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문 : 개념미술에서 의상의 역할

        조정미 ( Jung Mee Cho ) 한국의류학회 2011 한국의류학회지 Vol.35 No.7

        Fine art and clothes have been closely connected since art became part of civilization. However, there relationship was one-sided rather than exchanging the essence of each other. In the 20th century, modern art began to change. Artists started intervening clothes in their work as conceptual tools. In the 1960s, Marcel Duchamp started to study ``what is fine art?`` He tried to perform anti-aesthetic work that denies traditional types and contents of fine art by reconsidering a concept of fine art that started a new chapter of conceptual art in the late 20th century. Conceptual art is about concepts and ideas of the work rather than aesthetic and material concerns for the challenges traditional ideas. Conceptual art asks audiences for more active reactions. For these reasons, semi logical ideas and clothes became very important to conceptual art. This study categorizes and analyzes various roles of clothes in conceptual art. Conceptual arts since 1960 were studied in this research and the works of clothes were intervened were analyzed. The types of using clothes in conceptual art can be divided into ``ready made,`` ``intervention,`` ``data type,`` ``language,`` and ``action and process.`` The different types were mixed together rather than used alone. Conceptual artists tried to deliver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ions of modern society through clothes. They expressed criticism of political society, anti war movements, absence caused by death, new lives, violated femininity, changed meanings of marriage, and absence of individual rights under the social system in their work. Clothes played their roles as concepts of various things including violated femininity, illusions of politicians, autocracy, new lives, social systems, and regulations.

      • KCI등재

        ‘비주류’의 개념미술가, 성능경의 ‘망친’ 모더니즘 미술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4 No.-

        SUNG Neung Kyung(b. 1944-) is a renowned conceptual artist who led the experimental art movement in South Korea. His artwork uses nontraditional methods such as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In 1973, he appeared in the art scene as a member of ST, a avant-garde art group. Until the late 1980s, he showcased newspaper-related installation art and performance which challenged government censorship of media and press’s power to edit. He was also one of the first artists to use photography in fine art in the 1970s. He began with photographs that explored tautology as a concept. He then presented photography installation art which took pictures of the newspaper itself or used his personal life as motif. Sung is also well known as a pioneer of Korean performance art starting in the mid-1970s, which then was referred to as “events.” From his earlier self-referential events to his post-1990s artwork which express the complex nature of life in a distinct manner, the world of his performance art has not only been colorful but also extremely unique. Sung, who has been dedicated to creative production for the last fifty years, has produced artwork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trajectory of South Korean art history—including avant-garde, experimental art, modernism, art for art’s sake, realism, and postmodernism. Sung’s approach to art has not been properly evaluated, however, in mainstream Korean art history or even within 1960-70 experimental art itself. This essay seeks to study Sung’s oeuvre, periodize and characterize his work,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periods, and locate its place in Korean art history. As a minority conceptual artist, Sung has remained in the periphery of Korean art scene. This project then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is artistic expression. This research finds that Sung, as a conceptual artist, always distanced himself from the mainstream and reified the attitude of the minority. What he sought as conceptual art was anti-modernism, which stood outside of the inside of Korean modernism. His artwork, which 227 crossed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and aimed for realism, rejected the purity and medium-specificity of modernism and challenged norms of Minjung art. Furthermore, his photo installations from the 1980s onward or his performance from the late 1980s onward, by definition, lacked marketability. Such works remained in the peripheries of art, outside of the institutions of art. This research considers the non-mainstream character of Sung’s conceptual art as fundamental to his approach to art, and as an opening for a new interpretation of post-1970s South Korean art history. When locating Sung within modernism, much fruitful and varied discussion emerges on conceptual art within Korean modernism, that is, experimental art outside of genre boundaries. When placing Sung within realism, historical avant-garde’s precedence on purity meets that of Minjung art to expand the horizon of purism in Korean art history. Sung’s conceptual art, which offers a minority’s alternative view, allows a reconsideration of Korean art beyond the dichotomies of modernism and real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center and periphery. 성능경(Sung, Neung Kyung, 1944~)은 비전통적 미술 창작의 수단인 신문, 사진, 행위 등을 이용한 작품으로 실험미술의 흐름을 주도한 한국의 대표적인 개념미술가이다. 그는 1973년 전위미술 단체 ‘ST’의 회원으로 미술계에 본격적으로 등장해, 정부의 대중 매체 검열이나 언론의 편집 권력에 도전하는 신문 관련 설치와 행위를 1980년대 말까지 선보였다. 그는 또 1970년대에 사진을 순수미술의 영역에서 처음으로 다룬 작가 중 한 명으로서, 초창기의 동어반복 개념을 다룬 사진들에 이어, 신문 자체를 촬영하거나 본인의 개인사를 소재로 삼은 다양한 사진 설치작품을 꾸준히 발표했다. 성능경은 나아가 1970년대 중반부터 ST 동료들과 함께 당시 ‘이벤트’로 불리던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를 소개한 선구적 존재로도 잘 알려져 있다. 자기 지시적 특징을 지닌 초창기 이벤트에서부터 복잡다단한 삶의 본성을 고유의 양식으로 예술화한 1990년대 이후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의 퍼포먼스는 다채롭기 그지없을 뿐 아니라 매우 독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성능경은 이처럼 50여 년의 세월 동안 한결같이 창작 활동에 매진하면서, 한국 미술사의 핵심 개념어인 전위, 실험, 모더니즘, 예술지상주의, 현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그간 그의 예술세계는 주류 한국 미술사는 물론이고 1960~70년대 한국 실험미술의 역사 내부에서도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능경 전작(全作)의 시대별 특징과 상호 영향 관계, 그것이 한국 미술사에서 지니는 의미 등을 포괄해 고찰하려 시도했다. 이로써 일평생 한국 미술계의 주변부에서 비주류 개념미술가로 활동한 그의 예술적 발언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그 결과 성능경은 늘 주류와 스스로 거리를 두고 일평생 ‘비주류의 태도를 형식화한 개념미술가’라는 점을 밝혔다. 애초에 그가 추구한 개념미술은 한국 모더니즘의 내부에 위치하는 외부, 반(反)모더니즘이었다. 또 그 자체로 신문, 사진, 행위의 잡종이면서 현실주의를 지향했던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의 순수성과 매체 특수성을 위반하면서, 동시에 민중미술의 전형적 형식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225 이었다. 나아가 그가 1980년대부터 생산한 사진 설치나 1980년대 후반 이후 창조에 전념한 퍼포먼스는 본성상 시장성이 부족하거나, 미술 제도의 외부에 자리할 수밖에 없는 주변적 미술이었다. 본 연구는 성능경 개념미술의 이 같은 비주류적 성격을 그의 예술세계의 본질이자, 1970년대 이후 한국 미술사를 새롭게 해석하게 할 가능성으로 간주했다. 성능경을 모더니즘의 내부에 둘 때, 한국의 모더니즘으로서의 개념미술, 즉 탈장르적 특징을 지닌 실험미술은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논의 거리를 갖게 된다. 또 성능경을 현실주의 미술의 범주 내부로 이동시킬 때,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순수지향성은 민중미술의 그것과 만나 한국 미술사에서의 순수주의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다. 성능경의 개념미술은 이처럼 비주류의 대안적 관점으로 모더니즘과 현실주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중심과 주변 등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한국 미술사를 재고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개념 공예의 전개에 관한 연구- 개념미술의 관점을 중심으로 -

