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한 교과 운영 및 피드백 방안

        배혜진(Hyejin Bae)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하이퍼텍스트 형식의 디지털 매체로 정보를 얻고 의사소통을 하는 Z세대인 대학 신입생들에게 글을 쓴다는 것은 지겹고 부담스러운 일임에 틀림없다.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교육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글쓰기 효능감을 높이는 일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K대학 글쓰기 교과 사전 설문조사에서도 학습자들의 글쓰기 자신감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한 고민의 일환으로 Fisher&Frey(2021:4)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한 3단계 글쓰기 교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1단계에서는 학습 목표와 성취 기준을 설정하여 학습자들에게 명확하게 제시한다. 2단계에서는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예시를 제시하여 안내 교육하고 피드백을 진행하여 학습을 지원한다. 3단계에서는 학습자들이 개별 학습을 완료하고 이에 대한 교수자의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 3단계 교과 운영 과정에서 교수자의 피드백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들의 글쓰기 효능감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정서적 측면을 고려한 피드백이 필요하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또 이를 위한 구체적인 피드백 절차를 제시하고, K대학의 글쓰기 교과에서 적용한 사례도 함께 살펴보았다. K대학 글쓰기 수강생들의 설문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고의 논의들이 글쓰기 학습자들의 효능감 을 향상시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It must be tiresome and burdensome for college freshmen to write, the Z generation, most of whom get information and communicate through hypertext, digital media. In order to conduct writing education for learners with low confidence in writing, educators should start by trying to increase their student’s writing efficacy. In the preliminary survey of K University’s writing subject, it was found that the confidence of learners in writing was low. As part of the review, this paper presents a three-stage writing curriculum operation plan based on Fisher & Frey’s framework (2021:4) for effective education. In the first step, learning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set and presented clearly to learners. In the second stage, examples that meet achievement standards are presented to guide and educate, and feedback is provided to support learning. In the third step, learners must complete individual learning and instructors should present them with feedback. In the course of operating the three-stage curriculum, the feedback of the instructor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at feedback,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the emotional aspects of learners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writing efficacy. In addition, specific feedback procedures were presented for this approach, and cases of students enrolled in the writing curriculum of K University were also examined. As can be seen from the survey results of K University’s writing students, I think that the discussions in this paper will help improve writing skills by improving the efficacy of writing learners.

      • Peer-English Teachers Conceptions of Feedback on Learning Assessment: Case Study on Writing in IBDP English B HL Classrooms in Beijing

        ( Wei Kan ),( Chenyang Wa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2 Asia Pacific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5 No.1

        Responding to students’ writing is one of the most demanding tasks for language teachers, especially for Peer-English teachers in IB schools in China. This study used a phenomenographic approach to examine Peer-English teachers’ conceptions of feedback on writing in second language classrooms where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me (IBDP, English B High level) is adopted.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What conceptions of feedback are held by teachers teaching English in IBDP classrooms? (2) How do teachers’ conceptions of feedback influence their written feedback practices? The prim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22 Peer-English teachers who are local non-native speakers from 11 international schools in Beijing. Four increasingly inclusive categories emerged from the interview data, showing that teachers’ conceptions of feedback were multilayered. Teachers conceptualized feedback as a dispensable part of writing assessment, a means of informing students of assessment results, a means of improving writing performance, and a means of empowering students to become autonomous writers. The instructional power of feedback depended heavily on teachers’ perceived priorities in writing assessment. Changes in the focus of writing assessment led to differing approaches to feedback.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eer-teachers teaching the IB curriculum in different educational contexts may possess various levels of understanding of feedback. It seemed to peer-teachers that responding to students’ writing is a very goal-oriented endeavor. Teachers’ approaches to feedback determined the extent to which students take ownership of the process of writing assessment.

