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國 古代 木簡의 分類 方案 = A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Korean ancient wooden docum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32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number classification of ancient Korean wooden documents by stage after being excavated from the ruins and storing them in a storage(relic storage), and classifies the types of wooden documents based on the planar conformation. Tho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search by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wooden documents, and to prepare a classification standard of wooden documents.
      The classification plan between wooden docum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number classification and type classification. The number of wooden documents is a classification that easily identifies the wooden documents with the name of wooden documents, and it is numbered step by step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wooden documents will be given numbers such as ①The location number of the excavated site, ②The number of the organization, ③The number of the report, and ④The number of national attribution number(official number goven by the country).
      The type classification of wooden documents set up on consideration of the planar conformation, the upper and lower(upper and lower ends), and cross-sectional shape. Considering the planar conformation of the wooden documents, it was classified into Ⅰ: elongated square type, Ⅱ: bar type, and Ⅲ: crumb type for set as a standar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

      이 글은 한국 고대 목간을 대상으로 유적에서 출토된 이후 수장고에 수장하는 단계별로 번호 분류의 의미를 살피고 평면 형태를 기준으로 목간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이를 통해 목간의 외형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검색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목간의 분류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간의 분류 방안은 크게 번호 분류와 형식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목간의 번호는 목간의 명칭과 더불어 목간을 쉽게 파악하는 분류 방식이며, 정리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번호가 부여된다. 목간은 ①출토 위치 번호, ②정리(임시) 번호, ③보고서 번호, ④국가귀속번호 등의 번호를 부여받게 된다. 출토 위치 번호는 목간의 출토 위치와 층위를 표현한 번호로서 학문적인 자료로서의 지위를 부여 받는다. 목간의 최종적인 번호는 소장 기관의 수장번호를 반영하는 국가귀속번호이며, 목간의 번호 분류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목간의 형식 분류는 평면 형태와 상·하단 형태, 단면 형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먼저 목간의 평면 형태를 고려하여 Ⅰ: 장방형, Ⅱ: 봉형, Ⅲ: 부스러기로 분류할 수 있다. Ⅰ: 장방형의 하위 단위로 상단 형태는 알파벳 대문자, 하단 형태는 알파벳 소문자로 세분할 수 있으며, Ⅱ: 봉형의 하위 단위는 단면 형태를 기준으로 아라비아 숫자로 표현한다. 폐기 시의 상황을 고려하여 파손은 ‘×’로 표현하여 현존 상황을 나타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성산산성 목간, 발굴에서 보존까지" 2015

      2 김재홍, "함안 성산산성과 출토 목간의 연대" 한국목간학회 (22) : 15-33, 2019

      3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3 : 2009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 특별전도록" 2019

      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Ⅱ" 2017

      6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2004

      7 윤재석, "한국목간총람" 경북대 인문학술원 HK+사업단 2022

      8 이용현,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2006

      9 권인한, "한국고대문자자료 연구 백제(상·하)" 주류성 2015

      10 윤선태, "한국고대목간의 형태와 종류" 한국역사연구회 (65) : 157-185, 2007

      1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함안성산산성 목간, 발굴에서 보존까지" 2015

      2 김재홍, "함안 성산산성과 출토 목간의 연대" 한국목간학회 (22) : 15-33, 2019

      3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한국목간학회 3 : 2009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 특별전도록" 2019

      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Ⅱ" 2017

      6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2004

      7 윤재석, "한국목간총람" 경북대 인문학술원 HK+사업단 2022

      8 이용현,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2006

      9 권인한, "한국고대문자자료 연구 백제(상·하)" 주류성 2015

      10 윤선태, "한국고대목간의 형태와 종류" 한국역사연구회 (65) : 157-185, 2007

      11 이재환, "한국 출토 목간의 분류와 정리 및 표준화 방안" 한국목간학회 (23) : 15-40, 2019

      12 박중환, "한국 고대목간의 형태적 특성" 2 : 1994

      13 김재홍, "태안 침몰선 고려 목간의 문서양식과 운송체계" 한국중세사학회 (47) : 221-254, 2016

      14 이승률, "죽간·목간·백서-중국 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1-" 예문서원 2013

      15 HASHIMOTO Shigeru, "월지(안압지) 출토 목간의 연구 동향 및 내용 검토" 한국고대사학회 (100) : 223-266, 2020

      1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월성해자 발굴조사보고서Ⅱ-고찰-" 2006

      17 장기명, "월성 해자의 조사 성과와 고환경 연구와의 접점" 신라문화연구소 58 : 43-70, 2021

      18 문화재관리국, "안압지 발굴조사보고서" 1978

      19 윤무병, "신안해저유물Ⅱ" 문화재관리국 1984

      20 이기동,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1984

      2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신라 왕궁 월성 특별전도록" 2018

      22 이경섭, "신라 목간의 세계" 경인문화사 2013

      23 전경효, "신 출토 경주 월성 해자 묵서 목간 소개" 한국목간학회 (20) : 61-78, 2018

      24 국립부여박물관, "백제목간 특별전도록" 2008

      25 국립경주박물관, "문자로 본 신라 특별전도록" 2002

      26 국립중앙박물관, "문자, 그 이후 특별전도록" 2011

      27 윤선태, "목간의 형태와 용도분류에 대한 기초적 제안" 2013

      28 도미야 이타루, "목간과 죽간으로 본 중국 고대 문화사" 사계절 2005

      29 국립부여박물관, "나무 속 암호 목간 특별전도록" 2009

      30 김재홍, "고려 출수 목간의 지역별 문서양식과 선적방식" 한국목간학회 (19) : 53-77, 2017

      31 김재홍, "고대 목간, 동아시아의 문자 정보 시스템" 민족문제연구소 67 : 2017

      32 長野縣埋藏文化財センター, "長野縣屋代遺跡群出土木簡"

      33 今泉隆, "硏究論集Ⅳ" 國立奈良文化財硏究所 1978

      34 角谷尙子, "東アジア木簡學のために" 汲古書院 2014

      35 大庭脩, "木簡學入門" 志學社 2020

      36 大庭修, "木簡【古代からのメッセージ】" 大修館書店 1998

      37 鬼頭淸明, "木簡" ニュー·サイエンス社 1990

      38 狩野久, "木簡" 至文堂 1979

      39 木簡學會, "日本古代木簡選" 岩波書店 1990

      40 岡內三眞, "新安沈沒船を通じてみた東アジアの貿易" 23 : 1986

      41 籾山明, "文獻と遺物の境界Ⅱ-中國出土簡牘史料の生態的硏究-" 東京外國語大學 アジア·アフリカ言語硏究所 2014

      42 籾山明, "文獻と遺物の境界-中國出土簡牘史料の生態的硏究-" 六一書房 2011

      43 國立歷史民俗博物館, "文字がつなぐ 古代の日本列島と朝鮮半島, 특별전도록" 2014

      44 李均明, "古代简牘" 文物出版社 2005

      45 每日新聞社, "古代中國の文字と至寶, 湖南省出土古代文物展, 특별전도록" 2004

      46 大阪府立近つ飛鳥博物館, "シルクロードのまもり, その埋もれた記錄, 특별전도록" 1994

      47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개정)한국의 고대목간"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