        김지은(Kim, Ji-e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1

        본 논문은 동시대 공예의 양상 중 개념 공예의 전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개념미술의 관점을 통해 분석해 본다. 스튜디오 공예 운동과 미술의 변화로 1960년대 이후 공예는 지속해서 발전하면서 독자적인 예술의 장르로 확장되었다. 다양한 공예 활동 중 대표적인 것은 작품성과 창의성을 중요한 평가 요소로 하는 ‘예술로서 공예’이다. 현대미술의 조형적 가치나 표현방식을 흡수함으로써 예술에 도달하고자 하는 것으로 최근 전개되고 있는 개념 공예는 이러한 특징들을 잘 나타내 준다. 이러한 점에서 연구자는 1960년대 나타난 개념미술의 관점을 통해 개념 공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개념미술은 작품에 포함된 개념 또는 아이디어가 물질적, 미학적, 기술적인 것보다 선행하는 미술을 말한다. 미술을 구성하는 사고와 그에 대한 지각을 강조하는 것이다. 개념 공예도 재료나 제작공정이 가지고 있는 구체성에서 벗어나 물질적 실현보다는 세계를 바라보는 자신들의 생각을 설명하면서 개념과 아이디어로 접근한다. 본 연구의 관심은 동시대 공예가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예술실천의 장임을 주목하면서 외형적으로만 예술화된 공예를 지양하고 공예의 취약한 비평 담론에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여 예술의 ‘종언 이후(post) 공예’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craft out of contemporary craft and to explore it from the perspective of conceptual art. Along with the Studio craft movement and since 1960 s, the craft has kept growing to an independent territory of art. The most remarkable thing with regards to the diversified crafts activities is the fact that ‘craft-as-art’ focuses on art character and creativity for evaluating their performances. The conceptual craft shows that during the recent development it reaches the art by taking into account values as plastic arts or way of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art. Based on this consideration, I tried to look at the conceptual craf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various forms of conceptual art in 1960 s. The conceptual art expresses the art that precedes physical, aesthetical and technical works, emphasizing its perception and thought. With regards to the conceptual craft, I tried to think out of limited sense of concreteness connected with its material or manufacturing process, and share concept and idea towards the outside world beyond its physical performances. This paper delivers that the contemporary art provides some place for art practice to pursue cultural and social values, and at the same time avoids the craft as art purely based on external or physical viewpoint. In an effort to address the criticism, this paper tries to share a new paradigm of ‘post craft’ as the art by offering a theoretical groundwork to the contemporary art.