      • KCI등재

        학부 교환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과목 운영 과정에서의 교사 피드백 연구

        이윤진(Lee, YunJ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본고는 한국어 쓰기 교과목 운영(2012년도 2학기∼2015년도 2학기)의 사례를 기반으로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실질적으로 맞닥뜨리게 되는 피드백의 주요 내용을 수업의 단계별로 고찰한 논의이다. 그간의 교사 피드백 관련 연구가 피드백의 특정 부분에 관심을 두거나 이상적인 피드백 방안 모색에 초점을 둔 것과 달리 본고는 쓰기 교과목의 전반적인 운영 안에서 구현되는 교사 피드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먼저 Ⅱ장에서는 교사 피드백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면서 교육 현장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절실함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쓰기 교과목 운영의 한 사례로서 연세대학교 학부 교환학생 대상의 교과목 개요 및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맞게 적용된 교사 피드백의 구체적인 내용을 밝혔다. Ⅳ장에서는 한 학기의 수업을 전제로 교사의 쓰기 피드백을 크게 ‘피드백 전 단계’, ‘피드백 본 단계’, ‘피드백 후 단계’의 3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고려 사항과 세부 요인을 고찰하였다. 쓰기 피드백은 단지 교사의 일방적인 헌신과 노력만이 아닌 교수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과 수준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야 하고 전반적인 교과목 운영과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가 전제되어야 함을 부각시켰다는 데 본고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provides a phased discussion through contemplation of feedbacks received and confronted by an instigator on an education site, based on real examples of operating an actual Korean writing curriculum. Differentiation is made from existing studies through the study’s focus on the instigator feedback’s occurrence within the general context of Korean writing curriculum operation, whereas previous studies focused singularly on a single and particular aspect of a feedback or was centralized on searching for an ideal curriculum. In chapter II, this paper reviews the pre-established discussions on the present address of an educator’s feedback. In chapter III, an instigator’s feedback is being discussed with an exemplary real-life context of Yonsei University international student’s undergraduate curriculum on Korean Writing, paralleling the discussion with the gathering of curriculum details and characteristics. In Chapter IV, with one semester’s lectures as the foundation, the instigator’s feedback on writing is defined largely into three phases with considerations and details elucidated for each: ‘pre-feedback phase’, ‘during-feedback phase’, and ‘post-feedback phase’.

