동년 5월 일본 동지사대학에 유학했다. 김기림은 1908년 함북 학성면에서 출생하여 1921년 보성고보에 다녔으며 신병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고향에서 요양한 후 도일하여 1926년 일본대학 전문부에 입학해 1929년 5월 동대학을 졸업했다. 정지용과 김기림은 연령적으로는 6살 차이이지만 일본 유학기간은 상당 부분 겹쳐진다. 정지용이 가정 형편이 어려운 고학생이었음에 비하여 김기림은 비교적 유복한 가정 사정으로 인해 수학시기가 앞당겨진 것 같다. 흥미로운 것은 정지용이 첫 시집 『정지용시집』을 간행한 것이 1935년 10월이었으며 김기림이 첫 시집 『기상도』를 간행한 것은 1936년 7월이었다는 점이다. 1년 정도의 시차밖에 없다는 사실은 양자 사이의 깊은 문학적 연관성을 생각하게 만든다. 이 글은 우선 정지용에 대한 김기림의 비평에 주목하면서 이를 그들의 시적 상관성까지 확장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시적 상관성에 있어서는 그들이 자주 소재로 삼았던 '바다시편'을 먼저 비교해 보고 여기서 나아가 동일한 제목의 시 「유리창」을 비교 검토하여 그들의 문학적 특성이 무엇인지 고찰해 본 것이다. 정지용은 충북 산골 출신이고 김기림은 함북 바닷가 출신이다. 바다를 대하는 태도는 다를 수밖에 없지만 현해탄을 건너 일본에 유학한 체험을 공유했던 것이라는 점에서 바다는 각자의 시적 개성을 확인하는 훌륭한 매개체가 될 것이다. 정지용에 대한 김기림의 비평적 시각은 일관되고 적극적이었다. 첫 비평 이후 김기림은 1930년대 지속적으로 정지용의 시가 지닌 문학사적 의미에 대해 확고하고 날카롭게 그의 비평적 평필을 구사했다. 상당 부분 중복되는 것도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럼에도 정지용의 시적 명성은 '정지용 이전과 이후'로 문학사를 구분한 김기림의 비평적 지원에 힘입은 바 크다. 시대 감각을 지니고 작품을 해석하는 비평에 있어서 김기림은 남달리 명민했었지만 시 창작에 있어서는 지용을 능가할 수 없었고 「오감도」 시편이 가한 충격을 문단에 줄 만큼 파격적인 불가해성으로 이상을 넘어서기 어려웠다. 김기림은 그의 장시 『기상도』를 통해 지용과 이상의 모더니즘을 중개하면서 한국 현대시의 확장이라는 점에서 그 나름의 문학사적 의미를 갖는다. Jeong, Ji-Yong was born in Okcheon, Chungcheongbukdo, Korea, in 1902. He graduated from Hwimoon Highschool in March, 1923 and at the same year, he went Japan and studied at Doshisha University. Kim, Gi-rim was born in H'akseongmyeon, H'amgyeongbukdo, in 1908. Kim attended Boseong Highschool, however, quitted school because of illness. After recuperating at hometown, he went Japan. He entered junior college at Nihon University in 1926 and graduated in May, 1929. Though Jeong was 6 years older than Kim, their period of study in Japan overlapped considerably. It seems that Jeong was from poor family but Kim's family was rich and his studying abroad could be moved up. More interesting fact is that Jeong published his first poem book Jeong Ji-yong Sijip in October, 1935 and Kim published his first one Gisangdo(Weather Chart) on July 1936. One year difference makes us think that their literary correlation is very close. First of all, this paper will focus on Kim, Gi-rim's criticisms on Jeong, Ji-yong and then extend to their poetic correlation. In examining poetic correlation, it will compare poems on 'sea', frequent subject matter of their poems. Then it will comparatively examine 「Yurichang(Windowpane)」 written by both poets and study their literary characteristics. Jeong is from the mountains in Chungcheongbukdo and Kim is from the seashore in H'amkyungbukdo. Their attitudes toward sea are different, however, since they crossed Hyeonhaet'an(Korea Strait) and studied in Japan, they must have shared same experiences. Therefore, 'sea' could be appropriate medium for identifying poetic individuality of each poet. Kim, Gi-rim's criticisms on Jeong, Ji-yong were consistent and active. After his first criticism on Jeong, Kim continuously wrote about the meaning of Jeong's poems in literary history in 1930s, sharply and firmly. Though lots of them were overlapping, Kim divided Korean poetry as 'Before Jeong and After Jeong' and it contributed a lot to the poetic reputation of Jeong. Kim, Gi-rim was exceptionally intelligent in criticism, interpreting poems with the sense of the times, however, in writing poems he could not surpass Jeong, Ji-yong nor Yi, Sang who gave a big shock to literary world with his unprecedented and incomprehensible works, "Ogamdo(Crow's-Eye View)" series. Kim mediated modernism of Jeong and Yi in his long poem Gisangdo and it has meaning in literary history on its own for extending the boundary of modern Korean poetry.

