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통합 학급에서의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

        승윤희(Seung, Y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음악교육의 목표는 장애 유무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 활동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하며, ‘음악을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고, ‘개인과 공동체 의식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있다. 또한 통합 학급의 음악 수업에서, 진정한 의미의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이란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공간적ㆍ물리적 통합이 아니라 교육적 통합의 실천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모두 담을 수 있는 통합교육의 개념과 방향, 교수ㆍ학습 방법 등의 이론적 기반이 필요하다. 이러한 개념으로 최근에 대두되는 것이 보편적 학습 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교육의 이론적인 기반으로서 보편적 설계의 개념과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를 고찰하고, 보편적 학습 설계의 원리에 따른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의 적용 방안 및 기본 틀을 제시함으로써, 통합학급의 음악 수업에 있어 장애학생의 교육적 통합을 위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 설계의 일곱 가지 원리와 각 원리에 따른 지침들을 음악교과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음악 수업과 연계하여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음악 학습의 목표, 내용, 방법 및 매체, 평가, 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보편적 음악 학습 설계의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The object of music education is to provide various music activities for all students, regardless of a disability, and to let students to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 to grow the ability to enjoy music in life ,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individual spirit . The tru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is not the spatial/physical integration between special and general students. Rather, it is the educational integration between them. Therefore, a theoretical foundation that can cover the educational needs of both special and general students is required. Recently,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has emerged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curriculum integration in inclusive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re considered, followed by the development of an academic basis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se goals were achieved by presenting applications and a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for music learning that conform to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is study considered the seven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the guidelines for each principle in the aspect of music discipline.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music learning connected to a music class is presented.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a framework of universal design for music learning that concentrates on the goals, the contents, the methods/media, evaluation, and the music learning environment.

      • KCI등재

        보편적 학습 설계에 대한 예비통합교육교사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정윤우(Yun-w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는 예비통합교육교사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과 보편적 학습설계를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역량과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연구 문제를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예비 통합교육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예비 통합교육교사들의 교육요구가 높은 것은 어떤 것인가?’,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예비통합교육교사들의 소속에 따라 교육요구도 우선순위는 차이가 있는가?’로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비 통합교육교사 25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통합교육교사들은 현재의 교육과정이 다양한 학습자를 고려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한 인식 수준도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통합교육교사들의 보편적 학습 설계의 요인에 대한 교육 요구도는 학습방법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에 대한 교육 요구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언어를 위한 옵션 제공, 학습 내용을 위한 옵션 제공의 순 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에 대해 예비통합교육교사의 소속에 따른 교육 요구도에서는 학습 방법을 위한 옵션 제공, 언어를 위한 옵션 제공, 학습 내용을 위한 옵션 제공이 상위 4위 안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universal learning design, and examined their competences of universal learning design required for utilizing universal learning design and their education needs. For these research purposes, this study set as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is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universal learning design’ ‘secondly, what are the education needs with higher priority that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have for universal learning design’ ‘thirdly,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ir priority of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for universal learning design.’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on the subjects of 253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found that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don’t see that the current curriculum has no concerns of various learners and that their perception level for universal learning design is low. Second, as for the education needs for factors of universal learning design of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it is found that the priority of education needs for option supply factors of learning methods was highest, and followed by that, option supply of languages, option supply of learning contents, option supply of perceptivity, option supply of learning materials, option supply of information support, option supply of interests, and option supply of technologies in that order. Third, as for their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associated institutions of preliminary collaborative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for universal learning design, it is found that the factors such as option supply of learning materials, option supply of languages and option supply of learning contents are commonly included in the upper four groups.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 개발 연구

        최효선 ( Hyoseon Choi ),남창우 ( Changwoo Nam ),강이화 ( Ewha Kang ),이지경 ( Ji-kyung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2

        수업에 대한 성찰 속에서 배움이라는 본질을 추구하자는 배움중심수업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적 가치로서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을 위한 수업설계모형이 미흡하여 개발이 요구된다. 이 때 학습자의 개인별 성장을 중요시하고, 학습에 대한 선택권을 강조하며,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적 접근을 바탕으로 하는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원리는 배움중심수업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와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문헌분석과 세 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수업의 실천방향과 요소, 수업설계의 절차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에 대해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양성, 자율성, 공동체, 성장의 네 가지 실천방향이 도출되었다. 둘째, 주체, 분석, 협력, 영역, 설계 및 성찰이라는 여섯 가지 요소가 도출되었고, 요소별로 하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수업의 절차모형으로서, 순환적, 맞춤형, 교사와 학습자의 협력적 활동, 교사 공동체를 통한 협력적 성찰을 포함한 배움중심수업의 절차와 구체적인 세부 단계가 개발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은 다양한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배움이 있는 수업을 실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has currently attracted educators’ attentions for pursuing learning as the essence as the reflection of instruction. Although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is widely discussed as the value of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has not been developed ye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has some implications for designing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for stressing learners’ individual growth and right of choice for learning based on community-based approach with inter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applying UDL.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UDL, and three-rounds delphi method. Thus, it developed practice directions, elements, and procedural model for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applied UDL, and conducted expert validation about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This study includes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directions are composed of diversity, autonomy, community, and growth. Second, the elements include subject, analysis, collaboration, domain, design, and reflection, and each subsequent elements. Lastly, the procedural model of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is composed of the process and specific steps of iteration, adaptation,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with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of offering meaningful framework for diverse learners to practice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as subjects of learning effectively.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의 세 가지 철학적 질문

