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구(琉球) 한문학의 성립배경

        이성혜 ( Lee Seong-hea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8 퇴계학논총 Vol.31 No.-

        인류문명사에 있어서 문자나 문학의 성립 시기가 분명하지 않듯이, 유구에 언제 한문이 전래되었는지, 한문학은 언제쯤 성립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학자들은 가장 이른 시기로 14세기 전후로 보고 있다. 유구 한문학의 성립 배경에는 두 가지 系譜가 있다. 그 중 하나는 ‘五山僧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閩人三十六姓계보’이다. 첫째, 13세기 후반 일본 승려의 도래로 유구에 한자와 가나문자가 동시에 전해졌다고 한다. 이후 14세기와 15세기에 다시 일본 승려가 도래하는데 이들도래승은 일본 오산계통의 승려로 불교 포교자인 동시에 한문 지식을 갖춘 교육자로 유구 한문학의 성립과 전개에 기여했다. 이 시기 僧門 한문학의 성과는 鍾銘과 碑記를 통해 나타나며 그 대표적인 작품이 「수리성 정전의 종명(首里城正殿の鐘銘)」이다. 둘째, 閩人 36성의 이주 시기는 분명하지 않고, 1392년·1394년·1396년 세 가지설이 있다. 그러나 유구의 학자들은 대체로 이보다 빠른 시기인 1372년 察度王이 명나라 招諭를 받은 때부터 일 것이라고 판단한다. 이들 귀화인들은 중국에서 습득한 한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유구의 외교문서를 전담했다. 그리고 여기에 한 가지 추가하고자 하는 것은 일본 사쓰마번(薩摩藩)의 침공과 유가사상의 정착이다. 1609년 일본 사쓰마번이 유구를 침공하고, 유구지배의 필요성으로 유구에 신분제를 실시하는데 이를 위해 유가사상을 보급했다. 즉, 사쓰마번의 침공으로 유가사상이 확대되면서 유구 한문학의 융성기가 된다. 이때 많은 한시와 한문 작품이 창작되었다. 따라서 진정한 유구 한문학은 이 시기부터라고 할 수도 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유구에 한문학이 성립되고 전개되었다. It’s not uncertain when Chin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琉球) and whe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was formed in that region. However, researchers generally agree that it was around the 14th century. Three events, they say, made greatest contributions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Yugu. One is the arrival of Japanese Buddhist monks, another is immigration by people of 36 last names who lived in Min, Fujian Province, China and the other, invasion by Sathuma Province, Japan. Chinese character and Gana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 by Japanese Buddhist monks, Seongam(禪鑑) earliest, followed by Noejung Beopin(賴重法印) and Gae Eun(芥隱) in order who were 100 years away from each other. These monks not only propagated Buddhism, but also educated Chinese lette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Yugu. Their accomplishments can be found in bell inscriptions and records that were made when they were working in Yugu. Another contribution to the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of Yugu was the immigration of 36 last names from Min(閩), China. The time when they first came to Yugu is known as 1392, 1394 or 1396, but not certain. However, many researchers of Yugu assume that those immigrants first arrived earlier, or in 1372. The naturalized citizens took in charge of diplomatic documentation for Yugu based on the knowledge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that they had learned in their mother country. 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Yugu since Sathuma Province’s invasion. To govern Yugu, that province implemented a social status system, for which Confucianism was distributed. The Confucianism-based status system started with separation between the scholastic and the farming classes, generation of family genealogy and formation of clans. That system was completed in 1690 when Gyedojwa(系圖座) was established as a governmental agency of family genealogy management. Around that time, Confucian ideology and the consciousness of clanship became more an more prevalent across the scholastic class of Yugu, leading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the region.