      • KCI등재

        김규동 시론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동시성의 욕망

        김민선(Kim Min-sun) 한국비평문학회 2010 批評文學 Vol.- No.38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nity' shown in Kim Gyu-dong's poetics in the 1950s and to clarify its direction. Especially, starting from similarities between Kim Gyu-dong's poetics and Kim Gi-rim's early poetics, this paper considers how his desire worked for the world literature in his poetics. Kim Gyu-dong's poetics is very similar to Kim Gi-rim's early poetics composed in the middle and late 1930s, in that his poetics established directivity in terms of the Western modern literature,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found between them. Thus, this paper attempted to consider how the differences composed his poetics, while ultimately investigating the planning of literary coteries of 'Hubangi (the second half of the year)' in the 1950s, who agonized over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magnetic field of the world literature. In Kim Gyu-dong's poetics in the 1950s, the literature of 'Modern Times' and 'Modern Times' introduced the Western modern styles and modes, while the premodern literature became prominent with the poetic styles and modes oriental, lyrical and melodious. His poetics was ver similar to Kim Gi-rim's early poetics in such an aspect, but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left between them that his poetics didn't introduce the enjoyment of literature, which Kim Gi-rim recognized, and its possibility of literature as well. Moreover, since it didn't introduce the possibility of embracing literature, Kim Gyu-dong's poetics could advance into the world literature as literature for a few intellectuals, rather than as the Korean literature in a specific historical context called the South Korean society right after the Korean War. Nevertheless, as the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he introduced within the world literature could not reject the specific historical context as well, it came to be confronted with limitations. In other words, he desired the Korean literature to be within the world literature, but due to such a desi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ture ended up being ignored in a specific circumstance like Korea in the 1950s. That is, the reason why his 'Modernity' went blank can be explained with the results of his inferior complex for the world literature unlike Kim Gi-rim's 'Modern Times' and his overwhelming desire to situate the Korean literature within the world literature. Furthermore, such a case as Kim Gyu-dong's shows one of the aspects of imagination for the Korean literature within the world literature, which modernists might have had right after the Korean War.

      • KCI등재

        식민지 본국의 지식 수용 양상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 2차 유학 이후의 김기림 비평을 대상으로