        이학준 ( Lee Hak-jun ),김용성 ( Kim Yong-seo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7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보편적 학습설계의 세 가지 철학적 질문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에 관한 질문이다. 보편적 학습설계란 무엇인가. 보편적 학습설계는 모든 학생을 별도의 교육대상자로 간주하지 않고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학습자에 포함하고, 모든 학습자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하여 적절한 교육과정, 방법, 환경을 설계하고 학습에 참여할 동등한 기회와 방법을 보장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보편적 학습설계는 모든 학습자를 위한 학습설계 개발의 원리(틀), 가이드라인, 체크리스트이다. 둘째, 정당화에 관한 질문이다. 보편적 학습설계는 필요한가.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교육 평등의 실현, 통합교육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하겠다. 셋째, 논리적 가정에 관한 질문이다. 보편적 학습설계는 보편적인가. 여기서 보편적이라는 말은 성취/비성취, 장애/비장애 유무를 떠나서 모든 학생을 위한 학습설계로써 특수교육이 아니라 일반교육이라는 점과 특별한 학습설계가 아니라는 것 그리고 정상화 교육이라는 점에서 보편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ree philosophical question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 of meaning is what i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not an all-inclusive education for all students, but is included in the learner with diverse characteristics, and an equal opportunity to design and train appropriate courses, methods and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ll learners. In shor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a framework for curriculum development for all learners. Second, the question about justification is whether a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necessary. It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for all students, the realization of educational equality, and the achievement of the goal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the question about logical assumption is tha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universal. Here, universal means that education for all students, apart from achievement/non-achievement, disability/ non-disability, is general education, not special education. It is not a special learning design. And it is universal in that it is normal education of normalization.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기반 체육 수업 운영 구조 설계

        진연경 ( Yeonkyoung Jin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4

        ‘다양성’을 기반으로 체육수업에서의 모든 학생을 다양한 특성을 가진 개인으로 바라보고, 각 학생의 요구에 초점을 맞춘 체육 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체육교육의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특수교육에서 주로 사용해 온 보편적 학습설계 이론을 기반으로 교사 차원의 교육과정 설계 과정을 구조화하여 모든 학생을 위한 체육교육 실천을 위한 수업 설계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체육수업 실천에서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인차를 고려한 맞춤형 체육수업, 역량중심 체육 교육과 과정중심 교육과 평가를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으로써의 보편적 학습 설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체육수업 계획 과정에서 교사수준의 보편적 학습설계에 기반 한 분석 - 설계 - 실행 - 반성의 체육수업 운영 구조를 설계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학습자 특성, 시설 환경, 교육과정 분석하고, 설계단계에서는 학습 목표, 학습에서의 장애, 학습 변형, 학습 동기 유발, 개인별 학습 활동 선정, 평가의 방법을 고려하며, 실행에서는 설계된 내용을 실천하고 평가하고, 반성 단계에서는 학생 및 교사의 반성을 거치며 수업을 재구조화하는 순환적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신체활동을 ‘다르게’ 배우는 모든 학생들을 고려하는 체육수업 실천의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an important task of physical education to view all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individual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based on 'diversity' and to practice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each student‘s needs. This study aims to devise a teacher-level curriculum design process framework based on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ory mainly used in special education, and to specifically present physical education plans for all students. To this end,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emphasized as a new approach to realize personalized physical education, competency-oriented physical education, and process-focused education and assessment, conside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in physical education practice. In addition, by the analysis of the comprehensive spectrum, FAMME motel, and checklist for th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curriculum operating framework emphasizing analysis - execution - assessment - feedback was devis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lanning process based on teacher-level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se efforts could be a new approach to practicing physical education that respects all students.