      • KCI등재

        琉球 한문학의 시대별 특징

        이성혜(Lee Seong he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0 No.-

        유구에 언제 한문이 전래되었는지, 한문학은 언제쯤 성립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학자들은 가장 이른 시기로 14세기 전후로 보고 있다. 즉, 유구의 中山王 察度가 명나라 홍무제로부터 국교를 수교하자는 招諭의 국서를 받은 1372년 전후로 유구에 한문이 전래되었으며 이후 점차 문학 작품도 생산되었다. 유구 한문학의 성립 배경에는 두 가지 系譜가 있다. 하나는 ‘五山僧 계보’이고, 다른 하나는 ‘閩人三十六姓 계보’이다. 오산승 계보는 유구로 온 일본 오산 계통의 승려에 의해 전해진 것으로 주로 山門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민인삼십육성 계보는 중국 복건성에서 유구로 이주한 36성 사람들이 定住하여 형성한 구메무라(久米村) 사람들이 전했다고 하는 것이다. 이후 1609년 일본 사쓰마의 침략과 사쓰마의 의도적 보급으로 유가사상이 확산되었다. 유구 한문학의 시대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눈다. 첫째, 한문학 도래기는 성립에서 제1상씨시대까지(14세기-1469년)이다. 이 시기는 移住人과 渡來人에 의한 외교문서와 鍾銘이 대부분이다. 둘째, 승려 문사 활약기는 제2 상씨시대부터 사쓰마 침공 전까지(1470-1608년)이다. 이 시기는 僧門의 승려에 의한 碑記와 鍾銘이 주를 이룬다. 셋째, 관인 문학 전성기는 사쓰마 침공부터 유구처분까지(1609-1879년)이다. 이 시기는 유가사상과 주자학이 도입되면서 관료 문인과 학자에 의한 본격적인 한시와 한문 작품이 창작되었다. It’s uncertain when Chin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 and when Chinese classics was established in the kingdom. However, many researchers point to around the 14th century at the earliest. According to them, Chinese letters were introduced to Yugu around 1372 when Chaldo (察度) as king Jungsan of the kingdom received a state message saying the intent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hips from emperor Hongwu of the Ming dynasty via Cho-yu(招諭). Since then, works of Chinese classics were increasingly created in Yugu. Behind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classics in Yugu were two genealogical lines, ‘Osanseung(五山僧)’ and ‘Manin Samsipyukseong(閩人三十六姓)’. Of the two lines, the former was formed and succeeded by both Japanese Buddhist monks who moved from the five major temples of the mainland Japan to Yugu and Yugu’s Buddhist monks who moved to the mainland for studying, and developed mainly at Buddhist temples. While, the latter line was formed and succeeded by residents of the Kume village that people from 36 family clans of the Fujian province, China formed as they immigrated to Yugu. Chinese classics and Confucian became prevalent intentionally by the Satsuma region of the mainland Japan since 1609 when it invaded the kingdom. Overall, Yugu had three different times of Chinese classics. First, the 1st Sang Dynasty period(the 14th century-1469) when Chinese classics was formed in the kingdom. At that time, the mainstream of the classics was immigrants and drifters’ diplomatic documents or their writings inscribed in bells. Second, the period(1470-1608) from the 2nd Sang Dynasty’s reign to invasion by the Satsuma region of the mainland Japan was when Chinese classics was developed. In this period, the biggest part of the classics was Buddhist monks’ letters inscribed in tombstones or bells. Third, the period(1609-1879) that lasted till the so-called Pyebeonchihyeon(廢藩置縣, 琉球處分) since invasion by the Satsuma region was when Chinese classics prospered in Yugu. At that time, a literary man of Yugu actively created Chinese classical poems and letters as Confucian ideas and Sung-Confucianism were introduced to the kingdom.