        강정구 ( Jeong Gu Kang ),김종회 ( Jong Hoi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This paper researches the post-colonialnistic aspect of Kim, gi-rim`s criticism and essay that the colonized accept colonizer`s savoir from 1936 to 1941. His criticism shows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This paper refers Homi Bhabha and John McLeod`s post-colonialnism. This paper analyzes that Kim, gi-rim is misty existence because he is or not in colonial ruler in the his criticism and essay. Korean traditional apple and bower is "in-between", because these is not for modern culture. Also his criticism is "in-between". On the contrary, his criticism serves as a momentum in that colonizer`s savoir is not absolut and powerful. And, I search the aspect of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in Kim, gi-rim`s criticism from 1939 to 1941. Kim, gi-rim indicates historial and social difference whice endangers narcissistic demand. This analyzes Homi Bhabha"s concept such as micmicry. His ciritism is mimicry that shows acceptance and cultural difference on I. A. Richards"s poetics(savoir) Moreover his ciritism is rewriting that gives the meaning on Miki Giyosi"s discourse of east-asia(savoir), but informs cultural difference which is deny representation of the colonized by colonizer. Miki Giyosis`s discourse of east-asia is fantastic and powerful. Kim, gi-rim shows cultural difference that he accepts Miki Giyosis"s discourse of nation and culture, but cultural self-examination is important. 이 논문은 2차 유학 이후부터 1941년까지 발표된 김 기림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피식민자가 식민지 본국인 일본의 지식을 수용하는 양상을 살펴봤다. 일찍이 서구의 근대를 수용, 재창조한 일본의 지식이란 그것을 수용한 위치에 있는 한인에게는 진의 담론적인 위상을 지닌 것이었지만, 김 기림의 비평은 그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주로 민족주의적인 시각이 부지불식간에 전제된 감이 있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호미 바바와 존 맥클라우드의 탈식민주의론을 참조하여 지식의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의 양상을 세밀히 분석했다. 첫째, 2차 유학 중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김 기림이 식민지 본국에서 있으면서도 없는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희미한 실존임을 검토했다. 2차 유학 중에 발표한 수필 「林檎의 輓歌」의 "능금"과 수필 「인제는 늙은 望洋 停-어린 꿈이 航海하던 저 水平線」의 "정자"는, 근대 문화가 식민지에 전파되는 것이 절대적, 권력적, 위계적이었고, 그로 인해서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사물이었다. 김 기림의 비평 역시 본격적으로 수용한 식민지 본국의 지식에서 피식민자에 대한 논의가 부재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었다. 이 때 평론 「科學과 批評과 詩-現代詩의 失望과 希望」과 「現代와 詩의 르넷상스」에서 확인되듯이, 그의 비평은 오히려 식민지 본국의 지식이 절대적, 권력적, 위계적이지 않음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2차 유학 직후부터 1941년까지의 비평을 대상으로 하여서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양상을 검토했다. 김 기림은 리처즈의 시학(지식)을 수용하되 그 지식의 권위가 지닌 “나르시즘적 요구를 위태롭게 하는” 역사적, 사회적 차이를 드러냈는데, 이러한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는 흉내내기의 양상으로 잘 분석됐다. 김 기림의 평론 「科學으로서의 詩學」은 리처즈가 게쉬탈트 심리학을 활용하여 시학을 구성하는 과정을 잘 이해하고 그 논의(지식)를 수용하면서 피식민지의 “文明의 一定한 段階의 歷史的 特徵”이 "反映"돼야 한다는 역사적, 사회적 차이를 드러내는 흉내내기의 일종이었다. 또한 김 기림은 평론 「詩와 科學과 會話-새로운 詩學의 基礎가 될 言語觀」에서도 리처즈가 당대의 언어학에 영향 받아 구성한 시학을 잘 따르고 있음에도, 식민/피식민의 관계를 고려한 “一定한 歷史的 社會”를 중시해애 한다는 흉내내기의 전략을 보여줬다. 셋째, 김 기림의 비평은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에 일정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면서도 식민자의 재현을 거부, 반발하는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다시 쓰기였다.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은 당대의 일본 지식인들에게 매혹적이고 권위적인 것이었다. 김 기림은 평론 「朝鮮文學에의 反省-現代 朝鮮文學의 한 課題-」에서 서구 근대가 파산된 당대의 시점에서 배타적 민족주의를 넘어선 민족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미키 기요시의 민족 논의를 수용하면서도, 한 민족의 우월적인 "지도"보다는 “서로서로의 文化의 接 脈과 包容과 尊敬”이라는 호혜적 원칙이 중요하다는 방식의 다시 쓰기를 보여줬다. 그리고 김 기림은 평론 「「東洋」에 관한 斷章」에서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 문화 논의를 반복하면서도 동아시아 문화의 “가장 빛나는 얼굴”을 “고대와 중세에서 찾”아야 한다는 성찰적인 다시 쓰기를 시도했다. 김 기림이 발표한 2차 유학 이후의 비평과 수필은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발생시키는 탈식민주의적인 양상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사적인 의미가 있다. 김 기림의 문학은 식민지의 지식인 타자가 지식 담론 속에서 존재하는 문화적인 양상을 잘 보여준 것이다. 이러한 그의 문학은 일본이 1940년대 중반을 향해 군국주의, 파시즘으로 치달을 때에는 현실적으로 유의미한 담론의 지점을 찾기 어려운 것이었으나,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부분적으로 위반, 거부, 해체해 나아가는 피식민자의 담론적인 위치를 설정하고자 노력한 결과물이었다는 점에서 1940년 전후의 비평사적인 의미가 있다. 해방 이후의 김 기림 비평 연구는 후속과제가 된다.

