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 요구분석 - 성인학습자와 교수자·교육행정가를 대상으로

        주민재,연지연,이현주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This study aims to secure basic data for preparing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strategies suitabl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in domestic universities. We conducted a needs analysis targeting adult learners currently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teachers and administrators in charge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dult learners attending each university showed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with regular subjects related to communication. They recognized that in addition to academic writing skills, presentation, job writing, and self-expression writing skills were needed. In addition, many people preferred to take both writing and speaking as compulsory subjects, and they felt that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non-specialized programs was very insufficient.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willing to take the K-MOOC common subjects related to communication education that is open to all students, and they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to deal with when communication education is operated as a K-MOOC subject is the basics of writing. Most of the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in charge of communication education thought that a customized curriculum suitable for adult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at each university; communication education applicable for work along with academic writing is necessary.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as essential to operate a customiz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needs, level, and motivation of adult learners and different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operation. The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 tasks to be solved by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domestic universities. First, develop a curriculum that can improve academic communication skills and job communication skills. Second, develop communication courses (K-MOOC) that adult learners can easily take. Third, develop and operate communication education materials and curriculum suitable for adult learners. Lastly, develop and operate various non-curricular programs required by learners.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에 적합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및 교수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현재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성인학습자,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의사소통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자와 교육행정가를 표적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수행했다. 각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은 의사소통 관련 정규교과목 대한 만족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성인학습자들은 학술적글쓰기 능력 외에도 발표나 직무 글쓰기, 자기표현 글쓰기 능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글쓰기와 말하기 모두 필수과목으로 수강하기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특화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이 매우 미흡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성인학습자들의 절반은 모든 학생들에게 개방된 의사소통교육 관련 K-MOOC 공통 교과목을수강할 의향이 있었으며 의사소통교육이 K-MOOC 교과목으로 운영되는 경우 가장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부분은 글쓰기 기초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의사소통교육 담당 교수자 및 교육행정가들은 대부분 각 대학에서 성인학습자에게적합한 맞춤형 커리큘럼이 개발되어야 하며 학술적 글쓰기와 함께 직무에 적용할 수있는 의사소통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성인학습자의 요구와 수준, 동기 등을 고려한 맞춤형 커리큘럼의 운영과 교수학습방법, 교육운영의 차별화 등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 국내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첫째, 학술적 의사소통능력과 직무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둘째, 성인학습자들이 손쉽게 수강할 수 있는 의사소통 교과목(K-MOOC)의 개발, 셋째, 성인학습자에 적합한 의사소통교육 교재와 커리큘럼의 개발 및 운영, 마지막으로 의사소통교육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운영 등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체제 분석

        주민재(Joo, Minjae),연지연(Yeon, Jiyeon),이현주(Lee, Hyunju)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현황과 교수자 및 행정 담당자의 인식을 분석하여, 성인학습자에게 적합한 의사소통 교육 방법과 교수학습 전략을 구축하기 위한 자료를 확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사업> 참여 대학이 운영하고 있는 의사소통교육 현황에 대한 기초설문조사와 교수자, 행정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 및 담당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각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은 대부분 학령기 학습자 대상으로 운영되는 의사소통교육체제를 준용하고 있었다. 일부 대학에서만 의사소통 교과목을 미래융합대학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운용하고 있었다. 각 대학의 의사소통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현재 성인학습자 의사소통교육은 학부 교육과정과의 차별화 미흡과 특성화 부족으로 요약된다. 의사소통 역량 향상을 위한 성인학습자 대상의 별도 지원체계 역시 미흡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학사 운영 등으로 학습자들의 실제 요구에 부합되지 않는 형태로 의사소통교육이 운영되고 있으며 성인학습자 맞춤형 커리큘럼 및 콘텐츠가 시급히 개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 대상 의사소통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성인학습자 요구 맞춤형 운영이 가능한 트랙제 교육과정과 성인학습자의 수준 및 경험을 고려한 교육 내용과 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성인학습자의 의사소통교육을 전담하는 전임교원의 확보가 핵심적인 과제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in Korea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to secure data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education methods an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suitable for adult learners.. The researchers conducted a basic survey on the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ed by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 project> in Korea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professors and administrators.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t each university and the perception of the person in charge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most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of each university applied the communication education system operated for school-age learners mutatis mutandis. According to an in-depth inter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cation education operation at each university,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was insufficiently differentiated from the undergraduate curriculum and lacked specialization. In addition, a separate support system for adult learners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nsufficient.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communication education was being operated in a form that did not meet the actual needs of learners due to academic operation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nd that curriculum and contents customized for adult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urgently.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in order to substantiate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develop a track-based curriculum that can be operated tailored to the needs of adult learners, and educational contents and materials that consider the level and experience of adult learners. In addition, for this purpose, each university proposes as a core task to secure a full-time faculty in charge of communication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 KCI등재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에 관한 연구

