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리뷰에 반영된 고객들의 레스토랑 식품안전 인식 이 온라인 리뷰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영배 ( Choe Yeongbae ),김하니 ( Kim Hany ) 한국호텔리조트학회 2022 호텔리조트연구 Vol.21 No.2

        Food safety perception is a primary concern for customers, public agencies, and restaurant owners. In recent years, social media has been used to monitor customers’ food safety perceptions of a particular restaurant. Thu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whether customers’ safety perception is reflected in online reviews and understand its effects on online reviews’ usefulness. To do so, this study utilizes 3,425,397 reviews downloaded from Yelp.com to identify the representation of food safety and its effect on online reviews’ usefulness. By adopting a dictionary-based approach, this study calculates the score of four food safety-related factors. It then estimates the effect of four factors on online reviews’ usefulness using the hurdle negative binomial model.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four food safety perceptions on usefulness are heterogeneous, and several review characteristics and reviewers’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nline review usefulness. Further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section.

      • KCI등재

        연구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우인성,황명환,이홍주 한국가스학회 2019 한국가스학회지 Vol.23 No.2

        According to the Laboratory Safety Act, each laboratory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must conduct safety inspections and diagnosis every year or every two years. At present, the relevant guidelines are not clear,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nspection and diagnosis will become ineffective. In the laboratory, there is a pre-risk factor analysis system for hazardous factors, bu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lementation due to lack of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ers, excessive work, etc. For the analysis of the opinions of experts in the safety field using the Delphi technique, we analyzed the following items: 1. Consideration in applying the Lab Safety Act, 2. Consideration in Lab Safety inspection and diagnosis, and 3. Government policy necessary for Lab. safety. Through the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detailed items, we extracted for problems and alternatives in current laboratory safety diagnosis and current law. 연구실 안전법 관련규정에 따라 과학기술분야 각 연구실은 매년 혹은 2년마다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의무적으로 실시하여야 하지만, 현재는 관련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 점검 및 진단이 부실화될 우려가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와 함께 연구실 현장에서는 사전유해인자 위험분석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나, 수행하는 연구활동종사자의 교육 및 이해부족, 과도한 업무 등으로 인해 시행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실 안전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1. 연구실 안전법 적용시 고려할 사항, 2. 연구실 안전 점검 및 정밀 안전 진단시 고려할 사항, 3. 정부부처에 바라는 사항으로 각 항목을 구성하였고, 세부항목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현재 연구실 안전진단 및 현행법상의 문제점과 대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전동킥보드 이용행태 및 안전에 관한 연구 - 전동킥보드 소유자에 대한 설문을 중심으로 -

        조항훈,노한승,유호찬,강지은,정지은,김흥순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1

        Electric scooters are a personal transportation means powered by electricity, and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as a solution to traff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While demand for electric scooters is on the rise, laws and regulations on the use of electric scooters are not clear yet. In this study, we conduct a survey on the safety of use behavior targeting the owners of electric scooters, and based on this, we inte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cross-analysis, ANOVA,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First, according to the trip purpose some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job type, frequency of use, space used, and driving speed. Second, possessing driver's licenses does not appear to affect traffic accident by e-scooters. Third, it appear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whether or not to wear safety equipment (helme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frequency of use, space used, and driving speed of electric scooters. Fourth, as a result of the binary logit analysis on the occurrence of accidents and usage behavior of the electric scoot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use and the frequency of use.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some regulations are required when using electric scooters on bike paths and sidewalks. 전동킥보드는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개인 교통수단으로 최근 교통문제와 환경문제의 해결방안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전동킥보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지만 아직까지는 전동킥보드 이용에 관한 법률 및 규제가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동킥보드를 소유하고 있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행태 및 안전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차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은 이용목적에 따라 직종, 이용 빈도, 이용 공간, 주행속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동차 운전면허 보유여부는 전동킥보드 사고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의 이용목적과 이용 빈도, 이용 공간, 주행속도에 따라 안전장비의(헬멧) 착용 여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동킥보드의 사고 여부와 이용행태에 관한 이항 로짓분석 결과 이용목적과 이용 빈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이용환경의 조성을 위해 전동킥보드 이용자들의 자전거도로 및 보도 이용 시 명확한 규제가 필요하고, 안전장비 착용이 이용자의 안전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여겨지는 만큼 헬멧 착용에 대한 규제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서울 지하철 발전방안: 외국인 이용자의 관점에서

