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학 : 퇴계(退溪) 시(詩) <정우당(淨友塘)>의 학문적 맥락 읽기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공자(孔子)는 『논어(論語)』에서 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이 말은 배우고 익히는 공부의 기쁨을 강조한다. 배움이란 뒤에 깨닫는 자가 반드시 선각자의 하는 바를 본받아야 선(善)을 밝게 알아서 그 본초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익힘은 새가 자주 나는 것이니 배우기를 그치지 않음을 마치 새 새끼가 자주 나는 것과 같이 한다는 뜻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배움의 기쁨은 선의 본초를 회복하는 데에 있고, 익힘의 기쁨은 배우기를 그치지 않는 데에 있음을 알게 된다. 퇴계(退溪)는 이(理)에 밝지 못하면, 글을 읽거나 혹 일을 당해서, 가는 곳마다 걸리지 않는 것이 없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리고 사람이 『주자전서(朱子全書)』를 읽을 수 있으면 학문하는 방법을 알 수 있을 것이고, 이미 그 방법을 알게 되면 반드시 느끼게 되어 흥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하였다. 이처럼 퇴계는 학문하는 방법을 알고 이(理)를 탐구하는 기쁨을 인식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퇴계가 학문에서 이치를 탐구한 기쁨이다. 그리고 퇴계는 도산서당 주변의 산림(山林) 사이에 즐거움이 있는 줄을 알았으며, 그 즐거움이 모르는 사이에 앞에 닿았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주변의 자연과 사물이 마음에 저절로 즐거움을 주는 것이 얕지 않아서 그 일을 적어서 시를 창작하였다고도 하였다. 이렇게 해서 지은 시들이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실려 있다. 시들의 내용은 대체로 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본성이 하나가 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즐거움을 표현한 것이다. 이것이 퇴계가 시를 창작한 연원이다. 퇴계에게 이(理)를 탐구하는 기쁨과 자연에서 느끼는 즐거움은 둘이 아니었던 것이다. 즉 학문과 문학은 융통하여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뜻이다. 이런 시각은 퇴계의 시를 연구하는 데 필요하다. 이 글의 목적은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실려 있는 <정우당(淨友塘)>에서 표현한 즐거움을 학문적 맥락에서 이해하는 데 있다. Toegye(退溪) argued that if being not versed in Li (理), a person will confront many obstacles in reading books or going somewhere. He further asserted that if being able to read Jujajeonseo(朱子全書), a person will gain an understanding of how to study, essentially leading to a feeling of excitement. In this respect, Toegye was aware of the delights of mastering how to study and exploring Li. Toegye found a pleasure in the woods near Doosanseodang(陶山書堂), which unwittingly appeared in his mind. He created poems based on the sheer delights that he gained in staring at nature and things surrounding him. These poems, which were included in Dosanjobyoung(陶山雜詠), expressed the delights of unifying the law of nature and the nature of human being. Toegye considered the delights of exploring Li and communing with nature as not separate but integrated. That is, he conceived of studying and literature as uniting into one. This perspective is essential in researching on Togye``s poem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the delights expressed in Jeongwoodang, one of the poems in Dosanjobyoung, from scholastic/academic/scientific perspectives.

      • KCI등재

        제31회(第31回) 퇴계학국제학술대회(退溪學國際學術大會) 발표논문(發表論文) : <천운대(天雲臺)>에 표현한 궁리진성(窮理盡性)의 즐거움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3 퇴계학논총 Vol.22 No.-

        퇴계 이황(退溪李滉, 1501~1570) 선생은 「도산잡영병기(陶山雜詠竝記)」에서 스스로 산책했던 공간의 산수(山水)가 저절로 마음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얕지 않아서 이것을 기록하여 시(詩)를 지었다고 기록하였다. 그래서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실린 작품들에서 자연이 퇴계에게 주었던 즐거움의 본질을 밝힐 필요가 있다. 퇴계는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기 전에 그 공간에 있는 고요한 샘을 보면서 몽괘(蒙卦)를 완상하였다. 「도산잡영(陶山雜詠)」에 실려 있는 <몽천(蒙泉)>이라는 작품에서는 몽괘의 상(象)을 따르고, 시중(時中)을 감히 잊지 말고 더욱 더 과행육덕(果行育德)을 생각한다고 표현하였다. 그리고 <천연대(天淵臺)>에서는 하루 종일 거기에 앉아서 명상한 후에 마음의 눈이 열려 명성(明誠)을 외운다고 표현하였다. <천연대>의 소재인 천연대가 퇴계의 마음에 스스로 즐거움을 준 것은 궁리진성(窮理盡性)하여 천명(天命)에 도달하기 위해 천인합일(天人合一)을 사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이해한다. 이러한 내용을 볼 때에 퇴계에게 자연은 일차적으로 사색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차적으로 마음의 이치를 깨닫는 방편이 되었고, 삼차적으로 마음을 깨닫는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창작의 동기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시각은 학자로서 교육자이며 문학가이었던 퇴계의 작품 세계를 설명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 믿는다. 이 연구는 <천운대>에서 천광운영대(天光雲影臺)가 퇴계의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이 무엇인지를 설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Toegye Lee Hwang(退溪李滉, 1501~1570) stated that what made him write poems was a great pleasure that he felt when he strolled along the nature around him. Thus, this study explores the essence of his pleasure that he felt from the nature by analyzing Toegye`s poetry, Dosanjapyoung(.陶山雜詠.). Toegye appreciated Mongwae(蒙卦), gazing at a calm spring water on which Dosanseodang(陶山書堂) was built later. In Mongcheon(<蒙泉>), one of the works in Dosanjapyoung, he wrote that he followed patterns of Mongwae, thought of practicing virtue in a decisive manner(果行育德). Also, in Cheonyeondae(<天淵臺>), he stated that he recited Myeongseong(明誠) after having meditation all day long and opening his mind`s eye. Toegye was able to take a heartfelt pleasure itself by deliberating principles and fulfilling nature(窮理 盡性), and contemplating reaching Man-Heaven Unity. In this regard, for Toegye, nature was an object of meditation. He realized the laws of nature through meditation, and then, expressed his willingness to practice the laws of nature in his poems. This perspective will be of use to explain the world of Toegye`s works. In sum, by analyzing Cheonundae(<天雲臺>),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a heartfelt pleasure that Cheongwangunyoungdae(天光雲影臺) offered to him.