      • KCI등재

        식민지 본국의 지식 수용 양상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 2차 유학 이후의 김기림 비평을 대상으로 ―

        강정구,김종회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韓國思想과 文化 Vol.65 No.-

        This paper researches the post-colonialnistic aspect of Kim, gi-rim's criticism and essay that the colonized accept colonizer‘s savoir from 1936 to 1941. His criticism shows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This paper refers Homi Bhabha and John McLeod's post-colonialnism. This paper analyzes that Kim, gi-rim is misty existence because he is or not in colonial ruler in the his criticism and essay. Korean traditional apple and bower is 'in-between', because these is not for modern culture. Also his criticism is 'in-between'. On the contrary, his criticism serves as a momentum in that colonizer‘s savoir is not absolut and powerful. And, I search the aspect of acceptance of colonizer‘s savoir and cultural difference in Kim, gi-rim's criticism from 1939 to 1941. Kim, gi-rim indicates historial and social difference whice endangers narcissistic demand. This analyzes Homi Bhabha's concept such as micmicry. His ciritism is mimicry that shows acceptance and cultural difference on I. A. Richards's poetics(savoir)Moreover his ciritism is rewriting that gives the meaning on Miki Giyosi's discourse of east-asia(savoir), but informs cultural difference which is deny representation of the colonized by colonizer. Miki Giyosis's discourse of east-asia is fantastic and powerful. Kim, gi-rim shows cultural difference that he accepts Miki Giyosis's discourse of nation and culture, but cultural self-examination is important. 이 논문은 2차 유학 이후부터 1941년까지 발표된 김기림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피식민자가 식민지 본국인 일본의 지식을 수용하는 양상을 살펴봤다. 일찍이 서구의 근대를 수용·재창조한 일본의 지식이란 그것을 수용한 위치에 있는 한인에게는 진의 담론적인 위상을 지닌 것이었지만, 김기림의 비평은 그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기존의 연구사에서는 주로 민족주의적인 시각이 부지불식간에 전제된 감이 있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호미 바바와 존 맥클라우드의 탈식민주의론을 참조하여 지식의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의 양상을 세밀히 분석했다. 첫째, 2차 유학 중의 비평과 수필을 대상으로 하여 김기림이 식민지 본국에서 있으면서도 없는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희미한 실존임을 검토했다. 2차 유학 중에 발표한 수필 「林檎의 輓歌」의 ‘능금’과 수필 「인제는 늙은 望洋停-어린 꿈이 航海하던 저 水平線」의 ‘정자’는, 근대 문화가 식민지에 전파되는 것이 절대적·권력적·위계적이었고, 그로 인해서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는 사물이었다. 김기림의 비평 역시 본격적으로 수용한 식민지 본국의 지식에서 피식민자에 대한 논의가 부재했다는 점에서 ‘사이에 낀 위치’에 있었다. 이 때 평론 「科學과 批評과 詩-現代詩의 失望과 希望」과 「現代와 詩의 르넷상스」에서 확인되듯이, 그의 비평은 오히려 식민지 본국의 지식이 절대적·권력적·위계적이지 않음을 드러내는 계기가 되었다. 둘째, 2차 유학 직후부터 1941년까지의 비평을 대상으로 하여서 식민지 본국의 지식을 수용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양상을 검토했다. 김기림은 리처즈의 시학(지식)을 수용하되 그 지식의 권위가 지닌 “나르시즘적 요구를 위태롭게 하는” 역사적·사회적 차이를 드러냈는데, 이러한 수용과 문화적 차이화는 흉내내기의 양상으로 잘 분석됐다. 김기림의 평론 「科學으로서의 詩學」은 리처즈가 게쉬탈트 심리학을 활용하여 시학을 구성하는 과정을 잘 이해하고 그 논의(지식)를 수용하면서 피식민지의 “文明의 一定한 段階의 歷史的 特徵”이 ‘反映’돼야 한다는 역사적·사회적 차이를 드러내는 흉내내기의 일종이었다. 또한 김기림은 평론 「詩와 科學과 會話-새로운 詩學의 基礎가 될 言語觀」에서도 리처즈가 당대의 언어학에 영향 받아 구성한 시학을 잘 따르고 있음에도, 식민/피식민의 관계를 고려한 “一定한 歷史的 社會”를 중시해애 한다는 흉내내기의 전략을 보여줬다. 셋째, 김기림의 비평은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에 일정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면서도 식민자의 재현을 거부·반발하는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는 다시 쓰기였다.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론은 당대의 일본 지식인들에게 매혹적이고 권위적인 것이었다. 김기림은 평론 「朝鮮文學에의 反省-現代 朝鮮文學의 한 課題-」에서 서구 근대가 파산된 당대의 시점에서 배타적 민족주의를 넘어선 민족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는 미키 기요시의 민족 논의를 수용하면서도, 한 민족의 우월적인 ‘지도’보다는 “서로서로의 文化의 接脈과 包容과 尊敬”이라는 호혜적 원칙이 중요하다는 방식의 다시 쓰기를 보여줬다. 그리고 김기림은 평론 「「東洋」에 관한 斷章」에서 미키 기요시의 동아시아 문화 논의를 반복하면서도 동아...

