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세계획 차원에서의 품목분류 왜곡

        김재식(Jai-Sik Kim) 한국관세학회 2013 관세학회지 Vol.14 No.1

        Customs classification is not only an important element in a country’s trade policy but also for international business firms because the rate of customs duties for goods could be affected by it. There are some academic literatures about risks derived from errors or changes in the course of applying tariff codes for goods, and about regulations or policies related to customs classification. However, research papers are not common about the customs classification distortion for tax planning from the perspective of businesse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businesses and customs tax authority through analyzing a dispute case of customs classification for goods distorted by both exporting and importing firms as to attempt tax planning. For this paper, th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to a Supreme Court precedent on customs classification for aluminum. Case analysis was done with questions stating ‘how’ or ‘why’. China had imposed 15% customs duties on exporting raw materials shaped as ‘unwrought aluminum’ to restrain exporting raw material, then exporting companies changed the shape of their products into hollow billets. Subsequently, The Chinese government also imposed customs tax on goods shaped as hollow billets, and then the Chinese companies made their products in the shape of plates or sheets to avoid the exporting tax. These exporters’ behaviors could be considered as a strategy to avoid or reduce their tax burden legally by studying the tax system from planning to closing transactions. In the other hand, without deep consideration of classification rules for base metals including aluminum that they are mainly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outer shapes, importers classified tariff codes for the goods by their subjective judgment with ‘end use’ they intended for the goods. Finally, importers arguments on the tariff classification were denied by the Supreme Court. In conclusion, even though the exporters’ behavior were regal for tax saving, importers made the wrong decision on their customs classification because they interpreted the classification rules subjectively, under the circumstances there were not so many alternatives for tax savingsduetomosttransactionsbeingclosed.

      • KCI등재

        韓國 古代 木簡의 分類 方案

        김재홍 한국목간학회 2022 목간과 문자 Vol.- No.28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nformation. Tho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earch by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wooden documents, and to prepar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ooden documents. The classification plan between wooden docum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umber classification and type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wooden documents is a classification that easily identifies the wooden documents with the name of wooden documents, and it is numbered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wooden documents will be given numbers such as ①The location number of the excavated site, ②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③The number of the report, and ④The number of national attribution number(official number goven by the country). The type classification of wooden documents set up on consideration of the planar conformation, the upper and lower(upper and lower ends), and cross-sectional shape. Considering the planar conformation of the wooden documents, it was classified into Ⅰ: elongated square type, Ⅱ: bar type, and Ⅲ: crumb type for set as a standard.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목간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간의 분류 방안은 크게 번호 분류와 형식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목간의 번호는 목간의 명칭과 더불어 목간을 쉽게 파악하는 분류 방식이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번호가 부여된다. 목간은 ①출토 위치 번호, ②정리(임시) 번호, ③보고서 번호, ④국가귀속번호 등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출토 위치 번호는 목간의 출토 위치와 층위를 표현한 번호로서 학문적인 자료로서의 지위를 부여 받는다. 목간의 최종적인 번호는 소장 기관의 수장번호를 반영하는 국가귀속번호이며, 목간의 번호 분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간의 형식 분류는 평면 형태와 상·하단 형태, 단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먼저 목간의 평면 형태를 고려하여 Ⅰ: 장방형, Ⅱ: 봉형, Ⅲ: 부스러기로 분류할 수 있다. Ⅰ: 장방형의 하위 단위로 상단 형태는 알파벳 대문자, 하단 형태는 알파벳 소문자로 세분할 수 있으며, Ⅱ: 봉형의 하위 단위는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한다. 폐기 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파손은 ‘×’로 표현하여 현존 상황을 나타낸다