      • KCI등재

        퇴계(退溪) 『성학십도(聖學十圖)』와 생태주의(生態主義) 교육원이(敎育原理) : 상(上) 5도(圖)를 중심(中心)으로

        이인철(In Choul Lee) 퇴계학부산연구원 2010 퇴계학논총 Vol.16 No.-

        현대사회는 자본주의라는 사상적 토대위에 과학문명이 지배하는 사회이다. 서구중심의 과학문명은 인간 근원적 욕구를 정당하며 가치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고, 인간의 욕구충족을 위해 과학을 도구로 이용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인간 욕구는 무한한 것임에 비하여 과학발달로 인한 물질문명의 발달은 유한적이다. 또한 개발의 대상으로만 생각된 환경은 한 세대만의 전유물이 아닌 다가올 미래세대의 것이기도 하다.여기서 우리 인간은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자연과 환경을 단순히 야만으로 간주하여 무분별하게 파괴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닌 우리의 생존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존재임을 인식해야 한다.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주변 환경에 관심을 가져야 하며, 일방적인 수탈자가 아닌 자연환경과 상생하는 관계임을 자각해야 한다. 이처럼 생태계가 위기에 처한 현시점에서 학문과 교육의 영역도 생태주의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생태주의 교육철학의 요청이 필수적이며, 그 방향 모색과 실천을 고민해 보아야 한다.우리는 그 해법을 서구중심주의 관점이 아닌 우리의 전통적인 사상에서 찾아보아야 한다. 한국의 전통사상은 아름답고도 심원한 생태적 지혜를 간단없이 보여준다. 그 사유는 시적(詩的)이자 미학적(美學的)이며, 협소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 인간과 자연, 인간과 만물이 근원적으로 동일한 존재로서 이른바 "생생지리(生生之理: 하늘이 인(人)과 물(物)을 끊임없이 낳은 이치)에 따라 생명의 율동을 구가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그 생각의 움직임은 도구적이거나 조작적 이성(理性)에 익숙한 우리 현대인으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울정도로 심오하고 근원적이다. 흔히 유학은 인본주의 또는 인간중심주의적 성향을 지닌다고 한다. 하지만 인간중심이라 함은"인간만이 최고"라는 개념이 아니라, 천지자연의 활동에 인간행위가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조선중기 성리학자인 퇴계(退溪)는 중국의 성리학을 조선에 정착시켜 독창적인 경지로 끌어올린 사상가이다. 退溪는 다양하게 해석된다. 성리철학 특히 이기철학에서 이(理)우위를 주장한 근엄한 사상가요,자연 속에서 자연을 벗 삼아 작시(作詩)하는 시인이요, 제자의 상황과 근기(根器)를 잘 헤아려 이끌어주는 스승이며, 가족에게는 그저 평범한 촌로(村老)일 뿐이다. 그의 사상은 자연 속에서 완성된 것이며, 자연을 통해 심성을 수양한다는 기본구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따라서 본고에서는 퇴계 노년의 저작인 성학십도(聖學十圖) 중에서 상(上) 5도(圖)를 중심으로 여태껏 간과해 왔던 퇴계의 생태주의 교육원리를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대동(大同)의 원리와 몰입(沒入)의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우리는 "자연도 인간도 홀로 행복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지해야만 한다. Modern society having its ideological roots in Capitalism is an information society dominated by technology and science. The scientific evolution first started in Western countries has made it justifiable for human beings to pursue their underlying desires.Technology and science has also been used as a tool to satisfy the needs. The problem raised here is that while their needs are infinite,the material civilization developed by technology and science is finite,and thus a "paradigm shift" toward environment is required. Human beings should realize the fact that environment that has long become the subject of exploitation and abuse for humans is not only existing for current generation but also for upcoming one; and that environment should be regarded as an living organism which has enormous effects on humans' lives. In order to bring about such a"paradigm shift", human beings should have much interests in environment surrounding us and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It is not the relation in which one unilaterally takes advantage of the other but the relation through which both mankind and environment co-exist, helping out each other. For these, we need an ecological approach. The concept borrowed from ecology would help u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mentioned above. At the time of the ecological crisis human beings are in, the attention to ecology should be paid in both academic and educational area.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should be conducted as well. Hence, this paper attempts to seek a solution to the problem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Confucianism, especially through Toegye's philosophy, not from Western philosophy.Korean Confucianism embraces profound ecological knowledge. The way of thinking and the language used in the philosophy are poetic and aesthetic. Based on the theory of SaengSaengGiRi(生生之理 ; the principles of nature where all things are born and are being bred),Korean Confucius philosophy emphasizes that humans and things considered as one in the fundamental root are enjoying each other the"movement of life". The principles of nature, of SangSangGiRi(生生之理), are too profound for contemporaries who are so much accustomed to an articulative reason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nature also exist beyond the domain of the human understanding. It is commonly spoken that Confucianism has such a human-centered philosophy.However, what human-centeredness means here is not to say that humans are the most precious beings, but it means that human behaviors have influences on the activities in the universe.Toegye is considered as a master of neo-Confucianism. He had first introduced neo-Confucianism of China to Korea, and led it originally to take roots in Korean humanities. His philosophy is being as diversly interpreted as his fame and achievements. Toegye himself is also evaluated as various figures; as a grave philosopher putting his emphasis on Li over Ch'i in neo-Confucionism, especially in Li Ch'i philosophy; as a poet writing poems holding communion with nature; as a teacher who understands the situation his students are in and leads them to on the right path in life, taking consideration of their traits; and as an ordinary village senior to his family. In addition, Toegey formulated the system of his thought by what he acquired in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completed his philosophy.This paper has sought the ecological education presented at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especially in top 5diagrams. So far, the ecology paradigm has been neglected in studying Toegye's philosophy. With a new approach, this paper has examined the principles of Great Harmony(大同) and immersion(沒入) in Toegye's philosophy and reached a conclusion that human beings surrounded by nature should try to find a way to co-exist with nature.

