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성취아의 성격유형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정환,윤만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underachievement, general characteristics about underachievers, and differential personality types among underachievers who do not perform academically much worse than their potentiality including poorly doing children. Especially, this investigation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to differentiate underachievers into some typical groups. The efforts and programs for underachievers have been mainly about intellectual aspects. That's because researchers and educators believe that undeachievement is from lack of intellectual abilities. But, this study prospects underachievers underachieve rather emotionally than intellectually. Underachievers group is rather diverse and contrary to one another in personality while overachievers and achievers group are similar and consistent. Individual personality is structure composed of motivations. Underachievers are occupied with different motivations other than school performance, so that they might underachieve. They have different types of personality according to different motivations. Different personalities needs different treatments. So to find out what kind of types they have is primarily important as a diagnosis for helping them, which suggests causes of underachievem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treatment. This investigation focused on Mandel and Marcus' theory of underachievers' types as a pivot and incorporate other researchers' studies. And investigation focused on some types which happen in primary school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llowing parents and teachers to understand causes of underachievement and guiding ways to treat with their underachievement.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를 포함하면서 자기의 능력보다 학습수행을 하지 못하는 저성취아의 저성취 원인 과 일반적 특성 및 성격유형을 고찰하였다. 특별히 저성취아 집단 내 서로 다른 유형을 변별해 주는 특징들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저성취아들을 위한 노력과 연구 프로그램은 대부분 지적 측면에 관한 것인데, 이는 저성취아의 낮은 학습수행을 지적 능력의 부족으로 보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저성취아들이 지적으로 저성취를 하는 것과 함께 정서적 문제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들의 정서적 문제를 진단하여 해결하는 방안을 찾으려는 것이다. 저성취아 집단은 다양하고 서로 대치되는 성격을 갖고 있다. 저성취아들은 성취보다는 다른 동기들에 선점되어있고 이 때문에 저성취를 하며 동기들이 다름으로 해서 다양한 성격 경향성이 나타난다. 또 성격의 다름은 다른 치료적 접근을 말해주기 때문에 저성취아에 대한 진단으로서의 성격 유형의 변별은 저성취의 원인과 치료의 정보를 직접 제시해 주기에 일차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Mandel과 Marcus의 저성취 유형이론을 중심으로 이론을 탐색하여 초등학교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저성취아의 유형과 그 특징들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성취 영재를 위한 교육적 중재에 관한 연구