      • KCI등재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의 보편적 학습설계 특성 분석: 학습장애 학생의 사용성 검사를 중심으로

        서유진,나경은 한국학습장애학회 2012 학습장애연구 Vol.9 No.3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는 총 23개의 초⋅중⋅고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장애 학생들은 각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들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0명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과 18명의 특수교사들은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 평가에 참여하였고, 15명의 초⋅중⋅고 학습장애 학생들은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중⋅고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은 연습문제 제공, 학습과정 점검, 난이도 조절의 특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학습장애 학생들은 연습문제 제공, 난이도 조절의 특성을 제외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대부분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선택,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게 스마트 교육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개발방법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3 math application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based on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for providing smart learning. Also,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in the math applications. Ten application developers and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math applications and 15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usability testing of math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most all of the math applications includ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at a pretty low level except for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related to provision of practice problems, progress monitoring, and adaptation of problem difficulty level.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ing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at a pretty low level except for the features related to provision of practice problems and adaptation of problem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how to design and develop math applications for provision of smart learning for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편적 학습 설계에 근거한 보편적 교육과정 설계의 가능성 탐색

        정주영 ( Joo Young Jeo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2 지적장애연구 Vol.14 No.2

        이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처럼 개인차가 큰 교실 환경에서 장애 학생을 비롯한 모든 학생의 교육과정 접근과 참여를 확대하고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결과를 얻기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보편적 학습 설계에 근거한 보편적 교육과정 설계의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편적 설계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 원리, 절차 등을 개관하고, 이에 토대를 둔 보편적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과 특징, 개념과 기본 가정을 검토하였고, 보편적 교육과정의 원리와 절차를 개념화하였다. 이를 근거로 보편적 교육과정 설계가 통합교육 환경에서 공동의 교육과정 틀로서 갖는 적용 가능성과 해결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was aimed at inquiring into possibility of universal curriculum design based up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It was reviewed many research papers about the universal curriculum design as alternative curricular implementation in inclusive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limitations of prior researches, many papers on instructional adaptation were reviewed and analysed, and several issues about them were raised. The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as reviewed comprehensively. In addition, universal curriculum design as alternative approach was presented with defining the concepts, necessities, features, assumptions,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it. At the end, the life-centered integrated curriculum was proposed as the example of universal curriculum design and it was discussed the possibility and problems of universal curriculum design based upon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 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설계 요인분석