      • KCI등재

        퇴계학논문(退溪學論文) : <천연대(天淵臺)>에 표현한 퇴계(退溪)의 즐거움 연구(硏究).

        김병권 ( Byeong Kweon Kim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2 퇴계학논총 Vol.19 No.-

        退溪李滉(1501~1570)은 말년에 陶山書堂을 짓고 거기에서 연구와 교육에 전념하였으며, 서당과 주변의 산수 공간을 소재로 하여 詩를 지었다. 이 시기에 지었던 七言絶句18수와 五言絶句26수는 『陶山雜詠』으로 분류되어 전하고 있다. 이 詩들은 퇴계가 말했듯이 스스로 마음속에 즐거움을 준 것을 기록하여 지었던 작품이다. 그래서 『陶山雜詠』의 詩들은 산수 속에서 생활했던 퇴계의 즐거움이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작품이다. 이 연구의 대상 작품은 『陶山雜詠』의 한 작품인 <天淵臺>이다. 퇴계는 천연대의 勝景에서 자연 운행의 이치를 탐구하고, 마음의 눈이 열려 明誠을 세번 반복하여 읊조리는 내용으로 표현하였다. 마음의 눈이 열린 것은 자연의 이치를 마음에 내면화하는 과정이다. 明誠은 밝은 德을 밝히고 진실한 誠을 성실히 하는 마음의 이치와 작용이며, 明誠을 세 번 반복하여 읊조린 일이 마음의 작용이 활발했다는 뜻이다. 사람은 하늘로부터 本性을 부여받았으며, 본성은 도덕적 자아를 완성하고 이상적 사회를 형성하는 데에 작용한다. 그러나 본성이 氣稟에 구애되고 人慾에 가려서 어두워질 때도 있다, 이렇게 어두워진 마음을 알고, 밝은 본성을 회복하는 것이 明誠의 이치이며 작용이다. 이 明誠의 이치와 작용을 통해서 자연 운행의 이치와 마음 운행의 이치가 일치하는 天人合一에 도달할 수 있다. 天人合一에 도달하도록 明誠을 생각하는 것이 퇴계의 마음에 저절로 즐거움을 주었던 것이다. 天人合一에 도달하는 明誠은 도덕적 자아를 완성하고 이상적 사회를 형성하도록 하는 마음의 이치이며 작용이다. 따라서 <천연대>에 표현된 즐거움은 학문과 수양을 통해서 자연의 이치와 일체가 되도록 바르고 순한 본성을 회복 하는 데에 있다. Yi Hwang, whose pen name is Toegye, spent his latter years in Dosan-Seowon, devoting himself to research and teaching, and composing poems about Dosan-Seowon and its landscape. Toegye`s 26 verses with five words to each line and 18 verses with seven words to each line have been passed down in his book, Dosan-Jabyeong. As Toegye stated, his works were written to document heartfelt pleasure by itself. Thus, the poems in Dosan-Jabyeong are crucial for research on essences of Toegye`s pleasure experienced by living in nature. Cheonyeondae, one of the Toegye`s poems written in Dosan-Jabyeong, i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In this poem, Toegye explored the order of nature in the beautiful scenary of Cheonyeondae, internalized it, and then recited Myeongseong three times. His recitation of Myeongseong is one of the workings of the human mind, through which the human nature can be understood. Human beings are given the human nature by the heavens, and it works to accomplish the perfection of the moral self and to form a ideal society. The human nature, however, sometimes becomes blind with avarice and darkened by greed. It is through the workings of the mind that people are aware of the darkened mind and regain the brightened one. Through the workings of the mind, human beings can achieve an integration of the heavens and the man, which is the coincidence of the order of nature and the human nature. Myeongseong, which enables people to attain an integration of the heavens and the man, leads to Toegye`s heartfelt pleasure by itself. Myeongseong is one of the workings of the human mind for the perfection of the moral self and for the formation of an ideal society. Thus, the pleasure expressed in Cheonyeondae is to regain the human nature by feeling a sense of oneness with the order of nature through learning and discipline.