      • KCI등재

        학습자 중심 글쓰기 교과커리큘럼 개선 방안 -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

        박영식 ( Young Sik Park ) 배달말학회 2015 배달말 Vol.57 No.-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 수가 줄어들면서 학사행정이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바뀐 것처럼 대학 수업 역시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글쓰기 강좌 역시 1990년대까지 통합교과서로 운영하다가 2000년대 이후부터 각 계열별 맞춤형 교과서로 바뀌고 있다. 즉 각 계열별전공 영역과 실생활에 필요한 글쓰기에 초점에 맞춰 글쓰기 교재도 전문적 글쓰기와 실용적 글쓰기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보면 여전히 교수자 중심의 이론 수업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학습자중심의 참여 수업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좀 더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려 하였다.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학습자는 여러 가지 글쓰기 교과 항목 중 ``이론 - 실습 - 피드백``을 동시에 수행하는 항목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그리고 ``이론-실습-피드백``을 동시에 수행하지 않고 이론만 수행한 글쓰기 교과 항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만족감을 보였다. 즉 학습자는 교수자로부터 많은 내용을 새로 배우는 것보다 적은 내용이라도 학습자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터득한 지식을 더 의미 있게 생각한다. 따라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글쓰기> 교과커리큘럼에 있는 다양한 글쓰기 교과 항목 중 몇 개를 줄임으로써 학습자가 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여지를 줄 것을 제안하였다. 경북대학교 글쓰기 교과목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 글쓰기 교과목 역시 교수자와 학습자가 ``이론 - 실습 -피드백``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글쓰기 교과커리큘럼을 개선하자는 것이다. Just like the academic administr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supplier-centered to the consumer-centered as the number of students entering universities is decreased, the university courses are also changing from the teacher-centered to the learner-centered. The writing course was operated on the basis of the integrated textbook till the 1990s while it has been changing to the customized-textbook for each department since the 2000s. In other words, the writing textbooks also place emphasis on the professional writing and practical writing necessary to the actual life and the major area of each department. However,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still spends lots of time on the teacher-centered theory lesson while spending relatively less time on the learner-centered participation lesson. Thus, this paper aimed to suggest measures for learners to more dominantly participate in classes, focusing on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ocial Science Writing> Curriculu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arners showed relative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item of performing ``theory-practice-feedback`` at the same time among numerous writing course items. They also showed relatively lower satisfaction with the item of performing theory only without the process of ``theory-practicefeedback`` at the same time. In other words, learners consider the knowledge learnt through participation as more valuable than much more contents newly learnt from teachers. Therefore, it was suggested to give some rooms for learners to participate in classes, by reducing several things from various writing course items in the <Social Science Writing> Curriculu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n top of the writing cours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any other writing courses of other universities also have to improve the writing course curriculum so that both teachers and learners can smoothly perform the ``theory-practice-feedback``.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김현정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It has been getting generalized within the recent 10 years that Universities choose the classes related to writing as a required elective course with grow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eaching writing skill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results of the education for writing,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continuously curriculum operations in a systemic policy. In this research, we are going to look over Seou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Sookmyung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and Chonnam University. These Universities will be evaluated to have a well-organized writing- education system, and based on it, look for the direction to a desirable writing-education policy. These Universities does not merely select writing classes as a required elective course but also build up curriculums that help the education in a row on elective courses or major courses. Especially, we checked that they can manage the operation more systematically by establishing a special organization to authorize them to these curriculums instead of letting a department do the work. When we make a writing-education policy in Universities, what we should consider through this curriculum practice is the policy that has to be fulfilled constantly in a long-term. Moreover, we also have to find out a way to support training and secure professional instructors to improve feedback quality, and the core of writing subject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administrations of Universities. It is too general to say again that th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so important. However, apart from its importance, the effectiveness for this is much disputed. This is because although Universities have put a lot of costs on it, the results in a short term are apparently insignificant. However, in order to get fruits from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which is already ongoing, it is better to plan a more systemic and consistent policies than to stay comfortable in the current situation for drawing out the outstanding results in this field. 지난 10여 년 동안 대학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대학에서 글쓰기 관련 교과를 교양필수로 지정하여 운영하는 사례가 보편화되고 있다. 글쓰기 교육의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책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과 운영을 지원해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체제를 비교적 잘 갖추었다고 평가할 수 있는 서울대, 연세대, 숙명여대, 경희대, 전남대의 글쓰기 관련 교과 운영 사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글쓰기 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서울대, 연세대, 숙명여대, 경희대, 전남대는 ‘글쓰기’ 교과를 한 학기 과정의 교양필수로 지정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교양 또는 전공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글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을 마련해 두었다. 특히 특정 학과에서 관련 교과를 주관하기보다는 대학 본부 산하에 특정 기관을 설치하여 관련 교과를 주관하도록 함으로써, 교과목 운영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글쓰기’ 교과 운영 사례를 통해 대학 글쓰기 교육 정책을 마련할 때 고려할 점은 글쓰기 교육이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교과 과정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전문강사진을 양성하고 확보할 수 있는 지원책과 대학 본부 차원의 피드백 지원책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많은 대학에서 글쓰기 교육의 중요성을 높이 인정하면서도 그 실효성과 교육 정책의 방향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는 각 대학들이 글쓰기 교육에 많은 예산을 투자함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왕 시작한 대학 글쓰기 교육이 그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현재의 지원 정책에 안주하기보다는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정책을 마련함으로써, 대학 글쓰기 교육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학습 필자의 설득적 글에 나타난 쓰기 과정 분석과 교육과정 환류 -작문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김규훈,전용숙 우리말글학회 2023 우리말 글 Vol.9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on with the ‘writing process’ through the ‘writing protocol analysis’ of the ‘persuasive writing’ produced by learning writers in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supplement the curriculum of persuasive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effectively compare the completed persuasive writing and the writing process, a writing protocol model for process analysi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writing process. Based on this model, the ‘medium upper’ and ‘medium lower’ courses were selected from the classe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15 persuasive writings were analyzed for writing protocols, and the thinking process was confirmed through post-learner interviews. As a result, 30 persuasive articles were classified into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 and based on this, the peculiarities and tendencies of the activity process and results of each writing stage appeared according to the writing level of the learner were identified. In addition, a persuasive writing curriculum improvement plan was prepared by reflec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rrection feedback stage was approached in more detail. It was emphasized that the correction reflect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learner should be applied. 본 논문은 글쓰기 교육에서 학습 필자가 생산한 ‘설득적 글’에 대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글쓰기 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설득적 글쓰기 교육의 교육과정 보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에 먼저 완성된 설득적 글과 글을 쓰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글쓰기 과정의 단계에 따라 과정 분석을 위한 작문 프로토콜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을 바탕으로, 2022년 1학기에 개설된 <글쓰기기초> 수업 가운데 연구진이 담당했던 수업에서 ‘중상’ 강좌와 ‘중하’ 강좌를 선별하였고, 각 15편의 설득적 글을 대상으로 작문 프로토콜 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학습 필자 인터뷰를 통해 글쓰기 과정에서 사고 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30편의 설득적 글을 ‘상, 중, 하’ 수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필자의 글쓰기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쓰기 단계별 활동 과정 및 결과물의 특이점과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설득적 글쓰기 교육과정 개선안을 마련하고 첨삭 피드백 단계에 대해서는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였다. 그것은 <글쓰기기초>의 교육 내용이나 피드백 내용 및 방식에서 학습 필자의 개별 특성을 반영한 첨삭 내용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한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연구