      • KCI등재

        정조(正祖),정약용(丁若鏞),서유규(徐有구)의 십삼경(十三經) 이해

        김문식 ( Moon Sik Kim ) 다산학술문화재단 2010 다산학 Vol.- No.16

        이글은 정조의 십삼경十三經 책문策問과 정약용丁若鏞과 서유구徐有구의 대책對策을 통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경학 인식을 살핀 것이다. 정약용과 서유구는 두 살 터울의 동년배 학자로서 비슷한 시기에 규장각奎章閣 초계문신抄啓文臣에 선발되었고, 규장각의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문적으로 성장했는데 이 과정에서 정조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정조는 책문을 통해 십삼경의 원문原文과 주석註釋에 관심을 둘 것을 촉구했고, 송학宋學에 편중된 당대의 학풍學風을 바꿀 수 있는 방안을 요구했다. 정약용과 서유구는 정조의 질문에 일일이 답변하면서 정조가 가졌던 문제의식을 공유했고, 역대 주석을 모으고 이를 집대성한 새로운 경학 텍스트를 간행하여 보급하자고 주장했다. 정약용과 서유구가 제안한 심삼경 주석서는 물론이고 『심삼경주소十三經注疏』조차 조선에서는 간행되지 못했다. 1901년(고종 38)에 김태제金台濟는 새로운 경서經書 주석본을 간행하자고 제안했는데, 그가 제안한 책은 정약용과 서유구의 제안했던 내용과 매우 유사했다. 결구 『십삼경주소』를 비롯한 십삼경 주석서는 20세기 초까지도 간행되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정조가 내린 책문들이 무의미한 것은 아니었다. 19세기에 들어와 정약용과 서유구는 각자의 학문 연구에 몰두했고, 정약용은 경학가經學家로 성장하여 육경사서六經四書에 대한 방대한 연구서를 남겼고, 서유구는 농학자農學者로 성장하여 방대한 농서農書를 편찬했다. 18세기 후반에 정조가 규장각 초계문신을 중심으로 추진했던 인재 양성책은 19세기에 들어와 뛰어난 학자의 탄생으로 귀결되었다. This paper is to research some intellectual views on classical learning in the late Joseon by examining King Jeongjo`s chaengmun question on the Thirteen Classics and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daechaek replies. Jeong Yagyong and Seo Yugu had something in common: both became chogyemun-sin(抄啓文臣, special scholar-officials) at the Gyujanggak(奎章閣) at a similar time and grew up into fine scholars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 there, and so their scholastic characters were to a great extent affected by King Jeongjo`s scholarly positions and instructions. In his chaengmun, King Jeongjo urged his readers to pay attention to the Thirteen Confucian Classics` original texts as well as their commentaries, and asked them to devise means of changing the then-prevailing scholarly fashion that was biased heavily towards Song learning. In responding item by item to the questions, Jeong Yagyong and Seo Yugu shared the same problematique with the King, and argued that they should prepare for and produce new editions of the classical texts and their commentaries. Apart from such a compilation of the commentaries of the Thirteen Classics as Jeong Yagyong or Seo Yugu suggested, even the Shisanjing Zhushu(十三經注疏, The Thirteen Classics, Annotated and Explicated) was not issued in the Joseon dynasty. In 1901(the 38th year of King Kojong`s reign), Kim Taeje suggested publishing a new edition of the classical texts and their commentaries. Kim Taeje`s suggestion was very similar to Jeong Yagyong`s and Seo Yugu`s proposal. After all no commentaries of the Thirteen Classics including the Shisanjing Zhushu had been published in Korea up until the early twentiethcentury. Nonetheless, King Jeongjo`s chaengmun questions have not paled into insignificance. In the 19th century, Jeong Yagyong and Seo Yugu devoted themselves to their learning and study. As a result, Jeong Yagyong grew up into a fine classicist and wrote several extensive works on the Six Classics and the Four Books, whereas Seo Yugu developed into an outstanding agriculturist and compiled many important writings on farming into a massive compendium of agricultural technology. All these notable achievements by Jeong and Seo in the 19th century were deeply rooted in King Jeongjo`s training program that was offered especially to scholar-officials at the late 18th century.

