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박순희,이주희,김은진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6

        최근 다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여러 학문분야에서 이주민과 그들의 자녀에 관한 프로그램이 많이 실행되고 있으나 거주민에 대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다문화사회에 요구되어지는 문화적 민감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함으로써, 청소년들을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모두 총 13회기에 걸쳐 실시되었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 문화적 민감성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의 다문화 및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 등의 변화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문화적 민감성 점수가 향상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실험집단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생각, 다인종‧다민족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이 사회구성원 전체를 위한 교육으로서 그 의미와 성격이 새롭게 규정될 필요가 있고, 다문화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이를 인정하고 수용할 수 있는 교육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Although with increasingly growing concern in multi-culture, programs for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have been executed in several disciplines recently, there are few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residents.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college students and its effects on cultural sensitivity that is required for multi-cultural society were analyz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total of 13 sessions and cultural sensitivity score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analyze program effects. Also, the change level of perception and attitude on multi-culture and multi-cultural family and ability to understand and accept diverse culture were analyzed among participants. As a result, the cultural sensitivity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improved. With the progress of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positive direction in an idea on multi-cultural family, a bias and prejudice to multi-ethnicity and multi-race, and ability to understand and accept diverse culture.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education for the whole society members again.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an educational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for society members to admit and accep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to realize multi-cultur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지역문화자원 개발 모형에 기초한 청소년문화 Zone 운영모형 개발-제주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진호,최창욱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5 No.2

        Using the 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model at the regional level, this paper explored a youth cultural zone model in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e. The concepts of specialized cultural content for youth program, specialized culture experience program for youth, youth cultural zone, cluster-type youth cultural program were devised based on the concepts of cultural contents, cultural delivery platform, cultural terminal, cultural complex which were developed in the cultural resources development model. The first stage of this study was done by discovering specialized cultural contents for youth program in Jeju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tudy. The results proved that Jeju had abundant cultural resources which were able to use for experiential learning programs for youth. The second stage was to develop specialized culture experience programs for youth.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delivery platform, 39 types of specialized culture experience programs for youth were developed. The third stage was to develop Jeju youth cultural zone. In this study, Jeju youth cultural zone which were consisted of 6 sub-cultural zone was designed based on the concept of cultural terminal. The fourth stage was to develop cluster- type youth cultural program. Cluster-type youth cultural program make full use of cultural contents dispersed in Jeju through connecting and networking these resources. In this study, 5 cluster-type youth cultural program were developed. Finally, Challenges for activating Jeju youth cultural zon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지역문화자원개발 모형을 활용하여, 제주지역에서의 청소년문화존 운영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지역 문화자원개발 모형에서 새롭게 제기되는 문화컨텐츠, 문화전달플랫폼, 문화터미널, 문화클러스터의 개념은 청소년문화특화컨텐츠, 단위형 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 청소년문화존, 클러스터형 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의 개념으로 응용하여 활용하였다. 문헌 및 자료연구, 현장조사를 통해 제주지역 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과 관련된 자원을 조사한 결과 제주도는 도서성으로 인해 특이한 자연환경과 독특한 섬문화를 유지 · 발전시켜 왔으며, 육지에서 체험할 수 없는 희소성이 높은 체험활동 소재들이 무수히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제주국제자유도시, 국제평화의 섬 지정등과 연계되어 추진되고 있는 지역개발 자원들은 국제교류 중심의 테마형 청소년체험활동의 소재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원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자문회의 및 워크숍을 통해 제주 청소년문화특화컨텐츠를 발굴하고, 이에 기초하여 총 39개의 단위형 제주청소년문화특화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의 지역발전축과 연계하여 복합문화Zone(제주시권역), 국제교류/영상Zone(서귀포시권역), 생태/환경Zone(구좌권역), 향토민속문화/레포츠Zone(성산권역), 역사/안보/문화예술Zone(대정권역), 호국/생태Zone(한림권역) 등 6개의 청소년문화존을 개발하였다. 또한 제주도 전역에 퍼져있는 동질의 문화컨텐츠들은 클러스터형 문화특화프로그램의 개념을 활용하여 문화체험코스나 벨트의 형태로 제주생태․환경탐사BELT, 제주역사․유적체험BELT, 레포츠 체험BELT, 제주문화 체험BELT, 제주산업 체험BELT 등 5종의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설계된 제주청소년문화존 운영모형이 갖는 기대효과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과제들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후보