      • KCI등재

        인천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 구역특성 연구

        임철희,이동배,우영만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11

        Any guideline for the case classification have not been made for specifying zones or settling the plan, even if the District Unit Plan was institutionalized in 2000 and a number of other District Unit Plans have been established for only a few years.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can but propose the planning sectors on the lines of the purpose of district specification in their guidelines for the District Unit Plan. For the case of the District Unit Plans under way of establishment in the old city in Incheon, the characteristic of each district is different and its size and scale are so various that there is such a boundary to differentiate the plan contents from several case classification.The urban controling method should be unlike anything because there are unique formation background and a growth process in the city of Incheon, even if its geographical location is very close to Seou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for the District Unit Plan and deducing its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way of case studying on the old city in Incheon.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사례분석하여 제1종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을 위한 유형별 계획수립의 접근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규검토 및 선행연구 과정에서 살펴본 유형화는 서울시 지구단위계획의 향후 정비방향설정 등에 활용가능성을 두었으나 구역의 과다로 인한 입지유형구분에 한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다수의 유형구분은 지나친 세분화 및 운영의 혼란이 우려된다. 이와 함께 지구단위계획 유형별 계획특성분석을 위해서는 정비목적 이외의 지역적 특성을 설명할 수 있는 상세한 근거를 제시해야 한다. 둘째, 서울시를 대상으로 시도한 기존의 유형분류는 인천시사례를 적용한 결과 1개 구역이 여러 구역에 중복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2, 그림 1) 이는 유형분류 과정에서 구역크기, 도시별 지역특성, 구역별 내부특성에 따라 동일구역 내에 여러 지구특성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셋째, 인천시 사례구역(4개 구역)에 공통으로 적용된 현황조사항목과 분석내용들은 제1종 지구단위계획에서 제시한 계획요소 전반에 걸쳐 포함되고 있으며 특히,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상의 구역지정목적별 계획에 포함되는 사항과 비교할 때 복합구역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구역특성을 도출하는 기준이나 지침이 모호하다(표7). 이러한 구역특성 및 구역내부의 지구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황조사 및 주민의견수렴과정을 거쳐 문제점 및 중점검토사항을 도출하고 지구특성별 계획수립접근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사례구역의 지구특성으로 나타난 역사문화보호, 용도지역조정에 따른 용도상충건축물, 개발과 보존 등의 이해관계대립, 대규모 개발, 지하공간 등은 향후 지속적 연구를 통한 지침화가 필요할 것이다. 지구단위계획의 유형화는 1개 구역전체를 하나의 유형으로 단일화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구역내부를 세분하여 다중화하는 방법도 있다. 즉 1구역 1유형분류방법은 대상지성격 파악, 정비목표 설정 등을 통해 구역지정을 위한 방법으로 유용하며, 1구역내 다수의 유형세분화는 구역규모가 크거나 도시 또는 지역 여건에 따라 구역내부에 다수의 변화여건을 포함할 경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유형분류는 자칫 복잡해질 수도 있으므로 구역지정단계에서는 계획목표만을 제시하고 부문별계획부분에서 특성별 계획유형을 지침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의 대부분이 서울시에 밀집되어 있고 관련 연구 또한 서울시를 위주로 진행되었기에 기타 지역의 지구단위계획은 서울시의 답습에 그치거나 시기를 놓쳐 실효된 경우가 많다. 본 연구의 사례인 인천시 기존시가지 지구단위계획구역 역시 구역별 사례조사 및 계획내용에 차별성이 없었으며 그 중 부평시장역구역의 경우는 광대한 구역면적과 수립과정에서 주민들의 반발 등 구역특성에 따른 문제점들에 부딪혀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는 구역지정단계에서부터 고려되어야 할 수립목적, 대상지성격세분, 계획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 등에 대한 사전 검토가 부족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위한 실현방안으로는 구역별 MA를 선정하여 규모가 작거나 계획목표가 단순한 구역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동주택지구단위계획과 마찬가지로 지구단위계획 구역지정과 계획수립과정이 동시에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고, 구역면적이 크고 ...