      • KCI등재

        개념 미술의 매체는 관념인가?: 셸레켄즈의 개념 미술의 존재론에 대한 비판

        김희정 ( Kim Hee Jeong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3

        셸레켄즈(Elisabeth Schellekens)는 개념 미술이 흔히 이해되고 있듯이 비물질화된 것도 아니고 미적인 것을 원리적으로 배제하는 아니라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개념 미술은 전통적인 미술과 존재론적으로 다르다고 주장한다. 즉 개념 미술은 관념이고, 전통적인 미술은 물질이라는 것이다. 필자는 그녀의 이런 주장들을 일관되게 옹호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의 I장에서 필자는 그녀가 철학적인 차원에서 제시하는 개념 미술의 특징을 간단하게 논의한다. II장에서는 개념 미술이 물질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것이 아니라는 그녀의 입장에 주목한다. III장에서 필자는 그녀의 주장과 달리 물질적인 측면은 개념 미술의 관념을 재현하는 단순한 수단이 아니라 매체라는 점을 논증한다. 그러므로 개념 미술은 관념이고 전통적인 미술은 물질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점을 보이려고 한다. Elisabeth Schellekens claims that conceptual art is neither de-materialised nor anti-aesthetic as usually conceived. But she argues that conceptual art ontologically differs from traditional art; conceptual art is idea while traditional arts is a material object. I think that it is hard to accept the ontological difference between conceptual art and traditional art. In the first section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ceptual art that she suggests. In the second section I discuss her view that conceptual art is not de-materialised. In the third section I argue that material aspects of conceptual art are not merely means, but medium. I show that it is wrong to claim ontologically that conceptual art is idea while traditional art is a material thing.

      • KCI등재

        언어 중심 개념미술(conceptual art)을 활용한 사회정의 기반 미술교육 지도 사례 연구

        정요람(Yoram J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美術敎育論叢 Vol.31 No.4

        본 연구는 동시대미술의 한 갈래로서 개념미술(conceptual art)을 활용한 사회정의 기반 미술교육 수업의 지도 사례를 소개하고, 해당 수업의 미술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개념미술은 미술의 비(非)물질화를 기조로 하여, 미술 작품을 둘러싼 사회적, 제도적 권위에 대한 도전과 비판을 주제로 하는 현대미술의 한 흐름이다. 넓은 의미의 개념미술은 작품 그 자체보다 작품을 이루는 아이디어나 개념, 과정을 더 중시하는 모든 미술 경향을 일컫는다. 본 연구에서는 문자 언어를 중심으로 하여 사회정의적 주제를 다루는 좁은 의미의 개념미술에 초점을 맞추었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언어 중심 개념미술을 활용한 사회정의 기반 미술 수업을 수행하여 얻어진 미술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현대미술에 대한 열린 사고와 이해를 갖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이 미술 교과에 대한 가진 흥미와 성취감을 향상시키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셋째, 학생들이 세계시민이자 사회구성원으로서 스스로 선택한 사회참여적 가치를 미적으로 표현하는 교육적 기회를 통해 사회참여적 가치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실천의지를 기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참여적 가치라는 접점을 가진 사회정의 기반 미술교육과 개념미술을 초등학교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하는 하나의 사례로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a case of teaching art for social justice using conceptual art as a branch of contemporary art. It aims to examine the meaning and value of this approach in terms of art education. Conceptual art is one of the trends of modern art that concerns challenge and criticism against social and institutional authority around art works on the basis of the dematerialization of art.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ow meaning of conceptual art, which addresses subjects related to social justice based on written language. An art class concerning social justice was given to sixth graders at an elementary school using language-based conceptual art. The following are the values of the class in terms of art education. First, students opened their minds to and gained an understanding of modern art. Second, the class helped students improve their interest in and sense of fulfillment through art. Third, the class was an educational opportunity for students to artistically express the social participatory values they chose themselves as world citizens and members of society. They were a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trengthen their will for practice. This study serves as a reference, a case which applied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nd as conceptual art that shares the common idea - the ‘value of social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art classes.