        문화재 활용사업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남혜윤(Hye-Yun NAM),이송(Song LEE)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1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문화재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문화재가 갖는 내재적 가치와 의미를 전통예술공연으로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야행프로그램’은 2016년부터 실시, 2021년 43개 지역 문화재에서 실행되고 있다. ‘고궁 야행프로그램’을 거쳐 지역의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으로 시범사업이었던 창덕궁 달빛기행, 경복궁 별빛야행과 지역의 특성을 담고 있는 강릉 문화재야행, 경주 문화재야행, 전주 문화재야행을 중심으로 연구의 제한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먼저, 연구의 과정으로 문화재 야행프로그램 현황과 특징 분석, 문화재 활용 관련 선행 연구 자료조사와 야행프로그램 기획담당자와의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에서의 전통예술공연 활용과 전통예술 콘텐츠 플랫폼으로서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체험프로그램과 공연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화가 핵심이다. 둘째,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 콘텐츠를 다양화가 필요하다. 셋째, 단순한 문화재와 콘텐츠뿐 아니라 8야와 같은 다른 콘텐츠와 연계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넷째, 문화재 및 해당 지역의 특색에 부합하는 전통예술공연 프로그램의 구성, 기존의 전통문화를 재해석하여 창작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차별화되는 콘텐츠를 기획 또는 제작하기 위해서는 공연예술 감독과 같은 전문 기획가 및 전문예술가들이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한다. 마지막으로 기존 문화재 야행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는 매우 높지만 수요를 충당하지 못하고 있기에 횟수를 늘려 일반인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야행프로그램의 전통예술공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객층 대상 만족도, 전통예술 콘텐츠 만족도 또는 활용 가능성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를 축적하여 실증적인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revitalize the essential value and meaning of cultural properties through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Cultural Heritage Night Program conduct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nocturnal program was implemented in 2016 and 43 local cultural properties were implemented in 2021. Through the Old Palace Night Trip Program, we focused on the Changdeokgung Moonlight Trip, Gyeongbokgung Starlight Night Trip, Gangneung Cultural Heritage Night Trip, Gyeongju Cultural Heritage Night Trip, and Jeonju Cultural Heritage Night Trip. First, the research process was conducted through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operties night programs, preliminary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use of cultural properti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ight program planning personnel. Accordingly, a plan to utiliz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for cultural property night travel programs and activate them as a traditional art content platform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key is to make content through storytelling of experience programs and performance programs. Secon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contents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of night travel programs. Third, it is urgent to link not only simple cultural properties and contents, but also other contents such as 8 nights. Fourth, efforts are needed to reinterpret the composition of traditional art performance programs suitable for cultural properti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existing traditional culture. Fifth, in order to plan or produce differentiated content, professional planners and professional artists such as performing arts directors must jointly carry out the project. Finally, the demand for existing cultural property night travel programs is very high, but since it cannot meet the dema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participate. In addition, in order to revitalize traditional art performances in nocturnal programs, additional empirical studies must be conducted by accumulating systematic data on audience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raditional art content, or availability.

      • KCI등재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

        양병훈 한국문헌정보학회 20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서울시 소재 142기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일반현황과 문화프로그램 현황을 설문조사하였다. 도서관에서 현재 수행하고 있는 기능은 공․사립 모두 자료대출반납, 문화프로그램 운영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프로그램 또한 공․사립 모두 과반수 이상 운영하고 있으며, 운영하지 않는 기관들은 운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정기적으로 운영하는 문화프로그램 수는 공․사립 모두 1~3개이고, 그 유형은 문화교양과 독서관련 프로그램으로 나타났다. 문화프로그램 운영 담당자는 공립은 행정직원, 사립은 도서관장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며, 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어려운 점은 공․사립 모두 예산과 인력확보로 조사되었다. In an attempt to study the current status and ways to revitalize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is study surveyed 142 small libraries based in the Seoul. Two most important functions of both public and private small libraries were found to be the loan/return of materials and cultural programs; over 50% of small libraries are operating cultural programs. It was also found that institutions that did not operate the cultural program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Both public and private small libraries were operating one to three cultural programs, and their types varied from cultural refinement to reading-related programs. There was a higher rate of answers stating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operating cultural programs for public small libraries were administrative personnels, while the chief librarian was the person in charge for private small libraries. The hardships both types of libraries encountered were found to be budget-related and on securing manpower.