      • KCI등재

        퇴계시(退溪詩)와 도덕문장(道德文章)

        손오균 ( O-gyu Soh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퇴계학논총 Vol.27 No.-

        道德文章은 道와 德을 노래하는 문장이다. 고문복고와 함께 조선조 士林詩歌의 핵심적 이론으로, 載道論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에서는 한유와 유종원에 의해 완성되었으며, 조선조에서는 손소와 손계돈에 의하여 제기되었다. 따라서 退溪詩와 도덕문장에 대한 연구는, 사림 문장관의 원류를 찾아, 그 전통적 맥락을 재구해 보는 것이다. 나아가 國文學史上 고문복고와 도덕문장이 사림계층을 중심으로 확산되어가는 과정과, 문예사조적 특성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손소(孫昭:1433-1484)는 < 문장궤범 跋 >에서 고문복고와 도덕문장을 강조하였다. 이 후 손계돈(孫季暾:1470-1530)이 「표장육경부(表章六經賦)」와 「대책(對策)」에서 三代 六經과 ‘心術’을 거론하며, 고문복고와 도덕문장을 계승하였다. 이것은 문장혁신과 사회개혁을 지향하는 사림의 문장관을 대변한다. 둘째, 퇴계는 < 도산십이곡 跋 >에서 溫柔敦厚를 강조하였으며, 敬을 중심으로 性情을 도야하고자 하였다. 심성론에서 그 학문적 체계를 완성하였는데, 손계돈의 ‘心術’과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退溪는 지나친 詩的기법이나 문예적 기교를 경계한 다. 특히 詠懷詩나 述懷詩에서 강조되고 있으며, ‘興來情適’도 마찬가지이다. 셋째, 퇴계의 산수은거는 학문완성과 敬의 실천을 의미하니, 그의 산수시에서는 주변산수로부터 비롯되는 즐거움이 興來이며, 詩的감정이 適情이다. 따라서 山水文學에서의 ‘興來適情’은 반드시 山水를 媒介로 대상감정(興)을 형상화해야만 한다. 그렇기 때문에 퇴계의 山水隱居는, 인간완성과 진리탐구를 위한 수양의 학문생활로, 道德文章의 근원적 바탕을 형성하고 있다. 넷째, 퇴계가 계승한 道德文章의 전통은, 서원창건을 통한 先賢尊崇으로 실현되었으니, 六經과 朱子를 중심으로 한 학문계승과 실천궁행이다. 따라서 퇴계시에서 선현존숭은 시와 도덕의 合一을 통한 대자연의 이법을 노래하여, ‘大樂’의 예술경계를 지향한다. 다섯째, 퇴계의 선현존숭은 성리학의 정통성과 학통계승을 통한, 조선사회의 질서와 가치관 개혁으로 발전하였다. 그것은 敬을 중심으로 여러 학설을 통일시키고 학문의 목적을 전환시켜, 도덕문장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퇴계의 先賢尊崇과 실천궁행은, 고문복고를 통한 문장혁신과 사회개혁에 궁극적 목적이 있었으니, 退溪詩에 형상화된 道德文章의 최고 가치요 이념으로 형상화되었다. The Doctrines and virtue signified the writing of truth in a study and the personification of an author. This is a fundamental subject along with Gomunbokgo(古文復古)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It came after Sohnso(孫 昭) and succeeded by Sohngyedon(孫季暾). Toegye also inherited the Doctrine and virtue tradition, thus he emphasized on Onwudonhu(溫柔敦厚) and Kyoung(敬) in his poem. Below is the conclusion. First, Sohnso referred to the Gomunbokgo and the doctrine with the virtue in the Munjangkwebum Bar(文章軌範跋). Later, while Sohngyedon brought up Samdae(三代) Yookgyung(六經) and Shimsul(心術) in Pyojangyookgyungbu(表章六經賦) and Daecheck (對策), he carried on the Gomunbokgo and the doctrine with the virtue. This represented the writers who projected social reform. Second, Toegye``s Simseongron(心性論) is connected to Sohngyedon``s Shimsul. He alerted to a writing of excessive poetic technique and finesse. In Sansu(山水) literature, Hungraejukjung(興來適情) must shape their feelings with the nature as a medium. Therefore, Toegye``s Sansu life formed a root of the doctrine with the virtue. Third, as Toegye``s doctrine with the virtue had been implemented with the teacher’s study and practice, it took Yookgyoung and Juja(朱子) as the model. In the end, as the purpose of Toegye``s doctrine with the virtue was innovation in writing and social reform, it was embodied in his poem by the leading idea that aimed the finest level of art.