      • KCI등재

        섬유예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

        양진숙(Jin Sook Yang),이성이(Sung Yi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개념미술은 많은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개념미술에 대하여 연구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먼저 개념미술의 역사와 개념미술에 있어서의 표현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특히 섬유예술에서 나타난 개념미술 작품을 조사, 연구하여 표현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섬유예술 또한 개념미술가들이 제시한 다섯 가지의 표현방법으로 구분되어 표현 되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래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섬유예술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표현연구에 있어서 첫째, ``레디메이드``를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평소 생활에서 사용하던 물건들을 전시장에 옮겨다 놓음으로써 우리가 사용하던 물건에 담겨있는 의미를 내면적 상징성으로 표현하고자 하며, 하찮은 일상적 물건도 작품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둘째, ``개입``을 활용한 표현에서는 자기가 경험한 세계를 천으로 만들어 어떤 공간에 개입시켜 놓음으로써 작가의 경험이 관람자의 간접경험에 의해 재해석되는 시각적 전환을 불러일으킨다. 셋째, ``자료 형식``을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혹은 이미 잊혀진 자료들을 통해 사회적 고발이나 경고, 종교적 메시지 등을 전달함으로써 자료까지도 섬유예술을 표현하는 자료로 확장시키고 있다. 넷째, ``언어 매체``를 활용한 표현에서는. 의복이나 가방 등에 의도된 글을 사용함으로써 일상복을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키거나, 작가의 의미를 일상에 내재시킨다. 다섯째, ``행위과정``을 활용한 표현에 있어서는 천을 건물의 일부에 설치하거나, 천으로 공공건물을 포장, 설치하는 등의 행위 과정을 통하여 개념적 작가 의식 및 상징성을 표현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여러 작품을 통하여 논쟁이 되고 있는 개념미술 작업들은 현 시대에도 계속해서 더욱 더 충격적이고 이해하기 힘든 모습들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특히 섬유예술 분야에서도 사회에 대한 인식의 재발견과 내면에 흐르고 있는 의식의 발현을 개념미술이라는 형식을 빌어 견인하는 역할을 상당부분 하고 있음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가 섬유예술에서의 개념미술 확장을 위하여 기초적 연구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Conceptual Art inspired many of artists and it became a reason to start researching about the Conceptual Art. I will firstly researched about history of the Conceptual Art and presenting method of it. I especially researched Conceptual Art pieces in textiles and analyzed by the expression methods. As a result, I realized that it can be divided into five presenting methods to express the Conceptual Art and I concluded as followings. The five methods are, firstly, using ready-made, it tries to present realization that is far away from our consciousness. For example, it expresses by placing old clothes, uniform or chairs used daily in an exhibition hall. Secondly, using intervention, it moves our visual perspectives from other people`s places reconstituted by audiences` experiences or to outside of the exhibition place which is an institutionalinstallation through exhibiting a house with textiles. The third method is the expression using materials. It conveys religious messages with material ``Map`` or warning messages about global warming. Especially,it presents violence of wars through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miliary uniforms or flags from real wars. Next, in expression using language, it sublimatesletters written in clothes in art or it inheres hurt of souls and shock in art pieces using languages. Lastly, using action process, it tries to express symbolism of the Conceptual Art, for instance by the action installing textiles on a door or wrapping public building with textiles. Conceptual Art works which are controversial, have been continued and developed to more shocking and incomprehensive. Especially in textiles, the Conceptual Art seems to contribute to awareness about our society and revelations of inner sense. Therefore, I want this research to be useful as a basic reference for growth of Conceptual Art in textiles.

