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rt after the Cold War and 9/11 in Don Delillo`s Fiction

        류승구 ( Seung Gu Lew ) 한국현대영미소설학회 2010 현대영미소설 Vol.17 No.1

        This paper examines Don DeLillo`s recent novels that attempt to reassess the paranoid era of the Cold War and to contemplate its beyond, occasioned by the Fall of Berlin Wall in 1989, but more urgently by the September 11th terrorist attacks in 2001, the epochal event of apocalypse that DeLillo believes signals the true end of the Cold War. Whereas Underworld reconfigures Cold War history through the delicately calibrated lens of subdued nostalgia and euphoria, Falling Man, DeLillo`s direct response to 9/11, revisits the theme of terrorist conspiracy as America`s post-Cold War nemesis explored in The Names and Mao II. More concerned with envisioning what DeLillo describes as "counter-narratives" that could stand up to the narrative logic of terrorism and its fundamentalist vision of apocalypse, Falling Man yearns for a vision of national community, in which paranoia about terrorism is contained in such a way that it could itself be a ground for future communal discourse and networking. In so doing, however, the novel ironically summons a familiar Cold War era rhetorical juxtaposition between the "totalitarian man" and the "anxious man" propagated by Cold War liberal intellectuals. As an ironic gesture of what might be called post-Cold War liberalism, DeLillo suggests that art after 9/11 provide forms of "objective correlative" that may help the American Self regain the "vital" nerve to fight against the totalitarian vision of "mass purpose" and "historical destiny."

      • KCI등재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

        김봉중 ( Bong Joong Kim ) 한국미국사학회 2018 미국사연구 Vol.48 No.-

        본 연구는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의 상관관계를 추적한다. 여기서는 ‘선(先) 소련의 변화, 후(後) 미국의 대응’이나 ‘선(先) 미국의 정책, 후(後) 소련의 변화’와 같이 냉전의 종식을 설명하는 구도 중에서 어떤 것이 더 타당한 지를 따지는 해묵은 논쟁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대소 강경책으로 일관했던 초기 레이건 행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소련에 대한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의 본질에 대한 재검토와 함께 냉전의 종식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다. 흔히, 레이건의 외교정책은 ‘힘’에 근거한 철저한 반공주의로 소련과 그의 영향권에 속한 정권에 대한 강력한 압박으로 설명되었는데, 그것은 소련을 염두에 둔 실질적인 정책이기보다는 미국인들을 겨냥한 수사적인 움직임이었고, 미소 정상회담을 포함한 협상에서 별다른 영향력을 끼치지 못했다. ‘악마의 제국’과 ‘별들의 전쟁’, 그리고 ‘레이건 독트린’으로 대표하는 레이건 행정부의 외교정책은 적어도 대소 협상에 있어서 면밀하고 일관적이며 체계적으로 집행되지 않았다. 레이건의 ‘힘의 외교’가 냉전의 종식을 가져오지 않았다면, 향후 연구에서 미국 외교정책과 냉전의 종식을 푸는 복잡한 방정식에서 다른 어떤 변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중에 하나가 인권외교이다. 흔히, 인권외교는 카터 외교의 대명사로 받아들여졌고, 그것이 실패했다는 전제하에서 레이건 외교가 조명되었다. 그런데 몇 차례의 레이건-고르바초프의 회담이 진행되면서 인권문제는 핵동결과 전략무기 감축 못지않게 비중이 커졌으며, 레이건-고르바초프의 마지막 회담인 모스크바 회담에서는 인권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했다. This study traces the foreign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end of the Cold War. It avoids the old and popular formula of explaining the end of the Cold War - ‘changes in the Soviet Union first, then US responses’ or ‘US policies first, then the changes in the Soviets’. Rather, it focuses on the changes of Reagan administration’ diplomacy toward the Soviet Union, well known for its ’get touch’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By doing so, it would reevaluate the nature of the foreign policy of the Reagan administration and get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nd of the Cold War. Reagan’s strong anti-Communist diplomacy has been stressed in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and the nations under its influence. However, the US policy had little impact on the course of negotiation and the summits between Reagan and Gorbachev; it served as more of a rhetorical gesture toward the American public than a realistic strategy toward the Soviets. As far as Reagan’s foreign policy toward the Soviet Union is concerned, which has been symbolized with such terms as ‘Evil Empire,’ ‘Star Wars,’ and ‘Reagan Doctrine,’ it was hardly executed in thorough, consistent, or systematic way. If Reagan’s ‘power diplomacy’ has limitations to explain the complicating issue of the end of the Cold War, one has to look into some other factors in the future. One of them is human rights, which had long been ignored in the debate over the end of the Cold War. Carter’s human rights policy has long been judged as failure, and thus treated as a background of the Reagan’s new diplomacy. However, human rights issues had gradually gotten as mush attention as the nuclear and other strategic missile issues during the summits between Reagan and Gorbachev. Reagan treated human rights as the most important agenda in the Moscow Summit, the last summit between the two leaders.