      • KCI등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안인자,황금숙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3

        Supporting strategies of national level are required as the cultural programs in Korean public libraries are becoming one of key tasks which takes more than 30% of total library duties. This study proposed 6 categories of supporting strategies as national and local libraries based on analysis of 88 public libraries's cultural programs and their requirements. The study's research methods mainly include literature investigation, case study and expert panel group discussions. The 6 supporting categories that this study proposes are: ① Advisory committee working, ②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he cultural program models ③ Development of cultural program packages, ④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educational programs for cultural program librarians, ⑤ Financial support policies, ⑥ Human Resources and networks for local level programs. 공공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 업무가 전체업무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업무로 부각됨에 따라 국가차원의 지원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88개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 현황 및 지원요구 사항을 기초로 하여 정부기관ㆍ지역대표도서관 차원에서의 지원 사항을 6개 분야에서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를 통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안 분야는 ① 자문위원회 운영, ② 프로그램 모형 개발ㆍ보급, ③ 프로그램 패키지개발, ④ 실무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시행, ⑤ 자원(지역프로그램, 강사)보급을 위한 DB구축과 연결망이다.

      • KCI등재

        지역문예회관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 결정요인

        장주신 ( Jushin Jang ),신형덕 ( Hyung-deok Shi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7 유라시아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아시아 문화권 중에서도 한국적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이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결정하는지 조사함과 동시에 이를 통해 지역 간 문화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지역문예회관에서 운영 중인 문화서비스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측정해 이와 문예회관의 운영주체, 지역의 경제적, 문화적 환경요소가 가지는 유의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의 문화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전국문예회관에서 2014년5월부터 6개월간 이루어진 3,485개의 프로그램을 수집하였으며 각 프로그램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수준을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재단법인 운영주체, 재정자립도, 문화기반시설 수는 문화수준과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역 내 문화기반시설의 수와 문화수준과의 높은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내 물리적인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것이 질적인 면의 문화수준을 향상하는 것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간의 실증분석을 통해 개별적인 유의성이 확인됨으로써 각 변수들의 지역 간 격차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공에게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지역 환경 및 문화기반시설의 특성에 대한 고려와 함께 지역 간 균형성장을 위한 제도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전국 문예회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3,485개의 교육프로그램을 일일이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화수준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연속변수를 발견하지 못하여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의 두 단계의 구분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측정치가 발견되기를 기대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문화관련 교육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했던 이유로 인해 214개 문예회관 중 81개의 문예회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문예회관을 대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문화수준 변수를 이용할 것을 기대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연구 단위로 이용한 시군구 지역의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광역도시 여부 변수를 사용하였으나 좀 더 구체적인 통제변수로서 연령대, 평균 소득, 교육수준 등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학이나 백화점 문화센터 등 대체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기관의 수도 통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환경의 변수로서 물리적 환경인 문화기반시설의 수를 이용했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문화자본과 관련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다양한 유형의 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려가 더욱 포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environment and cultural infrastructure determine the cultural level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regional cultural level. In order to identify these differences in detail, we measured the cultural level of educational programs centered on cultural services operated by the local literary halls, and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of the local community. In order to confirm the cultural level of the educational program, 3,485 programs were collected from the National Literature Hall from May 2014 for 6 month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foundation, financial self - reliance, and number of cultural infrastructur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ltural level. It was also found that the expansion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in the region wa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cultural level of the qualitative aspect and also the individu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m. This suggests that the provision of cultural services to the public needs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cultural infrastructure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balanced regional growth.