      • KCI등재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구단위계획 구역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여성준,강기철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basic reference to provide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differentiated category plans and classified regional characteristics. District unit planning is beneficial in a way that it can create a harmonious environment in the entire district including both the targeted area and the surrounding area and concretize rough urban planning about the entire c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ct. Among the major parts of district unit planning, however, there are more and more cases mainly intended to gain profits from the development through up-zoning rather than those to develop the entire district harmoniously by transforming the use district. At this current moment, the district unit plan guidelines that have been legislated by MOLIT puts together whole lands, and suggests comprehensive contents regardless of regional characteristic in order to establish a standardized plan. As a result, this thesis aims to provide classification while considering the peripheral nature,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nature topography for a planning area of 533 district units in Busan. At first, this study extracts 9 factors while considering each indicator and classifies 7 types of district unit plans. The study expects to assist in devising a plan that can push ahead the development plan and create harmony with surrounding areas. 본 논문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구단위계획 유형화를 도출하여 유형별로 차별화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적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다. 지구단위계획은 대상 지역과 그 주변 지역을 포함하는 지구 전체의 조화로운 환경을 조성하고, 도시 전체에 대한 개략적인 도시계획을 지구 특성에 맞게 구체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지구단위계획의 주요 내용 중 용도지역 변경을 통해 지구 전체의 조화로운 개발보다는 종상향을 통한 개발 이익 향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제정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은 국토 전체를 아우르다 보니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포괄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지구단위계획 유형 분류는 지역 특성을 적절하게 고려하지 못해 획일적 계획이 수립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부산시 533개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자연지형 특성, 내부 특성, 주변 특성을 고려한 유형화를 도출하였다. 우선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지표를 도출하였고, 이를 통해 9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인을 바탕으로 7개의 지구단위계획구역 유형을 구분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지구단위계획 수립에 있어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유형 분류를 통해 원활한 개발사업의 추진과 주변 지역과의 조화를 이루는 계획 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경관단위 유형분류 및 가치평가에 기초한 경관 개선방안 설정 및 적용

        김진효,나정화,권오성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0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신동지구 지구단위계획부지를 대상으로 경관단위 유형분류 개념에 기초하여 유형분류 도면 및 가치평가 도면을 작성함으로써 경관개선을 위한 정량적인 기초자료 구축 방법론을 모색해 보는데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관 단위 유형분류 결과 경관단위 유형군(대분류)은 총 9개, 경관단위 유형(중분류)은 총 24개, 세 부경관단위 유형(소분류)은 총 56개로 분류되었다. 1차 평가 결과, 가치가 가장 높은 I등급에 해 당하는 경관단위 유형들은 총 12개로 나타났다. 1차 평가에서 중간등급 이상으로 평가된 경관단 위 유형들을 대상으로 한 2차 평가 결과, 미시각적 측면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1a, 1b) 는 39개, 미시각적 측면에서 의미를 가진 경관단위(2a, 2b, 2c)는 56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한 경관계획 관련 현행 법·제도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경관계획 내용과의 비교분석 결과 현 행 법·제도의 대부분은 인공물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개선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바, 지구 단위개발계획의 공간적 범위 내에 분포하고 있는 미시각적으로 가치 높은 띠형 수림, 노거수 등 과 같은 다양한 크기, 형태를 지닌 자연경관요소들을 개발계획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전하기 위한 법·제도적 뒷받침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시가화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을 미시각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greatest significance in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ology of establishing quantitativ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ndscape plans by creating type classification drawings and valuation drawings based on the