      • KCI등재

        냉전시기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 고찰

        모희준(Mo, Hee-june)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5 No.-

        본 연구는 냉전시대 한국에서 발표된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난 종말의식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냉전시대에 접어들면서 미·소 양 진영은 경쟁적으로 과학기술 및 우주개발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념적 헤게모니 싸움의 도구로 핵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을 종전시킨 것은 핵무기였고, 전 세계적으로 핵무기의 위력이 알려지게 되면서 점차 핵무기를 통한 제3차 세계대전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 무렵 ‘종말’을 주제로 한 과학소설들이 등장하였다. 내적으로는 핵무기의 가공할 위력이 이 세계를 종말로 이끌게 될 것이라는 두려움과, 외적으로는 우주개발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이 지구 밖 미지의 생명체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이 과학소설이라는 장르를 빌려 나타나게 된 것이다. 한국에서는 한국전쟁이 끝난 직후 한낙원에 의해 최초의 과학소설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과학소설의 주 독자층은 아동 및 청소년들로 한정되어있었다. 그 이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과학소설이라 할 수 있는 문윤성의 『완전사회』가 등장하였다. 이 두 작가들의 작품에는 냉전시기라는 당시의 시대적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으면서도, 한국의 고유한 종말의식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냉전시기에 발표된 한낙원의 소설 『잃어버린 소년』과 『금성탐험대』, 그리고 문윤성의 『완전사회』를 통해 한국 창작 과학소설에 나타나는 종말의식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schatological consciousness observed in Korean creative science fiction works published during the Cold War era. Entering the Cold War, the U.S. and the U.S.S.R. raced against each other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research, space exploration, and nuclear power—the latter of which came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tool in the struggle for ideological hegemony between the world powers. Nuclear weapons brought the Second World War to its end, and as their power become known throughout the world, fear of a Third World War gripped people’s hearts. Around that time, science fiction works containing “the End” themes began to emerge. Internally, the fear that the dreadful power of nuclear weapons would lead the world to its termination and, externally, people’s curiosity about unknown lives outside the earth stimulated by space development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science fiction. In Korea, Han Nak-won published the first science fiction story following the end of the Korean War; however, the story’s major readership was limit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Moon Yoon‐seong’s Perfect Society, a full‐fledged science fiction novel targeting adult readers, was published later. The works of these two authors carry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ld War era, and also represent Korea’s unique eschatological consciousness. This study examines the patterns of eschatological consciousness described in Korean creative science fiction works through Han Nakwon’s A Lost Boy and Venus Expedition, and Moon Yoon‐seong’s Perfect Society, all published in the Cold War era.

