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의 창의적 연구가설 설정에 미치는 영향

        허영주 한국교육방법학회 2012 교육방법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how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changed pre-teachers' creative hypotheses mak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88 pre-teachers who selected randomly out of 3 different universities. These pre-teachers were assigned to any one of the two groups which includ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t provide to an account of abduction's concept, process, features and 'form of abduction' in generating hypothesis through abduction for experimental group. The data collected after experiment carried out ANCOVA with pretest score as covariate variable.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It means that experience of abduction's educational program has positive effect for the creative hypotheses making. Also, experimental group' score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s, regardless of sex, academic year, grade level. Only,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nature science and engineering are less increase than score of pre-teachers who study social and human scienc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conclustion, I proposed that provide to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for pre-teachers and teachers in methodological approaches education. Also, it proposed for abduction's education program that varied strategies and communication methods give aid to abduction's process, practical use methods of abduction's form, investigation of sensitive factor with abduction process certainly be studied. 이 연구는 가추법을 설명하고 가추법 양식을 제공하는 가추법 교육활동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지를 알아보며, 창의적 가설설정 능력의 향상 정도가 예비교사들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3개 대학의 교직과정 이수 학생 488명을 대상으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분류한 후, 실험집단에게 가추법 교육활동을 제공하였다. 연구가설의 창의성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결과에 대한 일원 공분산분석(One-Way ANCOVA)을 실시한 결과,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된 실험집단이 가추법 교육활동이 제공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연구가설의 창의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경향은 예비교사의 성별ㆍ전공계열ㆍ학년ㆍ성적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예비교사의 연구방법론 교육내용으로 가추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효과적인 가추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추법의 각 과정을 도울 수 있는 전략들에 대한 연구, 가추법 교육활동에서 활용될 수 있는 의사소통 방법의 구안, 가추법 양식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가추법 과정에 수반되는 감성적 요인들에 관한 연구 등이 후속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스토리 창작 교육모형 형성을 위한 방법으로서가추법과 이야기 형식 모형의 적용가능성 탐색

        김효정 ( Su Hong Park ),박수홍 ( Hyo Jeong Kim ) 국어교육학회 2014 國語敎育學硏究 Vol.49 No.3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가추법과 Egan의 이야기 형식 모형을 창작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우선 스토리 창작에 가추법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가추법의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교수 설계 및 스토리 창작활동에 적용한 사례를 통해 스토리 창작에의 적용 방법을 탐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가추법을 활용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가추법을 활용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에서 부족했던 주제선정, 줄거리 구성, 스토리 작성, 감상과 비평, 퇴고의 단계에서 효과성과 효율성이 높은 전략으로 Egan의 이야기 형식 모델을 재구성하여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제시한 가추법과 이야기 형식 모형을 기반으로 한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은 비일상적 경험의 발견, 대면적 대화를 통한 아이디어 공유, 메타포를 통한 생각 모으기, 주제 세우기, 이항 대립으로 갈등 표현하기, 줄거리 조직하기, 스토리 작성하기, 감상과 비평, 스토리 고쳐쓰기의 핵심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해 스토리 창작 활동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검점하고 개선하는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arch a way to applying abductive reasoning and story form model for education on story writing. Abduction is a logic for formulation new hypotheses. And several cases that successfully applied an abduction to create new knowledge. For exploring instructional guidelines for applying abduction to teach story writing, we recast abductive reasoning as teach to knowledge creation, and story writing. For supplement abductive reasoning for story writing model`s faults we import Egan`s story form model. Abductive reasoning for story writing model lead students to do, such as offering figurative language that may cause cognitive conflicts, sharing of ideas through dialogue, using the discussion tools for diffusion or convergence Ideas, and Finding binary opposites, Organizing content into story form. Abductive reasoning and story form model have a possibility of applying education on story writing.

      • KCI등재

        活用形의 再分析에 의한 再構造化와 不明推論

        김현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2002 語學硏究 Vol.38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a reanalysis so as to make it more available for the explanation of historical changes of verb stems. I suggest first that the logical base of a reanalysis should not be an analogy but an abduction. A synchronic grammar including phonological rules, morphophonological rules, and any regularity such as a vowel harmony would be "laws"(of deduction); surface forms would be "results"(of deduction). So from these laws and results the listener abduces a different underlying form (="case" of deduction) from the speaker's in the same synchronic grammar.

      • KCI등재
      • KCI등재

        헤이그국제부양청구협약에의 가입가능성 모색을 위한 해석론적 접근

        이병화(Lee, Byung Hwa) 한국국제사법학회 2015 國際私法硏究 Vol.21 No.2

        오늘날 우리나라는 점차 증가하는 국제혼인으로 인하여 다문화가정이 상당수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 더욱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국제이혼사건을 비롯하여 섭외적 요소를 지닌 아동의 양육비지급청구사건 및 국제적 부양료청구사건과 같은 다양하고도 복잡한 섭외가사사건의 발생이 빈번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국제적 요소를 지닌 부양관련 사안의 경우에는 각국의 입법 및 판례가 매우 상이하므로, 공통된 해결책으로서 부양관련 국제협약의 체결 및 가입이 촉구되어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제적 부양문제와 관련된 그 어떠한 국제협약에도 가입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제적 아동양육 및 부양의무와 관련된 기존의 여러 협약들과의 유기적이고도 포괄적인 협력을 통해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가장 유력하게 대두되고 있는 헤이그국제부양청구협약에의 가입가능성 여부를 적극 모색해보고 있다. 더욱이 동 협약은 그 구성 및 내용이 상당히 방대한 편이어서, 특히 본고에서는 동 협약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중앙당국의 행정적 협력 및 기능을 중심으로 해석론을 전개하고 있다. 우선 동 협약의 배경 및 의의, 목적 및 적용범위, 구성 및 개요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더 나아가 동 협약상 중앙당국의 행정적 협 력 및 기능을 해석함에 있어서 행정적 협력의 필요성, 중앙당국의 지정・일반기능・특별기능・특별조치요청・비용을 중심으로 비교적 상세히 다루고 있다. 또한 동 협약에의 가입가능성을 논의함에 있어서 현행 국제사법상 부양규정에 관한 해석론과 동 협약 가입 및 이행을 위한 고려사항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가 헤이그국제부양청구협약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본고에서 다룬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더욱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야 한다. 즉 동 협약에의 가입가능성 여부를 논의하기에 앞서 그 선행연구로서 동 협약의 구체적인 내용을 보다 체계적으 로 해석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 철저한 사전준비야말로 가입 후 동 협약을 시행함에 있어서도 중대한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고를 통해 동 협약에의 가입가능성 및 필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본고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동 협약의 나머지 다른 부분에 관하여도 유용한 해석론적 접근을 계속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