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even though this study investigated all the 3,485 education programs run by regional culture centers over the nation, we couldn`t find proper continuous variables that may measure cultural capital level of the programs. Thus, we had to dichotomize level into `high` and `low` to avoid any possible measurement bias. We expect that future studies can find good continuous measures to capture the level of education programs. Second, since the data of this study included only regional culture centers that have culture-related education programs, we had to use 81 centers out of 214 centers.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use variables that may cover more centers. Third, we used `Metro(police)` variable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areas, future studies may use more specific variables such as average age, average income, educational level, and so forth. Also, variables for the number of alternative education institutes such as college programs and department store education programs. Lastly, for cultural environment, more diverse cultural elements of areas may be used beyond just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that are us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와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강주현,김세준 한국예술경영학회 2014 예술경영연구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 stand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satisfaction of TV’s art and cultural programs and cultural consumption based on the Uses & Gratifications approach which is focused on audience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audiences. Targeted at audiences aged 20-60 who have experiences in watching arts and cultural TV programs. The factors of viewers motives of arts and cultural TV programs are as followings; recreation and rest, spending time, escape & companionship,information. The structure of viewers motives revealed in this study is similar to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As results of view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iewers motives, recreation and rest, escape & companionship, information factors are positive influences on viewers satisfaction, but spending time factors howed negative. Especially for recreation and rest, information factors effectedon the viewers satisfaction significantly. The ratio of the experience of cultural consumption by the influence of arts and cultural TV programs was 93.5%. As one stage higher of information, more than five times higher possibility of cultural consumption, and one stage higher the viewing satisfaction, more than two times higher.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ase of patterns of cultural event viewing are 1.7 times more than cultural event participating, so the cultural consumption influenced by the arts and cultural TV program is concentrated in cultural event viewin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udience about arts and cultural TV programs for the first time thus this would be helpful to offer the basic materials for further researches such as improvement plans of arts andcultural TV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가장 대중적인 매체인 지상파 TV의 문화예술관련 프로그램 시청동기 요인이 만족도 형성에 끼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이 실제적인 문화예술소비와의 연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TV는 다양한 미디어 매체의 등장에도 여전히 가장 대중적인 미디어 매체로서의 자리를 지키고 있어 그에 따른 책임과 의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인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실제 해당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이해를 위해 수용자 이용과 충족 이론을 활용하였고, 각 연령대의 지상파 TV 문화예술 시청 경험이 있는 수용자로 하였다.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 수용자는 그들의 욕구가 반영된 시청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을 능동적이고 목적 지향적으로 선택한다고 전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 시청자의 시청 동기 구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으로는 오락과 휴식, 두 번째 요인은 시간 보내기, 세번째는 도피 및 동반자, 네 번째 요인으로는 정보 취득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시청 동기 구조는 TV 시청 동기를 연구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 비슷한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TV를 통해 충족시키고자 하는 수용자들의 기본적인 욕구가 강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시청 동기에 따른 시청 만족도의 결과로는 시청 동기 요인 중 오락과 휴식, 도피 및 동반자, 정보 취득은 시청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시간 보내기 요인은 아닌 것을 밝혔다. 특별히 오락과 휴식 요인과 정보 취득 요인이 시청 만족도와 두드러지게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오락과휴식, 정보취득을 위한 동기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을시청하였을 때 시청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영향을 받아 그에 관련하여 문화예술 소비를 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93.5%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청 동기 요인 중 정보취득이 한 단계 올라갈수록 그에 따른 문화예술 소비 가능성이 5배 이상, 시청만족도가 한 단계 높아질수록 2배 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예술 소비 영역 중 문화관람 유형이 문화참여 유형보다 1.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에서 영향을 받아 실행한 문화예술 소비는 문화관람 유형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편성 시간대의 개선과 수용자의 시청 동기를 고려한 프로그램 구성이 필요하며. 또한 시청 만족도를 높이고 이들 프로그램의 시청 효과의 하나의 단면으로 볼 수 있는 해당 프로그램 관련한 문화예술 소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상파 TV 문화예술 프로그램에서 오락과 휴식 요인과 정보 취득 동기의 충족을 강화할 수 있는 방편이 모색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정시설의 문화예술 프로그램 순회사업 분석