        한웅택,나준희 한국유통경영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6

        In terms of distribution as a concept related to flow, the concept of distribution is becoming broader. One of these is transportation. The use of facilities is also transportation, and the mobility of people is also transportation. In recent years, foreigners are visiting the country greatly. Accordingly, the use of Seoul subway by foreign visitors is increasing greatly. According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study the use of Seoul subway that foreigners think. This study classified subway use factors into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using the subway and perceived usefulness, between factors using the subway and perceived easy of use. And we looked at perceived usefulness, usability, and recomme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convenience and aesthetic were positive about perceived usefulness. Timeliness, connectivity, safety and convenience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asy of use.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esthetic and perceived easy of use was not significan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y of use were positive for the recommendation. 유통이 흐름과 관련된 개념이라는 측면에서 유통의 개념이 광범위해지고 있다. 이 중의 하나가 교통이다. 시설물의 교류도 교통이지만 사람의 교류도 교통이다. 최근 들어 외국인들이 국내 방문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 방문객의 서울 지하철 이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외국인들이 생각하는 서울 지하철의 이용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하철 이용요인을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심미성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지하철 이용요인의 지각된 유용성, 지하철 이용요인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지각된 유용성, 이용용이성과 추천의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서울 지하철의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심미성은 외국인들이 느끼는 서울 지하철의 지각된 유용성과 긍정적인 관계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서울 지하철의 정시성, 연계성, 안전성, 편의성 역시 외국인들이 느끼는 지각된 이용용이성에 긍정적인 관계임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심미성과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이용용이성의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Media Use and Perceptions of Safety

        Moon Yu Seok(문유석)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社會科學硏究 Vol.21 No.2

        본 논문은 미국적 맥락에서 대중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특히 대중매체와의 관계에 중점을 두어 실증분석하고 있다. 대중 매체가 대중의 안전에 대한 염려를 유발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기존의 이론들은 크게 매체와 이용자와의 관계에서 매체의 영향력을 중시하고 직접적인 인과관계의 존재를 주장하는 교화이론(cultivation theory)과, 상대적으로 이용자의 영향력을 중시하고 직접적인 인과관계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용강화이론(use and gratification theory)의 양자로 나뉘어 대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과정을 거쳐 양 이론 중 어느 것이 보다 설득력이 있는지를 비교ㆍ분석하고 있다. 순위적 로짓 회귀분석(ordered logit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본 논문은 안전에 대한 염려는 나이가 많을수록, 여성일수록, 저학력 층일수록, 그리고 범죄율이 높을수록 높아짐을 발견하였다. 매체 중에서는 직접적인 목격이나 지역 사회소식지나 신문을 이용하는 경우에만 약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교화이론에서 대중의 안전에 대한 염려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졌다고 보는 텔레비전과 라디오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대중의 안전에 대한 염려는 매체에 의해 조직되기 보다는 인간적인 요인과 지역사회수준의 맥락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용강화이론이 보다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결론짓고 있으며, 안전에 대한 염려를 줄이기 위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determinants of public anxiety of safety focusing on media effects on user's perceptions of safety, which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While cultivation theorists emphasize media influence on human perceptions and thus argue a direct-causal relationship, use and gratification theorists address human influence on media use and thus argue an in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m. This study tests these two views through hypotheses testing using survey data. Through an ordered logit regression, this study found that public anxiety of safet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gender, race, crime, and incivilities, failing to fin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most influential mass media, TV & Radio, and perceptions of safety. This study concludes that use and gratification theory is more plausible in explaining the media effects on human perceptions.

      • KCI등재SCOPUS

        압력센서 Use Case 분석을 통한 SEooC 적용 연구

        이승환(Seunghwan Lee),박병규(Byoungkyu Park)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28 No.8

        SEooC(Safety Element out of Context) is a method that assumes higher requirements in the application of automotive functional safe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ssumed requirements, a method of applying SEooC through use case analysis is proposed. This study examined the basic SEooC methodology and defined how to apply the use case analysis method in detail. Through the case of developing a pressure sensor by applying SEooC, the upper requiremen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use case. In addition, assuming system design, the internal safety requirements and requirements of use of SEooC target products were derived, and the hardware architecture was designed. When applying SEooC through use case analysis, the upper system can be defined and the safety goals, ASIL, and safety requirements can be derived based on clear evidence. In addition, the safety status and FTTI(fault-tolerant time interval) can be assumed in detail.