        정한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affecting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of adult learners at special graduate school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n this study, a hypothetical study model was developed to explain the intention of adult learners who are studying at special a graduate school. In this study, 289 adult learners attending special graduate schools in four metropolitan areas were collected. In order to select research subjects suitable for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is based on the sampling of convenience: 1) adult learners who study at a special graduate school, 2) adult learners who attended special graduate school for the 1st, 2nd and 3rd semeste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In this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adult learners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Second, it was found that adult learner's motivation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indirectly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adult learn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self-efficacy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did not have a direct or indirec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learning. From these conclusions, we have proposed 'practical improvement of satisfaction with adult learners in special graduate schools', 'various workshops, seminars and lectures to assist adult learners in academic performance', 'adult learners'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social support measures to effectively support the learning of adult learners who work and study together.’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과변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특수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성인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를 설명하는 가설적인 연구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4개 대학의 특수대학원에재학 중인 성인학습자 28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에 적합한 연구대상을선정하기 위해, 편의표집을 바탕으로, 1)특수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2)특수대학원 재학 학기가1, 2, 3학기인 성인학습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업에 대한 만족도가학업지속의도에 유의하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탐색할 수 있었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가 학업지속의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가 학업지속의도에유의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성인학습자의 자기 효능감은 학업지속의도에 직접, 간접적으로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론을 통해, '특수대학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학업수행 관련 만족도를 실질적으로 높이는 방안', '성인학습자의 학업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각종 워크숍, 세미나, 특강', '성인학습자의 학습참여를 유발시킬 수 있는 참여동기 신장 방안', '일과 학습을 병행하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을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 특성이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을 중심으로

        안현용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21 평생교육 · HRD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중심의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가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비수도권 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수도권 소재 대학의 성인학습자보다, 신입학 학생이 재학생보다, 예체능 전공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교육 및 공학·자연 계열 학생들보다, 40대 학습자들이 타 연령대의 학생들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고,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 역시 높았다. 둘째, 남성 학습자는 여성 학습자보다 교육내용, 교육 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가 높았으나,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입학전형에 있어서는 평생학습자 전형과 특성화고졸 등 재직자 특별전형은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 변수 차이에서 평균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친화형 전담 학위과정을 운영하는 대학 평생교육 정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평생교육 운영 만족도 요인은 교육내용, 교수자, 교육환경,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이며, 그 가운데 성인학습자 친화형 지원체제 만족도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colle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Furthermore, th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centered on degree courses dedicated to adult learners on policy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in the suburban area was higher than that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re were more freshmen than enrolled students in the population of students majoring in arts, sports, music was higher than humanities, social studies, education, engineering, and nature, learners in their age of 40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education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s,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s than students of other age group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policy was also high. Secondly, male learners te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than female learners. Furtherm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olicy. Third, learners of the lifelong learner program who recruit adult learners and incumbent special admissions such as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variables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has reveal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rogram policy were educational content,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and the adult learner-friendly support system satisfaction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 KCI등재