      • 컨셉츄얼 소프트웨어 아트에서 예술적 상호작용성의 역할

        박연숙(Park, Yeonsook)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3 No.-

        컨셉츄얼 소프트웨어 아트는 개념미술이 디지털화되어 진화된 양상이다. 이는 컨셉츄얼 소프트웨어아트가 개념미술과 소프트웨어 아트의 속성을 상호함축하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는 디지털적이고 기술적 숫자인 ‘알고리듬적 기호(algorithmic sign)’를 통해 인간과 기계 모두 읽을 수 있는 하나의 텍스트가 되며 그러한 프로그램 코드를 보여준다. 바로 이 알고리듬적 기호가 소프트웨어 아트에서 개념미술의 특성을 강화하고 있다. 컨셉츄얼 소프트웨어 아트가 개념미술에서 분화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유사성은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위해 작가가 문자화된 지시(instruction)를 텍스트로 사용한다는 데 있으며, 이 체계는 소프트웨어 아트의 지시하는 속성에서 재발견된다. 컨셉츄얼 소프트웨어 아트의 특성은 ‘수행(performance)’을 통해 감상하고 이로써 작품의 텍스트가 더욱 분화되고 변화의 흐름 속에 있다는 점이다. 달리 말하자면 컨셉츄얼 소프트웨어 아트에서 감상자는 행위에 해당하는 예술적 상호작용성(artistic interactivity)으로 감상을 실행하고 이를 위한 전략적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이다. 감상자의 행위는 몸의 감관에 총체적 자극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감각적 수용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지적 범위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예술적 상호작용성의 수행은 작가와 감상자간의 의식의 연결고리로 작용하여 텍스트 창작에 공참하고 작가의 의도에 더 근접하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이 의식의 연결은 지적인 차원에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그 보다 앞서 직관적 이해와도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인식의 차원이 바로 개념미술이 목적하는 사고(thinking)단계이며, 예술적 상호작용성은 이 생각하기 단계로 들어서게 하는 유용한 기재(器材)가 되는 것이다. Conceptual Software Art is an evolutionary aspect of Concept Art that is digitalized. It is because Conceptual software art implies both Concept Art and Software Art. Conceptual Software Art represents the doble character of “algorithmic signs” as digitalic and technical-digital by the exposition of the program code as a text readable for humans and machines. It is the algorithm that enhances the property of Concept Art in Software Art. The similarities, as Conceptual Software Art stems from Concept Art, is to use verbal or text instruction in order to practice the software programs. This system is rediscovered in attribute of instruction in Software Art. The trait of Conceptual Software Art is that its text i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and evolution because of appreciating the artworks by ‘performing.’ In other words, by artistic interactivity, the spectators of the Conceptual Software Art appreciate artworks and performs as the strategic instructions indicate. The spectators’ performances give effects to their sensory organs and stimulate the whole bodies which extends to a range of cognitive. Therefore to perform interactivity is an opportunity to access to taking part in producing text images and to understand the intention of artist. The connection of consciousness is associated with not only the intellectual dimension but also the intuitive comprehension.