        김현정 ( Hyeon Jeong Kim )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It has been getting generalized within the recent 10 years that Universities choose the classes related to writing as a required elective course with grow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eaching writing skills in Universities. In order to achieve results of the education for writing, it is very important to support continuously curriculum operations in a systemic policy. In this research, we are going to look over Seoul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Sookmyung University, Kyunghee University, and Chonnam University. These Universities will be evaluated to have a well-organized writing- education system, and based on it, look for the direction to a desirable writing-education policy. These Universities does not merely select writing classes as a required elective course but also build up curriculums that help the education in a row on elective courses or major courses. Especially, we checked that they can manage the operation more systematically by establishing a special organization to authorize them to these curriculums instead of letting a department do the work. When we make a writing-education policy in Universities, what we should consider through this curriculum practice is the policy that has to be fulfilled constantly in a long-term. Moreover, we also have to find out a way to support training and secure professional instructors to improve feedback quality, and the core of writing subjects, which should be supported by administrations of Universities. It is too general to say again that the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so important. However, apart from its importance, the effectiveness for this is much disputed. This is because although Universities have put a lot of costs on it, the results in a short term are apparently insignificant. However, in order to get fruits from writing education in Universities which is already ongoing, it is better to plan a more systemic and consistent policies than to stay comfortable in the current situation for drawing out the outstanding results in this field.

      • KCI등재

        글쓰기는 생각쓰기이자 삶쓰기

        김성수(Kim, Seong-s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3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7 No.2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교육의 현황을 보고하고 삶을 가꾸는 글쓰기교육의 이상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삶을 변화시키는 글쓰기란, 종래의 '결과 중심 글쓰기교육'이나 수사학적 작문교육 방식과는 다르다. 학생들이 전범으로 삼을 명사의 모범 문장을 원문 통달시키거나 명문을 모방하라고 주입식으로 교육하지 않는다. 비판적 사고에 기초한 논술 방식의 '과정 중심 글쓰기'를 시키고, 나아가 사회 구성주의 이론을 접합한 '치유의 글쓰기'를 수행한다. 필자는 글쓰기를 지도하면서 학생들과의 개별 면담을 통해 상호소통의 피드백을 수행하면서 글쓰기 치료, 힐링 글쓰기를 시도하였다. 바람직한 글쓰기는 텍스트 밖의 사물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도구에 머물지 않고, 사고력 향상에 기여하고 저자와 독자의 삶까지 변화시킨다. 글쓰기란 저자의 글에 자기만의 생각과 삶을 담고 그를 통해 삶까지 변화시키는 길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글쓰기처럼 '인간과 생활의 기록'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가 한 인간의 성장이나 삶의 질적 변화에 실질적으로 관여하는 점에서 '사람됨(Menschen Werden)'의 한 과정이며 의미화의 실천 과정이라고 재규정할 수 있다. 그러려면 글쓰기 교사의 헌신과 애정, 학생의 신뢰가 상호작용을 이루어야 한다. 교사 입장에서 학생의 글을 단지 문법과 논리, 표현만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 거기 담긴 그들의 생각과 삶까지 개입해야 하기 때문이다. 학생의 생각과 삶을 변화시키는 글쓰기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글쓰기교사의 생각과 삶도 함께 변화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current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ies and explore the direction for the ideal of the writing education that would change the life. The writing that changes the lif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result-oriented writing education or rhetorical composition education. Such writing conducive to changing the life avoids forcing the students to learn the exemplary and excellent sentences of masters by rote or imitate such sentences. Rather, it promotes the essay type process-oriented writing based on the critical thinking, and furthermore, encourages the healing writing that incorporates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ism. This researcher attempted the treatment through the writing and the healing writing by means of individual interview while providing guidance on writing. The desirable writing helps improve the thinking power and changes the lives of both author and readers, not merely serving the role of tool for expressing the objects beyond the text and conveying the meaning. The writing is the container for the unique ideas and life of author and shows the way to change the life. Like the traditional writing, the writing is not confined to the record of human and life, but can be reinterpreted as the process of MenschenWerden and the process of the signifying practices because the writing is practically involved in the growth of human or qualitative changes of life. For that, the interaction is required in the commitment and affection of the writing teachers and the trust of students. Teachers need to be involved in the ideas and lives of students, as well as provide guidance to students on grammar, logics, and expression in writing from the standpoint of teachers. It would be more desirable if the ideas and lives of teachers are also changed in the course of teaching the writing that changes the ideas and lives of students.