      • KCI등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琉球) 사신의 민간외교

        이성혜(Lee, Seong-Hea)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이 논문은 이수광의 「유구사신증답록(琉球使臣贈答錄)」을 텍스트로하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 사신(使臣)간의 민간외교 활동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과 유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태조1년(1392)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1524년을 마지막으로 유구 사신의 조선 내빙이 끝나고 1530년부터는 북경을 통한 우회 외교가 시작되 었으며, 이 우회 외교도 1596년까지 만난 횟수가 겨우 3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수광이 북경에 갔던 1611년에 두 나라는 서로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친밀하지 못했다. 이때 양국의 사신이 북경에서 만나 문답하고 시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호를 증진할 좋은 기회였다. 물론 공식적인 접촉은 아니지만 양국의 사신으로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북경에서 만난 조선 사신 이수광과 유구 사신 채견과 마성기는 서로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을 통해 일부 해결하고, 시를 주고받으면서 우호를 증진하는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였다. 시의 내용은 창화자가 양국의 사신이라는점에서 상대 나라와 사신에 대한 의례적 묘사와 칭송이 많다. 그러나 사신간의 만남과 창화는 두 나라의 우호를 증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내용 보다는 창화했다는 점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ivate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envoys of Joseon and Yugu who met in Beijing, with reference to 「Yugu Sasin Jeungdaprok」 written by Lee Su-gwang. According to The Tru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and Yugu mad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year(1392) of king Taejo’s reign. But it was just until 1524 when Yugu directly sent its envoys to Joseon. Since 1530, the two nations made diplomatic exchanges in 1530. Even their contacts in this way were made only three times until 1596. Thus, the two countries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and not diplomatic closeness to each other in 1611 when Lee Su-gwang visited Beijing. In that year, the envoys of the two countries met in Beijing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and poems.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Joseon and Yugu to better understand and improve friendship with each other. Though informal, their meeting was presumedly enough to be regarded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private sectors of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Joseon’s envoy Lee Su-gwang and Yugu’s ones Chae Gyeon and Ma Seong-ki could partly solved what they wanted to know about each other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hey also exchanged poems with each other to promote mutual friendship. Through these moves, the envoys of the two nations showed a good example of nongovernmental diplomacy. Meanwhile, those poems were mostly about the courteous depictions and admirations of each other and their respective country. However,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the fact that the envoys of two different countries read poems to each other and responded to it than on what the poems were about since their meeting and exchanges using poems were to improve frie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 KCI등재

        琉球의 천재 화가 自了(城間淸豊)

        이성혜(Lee Seong he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7 No.-

        이 논문은 중세 유구왕국의 천재화가라고 불리는 自了, 구스쿠마 세이호우(城間淸豊)를 입전한 『중산자료전』을 분석한 것이다. 화가 자료는 사족출신으로 유구 문헌이 전하는 한에서 유구 최초의 繪師이다. 따라서 「중산자료전」을 분석하는 것은 유구의 서화와 서화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유구의 서화가 제도를 간략하나마 이해하고, 조선과의 비교학적 시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유구의 傳, 특히 藝人傳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도 동아시아 傳문학적 시각에서 一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즉, 유구는 중세 동아시아의 한자문화권에 속했으며 조선과 마찬가지로 중국에 조공했던 독립국이었고, 조선과도 교류가 있었다. 그러나 유구 한문학에 대해 우리 학계에 알려진 것은 매우 열악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이 중세 동아시아 한문문학에 대한 이해와 지평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약간의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중산자료전」 은 자료 사후 44년이 되어 유구인이 아닌 중국인 陳元輔에 의해 입전되었다. 총8개의 일화를 제시하고 논평 앞에 세미논평형식으로 입전동기를 적고 있는데, 8개의 일화는 화가 자료의 출생부터 죽음까지 일대기적 서술형식으로 되어 있다. 즉, 선천적 聾啞로 태어났으나 스스로의 관찰력과 집중력 혹은 천재성으로 사물에 대한 이치를 깨달아 비범한 인간으로, 또 유구 최고의 화가로 성장하는 과정을 파노라마처럼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藝人傳으로서 「중산자료전」은 입전인물의 예술적 비범성만을 표창하고 있을 따름이고, 입전인물의 예술적 고뇌나 예술가로서의 자의식은 전혀 그리고 있지 않다. 이런 점에서 조선후기 이전에 창작된 예인전과 유사하다. 특히 마지막 일화에서는 異人傳에서나 볼 수 있는 尸脫의 문제까지 거론하여 리얼리티를 떨어뜨리고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Jungsan Jaryo Jeon』, a biography of Jaryo or Kuskuma Seihou who was an artistic genius of the Yugu kingdom in the medieval times. Painter Jaryo, a man of noble family, is Yugu’s first painter as long as publications of the kingdom state. Investigating 『Jungsan Jaryo Jeon』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calligraphic painting and painters of Yugu. It may also provide a brief understanding of calligraphic painters’ system of the kingdom in comparison to that of Joseon. Furthermore, the investigation may take a glimpse of how Yugu’s biographies, especially, those of artists are structured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biographic literature. 『Jungsan Jaryo Jeon』 was written 44 years after Jaryo died. Its author is not a Yugu native, but a Chinese, Jin Won-bo. The biography largely consists of 8 anecdotes. It also includes the author’s comments ahead of which there are semi-comments regarding why he wrote 『Jungsan Jaryo Jeon』. The 8 anecdotes provide a panoramic description of Jaryo’s whole life from his birth to death.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Jaryo was born as a deaf, but grew up as an extraordinary person who realized the reason of things by using his own skills of observation and concentration or his own genius, and finally developed himself into the best painter of Yugu. As a biography of an artist, however, 『Jungsan Jaryo Jeon』 is just full of praise for how artistically extraordinary the main figure was, but never looks into how distressful or self-conscious he was as a artist. In this regard, 『Jungsan Jaryo Jeon』 is similar to other biographies of artists that were written before the late Joseon period. Especially, its last anecdote contributes to the less reality of the biography even by depicting an event of buried body disappearance or like that is at best sometimes found in the biographies of eccentric figures.