        최병연(Choi Byung Ye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1

          미성취 영재 혹은 학습부진 영재는 표준화된 지적 능력이나 성취도 검사 혹은 관찰 자료 등을 통하여 탁월한 수행을 보여 전문가에 의해 지적 영재로 판명된 학습자 중에서, 학업과 관련된 과제에 대한 실제 수행수준이 기대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학습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성취 영재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나 교사와 학부모의 관찰 등에 의해 판별된다. 영재의 미성취를 유발시키는 개인적 요인은 부정적인 학업적 자아개념, 학습동기 부족, 학습기술 혹은 학습전략 부족이며, 가정 요인은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 형태, 가정에서의 부적절한 역할 모델, 지나친 부모의 기대나 압력이다. 또한 미성취와 관련된 학교 요인은 학급풍토, 부정적 기대, 또래들의 압력, 교육과정 등이다. 미성취 영재를 위한 중재 전략은 아동의 성공적인 성취에 방해가 되는 개인의 심리적 문제나 가정과 학교에서 직면하는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여 아동의 자아개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의 수행을 개선하려는 상담을 통한 중재 전략과 교수-학습 상황에서 미성취의 원인이 되는 아동의 인지적 문제를 해결하고 교육과정이나 교육방법에 변화를 주어 정상적인 학업 수행을 유도하려고 하는 교수적 중재 전략이 있다. 지적 영재의 미성취를 치료할 목적으로 계획되는 프로그램을 안내해 줄 수 있는 원리에는 미성취의 원인을 파악하여 개별화된 중재 전략 수립, 아동의 재능 및 흥미 초점, 학습기술이나 학습전략과 관련된 결함 교정, 학습동기 유발 전략, 자아개념 증진 전략, 개개인에 대한 사회적, 정서적 지원 구조 구축, 교사와 학부모간의 긴밀한 협력 등이 있다.   While it is true that underachievement among gifted students has become a popular topic for research, it is still a major concern of educators, researchers, and teachers. As with giftedness, there was no consensus in defining the gifted underachiever. But the underachieving giftedness is generally defined as a discrepancy between the potential of an individual and their performance level. Gifted students underachieve for many different reasons. For example, personal, school, and family factorsmight affect levels of underachievement. Recent research in this area calls for not only the recognition  of special talents and abilities of these students but also for appropriate programming. Several studies highlighted the need for counseling and instructional intervention for gifted underachiever. The main objective of any intervention is to reduce the disturbing symptoms and to foster the child"s capacity to be control of his own life in ways that will serve his best interests. But the factors identified as causal in the under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are varied and numerous, the interventions designed to address these factors have met with limited success. That is to say, underachievement and its reversal are complex and unique to each child. No prescription or formula can be written that is appropriate for all gifted underachievers. The following guideline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drawn from the previous studies.<BR>  1. Individually designed to address the unique situation of the underachiever.<BR>  2. Focus on developing the strengths and interests of the child.<BR>  3. Teach and remedy study skills and learning strategies.<BR>  4. Specify the strategies for motivating the gifted underachievers.<BR>  5. Focus on improving the students" self-concept.<BR>  6. Construct the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s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BR>  7. Cooperat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 KCI등재

        학습 부진아의 교육받을 권리 보장 -기초학력 책임지도제를 중심으로-

        박성혁 ( Sung Hyeok Park ),이지혜 ( Ji Hye L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8 시민교육연구 Vol.40 No.1

        According to our constitution Article 31 Clause 1, all people have the right to get an equal education depending on one`s ability. Furthermore, to guarantee this, a nation has to set up all kinds of education systems based on law. For this,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s enforcing `the Accountability System for Underachievers` Basic Learning Abilities` to prevent learning underachievement and to raise academic attainments of underachievers so that it can make the consolid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reduce the educational gap. However, this system hasn`t been appropriately functioning because of some reasons. First of all, each school has used their own standard for Basic Learning Abilities without any discussion and agreement about that. Moreover, there has been only formal and administration opportunistic support which has no consideration f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Starting from recognizing this critical problems and situations, this study searches the range and limit of underachievers through consideration about their concept and looks around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education. As a concrete methods to be improved, an agreement about Basic Learning Abilities must be accomplished and a systematic and clear standard should be indicated to each school. Also, teachers have to guide underachievers responsibly and improve real support systems about underachievers. The most effective way for underachievers is the systematic learning consultation to underst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underachievers. Therefore, the foundation for effective realization of systematic learning consult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With getting over som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Accountability System for Underachievers` Basic Learning Abilities` will practically be able to heighten the educational effect dramatically. At the same time, the right to education for underachievers could be guaranteed more substantially.