      • KCI등재

        주사제 안전사용 관련 미국 제도 고찰과 국내 시사점 검토

        변지혜(Ji-Hye Byun),오로라(Ro-Ra Oh),김묘정(Myo-Jeong Kim),이다희(Da-Hee Lee),이소영(So-Young Lee),김동숙(Dong-Sook Kim) 대한약학회 2020 약학회지 Vol.64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US and Korean policies for safe use of injection and suggest comprehensive policies for Korea. We searched and reviewed literature on the safe use of injections released by the global network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United States Pharmacopoeia, the label and package guidelines of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safe use of injection. Compared with US regulations, Korea’s regulations were inadequate to protect patients safety. Here, we suggest comprehensive policies for enhancing safe use of injection in Korea. With respect to the safe use of injection, we need to reduce high frequency of injection prescription, build the facilities for maintaining sterile environment for compounding injection. Lastly, we need to promote the use of ready-to-use injection products and display clear label whether the injection is a single-dose, multiple-dose or single-patient-use product. Korean health authorities should put more efforts to improve regulations for the safe use of injection.

      • KCI등재

        식품의 소비기한 참고치 설정을 위한 안전계수

        김병후,정수진,강준구,윤요한,신재욱,이철수,하상도,Byoung Hu Kim,Soo-Jin Jung,June Gu Kang,Yohan Yoon,Jae-Wook Shin,Cheol-Soo Lee,Sang-Do Ha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8 No.6

        2021년 11월 5일 '유통기한(流通期限)' 대신 '소비기한(消費期限)'을 표시하도록 하는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시행령과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이 입법 예고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식품 유형별 소비기한 참고치 설정을 위한 과학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과학적 안전계수 산출법을 마련하고, 안전계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온도 남용, pH, 수분활성도, 포장방법에 대해 모의실험을 진행하며 식품 자체의 수명(소비기한)에 영향을 주는 5가지 특성을 1) 수소이온농도(pH), 2) 수분활성도(Aw), 3) 살균 여부, 보존료(항균, 항산화) 함유 여부, 저장성 향상 포장(레토르트, 진공포장, CO<sub>2</sub> 충진, N<sub>2</sub> 충진, 탈산소 제 등), 4) 제품 보관 방법 (냉장, 냉동, 상온, 실온), 5) 멸균 여부로 설정하였다. 수소이온농도(pH) 4.6 이상의 식품은 세균 생장이 용이해 가장 높은 안전계수 값인 0.92를 적용하며, pH 3.5 이하의 강산성 식품은 세균 생장이 중단되고 대부분의 효소반응이 감소하므로 안전계수를 적용하지 않았다(1.0). pH 3.5-4.6 사이의 약산성 식품은 미생물(효모, 곰팡이 포함) 생장이 활발하지는 않지만 가능은하므로 중간값인 안전계수 0.96을 적용하였다. 수분활성도(Aw) 0.91 이상의 식품은 미생물(효모, 곰팡이 포함) 생장이 용이해 가장 높은 안전계수 값인 0.92를 적용하며, Aw 8.0 이하의 건조식품은 세균 생장이 중단되고 대부분의 효소반응이 감소하므로 안전계수를 적용하지 않았다(1.0). Aw 0.8-0.9 사이의 반건조 식품은 세균 생장이 활발하지는 않지만 가능은 하며 진균류(효모, 곰팡이) 생장이 용이하므로 중간값인 안전계수 0.96을 적용하였다. 살균, 보존료(항균, 항산화) 함유 또는 저장성 향상 포장(레토르트, 진공, CO<sub>2</sub> 충진, N<sub>2</sub> 충진, 탈산소제 등) 식품은 미생물(효모, 곰팡이 포함) 오염도 및 생장, 대부분의 효소반응이 감소하므로 안전계수를 적용하지 않았다(1.0). 위와 같은 처리를 하지 않은 식품은 미생물(효모, 곰팡이 포함) 생장이 용이하고 대부분의 효소반응이 촉진되므로 가장 높은 안전계수 값인 0.92를 적용하였다. 저장 온도(냉동, 냉장, 상온, 실온)별 안전계수는 표준온도 편차 값(냉장 0.07, 냉동 0.08, 상온 0.27, 실온 0.01)을 사용했으며, 온도편차 중 낮은 온도는 안전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온도 편차의 절반인 높은 온도 값만 안전에 영향을 주므로 50%(0.5)를 곱해주고 온도 초과에 미치는 '유통+소비단계' 기여율(85%)인 0.85를 다시 곱해 나온 안전계수 값인 냉장 0.03, 냉동 0.03, 상온 0.11, 실온 0.01을 적용하였다. 냉장식품의 온도남용에 대한 안전계수는 온도남용 시 실제 노출시간(1시간)을 반영해 50%(0.5) 곱하고, 소비자 냉장식품 온도남용 비율인 92.3%(0.923)를 곱해 도출한 0.407 값을 활용한 안전계수 값인 0.96을 적용하였다. 멸균 제품의 경우 안전계수를 적용하지 않았다. 요인별 특성을 고려하여 안전계수에 기여하는 비중과 이를 활용하여 최종 안전계수값을 산출하는 방법(A그룹-O그룹)을 decision tree로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과학적으로 산출한 안전계수를 통해 소비기한을 제시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 감량과 탄소 중립성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Korea, from January 2023, the Act on Labeling and Advertising of Food was revised to reflect the use-by-date rather than the sell-by-date.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system for calculating the safety factor and determining the recommended use-by-date for each food type, thereby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for the recommended use-by-date labels. A safety factor calculation technique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was design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imulation, and opinion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surveys and discussions including industry and academia, among others. The main considerations in this study were pH, Aw, sterilization, preservatives, packaging for storage improvement, storage temperature, and other external factors. A safety factor of 0.97 was exceptionally applied for frozen products and 1.0 for sterilized products. In addition, a between-sample error value of 0.08 was applied to factors related to product and experimental design. This study suggests that clearly providing a safe use-by-date will help reduce food waste and contribute to carbon neutrality.