      • KCI등재

        琉球 문인 蔡溫의 『簑翁片言』에 함의된 儒·佛·道에 대한 思惟

        이성혜 동양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3 No.-

        Chaeon was a literary scholar and national master of the Yugu Kingdom in the 18th century. He is very important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at kingdom. Thoughts that Chaeon developed are very significant from the dimension of East Asia as well as the kingdom. In other words, his thoughts are important to know how the then Chinese thoughts and literary trends influenced the intellects of Joseon and Yugu at that time. Since Joseon and Yugu made exchanges with each other in that period, ideas from Chaeon who was one of the powerful in the then Yugu deserve to be notic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Chaeon’s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which are implied in 『Saong Pyeoneon』 written by him.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haeon’s ideas implied in 『Saong Pyeoneon』 suggest that he respected and worshiped Confucianism as an orthodox discipline, supported by his sayings like ‘Since all people of the whole world were taught from Confucianism, no one is better than Confucianists to be master for that world’ or ‘The universe can never exist even for one day without Confucianism’. Concerning Buddhists, Chaeon recognized the basic doctrines of Buddhism that are about Buddha’s awakening of the public. However, he disagreed on the Buddhist view of afterlife, that is, dichotomy between the heaven and the hell. Chaeon attributed this problem to people studying Buddhism. Meanwhile, Chaeon criticized Taoists as heretics for speculating on personal things rather than the law of nature, talking about futility, dazzling the public with pedantic words and turning their deaf ears to courtesy and manners. 18세기 유구왕국의 문인이자 國師였던 채온은 유구왕국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인물이다. 채온이 어떤 사상을 소유했는가는 유구뿐만이 아니라 동아시아적 견지에서도 의미가 적지 않다. 즉, 중국의 사상 및 문예사조가 당시 조선을 비롯한 유구의 지식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채온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또 조선과 유구도 교류가 있었으므로 당시 유구의 실력자인 채온의 思惟는 관심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채온에 대해서는 많은 저술과 당대의 정치적 영향력에 비해 그다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불교사상을 공부했고, 양명학자로 판단되는 은자에게서 받은 영향 등으로 인해 그의 사상을 유교, 불교, 양명학 등이 혼합되었거나 유불을 겸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에 대한 정치한 논의는 부족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채온의 많은 저술 중에서 우선 『사옹편언』에 함의된 유․불․도에 대한 그의 사유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사옹편언』에 함의된 채온의 사상은, 유교에 대해 ‘사해의 사람들은 모두 유교의 가르침을 받았으니 유교야말로 사해의 스승’이라거나, ‘천하는 하루라도 유학이 없어서는 안 된다’라는 등, 유학을 正學으로 존숭하였다. 불교에 대해서는 석가가 중생을 깨우치고자 한 기본 교리를 긍정하였다. 다만 불교의 사후 천당․지옥론에는 문제가 있는데 이는 불교를 공부하는 자들의 잘못으로 돌리고 있다. 반면 도교에 대해서는 天理가 아닌 사사로운 사유를 하고, 허무를 이야기하며 현학적인 말로 대중을 현혹하며 예법을 버린다며 이단이라고 비판했다. 곧, 『사옹편언』에 함의된 채온의 유․불․도에 대한 사유는, 유교의 사상 속에 불교와 도교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도 불교가 도교 보다는 유교적 사유에 좀 더 가깝다고 여긴다.