        이미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3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100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d 1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ree weeks. Using thes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as follows. First, the domain of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consists of providing for student’s perceptual characteristics, for capability of language and symbols, for comprehension of informations throug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Second, thhe domain of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is composed of providing for physical action, for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and for executive functions throug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ird, the domain of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is comprised of providing for recruiting interest, for sustaining effort and persistence through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s above, this study has meaningful of analyzing factor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use as a basic resource of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nd helping improvement of the way of support.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 설계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보편적 학습 설계의 요인을 분석하 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보편적 설계의 요인은 다양한 표상 수단 영역에서 학 습 내용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학습 자료를 위한 옵션 제공 요인, 정보 제공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지각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언어를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흥미를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학습 방법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테크놀로지를 위한 옵션 제공 요인의 8개 요인으로 나타났고, 다양한 표현 및 활동 수단 영역에서 학습 전략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학습 동기를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표현 수단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의사소통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활동 수단을 위 한 옵션 제공 요인, 협력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유창성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의 7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참여 수단 영역에서 자기조절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노력을 위한 옵션 제 공 요인, 자기결정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관심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주의집중을 위한 옵션 제공 요인, 학습유지를 위한 옵션 제공 요인의 6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메타버스체험 학습 효과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이연숙,임진이,최주영,황유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유니버설디자인은 사회구성원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창조를 의미하는 인성과 창의성을 진작시키는 패러다임이자 윤리 공학이며 미래 교육의 방향이자 삶의 현장에서 체감되어야 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이 시대적 화두와 주제를 학습하게하는 방법은 아날로그적 방법에서 첨단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에 이르도록 다양한 스펙트럼이 있을 것이나, 어떠한 방법이던 사용자의 학습효과를 다각도로 규명해가는 과정을 거쳐 발전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니버설디자인을 가상공간에서 배우고 느낄 수 있는 메타버스 체험관을 탐험한 학습효과를 개방형 귀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지각된 유니버설디자인 학습효과, 사용의 수월성, 흥미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이다. (연구방법) 체험할 대상은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메타버스 체험관이며 연구의 대상은 Y대학교 사회혁신교양과목 ‘다양성의 시대 유니버설디자인’을 수강하는 대학생들로서 수업 중 50분간의 실습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체험관을 탐색한 후 지각된 유니버설디자인 학습효과, 사용의 수월성, 흥미도,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구분하여 질문하되, 학생들의 개방형 반응을 파악하였다. 응답내용은 내용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구체적 반응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빈도 백분률 평균과 더불어 워드클라우드 기법으로 분포를 시각화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유니버설디자인 학습효과로는 다양한 적용사례 체감을 통한 이해력 증진, 학습주제에 대한 지식 증진, 타인의 입장에 대한 공감력 증진, 유니버설디자인의 가치 인식을 하게 되는 효과가 순서대로 크게 나타났다. 사용의 수월성 차원에서는 직관적인 사용환경, 다차원적인 안내 등의 반응이 컸다. 사용상의 흥미도 경우, 그래픽요소, 가상체험, 콘텐츠구성, 게임형식, 학습효과 등 비교적 고르게 언급되었다.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는 구성요소의 확대, 로딩의 수월성, 조작방식 등이 언급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태도적, 감성적 반응을 초래하여 인성과 창의력을 촉진하는 교육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체험관을 탐험하는 실습은 제한된 시간에 폭넓게 그리고 현장성을 심도있게 탐색가능하게 함으로서 시간효과적인 학습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점점 시간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짧은 시간내에 유니버설디자인을 다차원적으로 입체감있게 이해할 수 있는 교육콘텐츠와 프로그램 발전의 이정표가 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공공이 개발한 체험관을 고등교육 현장에서 수업 모듈로 활용될 수 있음을 고무시키는 기회가 되리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Universal Design is a paradigm and ethical engineering that promotes personality and creativity, which means creation that respects the population diversit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and a phenomenon that must be felt through life span. The method of learning these contemporary topics and topics will have a wide spectrum from analog methods to cutting-edge technology, but in any way, it must b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learning effects of users from various ang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rning effects of exploring the metaverse experience center where one can learn and feel Universal Design in a virtual space. (Method) The target place is the Universal Design Metaverse Experience Center in Seoul, and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taking the "Universal Design in the Era of Diversity" course of social innovation and culture at Y University. As a research method, after searching for 30 minutes during class, the perceived universal design learning effect, ease of use, interest, and matters requiring improvement were asked separately, and students' open responses were identified. Responses were inductively identified using a content analysis technique along with visualized word cloud images and with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mean. (Results) The effect of enhancing understanding through the experience of various application cases, enhancing knowledge on learning topics, enhancing empathy for other people's positions, and recognizing the value of universal design were shown to be large in order. In terms of ease of use, reactions such as intuitive usage environment and multidimensional guidance were large. In the case of interest in use, graphic elements, virtual experiences, content composition, game formats, and learning effects were relatively evenly mentioned. As for matters requiring improvement, the expansion of components, ease of loading, and manipulation methods were mentioned. These results show that it can be an education that promotes personality and creativity by causing cognitive, attitude, and emotional reactions.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practice of exploring this experience can be said to have a great time-effective learning influence by enabling broad and in-depth exploration of the field in a limited tim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a milestone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programs that can understand universal design in a multi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manner within a short time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speed of time is increasing. It is also expected to be an opportunity to inspire that the experience center developed by the public local government can be used as a class module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설계

        조미경 한국수학교육학회 2022 수학교육논문집 Vol.36 No.2

        This study was related to the cases in whic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signed math lessons tailored to math underachievers with learning trajectories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Learning trajectories can be a basis to identify students’ current state of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and make a lesson plan responsively tailored to underachievers’ state. And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s a framework that removes potential barriers that may exist in math lessons from the time the lessons are planned, and guides the rich learning environment accessible to all learners. In order to provide an experience of designing math lesson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th underachievers, this study requir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create learning trajectories and make lesson plans with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trajectories shown in the lesson plans and the results of applying the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were analyzed. By discussing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erived regarding the necessity of lesson planning for math underachievers and the development of lesson planning competency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in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가설학습경로와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기반으로 초등예비교사가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춘 수학수업을 설계한 사례를 활용한 연구이다. 가설학습경로는 계열성을 특징으로 하는 수학 교과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에게 맞추어 도움을 제공해야 할 때 그들의 현재 이해 및 발달의 상태를 파악하고 그것에 반응적으로 수업을 설계할 때 의사결정의 근거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보편적 학습설계는 수업을 설계할 때 수업에 존재할 수도 있는 잠재적장벽을 제거하여 모든 학생이 접근할 수 있는 풍부한 학습 환경을 안내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에게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의 특성에 맞춘 수업을 설계하는 경험을 제공하여 가설학습경로를 생성하게 하고, 보편적 학습설계의 원리를 적용한 수업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수업안에 나타난 가설학습경로의 특징 및 보편적학습설계의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따른 논의를 통해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학수업 설계 경험의 필요성과 느리게 배우는 학습자를 위한 수업설계에서 가설학습경로 및 UDL의적용 가능성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