concept of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for district unit planning sites in Shindong district in Daejeon, Korea. Pu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landscapetope type classification, a total of 9 landscapetope types (large classification), a total of 24 landscapetope types (medium classification), and a total of 56 detailed landscapetope types (small class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imary evaluation, a total of 12 landscapetope types corresponding to the I-grade with the highest value were found. As a result of the secondary evaluation, targeting the types of landscapetopes rated as intermediate grade or higher in the first evaluation, 39 landscapetopes (1a, 1b) with special meaning in the microscopic aspect, and landscapetopes with meaning in the microvisual aspect. (2a, 2b, 2c) were analyzed to be 56. In addition,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related to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tents of landscape plan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most of the current laws and systems focus on improving artifacts in the microscopic aspect, within the spatial scope of the district unit development plan. It was found tha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effectively preserving elements of various sizes and shapes, such as the microscopically high value of the belt-shaped forests and old trees, from the development plan was insu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basic data that can guide the district unit plan established for non-urban areas in a sustainable direction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 KCI등재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권순덕 ( Soon Duk Kwon ),박영규 ( Young Kyu Park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4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에서 개발된 GIS 기반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을 위한 임ㆍ소반단위 산림기능구분도 작성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림기능구분방법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Grid 단위 기능별 잠재력을 평가한 후 소반단위 기능잠재력의 최대값을 찾아 기능평가도를 작성하고 기능우선순위에 따라 산림기능구분도를 작성하였다. 산림경영계획 수립에 필요한 최종 산림기능구분도는 우선적으로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의 법정림을 구분하고 다음으로 지방 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나머지 산림은 산림경영계획 담당자가 우선순위 산림기능구분도를 참고하여 구분한 결과들을 중첩하여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산림기능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한 Grid 단위의 기능별 잠재력평가를 통해 임ㆍ소반단위로 산림기능을 평가함으로서 국유림 산림경영계획 수립시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여 합리적인 산림경영계획 수립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과 지방산림청 자체기준에 따라 기능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국유림 산림경영계획작성에 필요한 산림기능구분도를 보다 손쉽게 작성할 수 있었다. A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management planning of national forests. This study was intended to make out the map at the stand level by utilizing the Forest Functions Evaluation Program(FFEP), developed by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this program, the potential of each function was evaluated in each grid cell, and then a forest functions estimation map was generated based on the optimum grid cell values in each sub-compartment unit. Finally, the program produced a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with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functions. The final forest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required for the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made out overlapping those results which the rest of the forest classified referring priority functions classification map to national forest manager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l administrative guidance and sustainable forest resources management guid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using the FFEP program could be an efficient tool for providing the data required for national forest management planning. Also this study made a meaningful progress in the forest function classification by considering the local forest administrative guidance and sustainable forest resources management guidance.