      • 글쓰기 튜터의 역할과 자세 -WAC(교과기반 글쓰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정한데로 시학과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0 No.22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ole and attitude of the writing tutors on the WAC(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programs. Especially, we discuss about how the writing center should teach the writing tutors and how the writing tutors should approach the students. The three roles of the writing tutors on the WAC programs are as follows: ①a middle pers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②an assistant as a writing professional ③a helper who aids persistingly students’ writing abilities. To achieve this, the writing tutors need to prepare the attitude as follows: ①express the strengths of the student’s writing ②let the students find the weaknesses of their writing by themselves through a Q/A and the objectification of own writing ③suggest the course for the revisions, and do not point out their errors ④guide the students to be able to revise their writing recursively by reflecting feedback from the writing tutors.

      • KCI등재

        취업목적 자기소개서의 첨삭 피드백 분석 -성장과정과 지원동기를 중심으로-

        김지현,김한결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3

        As a “writing that narratively and reflectively shows a job-seeker’s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alent required by workplace”, th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is the process-based, practical, and self-reflexive writing, accompanied by concrete data. The growth process and motivation for support are areas where these characteristics are typically revealed and belong to areas where applicants experienc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the actual writing process. This study targeted the writing correction feedbacks of the growth process and application motive among th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received at the writing clinic, a non-subject program. As a result, a number of points and feedbacks were identified in the category of job relevance, novelty of storytelling, suitability of the domain, and specificity of information in the growth process and application motive. This study analyzed actual cases and feedbacks pointed out at a high frequency in a writing clinic,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practical in that it is categorized. These achievement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shared in the writing curriculum and serve as empirical and developmental guidelines for writing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취업목적 자기소개서란 “직장에서 요구하는 인재상에 따라 구직자가 자신의 역량을 서사적이고 성찰적으로 나타낸 글”로서, 구체적 자료가 제시되는, 과정 중심적⋅실용적⋅자기성찰적 글이다. 성장과정과 지원동기는 이러한 특징이 전형적으로 드러나는 영역으로서, 지원자들이 실제 작성 과정에서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는 영역에 속한다. 본 연구는 비교과 프로그램인 글쓰기 클리닉에 접수된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중, 성장과정과 지원동기 부분에 대한 첨삭 내용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그 결과 성장과정과 지원동기에는 직무 연관성, 스토리텔링의 참신성, 영역의 적합성, 정보의 구체성의 범주에서 다수의 지적 사항과 피드백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글쓰기 클리닉에서 고빈도로 지적된 실제 사례들과 피드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유형화하였다는 점에서 실제적이고 실용적이라는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성과는 글쓰기 교과과정에 공유되고, 자기소개서 작성에 대한경험적이고 발전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