        성인발레학습자의 경험실태 연구

        유은혜,윤혜선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adult ballet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issues of improving it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adult ballet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2 adult ballet learners in their 20s~50s who participated in adult ballet lessons for 3 months or longer. They were surveyed with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29 items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 of adult ballet learners, it was noteworthy that there was male participation even though the proportion of them was not greater than female. The age of participants in their 30s was the highest and there was a higher participation rate in the 50s than before. Also, th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 participation of office employees and housewives were the highes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rticipation path of the ballet class and the preferred class participation method of the adult ballet learner, it was found that the class participation path was most preferred to the dance academy which can easily be accessed through an Internet search. For participation method, 2 times a week, 1 hour~1 hour 30 minute class hour was most preferred. It was found that the at least KRW 130,000 a month were spent for the majority of ballet lesson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adult ballet learners, it was found that the selection conditions of the learning institutes were most likely to be close to the learner’s residence. The purpose of participation was mostly posture correction and body management and the expectation effect through the ballet lesson was emotional relaxation and flexibility improvement through classical music. The most satisfying aspect about adult ballet learning was found to be the exercise effect, body figure management and vitality of life.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blem and improvement of adult ballet lessons perceived by adult ballet learners, the most difficult aspect in the ballet learning process was to follow rhythm in music and the order of movement. The most common opinion for improvement is that adult ballet learners need to be taught at various ages and leve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activate and popularize adult ballet education and dance education as recreational activities. 본 연구는 성인발레학습자의 경험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성인발레교육의 현황과 개선 과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방법은 성인발레수업을 3개월 이상 수강한 20대∼50대의 성인발레학습자 132명을 대상으로 29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 첫째, 성인발레학습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은 여성에 비해 적은 비중이지만 남성의 참여도가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결과로 나타났고, 연령은 30대의 참여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전에 비해 50대의 참여도가높아지고 있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적 특성에서는 회사원 및 주부의 참여도가 가장 높았다. 둘째, 성인발레학습자의 발레수업 참여경로와 선호하는 수업 참여방법을 분석한 결과, 수업참여경로는 인터넷 검색을통해 발레학습기관의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는 무용학원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 참여방법은주 2회로, 1회 참여시간은 1시간~1시간 30분의 구조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발레학습을 위해 한 달에 최소 13만원이상 비용투자를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발레학습자의 학습동기 및 만족정도를 분석한결과, 학습동기의 요소들 중에 학습기관의 선택조건은 거주지와 지리적 거리가 가까운지를 가장 많이 고려하였고, 자세교정과 몸매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발레수업을 통한 기대효과는 클래식 음악을함께 접하면서 정서적 완화와 유연성 향상으로 나타났다. 성인발레학습에서 가장 만족스러운 사항은 운동효과가매우 크고, 몸매관리, 생활의 활력을 찾는데 도움이 되는 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발레학습자가 인식한 성인발레학습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분석한 결과, 발레학습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음악에 리듬을 맞추는 것과동작의 순서를 따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선사항은 성인발레학습자의 다양한 연령 및 수준별 수업 운영이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여가활동으로서 성인발레교육의 활성화 및 무용교육의대중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참여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윤지원 ( Jiwon Yoon ),채혜경 ( Hyekyoung Chae ),김혜윤 ( Hyeyoon Kim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참여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 경남 소재의 C대학교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2022년 6월 24일부터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최종 132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참여도,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학생 상호작용, 수업참여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론 및 제언: 그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평균 3.32점,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평균은 4.29점, 수업참여도는 평균 2.94점, 대학생활만족도는 평균 3.55점으로 나타났다. 성인학습자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며, 그 다음은 ‘수업참여도’이다. 성인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도록 도와야 한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eacher-learner interaction, class participation of adult-learners on the campus-life satisfaction. Targetting the adult learners who are in C university in Kyungnam province, a total of 132 survey data was analyzed starting from June 24, 2022 to June 30, 2022. This study firstly aims to look into a connection with academic self-efficacy, teacher-learner interaction, class participation of adult-learners, and secondly, the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eacher-learner interaction, class participation of adult-learners on campus-life satisfaction. In consequence, it showed that the academic self-efficacy is an average of 3.32 points, an average of 2.94 on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 average of 3.55 points on class participation of adult-learner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campus-life of the adult learners was ‘the teacher-learner interaction’ and ‘a degree of class participation’ next. We need to help teacher-learner interaction more activated to support adult-learners for their continuous study.