      • 서유구의 학문관과『임원경제지』의 글쓰기 방식

        조창록 ( Chang Roc Jo )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2 No.-

        『임원경제지』는 서유구가 벼슬에서 물러나면서 본격적으로 찬술하기 시작하여 생을 마감하기 얼마 전까지도 그 내용을 수정 보완한 서책이다. 말하자면 한 인간이 평생의 신념을 담아 편찬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신념이란 결국``어떤 학문을 할 것이며, 무엇을 저술로 남길 것인가``에 대한 질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본고는 이 점에 착안하여 농학과 수학, 그리고 목록학에 대한 서유구의 생각들을 검토해보고, 이러한 학문관이 반영된『임원경제지』의 글쓰기 방식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그 내용을 요약해 보면, 서유구는 학문의 가치를 실용성과 전문성에 두었으며, 그 서술은 자세하고 쉽게 써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또 방대한 양의 문헌 지식과 정보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내는 목록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실용성과 전문성이란 인문학보다는 자연과학의 장점이고, 목록학의 중요성이란 문헌의 정보화와 효율적인 지식 검색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학문관은 근대 학문의 추세와도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바로 이 점이 서유구의 학문과『임원경제지』가 가지는 문명성이 아닌가 생각된다. Imwon Gyeongjeji is a book that Seo, Yugu started to write after he retired from a governmental position and supplemented and modified its contents till he died. In other words, this is a book that has a lifetime faith compiled. That faith gets down to ``What kind of learning should we do? or what kind of writings should be leave behind? In this research, I have taken into consideration of thoughts of Seo, Yugu about agriculture, mathematics, and bibliography, and I have review a type of writing of Imwon Gyeongjeji with this kind of learning viewpoint. When summarizing such things, Seo, Yugu put value of learning on practicality and speciality with its writing specifically described in details. In addition, a vast amount of literature knowledge and information should, he emphasized, be consistently and coherently organized, putting importance on listing studies. By the way, what refers to practicality and speciality herein is a merit to natural science rather than human studies, and the importance of bibliography can be linked to informationization of bibliography and efficient knowledge search. This kind of learning viewpoint is similarly connected to the trend of modern learning. In this respect, I think that Seo, Yugu`s learning and Imwon Gyeongjeji have literary fame in common.