      • KCI등재

        퇴계(退溪) 『성학십도(聖學十圖)』에 있어서 심(心)의 구조

        김봉건(Bong Kun Kim) 퇴계학부산연구원 2010 퇴계학논총 Vol.16 No.-

        聖學十圖 는 만년의 退溪가 儒學의 大要를 10개의 圖와 圖說에 집약시킨것이다. 聖學十圖 찬술의 직접적인 목적은 조선의 14번째 왕 宣祖가 어린나이로 즉위하여 퇴계에게 經筵을 부탁하자 당시 퇴계는 68세의 노령이라 이저작물로써 經筵을 대신하기 위한 것이었다. "聖學十圖를올리는 상소문(進聖學十圖箚)"에는 어린 왕이 聖君이 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배어있다. 聖學十圖 는 퇴계의 독창적인 사상만으로 이어진 것은 아니다. 오히려 성리학 전반의 주요 사상 내용들을 정리한 것에 가깝다. 퇴계는 이것을 왕으로 하여금 늘 곁에 두고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으로 단순화시킨 것이다. 각 圖의 찬술 방식은 대개는 先儒들의 그림을 차용하였고, 때로는 자신이 도안한 그림을 곁들였다. 그리고 각 그림의 하단에 先儒의 說을 게재하여 그림의 원래의 뜻을 나타내었고,, 또 거기에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설명하였다. 聖學十圖 의 전체적인 내용 구조는 크게 보아 전반부인 제1-5도에서 天道에 근본하여 人倫을 밝히고, 나아가 修己治人의 의미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후반부인 제6-10도에서는 인간 心性의 구조와 근원을 규명하고 인심을 천리에 맞추어 갈 수 있는 방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보면 聖學十圖 全篇은 天道와 人道가 상응하는 "天人相應"의 구조로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구체적으로는 주제 별로 몇 단락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 「天命道」와 제2 「西銘圖」는 天道와 人道의 待對이다. 또 제3 「小學圖」와 제4 「大學圖」는 각각 인간 사회에서의 修己와 治人의 道를 待對시킨 것이다. 제5 「白鹿洞規圖」에서는 학교의 교육 목표를 나타내었고, 제6 「心統性情圖」에서는 心의 구조를 논하였다. 그리고 제7 「仁說圖」와 제8 「心學圖」는 心의 본질을 논하였고 제9 「敬齋箴圖」와 제10 「夙興夜寐箴圖」에서는 人心을 天理에 맞추는 工夫를 논하였다. 이와 같이 보면 聖學十圖 는 방대한 儒學의 大要를 心論의 구조로 재정리한 학술체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Ten Pictures of the Holy Sage(聖學十圖) is a work containing ten pieces of pictures and the commentaries of them by which T·oegye(退溪) has sketched the main subject of the Confucianism. T·oegye wrote it in order to teach the 14th king of Cho-sun(朝鮮) dynasty to be the greatest ruler who must govern a country by the Confucian political thought. But it may be thought that this book shows an essential conception of the cosmic and human nature in Confucianism.This book, as we have mentioned, contains ten picture and the commentaries of them. The 1st five pictures explain an ethics on the basis of the cosmic logos, and suppose a method of the self-edification and the governing a country. And the last five elucidate the structure of human nature and present the way that one ought to adjust his own desire to the cosmic logos. In this respects, it might said be that this book represent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smic logos and the human ethos.