      • KCI등재

        베이커리 식빵의 소비기한 설정을 위한 보관 방법에 따른 품질 변화 연구

        황선혜,최지연,김민주,조용선,Sun Hye Hwang,Ji Yeon Choi,Min Joo Kim,Yong Sun Cho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8 No.4

        In this study, the quality safety limit period of seven types of bakery bread was analyzed, and their use-by date was calculated. For evaluating product quality, storage conditions were set as 5, 15, 25, and 35℃ for 50 days, and moisture, microorganism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dominant bacteria were examined. The quality and safety standards followed the Korea Food Code and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products stored at 5℃ satisfied the standard for bacterial count for day 50, but the sensory quality was below the standard level. Samples stored at 15℃ showed high variability from 3-39 days. At 25℃, a quality safety limit period of 2-20 days was set, and one sample was found to have the same shelf life. Bread stored at 35 ℃ had the shortest quality safety limit period. Considering a safety factor of 0.87, a use-by date period of 1.7-13.1 days was calculated. Therefore, setting the use-by date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is necessary, even for the same product category. Among the bread products sold in bakeries, those managed as room temperature products (1-35℃) can be distributed and stored in a temperature range of up to 35℃. Overall,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setting a quality retention period based on the product characteristics and carefully considering the safety factor.

      • KCI등재

        소비자의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

        전상민(Jun Sang m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맞게 식품위해불안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안전한 식품 구입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실효성 높은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식품위해불안이 식품표시 확인과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5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이 식품표시 확인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고,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여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식품위해불안이 안전표시식품 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모든 집단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식품표시 확인이 안전표시식품구입에 미치는 영향은 두 집단 모두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안전표시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의 영향력이 낮은 집단의 영향력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식품위해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효과적인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과 소비자교육 방안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ffective operating plans for food labeling system that can successfully cope with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and enhance safe food purchase in accordance with consumer s knowledge level on safety labeling. We tested the difference of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and safe food purchase depending on the knowledge level of safety labeling. Data obtained from the 2015 Food Consump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were used.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e influence of consumer anxiety about food hazards on food label use was not significant in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about safety labeling, but was significantly positive in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Further, consumer anxiety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with purchases by those with high knowledge of safety labeling more strongly affected than those with low knowledge. Lastly, food label use positively affected safe food purchase in both groups, but the influence of the groups with high knowledge was stronger than that of the groups with low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effective operating plans of food labeling system and consumer education strategies for protecting consumers from food hazards and ensuring food saf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