      • 19세기 초반 서유구의『임원경제지』편찬과 「본리지」의 농법(農法) 변통론

        염정섭 ( Jeong Sup Yeom ) 쌀.삶.문명연구원 2009 쌀삶문명 연구 Vol.2 No.-

        『임원경제지』편찬 배경의 하나는 농학(農學)을 가학(家學)으로 삼은 집안내력이다. 농서 편찬에 접근하는 인식태도, 농서 편찬의 기본 방침의 측면에서 가학의 깊은 영향관계를 찾을 수 있다. 두 번째 배경은 18세기말 정조(正祖)의``농서대전(農書大全)``편찬 추진이다. 수리(水利)와 농기(農器)에 대한 관심이라는 점에서 정조와 서유구는 공통의 인식을 갖고 있었다. 세 번째로 홍만선(洪萬選)이 편찬한『산림경제(山林經濟)』가『임원경제지』편찬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마지막으로 서유구 자신의 농사 체험을 편찬 배경으로 지목할 수 있다. 서유구가 직접 농사를 수행한 경험담 또는 간접적으로 농사를 감독하던 견문 등을『임원경제지』편찬 배경으로 볼 수 있다. 서유구는「본리지(本利志)」에서 농법(農法) 변통론을 제시하고 있었다. 농서를 편찬하면서 농법(農法) 체계화에 대한 나름대로의 입장을 정리하였다. 그는 조선농법의 고유한 특성만 강조하는 풍토만능론에서 벗어나 있었다. 그리하여 중국 농법의 선진적인 부분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조선 농법의 독특한 부분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또한 조선 팔도 지역농법의 독자성을 인정하고 활발한 개발을 주창하였다. 경법(耕法)의 경우에 전형적으로 그의 농법체계화에 대한 입장이 나타나 있는데, 중국 농서에서 기경(起耕)의 기본적인 원리를 소개하고, 이어서 조선 기경법의 지역적인 차이를 분명하게 정리한 다음, 조선 팔도 각 지역의 기경법의 차이를 분별하고 있었다. 또한 도맥이모작(稻麥二毛作), 도종(稻種)의 정리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논리를 전개하여 농법 변통론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는 농법을 변통하는 것에 멈추지 않고 이를 널리 보급시키기 위해 둔전경영론 속에 농법보급을 가능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해놓고 있었다. 서유구의 농법(農法) 변통론은 농업기술의 기본원리의 정리, 구체적인 지역적인 농업기술의 특색 파악, 그리고 새로운 농법의 보급방안 등으로 이어지는 것이었고, 이는 또한 중국, 조선의 농법 성격을 바탕으로 전개된 것이었다. The first background of Imwon Gyeongjeji was family`s learning, as which Dalseong Seo family had regarded agriculture. Seo, Yugu`s grandfather and father had a strong influence on his compiling of Imwon Gyeongjeji. The second was Jeongjo`s project of the compilation of a Nongseodaejeon. Jeongjo and Seo, Yugu shared the same understanding about Joseon agriculture that utilization of water and agricultural implements are most important factors in development of Joseon agriculture. Thirdly SanlimGyeongjae compiled by Hong, Manseon had an effect on Seo, Yugu. Last his direct or indirect experiences on farming also were one of the background of Imwon Gyeongjeji. Seo had his own standpoint of compilation of Imwon Gyeongjeji. First of all he got out of narrow viewpoint stressing only on natural features of fatherland. He argued positive admission of China`s agricultural methods. And he emphasized on the distinctiveness of Joseon agricultural methods, what is more on the distinctiveness of Paldo agricultural methods. His purpose was blending China`s agricultural methods and Joseon agricultural methods, therefore made new effective agricultural methods. We could follow up his opinion in explaining of plowing, double-cropping of rice and vegetables, arrangement of rice species, etc. Seo, Yugu also had proposed the method of popularization of new effective agricultural methods into Joseon farmers.

      • KCI등재

        공주 유구지역 색동의 기원과 전통의 재조명

        전진희 ( Jeon Jin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4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86 No.-

        본 연구는 ‘색동’이라 불리는 전통적인 문양의 기원과 전통 계승, 창조의 재조명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해방 후 공주 유구지역과 섬유산업의 관련성을 조사하여 ‘색동’의 역사적 전망을 밝히고자 선행연구와 관계자 면담 등을 진행하였다. 공주 유구지역은 1950년대 이후 전통적인 섬유산업이 발전한 곳으로, 현재 국내 유일의 선염에 의한 ‘색동’을 생산하고 있는 곳이다. 유구에서 ‘색동’ 원단이 만들어지게 된 지역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유구지역 ‘색동’이 어떠한 재료와 기술을 사용하여 지속되어 왔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색동’의 기원을 조명하고, 현대의 변화 속에서 시대적 트렌드에 어떻게 대응하여 이어 갈 것인지를 국내외 ‘색동’을 응용한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근간으로 ‘색동’의 현대적 변화와 재조명을 위해 ‘색동’이 해당 지역의 사회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지역 문화 발전에 기여할 방안으로 첫째, 지역적 한계를 벗어난 ‘색동’의 세계화를 모색하였다. 둘째, 생산자와 소비자의 소통을 강화하였다. 셋째, 지역사회에서 문화유산으로서의 ‘색동’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여 지역사회와 함께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합적인 이해를 통해서 공주 유구지역의 ‘색동’이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origin, tradition succession, and re-examine the creation of a traditional pattern called 'Saekdong'. After liberation, prior studies and interviews with related parties were conducted to clarify the historical prospect of 'Saekdong'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ugu-eup and the textile industry in Gongju. Yugu-eup in Gongju has developed a traditional textile industry since the 1950s, and is currently producing the only 'Saekdong' in Korea. It 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area where the 'Saekdong' fabric was created in Yugu-eup, and to examine what materials and technologies have been used to sustain 'Saekdong'. In addition, cases of applying 'Saekdong'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to shed light on the origin of 'Saekdong' and how to respond to the trends of the times amid modern changes. Based on this, as a way to learn how 'Saekdong' interacts with the society of the region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first, it sought to globalize 'Saekdong' beyond the regional limits. Second,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was strengthened. Third, it was concluded that the local community should come up with a plan to interact with the local community by strengthening awareness of 'Saekdong' as a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expects that through t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Saekdong in Yugu-eup, Gongju, will contribute to preserving and developing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류구(琉球)의 공자묘 창건과 명륜당 건립의 의미