        김지현 아시아교정포럼 2017 교정담론 Vol.11 No.1

        시공간으로부터 격리의 공간인 교정시설은 수형자의 삶의 질을 보장할 수 없으며 이는 수형자의 수감 기간 이후 성공적인 사회복귀에 긍정적일 수 없다. 이에 국내 교정시설을 폐쇄적이며 획일적인 공간으로부터 인성 회기의 재창조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제도화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는 2004년부터 복권 수익의 일부를 법정 배분하여 소외계층을 위한 문화나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교정시설에 속해 있는 수형자를 특수한 계층에 속한 문화소외 대상자로 구분하고 전국의 교정시설을 찾아가는 문화예술 프로그램 순회사업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이 프로그램은 교정시설의 수형자에게 문화예술 프로그램 관람을 통해 심신의 안정과 사회성 회복을 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현재 국내 교정시설에서는 수형자의 긍정적인 사회복귀를 위해 사회에서 요구하는 학력 취득과 기술 습득에 관련된 교정교육 프로그램에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형자의 사회성 회복을 위한 매체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전국 교정시설에서 실시되고 있는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였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교정시설 문화예술 프로그램 순회사업은 참여하는 교정시설이 확대되고 있으며 수혜자인 수형자의 참여 만족도도 긍정적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제한된 재원과 교정본부의 수형자 안전 등을 고려하여 현재의 교정시설 문화예술 프로그램 순회사업은 수형자 전체를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다. 법무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수형자에게 수형기간 동안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 관람을 통해 안정된 수형 생활과 수용자 내면의 사회 관계성 회복 의지를 확보해야 한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제도적으로 법무부의 기존 교정프로그램과 병행하여 수형자의 형기와 범죄 유형에 따라 사회복귀, 타인과의 공감, 자기정체성 회복 등의 목적에 부합되는 단계별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점진적으로 고위험군의 수형자와 여성 수형자 그리고 재범률이 높은 정신장애 수형자를 위한 전문적인 문화예술치유 프로그램도 연구해야 할 것이다. The correctional facility, from four-dimensional space to isolated space, can not guarantee the quality of life of a prisoner, and this can not be a positive response to successful return to society after the imprisonment period for a prisoner. Therefore, various policies are being institutionalized to transform domestic correctional facilities from closed, uniform space to recreation space of humanity period. Since 2004, th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been distributing a portion of the lottery revenues to the public to promote cultural sharing programs for the underprivileged. The prisoners who belonging to the correctional facilities are classified as cultural alienated persons that belonging to a special class. And would like to include the cultural arts program which visit the national correctional facilities in tour business. This program i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mind and body stability and sociability of prisoners who are in correctional facilities through viewing cultural arts programs. Currently, domestic correctional facilities focus on correctional education programs which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education and skills required by society, in order to help prisoners return to society positively. In this paper, analysis of investigation has done, such as the necessity of cultural arts programs for the recovery of sociability of prisoners and the cultural arts programs implemented in the national correctional facilities. Currently, the number of correctional facilities participating in the touring cultural arts program is expanding, and satisfaction of prisoners' participation is also positively examined. However, considering the limited resources of the Korea Culture & Arts Commission and the safety of prisoners in the correctional headquarters, the tour business of the cultural arts program in the correctional facilities is conducted for all prisoners.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should ensure that the prisoners will be able to have a stable lifestyle and recover social relations through various cultural and arts programs. In order to realiz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ep-by-step cultural arts program in line with the purpose of restoring society, empathizing with others, and restoring self-identity according to criminal punishment and criminal type in parallel with the existing correction program of the Ministry of Justice. And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professional cultural and arts healing programs for high - risk prisoners, female prisoners, and high - risk recidivism victims.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과 유형 분석 - 2010년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

        양은아 한국예술경영학회 2012 예술경영연구 Vol.0 No.22

        This study analyzed the Annual Lifelong Education National Survey data 2008-2010 to select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nd review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provided by adult non-formal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Her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in this paper is defined as an education program that teaches and cultivates the capabilities of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s related with cultural arts. In this paper, I conducted three key analyses: (1) the typologies of the provision institutions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s well as of the programs that are provided were theoretically invented and verified, (2) the proportion of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all in 2008-2010 were sorted out, which were about 40,122 in total, and finally (3) the 40,122 programs were re-classified and re-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ypology that I’ve invented. In addition, I analyzed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exclusively to reveal the relativ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mong the others in the whol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market. As a result, by and large, the 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were the most dominant category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classified under lifelong education law, which were mostly initiated by the three leading institutions, such as profit-oriented culture centers, public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university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mostly focused on some types of programs, such as “art skill improvement programs” and “everyday-life culture programs”. What I found in addition was that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ory-based expert training programs were scarce but definitely required to stimulate the evolutionary progress of the whole ecology of cultural art education in supply and demand contexts. 이 연구는 평생교육통계조사자료에 기반하여 평생교육 맥락에서 공급되는 문화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유형과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공급주체와 프로그램 유형에 관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으며, 2008∼2010년 평생교육시설을 통해 공급된 프로그램 가운데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공급지형과 양상을 파악한 후, 실제적으로 2010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데이터 40,122개를 분류체계에 적용해 그 패턴과 유형을 재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평생교육법령 이외의 문화기반시설에 대해서도 대표적 사례가 되는 미술관 프로그램을 추가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법령 시설과의 차별성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평생교육 영역 중에서 가장 많은 수의 프로그램이 제공된 것으로 드러났으며, 사업장 부설 시설, 평생학습관, 대학(원) 부설 기관이 그 공급을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패턴은 문화예술향상 프로그램, 생활문화예술 프로그램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은 그 개설기반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전체적으로 볼 때 프로그램 간의 차별화된 전략이나 대상에 따른 특화된 접근, 심화학습을 매개하는 장치 등이 빈약해서 상호 연결망이 부재하고, 장기적인 학습의 로드맵을 제시할 수 있 는 체계적인 구조는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대표적인 문화기반시설인 미술관에서는 계속전문교육으로서의 전문가 양성·연수 프로그램, 아카데미형 강좌 프로그램, 전시연계 프로그램들이 활성화되어 있었고, 다양한 장르를 연결하는 새로운 융합영역들도 시도되고 있었다. 그러나 시설 수가 많지 않고, 시설 간의 편차도 심하며, 아직까지 평생교육시설에 비해 파급력과 인지도가 낮았다.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전문역량을 보강해야 하는 평생교육전담시설과 상대적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기반이 부족한 문화기반시설 간의 상호 연계구조를 통해 평생교육 맥락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의 비전과 모델을 발전적으로 공조해나가야 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영역 교육 내용에 터한 다문화 실과교육 프로그램 개발