      • KCI등재

        청소년교육학 전공 성인학습자의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삶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

        신미정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ceding factors related to the learning which affects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dult learners majoring in the youth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Accordingly, this study was to check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the adult learners majoring in youth education on the quality of between the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nvestigative study as an object of 679 adult learners who majored in the youth education from the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as on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Second, the adult learners'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had positive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Third, the adult learners'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did not have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the adult learners'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on the quality of life mediated by the adult learners' learning outcomes, both the learner characteristic style and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were analyz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mediated by the learning outcomes. Lastly,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in these research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교육학 전공 성인학습자들의 평생학습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방안으로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 관련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기관을 대표하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서 청소년교육학을 전공하고 있는 679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삶의 질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는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직접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는 학습성과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는 삶의 질에 직접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를 매개로 하여 성인학습자의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한 결과 학습자 특성유형, 학습참여동기 모두 학습성과를 매개로 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추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증진을 위한 디스쿨(d.Shool) 디자인 씽킹(Design Thinking) 교육 경험 탐색 : 코로나19 펜데믹 상황 중심으로

        이종길(Lee, Jong-gil),안영혜(An, Yung-he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증진을 위해 디스쿨의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단계에 따른 교육경험을 제공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디자인 씽킹 교육경험에 대한 성인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한 BK대학교에서 보육교사 전공이론 교과목 ‘아동복지와 권리’를 수강하는 성인학습자 23명을 대상으로 15주간에 걸쳐 창의적 사고 증진을 위한 디스쿨 디자인 씽킹 교육을 실시하고, 본 교육에 대한 적절성, 문제점, 개선점 등의 의견을 듣기 위해 토론, 반성적 저널쓰기, 심층면담 등으로 수집된 질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씽킹 교육에 대한 성인 학습자들의 반응은 어려움 호소하기, 긍정적으로 인식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 단계에 따른 성인학습자들의 반응은 생활 속에서 느끼기, 생활 속에서 문제발견하기, 함께 아이디어 찾기, 사례공유를 통해 이해하기, 생활 속에서 공유하기로 나타났다. 셋째, 디자인 씽킹 교육 경험에 대한 성인학습자들의 인식은 앎을 삶으로 연결하기, 주도적으로 생각열기, 자유롭게 소통하기, 사고확장하기로 나타났다. 넷째, 디자인 씽킹 교육 경험 후, 성인학습자들은 토론 스킬과 성인학습자에게 맞는 학습 환경 조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시사하며, 평생교육으로서의 성인학습자 대상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educational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of d.School to promote adult learners creative thinking, and to examine adult learners perceptions of the design-thinking educational experience in this process. Methods To this end, we conducted a de-school design thinking education to promote creative thinking for 15 weeks for 23 adult learners taking ‘Child Welfare and Rights’, a major theory course for childcare teachers at BK University in Busan. Qualitative data collected through discussi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in order to hear opinions on the relevance, problems, and points for improvement.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of adult learners to design thinking education was found to appeal to difficulties and to perceive positively. Second, the response of adult learners according to the design thinking process stage was to feel in life, discover problems in life, find ideas together, understand through case sharing, and share in life. Third, adult learners perception of the design thinking education experience was found to be connecting knowing to life, proactively opening up their thoughts, communicating freely, and expanding their thinking. Fourth, after the experience of design thinking education, adult learners had a demand for discussion skills and creating a learning environment suitable for adult learners.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promoting adult learners creative thinking,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as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성인학습자 특성을 고려한 교양 교육과정 개설 방안 연구 -Y대학 미래융합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서성수,심미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Due to the sharp drop in the number of school-age students, the university crisis is rapidly accelerating. With support from the government, many universities have started to establish the College of Future & Convergence for adult learners. This was part of a self-rescue strategy among the universities as well, While the number of colleges for adult learners is increasing, their systems are still considered to be incomplete. Recently, research studies into this kind of issue, and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the adult-centered education system, have been increasing. However,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research studies, especially in regards to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for adult learners. This is because the majority of colleges for adult learners tend to simply take the liberal arts courses as they ar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whole process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r adult learners in Y University. First, the authors of this study examined available literature on the relevant issues. In doing so, the authors tried to look for some of the more salient characteristics peculiar to adult learners. After this, the authors conducted a survey to check the preference of adult learners concerning their liberal arts courses. Based on this survey, professors and staff members from the College of Future & Convergence,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the Learning Support Center came up with the final lists of liberal arts courses for adult lear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llege of Future & Convergence needs to conside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department,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when they develop and implement a liberal arts curriculum. Furthermore, they also need to consider the gap between the ideal goals found in education and the realistic needs of adult learners. 최근 성인학습자 친화적 제도 도입과 교육방법론에 관해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 교양교육과관련해서는 아직 연구 자체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성인학습자 교육을 담당하는 대다수의 평생교육대학(미래융합대학)에서는 대학 내의 교양과목 일부를 차용해 운영하거나 전공에 예속해 운영하고 있는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양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Y대학 사례를바탕으로 교양교육과정 도입 과정을 살펴보고자하였다. 먼저 수요자친화적 교육과 대학교육의 근원적목표와의 접점을 찾기 위해 문헌조사와 국내외 대학의 성인학습자 대상 교양과정 운영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후 수요자인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교양교과목 도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및 구체적 교과목선호도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양과목과 관련해서도 실용성 추구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학과의 특성이나 연령에 따라서도 교양과목에 대한 인식 및 선호 영역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의결과는 성인학습자를 교육하는 대학의 교양교육이 추구해야 할 본질과 성인학습자의 현실적 요구에대한 간극을 좁힐 수 있는 다양한 방법론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성인학습자 교육을 담당하고있는 대학이 대학의 새로운 교육수요를 창출하고,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합리적 대안이되기 위해서는 성인학습자의 요구와 기존 대학사회와의 접점을 찾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노인교육 관련 연구에 나타난 학습자로서의 노인