      • KCI등재

        도시기본계획의 주거용지 토지이용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윤석윤(Yun, Seok-Yun) 한국주거환경학회 2015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3 No.1

        In this research, revolving around the urban general plan, we carefully reviewed and analyzed the overall process and contents of cities" residential land use in order to conduct causal analysis of the problems of current land development plan: excessive development and accompanying difficulties. An urban general plan, in principle, ought to suggest a future blueprint of a city and lead a balanced local development from a long-term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of development-oriented operation, however, recent urban plans that primarily focus on new town construction while disregarding the problems caused by such excessive development, and the current city regeneration matter eventually brought about the distortion of balanced city development. Throughout the analysis of land use plan, we henceforth indicated problems as follows: unrealistic population forecast, lacking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current development sites which is the foundation of land use status report, absence of objectivity in land use demanding forecasting process, immoderate demanding forecast, establishment of land use plan irrelevant to demanding forecast.

      • KCI등재

        시설관리공단 체육사업 부분의 조직인사 분류체계 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성덕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0 스포츠사이언스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uman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of department of sports business in facility management corporation, and establish an improvement plan. To achieve the purpose, in-depth interview with six managers who are in charge of sports facilities was carried out along with looking into an ordinance of relevant local government. Also, Delphi technique was conducted after having a group discussion with sixteen people, including managers, directors, general managers and academic experts. Based on the result categorized from Delphi techniqu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was conducted to make the improvement plan. Specifically, in-depth interview with an expert group was carried out after text analysis of the ordinance of relevant local government, and the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on the basis of categorized results.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mini-Delphi technique twice,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finally established through AH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standard of organizational structure in the department was the most necessary to enhance the human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followed by re-determination of the articles of association applicable to the department. Secondly,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human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a balanced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a type of occupation, and a job analysis. Thirdly,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difference of job grade depending on the type of occupation. Fourthly, employees with sport major should not be only limited to sports instructors, but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m to assign sports administrative job. Lastly, it was concluded that the human resource classification system will be improved when the relevant ordinance in the local government is refined, and specified in the table of organization. 본 연구는 시설관리공단 체육사업 조직인사 분류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자치구 산하 체육사업 기관장(6명)의 심층면담 및 전문가(기관장, 센터장, 중간관리자 및 학계 16명) 조사(델파이)를 진행하였다. 이후 델파이 결과를 토대로 위계적 계층분석(AHP)을 실시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였다. 구체적으로 범주화 분석을 통한 전문가 심층면담, 도출된 내용의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제작과 1, 2차 미니델파이 조사, 끝으로 AHP 분석을 통해, 계량화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 하나, 공단 체육사업 조직인사 분류체계 개선을 위해서는 체육 사업운영 사업장의 직제 기준 개선이 가장 필요하다고 나타났고, 지자체 공단 체육사업 적합한 정관의 재규정이 다음 순으로 필요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하나, 직종(직렬)별 균형 있는 인사관리와 그 근간으로 명확한 직무분석에 의한 인사분류 체계가 필요하였다. 하나, 공단 직종별 직급 상이성과 직급 통일성이 개선에 필요하였고, 하나, 체육종사자가 “지도자”로 국한되는 것이 아닌 체육행정 직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개선이 필요함도 높게 도출되었다. 끝으로 시설공단의 지방자치단체 운영 조례가 개선되고, 공단 정원규정에도 명시될 때 시설공단 체육사업 조직인사 분류체계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 KCI등재

        중앙행정기관의 '비주기적계획' 현황 및 영향요인 분석 - 과학기술분야를 중심으로

        한우진,강태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3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3 No.3

        This study began with a question in the policy field that there seemed to be more ‘non-periodic plan’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To confirm this, 'non-periodic plan' was operationally defined. The frequency of the non-periodic plans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MSIT), a major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MOE) and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A total of 2,658 press releases distributed by each organization in 2020 were collected, and a ‘content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n ‘non-periodic plan.’ It was found that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nounce 'non-periodic plans' more frequently than statutory plans, and the frequency was the highest in MSIT among the three ministrie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esponse of each ministry to specific external influences. Also, the timing of the announcement of the ‘non-periodic plan’ was related to the budget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to statistically confirm the existence of ‘non-periodic plan’, to present it as a new type for policy classification, and to present its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non-periodic plan.’

      • KCI등재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등급 설정을 위한 비오톱 구조분석 -광명시흥 보금자리 주택지구를 대상으로-

        나정화 ( Jung Hwa Ra ),조현주 ( Hyun Ju Cho ),이현택 ( Hyun Taek Lee ),김진효 ( Jin Hyo Kim ),박천진 ( Cheon Jin Park ) 한국농촌계획학회 2011 농촌계획 Vol.17 No.3

        This research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oncrete recreation planning of future site by selecting Gwangmyeong-Siheung housing district, large residential development district focused on rural areas, by evaluation of recreation value and detailed biotope type classification.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basic survey of the research area, total 79 family and 307 taxonomic groups are identified and also naturalization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were estimated 16.6 % and 17.6% respectively. Also, as a result of biotope type classification, it is divide into 12 biotope type gorups including forest biotope type group and its subordinate 53 biotop types. As a result of first value evaluation, there are total 13 biotope types such as vegetation-full artificial rivers in Ⅰ grade. In addition it is analyzed as 9 types of Ⅱ grade, 5 types of Ⅲ grade, 8 types of Ⅳ grade, 18 types of Ⅴ grade. Lastly, as a result of second evauation, it is analyzed that there are 21 special meaningful areas for recreation and natural experience(1a, 1b), and 50 meaningful areas for recreation and natural experience(2a, 2b, 2c). It is regarded that the results of biotope types classification and recreation value from this research play roles of analyzing the Suitable site for recreation area before development in terms of large residential development district, and then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to secure recreational and natural experience area in development plan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