      • KCI등재후보

        홍명섭에 있어 조각 개념의 확장과 해체에 대한 연구

        정효순 ( Hyo Soon Chu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1

        본 논문은 홍명섭에 있어 ``조각 개념의 확장과 해체에 대한 연구``로 그에 따른 작품을 분석하고 미술사적 관점에서의 미학적 쟁점과 기존의 작가적 위상을 새로이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홍명섭(1948)의 작품의 특징은 개념적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개념미술가로 말하기에는 의문이 든다. 그의 작품속에는 다양한 실험적 성격이 보여지고 있기 때문이다. 홍명섭의 작품속에는 개념적 실험미술의 성격을 계속해서 ``차연differance``시키고 ``해체deconstruction``시키는 작품의 특징이 보여지고 있으며, 본 연구자는 이러한 특징이 보여지는 작업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하였다. 홍명섭은 작품창작과 저술활동을 병행한 작가로서 작가 스스로가 작품을 비평함으로써 그 자체가 연구 대상이라 할수 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작가의 저술글 속에는 미학과 철학적 성격이 보여지고 있으며, 본 논문은 그의 작업중 구조주의에서 후기구조주의로 가는 이행 과정중의 데리다Jacques Derriad의 차연과 해체, 후기구조주의에서의 바르트Roland Barthes의 텍스트의``즐김jouissance``과 ``즐거움Le Plaisir`` 현상이 보여지고 있는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또한 홍명섭의 작품의 분석에 있어 포스트모던 철학비평의 선구자들인 데리다와 아르토 Antonin Artaud를 통한 텍스트의 즐김과 해체, 바타이유George Bataille의 쾌락의 개념을 통해 작품 분석에 깊이를 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홍명섭의 작품에 있어 작품의 위치와 미술사적 성격으로서 작가의 위상을 미학적, 비평적, 작업적 성향으로 분류하여 결론 지었다. 1. 홍명섭 작가의 미학적 쟁점: 데리다 차연 differance과 해체deconstruction,바르트의 텍스트의 즐김jouissance, 즐거움Le Plaisir2. 개념미술과의 차이: 감각과 시간성을 통해 개념미술의 한계를 넘어서기3. 포스트모더니즘과 홍명섭: 포스트모더니즘 메타비평을 통한 실험 작가홍명섭의 작품은 조각의 개념적 실험미술의 변종적 성격을 지닌다. 그의 작품에는 데리다의 차연과 해체주의, 바르트의 즐김jouissance, 즐거움Le Plaisir, 포스트모던 철학비평에서 바타이유의 즐거움(쾌락)이 보여지고 있으며, 그러한 미학적 점목을 통해 조각의 확장적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홍명섭은 조각의 확장 영역을 개념적 실험미술을 통해 변이시킨 일종의 퍼포먼스의 변종이라고 보아야 할것이다. 단지 그것이 행위가 아닌 다양한 오브제와 실험적 작품으로 보여지고 있을 뿐이다. 홍명섭에 있어 조각 개념의 확장과 해체에 대한 연구 85그의 작품은 설치적 측면이 강하나 조각의 기본적 아우라가 계속해서 깔려 있다. 즉 홍명섭은 초창기의 조각의 기본적 시작을 중심으로 뒤샹의 개념의 의미를 보여주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념적 실험미술로 조각의 확장을 펼쳐 나가며, 이러한 조각의 개념적 확장을 데리다의 차연과 해체를 통해 진행중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진행중인 작업은 관람객을 자신의 작품과 상호소통의 주체로 선정하고 관람객을 통한 또 다른 알레고리적 해석을 끊임없이 열어주며, 이를 토대로작품이 완결되는 감각적 즉흥성을 계속해서 유발시킨다. 결과적으로 홍명섭은 조각의 개념적인 성격을 넘어서 그때그때 감각을 중시했다. 개념미술적 측면을 지니고 있었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려는 비판의식을 가지고 있었고 그러한 비판의식은 조각 개념의 해체라는 과정을 야기시켰다. 결국 홍명섭에 있어 조각의 해체와 확장적 성격은 무한한 시간적 변화와 감각적 측면의확장으로 나아가기 위함이었다. 그러한 감각적 해석을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작가는 은유와 환유를 빌려 알레고리적 해석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성격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성격중 하나이기도 하다. 홍명섭의 작품에서 돌고 있는 해체와 반복성, 파편화, 사진으로 기록되어``시뮬라크르 simulacre``된 작품의 또 다른 해석의 여지인 차용의 선택은 홍명섭이 포스트모더니즘 비평의 시발점을 밟고 간 작가이며, 자신의 글속에``조각의 개념적 확장``과``후기구조주의 미학적 성격``을 빌여옴으로서 자신의 작업을 해체(탈구축)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비평적 성격으로서의 홍명섭은 메타비평(비평의 비평)을 통한 전위적 前衛的 실험작가로 보인다. 작품속에도 작품을 비평하는 글속에도 모두 하나의 공통점이 보이는데, 그것은 전복술과 비평의 글을 통한 끊임없는 연구자세이다. 하나의 개념에 속하지 않고 개념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메타비평을 하며, 선구적이고 실험적인 창작을 시도하는 작가이다. 그는 글을 통해서도 작품을 통해서도 포스트모더니즘적 비평의 성격을 계속해서 반영하여 전위적인 성격을 찾아 실험해 나간다. 또한 구조주의에서 후기구조주의로의 이행 과정 중 데리다의 차연과 해체, 후기구조주의에서의 바르트와 아르토를 통해``즐김``을 더욱 확장시켜 비평해 나가고, 바타이유를 통해 ``즐거움``을 해체시켜 나간다. 홍명섭에 대한 본 연구에 있어 작가의 의도와는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을 것이라 생각되지만, 이러한 다각도의 작품 분석과 새로운 작가적 위상에 대한 조망의 시도 또한 비평에 있어 중요한 일이라 생각하며 본 논문을 맺는다. This is the study on the conceptual expansion and deconstruction on Hong myung seop`s sculpture, analysing his ar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spect the artistic phase and esthetic issue of artist Hong on the on a artistic point of view. Although Hong`s art consist of conceptual characters, because many of his work shows experimental qualities, it is too soon to conclude that he is a conceptual artist. Within his abstractive work, the stages of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continuously appear. This study analyzes artist Hong`s artwork based on the two major keywords of his art;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Artist Hong is a unique type of artist who is both a creator and the writer. The fact that he critics his own work give enough reason to become the subject of many studies. However, due his personal characteristics, esthetic and philosophical aspects inhere in his writings. This study focus on his work of two major periods of his paradigm. One is the period between his pre structuralism and post-structuralism when he was well affected by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Second is the period of post-structuralism when he was influence by Roland Barthes`s jouissance and Le Plaisir of text. To add more weight to the study, the analysis was also based on the world pioneer of post modernism philosophic critics, Antonin artaud and Jacque Derriad`s jouissance and deconstruction and George Bataille`s pleasure. This study has concluded the artist Hong`s status and the position of his work into esthetic, critical and status categories. 1. Hong`s esthetic issue: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 struction and Roland Barthes`s jouissance and Le Plaisir of text. 2. Distinction to the conceptual art: go beyond the limitation of conceptual art though sense and time. 3. Hong myung seop and post-modernism; experimental artist with post-modernism metacritic Artist Hong`s sculpture consist of mutant character such as abstract experimental art. His art consist of following aspect;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Roland Barthes`s jouissance and Le Plaisir of text and George Bataille`s pleasure. By combining such aspects, Hong`s sculpture expands its nature beyond. It is the performance mutation which the sculpture has been expanded its limit by trying out many conceptual experiments. It is the performance which appears in many different object and experimental artwork. Artist Hong`s art has its fundamental aura as sculpture, although his work seems much more of an installation art. Hong starts his work as a basic sculpture while showing the concept of Duchamp, and as time passes, the sculpture expands to conceptual experiment art. Thus his work seems to continue while the concept continuously expands through Jacque Derriad`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He claims the viewer to become the subject which his sculpture continuously communicate and open up many possibilities of analysis which the viewer can come up with. Such method keeps induces the sensual Improvisation which completes the sculpture.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artist Hong myung seop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ensuality each time beyond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 Although the artist consists of conceptual artistic side, he had the critical minds to expand beyond. The artist`s critical mind has resulted the deconstruction of sculptural concept. In the end, to artist Hong, the destruction and the expanding of sculpture is to reach the point of unlimited time change and the expansion of sensuality. Using the relation between his sculpture and the viewer, and metaphor and metonymy, the artist keeps trigger the fresh new allegory analysis. This is on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post-modernism. Differance, another method to analyze deconstruction, repetitions, fragmentation, replicated of his work. shows that Hong myung seop has been affected by post modernism critique and that he deconstruct his artwork by quoting “conceptual expansion of sculpture”, and “esthetic aspect of the post-structuralism” from his own words. Based on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it is appeared that the artist Hong is avant garde experimental artist through metacritic (giving critique to given critique). His sculptures and his critiques have one thing in common. It is the endless research through subversivity and critique. Artist Hong myung seop is innovative and experimental artist who does no settle in one concept but keep proceeding with the metacritique based on current artistic concept. He reflects his post-modernism critical nature on his art and his words to experiment ways be become avant garde. Using Jacques Derrida`s differance and deconstruction from the period between prestructurism and post-structuralism, and Ronland Barthes and Antonin artaud from the period of post-structuralism, the artist Hong gave much expanded critique to jouissance. Also through George Bataille, Hong has carried on deconstructing Bataille`s Le Plaisir. Although the result might be different to the artist`s intention, this study ends with the importance of analyzing through many different perspective and rediscovering the artist`s status within critique.