        전제아,김원경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4 평생학습사회 Vol.10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perspectives of the old learners depicting the articles dealing with older adults education in major Korean journals from 1990 to 2014. Four major journals focusing on older adult education were selected to examine 51 articles regarding older adult learners in education. Results revealed three aspects of older adult learners in older adult education. Firs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of older adult education were mostly selected from the institute of older adult eduction. Second,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older adult learners emphasized affective aspects rather than cognitive or psycho-motor aspect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 learner focused on three aspects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older adults’ life in education. In conclusion, the perspectives of the older adult learners were someone who were deficient and residual, and then older adult learners were considered homogeneous in terms of participants in some institutional programs for older adul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various aspects of the older adult learners would considered in the study of older adults education regarding psychological,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older adults.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4년 6월까지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노인교육 관련 논문들이 보여 주는 노인학습자에 대한 시각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노인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4종의 학술지(『노인복지연구』, 『한국노년학』, 『평생교육학연구』, 『Andragogy Today』) 를 선정하고, 이에 게재된 관련 논문 총 51편을 분석하여 이러한 연구들이 노인학습자에 대한 시각을 어떻게 보여 주는지 탐색하였다. 그 결과, 노인학습자에 대한 연구들은 노화에 따른 신체변화, 심리적 변화 그리고 환경생태학적 변화가 미치는 영향 등을 중심으로 노인학습자의 특징을 파악하고 있다는 점, 노인학습자를 위한 교육의 목표로는 인지적 목표나 심동적 목표보다는 정의적 목표를 강조한다는 점, 노인학습자 가운데서도 특히 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이런 결과를 통해 나타난 노인학습자는 결핍된 존재, 새로운 사회적 역할에 적응해야 하는 존재이며, 심리적 안녕감과 같은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위주로 하는 교육을 필요로 하는 존재로 그려지고 있으며, 실제 연구과정에서 기관 이용자를 주요 연구 참여자로 선정함으로써 노인학습자는 매우 동질적인 집단으로 그려지고 있다. 향후 노인학습자 연구를 위해서는 노인학습자를 결핍된 존재로 보는 편향적 시각을 탈피해야 하며, 교육목표를 인지적 영역과 심동적 영역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실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노인학습자 집단의 다양성을 충분히 반영 할 수 있도록 다각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