      • KCI우수등재

        특집논문 : 포스트 냉전, 포스트식민 동유럽 집단기억 귀환 -폴란드와 러시아의 제2차 세계 대전 논쟁을 중심으로-

        오승은 ( Seung Eun Oh ) 한국서양사학회 2015 西洋史論 Vol.0 No.127

        본 논문은 폴란드의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집단기억을 서발턴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동유럽 현실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는 그간 ‘소수자 기억’으로 주변부화되었던 동유럽의 집단기억이 유럽 주류 역사의 장으로 귀환할 수 있는 물꼬를 터준 셈이 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동유럽의 집단기억은 서유럽에 의해 타자화 되고 소련에 의해서는 종속화 되어 정치적 발언권을 박탈당한 상태였다. 냉전의 해체는 이러한 상황을 역전시킬 수 있는 주요한 게기를 제공해주었다. 그러나 동유럽의 유럽사 통합이 아무런 갈등과 저항 없이 순조롭게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2005년 모스크바에서 열렸던 제2차 세계대전 종전 60주년 기념식을 전후하여 폴란드와 러시아 간에 벌어진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해석 전쟁’은 탈냉전시대 지정학의 의미가 무엇인지 다시 묻게 만드는 사건이었다. 러시아 지도부가 보인 ‘불통’의 양태는 포스트 냉전 시대, 탈냉전 시대 새로운 역사 쓰기가 결코 평탄하지 않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question of collective memory in post-socialist Eastern Europe,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provided an opportunity for Eastern European countries to have their collective memory back and incorporate it back into the mainstream history of united Europe. But the efforts to bring back the Eastern voice back into the European historiography puts Poland on the collision course with Russia. This is well demonstrated i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60th Anniversary of the ending of World War II in Moscow in 2005. Russia wanted to reaffirm its contribution to the end of the World War and thereby to take its pride back as former Superpower, not as a subaltern empire. But by doing so, Russia neglected Poland’s newly emerging calls for representing itself on the scene of history. All in al the Anniversary serves to reveal the geopolitical interests of post-Cold War, and postcolonial Europe which remains entangled as much as in the Cold War.

      • KCI등재

        문선명․고르바초프 특별회담 30주년의 회고와 함의: 멀티트랙 이론을 중심으로

        유경득,주우철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3

        The year 2020 marks the 30th anniversary of the declaration of the end of the Cold Wa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socialist republics country. The Bolshevik Revolution of 1917 made Russia a communist and later, half of the world became socialists. The socialist system, however, declined due to the continuous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the absence of innovation, thus, it disappeared into history after 73 years since the first establishment of the socialist state. Based on this, many people remember the role of Sun Myung Moon as the world peace activist. In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it is natural to see General Secretary Mikhail Gorbachev and President Ronald Reagan as the most contributors to the end of the Cold War. It is, however, cautious to mention Sun Myung Moon as a non-governmental leader, who was a contributor to the end of the Cold War as wel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hus, to examine the reason why the civilian religious leader Sun Myung Moon is remembered as an important contributor to the end of the Cold War by looking at his achievements, consistent practice of unification efforts, and meetings he had with Mikhail Gorbachev in the transition period. 2020년은 사회주의 종주국 소련의 붕괴로 인하여 냉전 종식이 선언된 지 꼭 3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17년 볼셰비키 혁명으로 러시아가 공산화되었고, 이후 세계의 절반이 사회주의화 되기도 했다. 하지만 사회주의 체제는 생산성의 지속적 하락과 혁신의 부재로 하락의 길로 접어들었고, 결국 최초의 사회주의 국가 수립 73년 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접어들었다. 이 과정에서 세계평화 활동가로서 문선명 선생의 역할을 기억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국제정치사적으로 고르바초프 서기장과 레이건 대통령을 냉전 종식의 1등 공신으로 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하지만 국가정상이 아닌 민간 지도자로서 문선명 선생을 냉전 종식의 공헌자로 거론되는 것은 결코 단순한 일이 아니다. 이 글에서는 민간종교 지도자인 문선명 선생이 왜 냉전 종식의 중요한 공헌자로 기억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문선명․고르바초프회담의 전개와 그 성과 및 전환기 문선명 선생의 일관된 통일노력의 실천을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사상계』와 세계문화자유회의

        권보드래(Kwon Boduerae)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1 亞細亞硏究 Vol.54 No.2

        ??By examining Sasanggye, one of the most important journals throughout the 1950s and 1960s, I tries to grasp the mode and degree of influence from global circulation of the cold war ideology. Towards such goal, a comprehensive list of translated articles was created and the task of tracing the original author, source and initial date of publication was attempted. The most popular names and titles from the list of source authors and magazines(books and newspapers are excluded here) are as follows: B.Russell, S.Hook, A.Camus, S.Maugham, B.Moore, W.W.Rostow, A.Toynbee, A.Schlesinger Jr., K.Jaspers, K.Gibran, E.Brunner, and Foreign Politics, Encounter, Saturday Review, World Politics, New Leader, Current History, Harper’s. I’d like to incept the titles of non-English magazines such as N.R.F., Preuves, Der Monat, Merkur, Tempo Presente, Prezeglad Kulturalny, Possev. Most of those names are related to the congress for cultural freedom(1950-1967) which was built to advocate the value of liberty and to attack on the spread of totalitarianism. Congress for cultural freedom(C.C.F.) was a creation to form the America-dominated solidarity among intellectuals across the Atlantic, and its core was the cultural hegemony of ‘free world’ in the age of cold war. Sasanggye was participating in such a global sequence of cold war ideology, and exhausted its intellectual vitality in the course of cold war liberalism.