      • KCI등재

        제28회 퇴계학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 : 단본청원(端本淸源)의 치평관(治平觀)과 퇴계 시의 진락(眞樂)

        정경주 ( Kyeong Ju Jung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퇴계학논총 Vol.26 No.-

        이 글은 퇴계선생의 학술 사상에서 세계 평화를 구현하는 방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퇴계는 평생 학문에 종사하였는데, 그 언론과 저술은 일찍이 요순(堯舜)과 공맹(孔孟)을 조술(祖述)하는 유가의 학문 범위를 벗어난 적이 없었다. 퇴계의 학문 종지는 주자의 학술을 계승하였으며, 주자의 학문 규모는 『대학(大學)』을 골간으로 하였다. 『대학』에서는 치국(治國)과 평천하(平天下)의 근본이 수신제가(修身齊家)에 있고, 수신제가의 근본이 성의 (誠意) 정심(正心)에 있다고 하였으니, 그것은 곧 인간의 도덕성을 함양하여야만 가정과 국가와 세계의 평화를 이룰 수 있다는 학문 신념의 체계이다. 퇴계는 가정과 국가와 세계의 평화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거기에 관여하는 인간 개개인의 도덕성을 함양하여, 개인의 욕망을 절제하고 천리(天理)에 순응하는 삶의 진락(眞樂)을 체득하여 자발적으로 실천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상은 『大學』의 학문 이념에서 유래한 것으로, 퇴계 만년의 저술인 「성학십도(聖學十圖)」와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疏)」를 비롯한 여러 저술에 나타나는 ‘단본청원(端本淸源)’이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퇴계의 저술에 보이는 단본청원의 사상 개념을 그 용례를 검토하여 밝히고, 그것이 세계평화를 위한 퇴계의 전망임을 부연하여 설명하였다. Toegye[退溪] Li-hwang[李滉] was the most prominent and influential Neo-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Confucian scholars thought it was able to make world peace through the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But any specific reference to international politics and specific comments on world peace does not appear in Li-hwang``s writings. This essay was written for investigating Li-hwang``s idea to the path for the peaceful world. The cont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main principle of Toegye Li-hwang``s academic ideas are well summarized in the ten chart for the study of the sages[聖學十圖], that dedicated to a young king newly ascended the throne. In the ten chart for the study of the sages, Li-hwang``s idea to the path for the peaceful world based on one of the confucian texts, The Great-Learning[大學]. The essence of the Great-Learning is that through self-cultivation one can bring order and harmony to one``s mind, personal life, family, state and the world as a whole. Toegye had pointed out the ultimate goal of The Great-Learning depends on rectifying person``s mind[正心] and making the thoughts sincere[誠意]. According to the explanatory notes of Zhu-Xi[朱熹], to rectify one``s mind and to make one``s thoughts sincere, there are required to follow the principle of nature and abstaining from one``s desire. Therefore, Li-hwang demanded upon scholars to a practice of ascetic life and to learn a real pleasure[眞樂]. Therefore, he was convinced that the real world peace is realizing inner peace of mind in the human individuals.

      • KCI등재

        퇴계(退溪)의 문학(文學)에서 유인(幽人)의 생활(生活) 담론(談論) 연구(硏究)

        金秉權 ( Kim¸ Byeong-kweon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退溪의 聖學은 마음과 대화하며 사물의 이치를 知覺[깨달음]하는 마음공부이다. 마음의 구조는 虛靈하며, 그 기능은 대상의 이치를 知覺하는 것이다. 마음이 이치를 탐구하여 통달하고 그것을 익혀서 실천하는 사람은 무엇을 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는 자유인이 된다. 따라서 마음공부의 목적은 자아의 맑고 깨끗한 本性을 발견하고 修養함으로써 自由自在한 聖人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退溪의 詩는 자연과 대화하며 山水가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쓴 문학이다. 이때의 즐거움은 억지로 구하여 얻은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억지로 구한 즐거움은 마음의 집착이 되므로 無欲의 청정한 마음에서 일어난 즐거움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청정한 마음의 自由自在한 즐거움이 참된 즐거움[眞樂]이며, 이는 말로써 형언할 수 없으나 말하지 않으면 즐거움을 전할 수가 없으므로 비유의 형식인 詩로 지은 것이다. 退溪의 生活은 사람과 대화하며 道理를 지키는 德行의 실천이다. 그는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지 못하는 것이 큰 病이라고 제자들에게 가르쳤고, 제자들은 退溪에게서 이것이니 저것이니 구분하는 境界가 없었다고 전한다. 구분은 공동체가 분열하는 원인이 된다. 남을 따르지 못하는 病은 구성원이 대립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퇴계의 생활은 분열하고 대립하는 현실에서 사회적 統合과 구성원의 和樂을 가르치고 실천한 의미가 있다. 이치에 통달하는 마음공부,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 도리를 지키고 덕행을 실천한 생활은, 공동체의 화합과 즐거움을 지향한 인간의 本性的 價値를 合理化한 談論이다. 이러한 退溪의 談論은 인욕에 집착함으로써 인간성을 상실한 시대에 自我를 完成하고 他人과 調和를 이루며 살아가는 道理와 德行을 과거에도 안내해 왔으며 현재와 미래에도 안내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退溪의 心學에 근거하여 그의 詩 가운데 幽人이 등장하는 「天淵翫月」에 표현한 즐거움의 본질을 분석함으로써 공동체의 和合을 지향한 談論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is article draws a discourse of value rationality to pursue a cohesive community by reviewing Teogye’s poem, titled 天淵翫月(Cheonyeonwanwol) and analyzing it based on his theory of mind. In his poem, a metaphor is used to compare the clear moon symbolizing Toegye’s theory of mind and the moon blocked by the cloud describing any personal avarice such as obsession and greed. The theory of mind is based on two concepts: a structure of innocent mind and perception regarding how people perceive this structure as a matter of principle. These two essential concept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behavioral ethics of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principle. The behavioral ethics suggested by Toegye should be continuously exercised to prevent any personal avarice from differentiating between the two ideological hegemony. Then the innocent mind can be upheld by these efforts. Like the clear moon shining on the land, people following these behavioral ethics can enjoy an essential pleasure without worrying about personal avarice and ideological conflicts. Toegye’s life and pursuit of purpose can be inferred in his poem. Toegye, in his life, actually pursued his behavioral ethics, studying a structure of mind and perceiving a matter of principle by communicating with members of his community. He also had efforts to keep a lookout for personal avarice and to avoid differentiating between ideological conflicts. The poem, titled 天淵翫月 (Cheonyeonwanwol), reflecting an essential pleasure caused by his exercising behavioral ethics, implies how the transitional stage to transforming mechanized and digitalized society overcomes ideological conflicts and establishes a cohesive community.