      • KCI등재

        <더 스퀘어>(2017)에 나타난 개념미술의 영화적 소통방식 연구

        박선(Park, Su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1 No.1

        루벤 외스틀룬드 감독의 <더 스퀘어>는 현대미술관 안팎의 인물들과 우연적 상황들의 묘사를 통해 예술과 자본, 문화엘리트와 대중의 상호 소외를 풍자적으로 묘사한다. 극 중 『더 스퀘어』라 명명된 설치미술 작품은 바닥에 정방형 표식을 새겨넣은 형태로 신뢰와 배려의 중요성을 상징한다. 그러나 미술관 운영진과 예술가들, 후원인들은 폐쇄적이고 자기만족적인 예술담론 안에 안주하며 예술작품의 메시지를 삶으로 승화하지는 못한다. <더 스퀘어>에 대한 저널리즘 비평은 이 영화가 현대예술계의 불통을 질타하는 동시에 현대예술 자체의 무능을 설파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더 스퀘어>가 예술담론의 자기모순을 드러내기 위해 극 중 예술작품들과 연극적 설정을 적극 활용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개념미술의 원리와 작동방식을 영화텍스트의 해석에 적용한다. 개념미술은 감각적 자극 대신 지적 추론을 촉구하는 예술 방법론이다. 개념미술 작품은 매체가 아닌 수단으로 기능하며 소재로 삼은 대상에 대한 이성적 판단을 환기한다. 본 연구는 『더 스퀘어』를 비롯한 극 중 예술작품들과 극적 상황들이 개념미술적 장치들로 기능하며 영화관객에게 예술과 삶에 대한 성찰을 유도한다고 해석한다. 결론에 이르러 개념미술과 결합한 극영화가 예술의 은유적 속성을 드러낸다고 평가한다. Ruben Ruben Östlund’s The Square (2017) presents art museum works and their daily activities, satirizing the alienated relationships between the arts and the capital and between cultural elites and the public. In the film, the installation work entitled The Square is designed symbolize the importance of trust and caring. In contrast, the artists, the museum managers, and the art patrons are confined to the exclusive and self-gratifying art world. Journalistic criticisms observe that the film denounces the art scene’s inability to communicate and contemporary art in its entirety.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 film makes full use of the artworks and dramatic situations as a device to reveal the self-contradiction of the modern artistic discourse. This study applies the principles and operative mechanisms of conceptual art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film text. The conceptual art is a creative method that appeals to the audience’s reasoning, not perception. The conceptual art functions as a means, rather than a medium, to invoke intellectual judgmen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rtworks including The Square within the film function as conceptual-artistic devices, inducing the film audience to reflect on the art and life. It concludes that the combination of cinema and conceptual art accentuates the art’s metaphorical essence.