      • KCI등재

        레이건과 고르바초프의 정상회담 연구:주요 의제분석과 그 함의

        유나영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20 평화학연구 Vol.21 No.3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ontent of Reagan-Gorbachev’s five summits and to figure out its implications. The conventional studies had not dealt with the summits carefully despite the significance. This paper considers the main agendas of these summits by dividing them into military, human rights, and third world issues. The most crucial point for the military sector was to narrow the gap on SDI. After the confrontation of the subject was resolved, their negotiations made rapid progress. The human rights agenda has also become more flexible as the two sides continue to meet. The Soviet Union has become less ideological than the United States in solving third world problems. The critical issue at the summit was SDI, which indicates Reagan's strong military plan was the main cause of the end of the Cold War. Nevertheless, without Gorbachev's forward-looking attitude towards America, the talks would have failed.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se five summit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uilding trust between the U.S. and the U.S.S.R., and it led to the end of the Cold War. 이 논문의 목적은 레이건과 고르바초프의 다섯 차례 정상회담 내용을 분석하고, 그 함의를 파악하기 위해서이다. 이들의 정상회담은 냉전종식에 큰 영향을 주었음에도 기존연구에서 면밀히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정상회담의 주요의제를 군사, 인권, 제3세계 문제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군사부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전략방위구상(SDI)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줄이는 것이었고, 결국 이 문제가 해결되고 난후 양측의 회담은 급진전되었다. 인권의제 역시 양측은 만남을 계속할수록 유연한 입장이 되었다. 제 3세계 문제 해결에 있어서는 소련이 미국보다 더 이념논리에서 벗어나는 특징을 보였다. 이들의 정상회담에서 가장 큰 논의사항은 SDI였으며, 이것은 레이건의 강력한 군사계획이 냉전종식의 주요한 원인을 제공하였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고르바초프의 미국에 대한 전향적인 태도가 없었더라면 회담은 실패로 귀결되었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다섯 차례의 정상회담을 통해 미소 양국은 신뢰를 쌓았고 이는 냉전종식의 초석이 되었다.

      • KCI등재

        The RMA of the U.S. and “Doing More with Less”

        이장욱(李章旭)(LEE Jang-Woo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2 신아세아 Vol.19 No.1