      • KCI등재

        해방 이후 시 개론서의 출발과 세 가지 각도 -김용호, 조지훈, 김기림을 중심으로-

        박민규 ( Min Kyu Par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5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1

        1949~50년에 집단적으로 출현한 시 개론서들은 근대시사상 최초의 것이자 해방기를 거치며 쌓여온 시의 이론적 축적들을 여과하고 체계화한 학술적 산물로 볼 수 있다. 이 글은 김용호, 조지훈, 김기림의 시 개론서들을 비교 검토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세 개의 시 개론서들이 지, 정, 의의 방향에서 변별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그 구체적 차이를 내용/형식 문제의 반영이란 각도에서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김용호의 『시문학입문』은 시의 진실성을 내세우면서 기교주의 시를 비판했고, 근대 문학의 병적인 양상을 극복하기 위한 윤리적 인격의 도야를 시의 ‘내용’으로 삼을것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근대 자유시의 조건인 리듬의 ‘형식’이 어떻게 윤리적 내용과 결부될 수 있는지에 관해 논하지 못한 한계를 보였다. 이에 비해 조지훈의 『시창작론』과 김기림의 『시의 이해』는 해방기의 좌우 문단이 축적해온 내용/형식의 문제를자기화한 저서들로 볼 수 있다. 조지훈은 시정신의 ‘내용’을 언어적 ‘형식’으로 표현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시의 본원적 가치가 “科學이라든가 道德과는 다른” 미에 있음을 주장하였다. 그의 심미주의 시론은 ‘과학’과 ‘도덕’을 앞세운 현실주의 시관을 비판하기 위한 것이지만, 미적 감성(情)을 우위에 놓고 지성(知)과 윤리(意)의 유기적 결합까지를 도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김용호가 윤리적 의를, 조지훈이 감성적 미를 내세웠다면, 김기림은 과학적 지를 통해 시인과 독자의 시적 체험을 경험론적으로 해명하려 한 특징을 보인다. 그가 비판한 것은 관념적, 형이상학적 시론들이었다. 이의 극복을 위해 과학적 시학의 필요성을 부각한 김기림은 그 실현 방법으로 ‘시의 심리학’과 ‘시의 사회학’을 제시한다. 특히 그는 전자의 사례로 리처즈를 들며 그 의의를 집중 소개하기도 한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행동과 실천의 신념을 거부한 리처즈의 심리학적 시학을 ‘형식’에 매몰된 것으로 본 김기림은 형식과 내용을 아우르는 과학적 시학의 체계화를 위해 시의 사회학적 해명이 절실한 단계에 왔다고 생각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introductory books of poetics, respectively, by Kim Yong-ho, Jo Ji-hoon, and Kim Gi-rim published concurrently in 1949~50. From this study was found that the three introductory books wer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intellection, emotion, and will, and detailed differences were analyzed through the issue of content/form. Kim Yong-ho`s Introduction to Poetry(1949) criticized technical poems with emphasizing the truthfulness of poetry, and asserted that the cultivation of ethical personality should be the ‘contents’ of poems. However, he could not explain how the ‘form’ of rhythm was associated with the ‘contents’ of ethics. In contrast, Jo Ji-hoon`s Theory of Writing Poetry(1949) and Kim Gi-rim`s Understanding of Poetry(1950) reflected the issue of content/form that had been discussed in the left wing and right wing literary circle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Emphasizing that the ‘contents’ of poetry poesie should be expressed in the ‘form’ of language, Jo Ji-hoon argued that ‘beauty’ was the ultimate value of poetry. His aesthetic poetics was characteristic in that it criticized the realist view of poetry inclined to ‘science’ and ‘morality.’ While Kim Yong-ho advocated ethical will and Jo Ji-hoon did emotional beauty, Kim Gi-rim tried to explain poetic experiences through scientific intellection. What he criticized were ideational and metaphysical poetics. In order to overcome them, Kim Gi-rim underscored the necessity of scientific poetics, and suggested ‘psychology of poetry’ and ‘sociology of poetry’ as the methods. In particular, his book concentrated on I. A. Richards` psychological poetics. Ultimately, however, Kim Gi-rim viewed that Richards` poetics leaned toward ‘form’ of mentality, and therefore, he thought that sociological explanation of poetry was urgently required in order to systematize scientific poetics integrating forms and contents.