      • KCI등재

        퇴계문학(退溪文學)의 지각논(知覺論) 수용(受容) 연구(硏究)

        김병권 ( Kim Byeong-kweon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6 退溪學論叢 Vol.28 No.-

        退溪의 詩에서 대부분의 소재는 물이 흐르고, 꽃이 피며, 바람이 불고, 새가 나는 자연이다. 이런 退溪의 시를 어떻게 읽고 무엇을 느껴야 하는가? 이 문제는 기본적으로 退溪가 시를 창작한 경험에 근거하여 해결해야 한다. 退溪는 도산서당 주변의 자연과 사물이 저절로 마음에 즐거움을 주는 것이 얕지 않았으며, 이 즐거움을 말하지 않을 수 없어서 시를 지었다고 전한다. 이 내용은 마음이 즐거움을 知覺하였다는 뜻이다. 이 지각은 退溪가 시를 지었던 중요한 동기이면서 의미 있는 창작 경험이다. 그래서 退溪의 시를 知覺論의 관점에서 읽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먼저 마음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마음의 전체가 지극히 虛하고 고요하여 마치 거울이 사물을 비추는 것과 같다고 하였다. 이 설명은 간단한 말로써 표현하고 있지만 그 뜻은 예사롭지 않다. 마음이 허하고 고요하다는 말은 마음의 구조이고, 사물을 비춘다는 말은 마음의 기능이다. 그래서 마음은 사물을 지각하는 주체이다. 다음으로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이란 무엇인가? 退溪는 학문에서 理를 탐구하는 일이 중요하며, 理가 밝으면 책을 읽든, 일을 만나든, 어디로 가든 걸림이 없음을 강조한다, 그래서 즐거움의 본질은 사물 자체의 아름다움일 수 있으나, 그 사물을 사유하고 지각한 理라고 보아야 한다. 사물에 내재한 理가 지각의 대상이다. 마지막으로 마음이 어떻게 사물의 理를 있는 대로 지각할 수 있는가? 退溪는 마음에 만약 어떤 사물이 달라붙으면 虛明하고 靜一한 기상을 가질 수가 없다고 하였다. 마음에 달라붙은 사물은 물욕을 비유한 것이다. 물욕으로 혼탁해진 마음을 깨끗하고 또렷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욕을 버려야 한다. 물욕을 버리는 한 방법이 敬이다. 敬을 유지하면 욕심은 줄어들고 이치는 맑아진다. 그래서 持敬은 사물을 있는 대로 보고 그 理를 지각하도록 마음을 성찰하는 방법이다. 退溪의 마음에 저절로 준 즐거움은 자연과 사물에서 지각한 理이며, 退溪는 이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시에서 표현했던 것이다. 다시 말하면 理를 지각한 학문은 體이고 理를 지각한 즐거움을 표현한 문학은 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음이 사물을 지각한 학문과 문학은 둘이면서 둘이 아니라고 보아도 좋을 듯하다. 따라서 退溪가 도산서당에서 자연의 이치를 지각하고 그 이치가 마음에 준 즐거움을 시에 표현했던 창작 경험은 『陶山雜詠』의 시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리라고 믿는다. A main theme in Toegye`s poems is the nature with water flowing, wind blowing, and birds flying. How should we read and feel Toegye`s poems? This question should be addressed based on Toegye`s experiences of creating poems. Toegye stated that he created poems to share his experience of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that was derived from the nature around Dosanseodang(陶 山書堂). This indicates that the naturally occurring pleasure was perceived in Toegye`s mind, which, importantly, motivated him to create poems. Thus, Toegye`s poems should be understood from a perspective of a theory of perception. First, what is the mind? Toegye profoundly considered the mind as entirely empty and calm in a similar way that a mirror reflects things. The mind described as empty and calm i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mind, while the mind portrayed as reflective is related to the function of the mind. In this respect, the mind is the main agent of perceiving things. Next, what is the pleasure that naturally occurs to the mind? Toegy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loring Li(理) in study because if people perceive Li(理), they will not have any obstacles in their way. Although the pleasure may simply be derived from the beauty of things, more profoundly, it may also be Li(理) on grounds of contemplating and perceiving things the way they are. Last, how can the mind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Toegye believed that if things are attached to the mind, the mind no longer has the spirit of brightness and calmness. These things attached to the mind are worldly desires. To make the mind clear and lucid, worldly desires should be discarded. When Jing(敬) is maintained, Li(理) becomes clear and worldly desires decrease. Thus, to maintaining Jing(敬) is to perceive Li(理) the way it is. In all, in his poems Toegye expressed Li(理) that he perceived from the nature, which was the pleasure itself that naturally occurred to his mind. Essentially, Toegye`s studies concerned the way in which he perceived Li(理), and such perception of Li(理) was also expressed in his literacy work. Thus, it seems that Toegye`s studies and literature did not comprise two different areas, but centered around a single theme of perceiving Li(理).