        냉전종식 이후 미국은 그 어떠한 적대세력에 대해서도 압도적 승리를 거둔다는 야심찬 국방혁신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자국의 압도적 군사력을 바탕으로 세계안보에 적극적 역할을 수행할 것을 천명하고 국제질서의 안정을 위해 미군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왔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는 지금의 시점에서 바라볼 때, 미국의 군사력건설은 계획한 결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 중반부터 병력 부족 및 전비태세 악화 문제가 미국 내에서 제기되어 왔으며, 2000년대 이라크 및 아프간 전 당시에는 병력문제를 두고 군 내부에서도 반발이 제기되었다. 부시정부 말기에 가면 미국의 전비태세가 베트남전 이래 최악의 상황이라는 보고서도 나오게 되었다. 병력과 관련한 미군의 문제는 이를 지켜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의문을 던지게 만든다. 과연 무엇이 세계최강의 군대를 병력부족에 처하게 만들었는가에 대한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최고의 군사강국 미국이 처한 병력부족의 원인을 분석하고 미국의 군사혁신이 안고 있었던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을 고민해볼 기회를 마련했다. 본 논문은 냉전종식이후 최근 미국이 겪은 군사적 어려움의 원인에 대해 “과도한 병력감축과 이에 더해진 임무증가(Doing More with Less)”에서 찾았다. 냉전종식이후 미국의 군사개혁안은 그 누구도 도전할 수 없는 군사력을 건설한다는 야심찬 내용이었다. 하지만 미 클린턴 정부는 목표달성에 필요한 첨단군사기술 및 전술의 배치 및 적용을 달성하지 못한 상태에서 단 기간내에 급격한 병력감축을 시행했고 여기에 더해 냉전기간 대비 약 3배의 군사임무를 부과하고 말았다. 이러한 과도한 병력감축과 군사임무 부과는 미군으로 하여금 고질적 병력부족 및 전비태세 악화라는 문제를 겪게 만들었고 이라크전 및 아프간전 수행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클린턴-부시-오바마 행정부의 군사혁신 추진과정을 통해 미국이 겪고 있는 과도한 병력감축과 임무증가가 발생하게 된 과정 및 그것이 군사력 운용에 미친 영향을 짚어보고 각 행정부에서 이에 대응하기 위해 활용한 방안 및 그 방안이 가지고 있던 한계를 분석해 본다. 이러한 미국의 사례 통해 본 논문은 군사혁신 및 국방개혁에 있어서 전략적 목표와 수단간 조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병력운용 및 병역제도 혁신에 있어 신중한 접근이 얼마나 중요한 사항인지를 역설하고 있다. The U.S. military seemed to be at its zenith in the 1990s. The U.S. made a symbolic victory in the first Gulf war and tried to build up its military into “full spectrum dominance.” Many countries followed the United States RMA model. The ambitious U.S. RMA programs were intended to build up the U.S. military into “full spectrum dominance.” However, the U.S. military forces in the beginning of the twenty-first century were not as dominant as was anticipated, but were smaller, over worked and demoralized more than ever. In the Bush administration, U.S. military readiness had deteriorated to levels not reached since the Vietnam War. This type of difficulty has not been analyzed and demands further research.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s the difficulties that the U.S. military has been facing and furthermore it tries to find ou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and the implication on RMA. This article analyzes the U.S. military plans and its realities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U.S. military difficulties came from “Doing More with Less” since the Clinton administration. Drastic personnel reduction and increasing operations created a serious gap between the military’s capabilities and its goal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U.S. focused on its capability and considered various alternatives such as increasing active forces, allocating U.S. force to allies and military outsourcing (military commission to private military companies). However, each alternative created additional problems such as resistance from congress, friction with allies or financial burden. Finally, the U.S. took action to recalibrate the size of its forces and military missions. The argument in this article introduces a unique analysis of current U.S. military problems and an implementation of RMA(Revolution in Military Affairs). Finally, this article emphasizes that more importantly than military technology for RMA, appropriate personnel levels are crucial for future military success.

      • KCI등재
      • KCI등재

        포스트 냉전기 지역학의 전개: 중국지역연구를 중심으로

        정종호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0 국제지역연구 Vol.29 No.3

        This study sets out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area studi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Specifically, the field of China studies is analyzed as case study to explain the formation of post-Cold War area studies.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rea studies in the post-Cold war period demonstrate two fundamental points. First, the post-Cold war area studies have been directly influenced and shaped by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ree major chang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acted as the turning points for transforming the characteristics of area studi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the end of the Cold War following the collapse of the former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an Socialist Block;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 and the reconstruction of the US-led unipolar order; an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rise of China. Second, the changes in area studies during this period were also simultaneously influenced by discussions in and across academic disciplines, especially social sciences. Examples of such academic discussions include those on the prevailing consensus of the western world after the Cold War, including the ‘end of history’ thesis; the theory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cultures subsequent to the September 11 attack; and the China Model discourse following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onclusively, the transformation of area studies’ defining features in the post-Cold war epoch bears a close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new hegemony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and discussions in and across academic disciplines. 본 논문은 포스트 냉전기 지역학의 역사적 전개과정에 관한 글이다. 특히 포스트 냉전기 지역학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학의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 포스트 냉전기 지역학의 역사적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은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포스트 냉전기 지역학은 국제질서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형성되어 왔다. 구체적으로는 구소련 및 동유럽 사회주의의 몰락과 이에 따른 냉전체제의 붕괴, 911사태와 미국주도 질서의 재구성, 글로벌 금융위기와 중국의 부상이 포스트 냉전시기 지역학 성격변화의 중요한 변곡점을 제공하였다. 둘째, 포스트 냉전기 지역학은 이러한 국제질서의 변화뿐만 아니라 동시에 분과학문, 특히 사회과학에서의 논의에 영향을 받았다. 냉전체제의 붕괴 이후에는 역사의 종언을 포함한 서구의 지배적인 통설, 911사태 이후에는 문명 및 문화 담론, 그리고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중국모델론이 그 예이다. 결국 포스트 냉전기 지역학의 전개는 국제질서의 변화 및 분과학문 논의의 변화에 따른 헤게모니 수립 및 유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