      • KCI등재

        1930년대 시문학파 · 모더니즘의 감정 환경– 서구 번역시 환경에서 본 김영랑·김기림 연구

        주현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1 No.1

        This paper studied on the status of various poetry’s methodology during the 1930s in the general korean literature. For overcoming "the uncontrolled emotions gushing" and the poor content of the 1920’s poetry, several poets of the 1930s tried to realize the modernity of Korean poetry through pure poetry and modernism such as Kim Young-ran and Kim Gi-rim. In this case, this study attend to understand the intertextuality’s relationship between Korean first modern poetry and Occidental modern poetry such French symbolism and english modernism, introduced in Korea at that time. However, it’s a widely acknowledged fact that Occidental poetries’ translation, such as Verlaine, Baudelaire, Yeats, Byron, influenced on the birth of the Modern Korean poetry. Korean litera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last century could not be free from the framework of literary translation. So the emergence of lyrical speaker in the works of Kim Young-ran and the suppressing of emotions in the works of Kim Gi-rim, these are modern literary efforts realized by the both. Especially, one of the first modernists Kim Gi-rim tried experimental architecture in literature such as Imagism. By the way, their modern representations in literature were surely influenced by many translations, screening wave of the Occidental literature at that moment. We can see that some evidences in Kim Young-ran’s poetry such as romanticism themes and non-eloaquent emotion’s emergence, also in Kim Gi-rim’s modernism such as romanticism portent such as hope of utopia and themes. In this case, study of the first modern Korean poetry should be focused on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with Occident modern poetry’s translation.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의 진정한 탄생이라고 평가받는 1930년대 한국시의 다양한 방법론적 시도가 일반적인 문학사에서 갖는 의의와 그 위상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1920년대 시가 보여준 “무절제한 감정 분출”과 “내용의 편중성”을 극복하려는 문학적 의지로서 1930년대 출현한 시문학파, 모더니즘, 생명파 등의 시인들이 보여준 노력은 한국 현대시사의 새로운 시작으로서 문학사적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렇지만 서구시의 번역이 태생적 환경인 한국 근대시는 지난 세기 전반기동안 번역문학의 틀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그런 까닭에 순수 서정시의 위상을 구축한 시문학파의 김영랑, 주관적 감상을 자제하는 서정적 화자를 출현시키며 이미지즘의 추구를 통해 시의 건축성을 실험한 모더니즘의 김기림, 이 시적 확대에 대한 탐구는, 한국 근대시라는 틀에서 뿐만 아니라, 당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문학 환경일 수밖에 없었던 서구 근대문학과의 상관성이란 견지에서 해석해볼 필요가 있다. 때문에 본 연구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주목받았던 서구 문학경향에 입각하여 김영랑의 순수 서정의 원천이 자리한 지점을 탐색해보았다. 또한, 김기림의 모더니즘이라는 이름으로 드러나는 사물의 세계에 대한 피상적인 흥분이 왜 모더니즘의 핵심인 현대성의 특성들로 연결되지 못하는가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따라서 김영랑의 순수 서정이 차분한 목소리로 표출되기는 하지만, 서구 낭만주의적 서정성과 근대문학 특히 베를렌의 시에 표현된 불가해한 감정과 뒤섞여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김기림의 모더니즘의 피상적 사물 세계를 받치고 있는 것은 낭만주의자 호모 로맨티쿠스의 공허한 이상과 심정이란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론에 의거하여, 한국 근대시의 진행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선 앞으로 서구 번역시와의 상호텍스트적 비교 연구가 더 확대되어야함을 요청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