      • KCI등재

        해체주의와 양식의 해체에 관한 연구

        박수경(Park, Soo-Ky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이 논문의 목적은 자크 데리다에 의해 제기된 해체주의가 전통적인 형이상학이 구축해온 성과를 탈구축하는 반철학적 운동이 20세기 포스트모던 미술의 다양한 해체양식들 가운데 하나인 개념미술과의 관계, 그것이 미친 직, 간접적인 영향, 그리고 반미학운동으로서의 개념미술의 실체를 규명하려는 데 있다. 해체주의는 플라톤 철학 이래 형이상학이 구축해온 로고스중심주의에 대한 탈(脫)구축 운동이다. 특히 니체에 의해 이성적 진리의 허구성에 대한 이의제기와 적극적 비판이 시작되기 이전까지 이성우위의 형이상학과 과학정신은 모더니즘의 토대가 되어 과학과 철학을 비롯하여 예술과 문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근대를 규정하는 시대정신이 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신은 죽었다’는 토대적 진리에 대한 선전포고와 더불어 형이상학이 구축해온 토대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절대적 존재와의 토대적 동일성을 존재일반의 절대적 가치기준으로 삼아온 동일성 신화가 철학과 예술 모두에서 의심받기 시작한 것이다. 니체에 의해 지적 자극을 받은 철학자들은 그 동안 동일성 신화를 구축해온 이성의 권위에 의해 의도적으로 배제되어 온 차이의 발견과 차이의 중요성에 눈뜨게 되었다. 철학에서 푸코, 들뢰즈, 데리다, 리오타르 등에 의한 포스트-구조주의가 여러 가지 입장에서 이성중심주의에 반기를 들고 탈구축을 부르짖고 나서는가 하면 예술에서도 근대미학에 대한 반(反)미학 운동이 반모더니즘으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제기하고 나섰다. 특히 철학에서는 전통적인 형이상학의 독단적 폐해를 지적하며 그것에 대한 이의제기와 해체를 주장한 데리다의 해체주의가 그것이다. 1960년대 이래 데리다의 해체주의가 미국을 중심으로 제3세계에 빠르게 확산되면서 미술에서도 동일성 신화를 거부하는 탈구축 운동은 20세기 미술을 ‘양식의 발작’ 시대로 만들 만큼 철학 이상으로 활발하다. 더구나 데리다의 해체주의가 앤디 워홀의 팝아트나 잭슨 폴록의 dripping 양식, 프랭크 스텔라의 미니멀리즘이나 옵아트, 피터 핼리의 신기하추상 등 포스트-모던 미술 양식들에 직, 간접적으로 작용하면서 현대미술을 탈구축하고 있다. 현대미술은 이제 더 이상 동일성의 원리하에서 개념을 규정할 수 없게 되었다. 미술의 본성에 대한 개념의 해체가 전방위적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보다도 마르셀 뒤샹은 개념의 전도와 해체를 주장하며 미술의 개념을 반미학 운동의 전면에 내세웠다. 이른바 개념미술로서 미술의 개념을 탈구축하자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econstruction, suggested by Jacques Derrida, that deconstructs achievements of traditional metaphysics and the conceptual art, which is one of the various deconstructive styles of post-modern art in the 20thcentury’s; its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and the essence of conceptual art as anti-aesthetics movement. Deconstruction is deconstruction movement against the logocentrism established by metaphysics since Plato. Especially, until there was opposition and active criticism against the falsehood of rational truth by Nietzsche, rational metaphysics and science-oriented philosophy formed the basis of modernism, as the zeitgeist that defines the modern era in all fields including science, philosophy, art, and culture. However, the foundation of metaphysics began to waver with the declaration ‘God is dead.’ The myth of the absolute and identity, which used to be the absolute value, began to be questioned by both philosophy and art. Stimulated by Nietzsche, philosophers began to notice the importance of difference, which has been intentionally excluded by the authority of rationalism that established the myth of identity. In philosophy, the post-structuralism called for deconstruction against the rationalism, from various viewpoints including Foucault, Deleuze, Derrida, and Lyotard, and, the art also declared post-modernism as anti-modernism and anti-aesthetics against the modern aesthetics. Especially, in philosophy, Derrida’s deconstructivism pointed out dogmatic effects of traditional metaphysics and called for deconstruction of it. Since the 1960s, Derrida’s deconstructivism spread quickly to the third world from the US, and it the art also resisted the myth of identity and named the 20thcentury art "seizure of styles". Furthermore, his philosophy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post modern art styles including the pop art of Andy Warhol, dripping style of Jackson Pollock, minimalism of Frank Stella, op-art, and neo-geo of Peter Heller, deconstructing contemporary art. Contemporary art can no longer be defined by the principle of identity, because the conceptual deconstruction of art is in progress in many different fields. Particularly, Marcel Duchamp suggested the subversion and deconstruction of concepts, putting art on the frontline of the anti-aesthetics movement. In short, he insisted on deconstructing the concept of art with conceptual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