      • KCI등재

        퇴계 시의 자연 사상

        김봉건 퇴계학부산연구원 2007 퇴계학논총 Vol.13 No.-

        퇴계는 소박하게 자연을 사랑했다. 그는 산수를 사랑했고 자연물과 대화를 나누는가 하면 자연을 세속에서 얻은 병의 치유처로 여겼다. 퇴계는 또한 그가 처한 주위의 산수가 선계(仙界)로 통하는 길이라는 생각을 했다. 뿐만 아니라 어떨 때는 주위의 산수를 바로 선계와 동일시하기도 했다. 퇴계는 또한 자연과 산수를 소박하게 즐기면서도 이러한 현상적인 자연과 산수를 넘어선 근원자인 천도(天道)를 잊지 않는다. 퇴계의 시에서는 생생불식(生生不息)하는 천지자연의 생의를 읊은 시가 많다. 그리고 이 천지의 생의는 곧 음양(陰陽)과 건곤(乾坤)의 이치로 구체적으로 사사물물의 운행에 작용한다는 취지의 시도 많다. 그의 시에서는 또 이러한 초월적인 우주의 원리는 각개 사물의 내면에 구유되고 있다는 내재관적인 사유(思惟)도 있다. 퇴계의 시에서 재삼 확인되는 것은 그는 역시 도학자이고 철학자라는 사실이다 . 그는 산수를 대하면서도 자신의 도학 수련과 덕성함양에 주안점을 두는 자세가 시종 흐트러지지 않는다. 흔히들 도학자는 자칫 정서적인 면이 결여된 것처럼 여겨지지만, 원래 유교에서는 시교(詩敎)라는 것이 있어서 인간의 정서를 순화(純化)·징련(澄하는 예술적 자질의 함양을 중시한다 이런 점에서 퇴계 시에 나) . 練타난 그의 면모는 고도로 승화된 정서적 감성을 지니면서도 자기성찰과 천도(天道)에의 합치에 진력하는 투철한 이성의 소유자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그는 이와 같이 자연과 합치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단순히 주자학도(朱子學徒)를 넘어 그 자신 사해동포(四海同胞)의 포용심과 천인합일(天人合一)의 대 우주관을 지닌 웅혼한 사상가로 되어 갔던 것이다. T'oegye liked the nature ingenuously. He liked a naural scenery and had a talk with natural objects. He regarded the natural world as the clinic to cure an illness that man takes in the trivialities of life. And he thought that natural world is not only the way to the fairyland, but also is in itself the fairyland. In Chosun, confucians rejected the taocian thought entirely. T'oegye was a representative confucian who studied and taught the confucian thought in Chosun at 16th century. But he praised the taocian fairyland freely. It means that he was not a radical confucian to be absorbed in the economy and the ethics but a aestheticist to glorify the beauty of natural world. T'oegye did not only admire a natural scenery for its beauty, but also studied the logos of cosmos beyond it. In confucianism the logos of cosmos is "the will to be given life to all things"(生 意). There is a sentence in Yi-ching: the greatest virtue of Heaven and Earth is the generation(天地之大德曰生). This sentence means that the logos of cosmos is the basis of the world. There are many poems in which T'oegye praises the will of Heaven and Earth to be given life to all things ceaseless and to affect the movement of all things in its principles operating the universe: "Yin-yang"(陰陽) and "the Heavenly and the Earthy"(乾坤). But in some poems he manifested an immanence theory that all things had already the principles in it. In this viewpoint, multiple is the nature to be expressed in the poems T'oegye has composed. His poems clarify him to be a confucian philosophist. He cultivates his mind and body admiring mountain and river. It is important in the confucianism that a confucian philosophist has to train aesthetic aptitude to purify his passion. For this training the confucian students have to learn poeticizing. T'oegye poeticized also mountain and river in this meaning. He does not have only a feeling to purify all things, but also a reason to reflect himself and to direct his efforts to know the logos of cosmos and submit to it. In this respect he was not mere a student of Chu-xi(朱熹). Instead he developed into a great philosophist who has a cosmopolitan tolerance and a cosmological view to assert conformity of cosmos and 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