        이성혜 ( Lee Seong-hea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공자묘는 공자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으로 사실상 유가사상의 상징물이다. 명륜당 역시 동양사상과 문화의 眞髓를 전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한문학, 나아가 유가사상의 수용 여부와 관련하여 공자묘와 명륜당의 존재는 중요한 증거물이다. 유구에 공자묘가 창건된 것은 1674년이다. 1671년 겨울, 당시 쿠메무라 총역이자 紫金大夫인 金正春이 섭정인 向象賢을 경유하여 尙貞王에게 啓奏하고 허락을 받았다. 건립에 드는 경비는 왕자 이하 일반 선비들이 기부금 4천貫을 모았고, 부족분은 公費로 처리했다. 1672년에 廟地를 쿠메무라 泉崎橋頭로 정하고 곧바로 공사를 시작하여 1674년 11월에 준공했다. 유구의 명륜당은 1718년 쿠메무라의 공자묘 옆에 건립되었으며, 유구 최초의 공적 교육시설이었다. 유구 명륜당 창건의 계기는 1683년 尙貞王의 책봉사로 유구에 온 王楫의 학교설립에 대한 요청에 의해서이다. 이에 1717년 정순칙 등이 連名으로 건립을 요청했고, 다음해 건립되었다. 유구의 공자묘 창건과 명륜당 건립의 의미는 ①중국적 시스템 도입과 ②유가사상의 수용이다. 그러나 공자묘와 명륜당은 2차 세계대전의 와중인 1944년 10월 10일 나하대공습으로 모두 불탔다. 이후 社團法人久米崇聖會가 1975년 1월 25일 현재의 위치(나하시 若狹)로 옮겨 공자묘와 명륜당 낙성식 및 부흥 후 제1회 釋奠을 시행했다. 유구 명륜당에서는 현재에도 『논어』와 한시 강좌 및 쿠메무라역사 관련 공개강좌가 시행되고 있다. The mausoleum of Confucius(孔子廟) is a shrine where the tablet for the Chinese great saint is kept. It is in fact a fitting symbol of Confucianism. Myeongryundang(明倫堂) is a place where the essence of Eastern thoughts and culture is taught. Thus, the mausoleum of Confucius and Myeongryundang are both very important things proving the acceptance of Chinese classics and, further, Confucianism. It was 1674 when the mausoleum of Confucius was built up in Yugu. In the winter of 1671, Kim Jeong-chun(金正春) as general manager of Kumemura asked in writing King Sangjeong(尙貞王) via regent Hyang Sang-hyeon(向象賢) to approve the construction of that mausoleum, and got the approval. Expenses for the construction were partly donated by princes and scholars of the noble class and the balance was made up from public funds. In 1672, the construction was began immediately after its site was determined. And the mausoleum of Confucius was completely built up in November 1674. In 1718, Myeongryundang was built up by the mausoleum of Confucius at Kumemura. It was Yugu’s first institution of public educ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establishment was primarily due to request by Wang jeup(王 楫) ho went to Yugu in 1683 as messenger who would install King Sangjeong and, indeed, realized a year after Jeong Sun-chik(程順則) made a joint petition in 1717. The construction of the mausoleum of Confucius and Myeongryundang in Yugu is meaningful in two ways, or ①introduction of the Chinese systems and ②acceptance of Confucianism. By the way, the two Confucian facilities were burnt to ashes by Naha air raids in Oct. 10, 1944 during the 2nd World War. Later, the mausoleum of Confucius and Myeongryundang was completely reconstructed at a present place in Jan. 25, 1975 when ceremonies celebrating their inauguration and revival and the 1st Seokjeon(釋奠) were h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