        허은영,최지연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practical arts education program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home life' of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ts characteristics, direction of its education has been reviewed through various texts in building a foundation for the basic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an educational program is developed in three phases such as preparation phase, development phase, improvement phase in accordance with selected development model consisted of setting up aim of education, selection of contents of education, organization of education contents, presentation of education objective, organization of education program. for which a proof is obtained from specialists in this field and finally the program is completed through secondary inspections from specialists regarding overall program development procedure against revised and secured program.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concept model to develop multi cultural education program is assumed first dimension(X axle) to be approached the contents factor of multi cultural education, second dimension(Y axle) is approached to 'home life', and 'technological world' with the area of practical education, third dimension(Z axle) is set knowledge, function, value, attitude the objective of multi 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multi cultural education program that has been developed through selection of subject, development of lecturing, instruction of study, program development is complemented and revised through research & development by field teacher, counselling from professionals. Through which as being a mpprrial for teachers in charge of multi cultural piratical arts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or reference mpprrial for teachers the concept of study contents offered the study contents of 17 classes based on 5 fields with which it is offered the overview of program, detail of activities, projected p ax, appraisal p ax, draft of education program, and based on which there showed a ntsitive effect in enhancing multi culture through education p ax, study paper, and evaluation tool and other reference materials. In conclusion of the study, the multi cultural practical science education program added to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education field showed to have enhanced the knowledge as well as understanding of multi cul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실생활, 노작활동, 통합이라는 실과 고유의 특성이 결합된 직접적 실천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 영역의 교육 내용에 터한 다문화 실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문화교육의 개념, 성격, 교육방향에 대한 문헌을 탐색하여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의 기초를 마련하고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선정된 개발 모형에 따라 준비 단계, 개발 단계, 개선단계의 세 단계로 나누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받았고 수정․보안된 프로그램에 대한 검토와 전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대한 2차 전문가 검토를 거쳐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된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영역에 교육 내용에 터한 다문화 실과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실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 모형은 1차원(X축)은 다문화교육 내용요소로 접근, 2차원(Y축)은 실과교육내용 영역인 가정생활, 기술의 세계로 접근, 3차원(Z축)은 다문화교육 목표로 지식, 기능, 가치․태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개발모형 및 다문화 교육 중심 교육의 개발 모형을 탐색하여 실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준비단계, 개발단계, 개선단계로 구성하였다. 둘째, 실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주제 선정,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현장 교사에 대한 조사 연구와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수정하고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영역을 교육할 교사들을 위한 다문화 실과교육을 운영하는 지도 교사를 위한 자료로 교사용 참고 자료로 5개 영역을 바탕으로 17차시의 학습내용의 개요를 제시하여 프로그램의 개관, 활동 내용, 전개 계획, 평가 계획, 차시별 수업과정안(개요)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실과 ‘가정생활’영역 교육 내용에 터한 다문화 실과교육 프로그램은 프로그램을 통해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다문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소양을 함양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