      • 통합교육 상황에서 놀이중심 자기표현 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질적 연구

        진수영,민천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08 통합교육연구 Vol.3 No.2

        This study is a experimental research to find the effect of the play-based self assertiveness training with peer in inclusion on the self-concept of underachiever. The subject of study are three underachiever who arrend 5th grade at B elementary school in Bong-Wha, Gyung Sang Buk Do.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 total of 13 times twice a week for 6-weeks with 60-minutes per session. The experimental instrument was made by reorganizing the program developed. The evaluating instrument has been carried out using behaviors observe recording paper. A data has been qualitative analyzed the change in their behaviors observed every session has been qualitatively analyzed.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play-based self assertiveness training is efficient to improve the scholastic self-concept of the underachiever. Secondly, the play-based self assertiveness training is efficient to improve the social self-concept of the underachiever. Thirdly, the play-based self assertiveness training is efficient to improve the physical self-concept of the underachiever. Lastly, the play-based self assertiveness training is efficient to improve the emotional self-concept of the underachiever. 본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놀이중심 자기표현훈련이 학습부진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질적 연굴써, 연구대상은 경북 봉화군 B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부진아 3명과 또래아동 5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기간은 매 회기 60분씩 주 2회 6주간 총 13회기 실시하였다.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의 놀이중심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대상 아동의 수준에 맞게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평가도구는 회기별 관찰 기록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회기별로 나타난 대상 아동의 행동변화를 관찰 기록하여 표로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을 살펴보면, 통합교육 상황에서 놀이중심 자기표현훈련은 학습부진아의 합억적 자아개념, 사회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 KCI등재

        학습부진아 유형별 처치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민애,박윤배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4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 학습주진아들에게 그들의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의 향상을 위한 2학년 교과 내용 중 '전압과 전류'수업에서 처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존의 수업방법과 비교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독립변인으로 수업처지와 부진아 유형을 선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는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를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측정도구로 성취도 검사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가 사용되었으며, 대구 시내의 O중학교 2학년 남학생 171명(이들 중 부진아는 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수업처치 및 부진아 유형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기초지식 부족과 학습동기 결핍을 해소하도록 협동학습의 LT모형을 채택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학습부진아들에게 적용하였더니, 처치 프로그램은 학습부진아들의 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를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효과는 학습 부진아 중에서 기초지식의 부족과 학습동기가 결핍된 부진아들에게서 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reatment program by types of underachiever developed from "electric voltage and current" section in the 8th grade science textbook. The program for the underachiever who have lack of basic knowledge and needs to learning aimed to improve their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For this study, 171 7th grade students were sampled and distributed 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mong them, 54 underachievers were identified. The underachievers were defined as science achievement level is below mean and IQ is above90.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teaching method (traditional instruction and developed instruction) and types of underachiever.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the treatment program emphasizing learning sheet activities based on LT(Learning Together) model had significant effect for underachievers who have lack of basic knowledge and needs to learning to increase their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 science.

      • KCI등재

        초등영어 학습 부진아의 기초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슬로리딩 지도 실행연구

        오상미,강정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교육논총 Vol.39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영어 교과 학습 부진학생 1명의 영어 기초 리터러시 능력과 정의적 태도를 신장시키고자 슬로리딩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한 실행연구이다. 선행연구와 학교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슬로리딩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1차 실행연구 결과 영어 부진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과 참여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음소인식 및 알파벳 읽기의 어려움으로 여전히 읽는 것에 부담감을 가졌고, 이로 인해 학습 불안감이 많이 나아지지 않았다. 이에 2차 실행연구에서는 영어 전담교사와 연구자와의 성찰과 부진학생과의 상담을 통해, 기초 리터러시 부분, 특히 파닉스 지도를 병행한 슬로리딩과 다양한 읽기 활동을 접목시킨 수정된 슬로리딩 교수·학습방법을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부진 학생의 인지적 읽기 능력(알파벳, 대,소문자 인식 및 구별, 읽기 및 쓰기 능력 향상, 단어 연상능력)과 정의적 영역(동기, 흥미, 참여도)이 향상되었다. 또한 자기가 선택한 과제를 전략적으로 활동하는 자기 주도적 모습도 조금씩 나타나는 효과를 가져왔다. This action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a Slow Reading method in improving English basic literacy and the affective attitudes of one elementary school English underachiever.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 analysis of the school program, a Slow Reading method was developed. As the result of the first action carried out to the underachiever, his reading skills and participation were improved. But with the difficulties of phonemic awareness and reading the alphabet, the underachiever had still difficulty in reading and learning anxiety.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 English teacher, the researcher, and the student, the Slow Reading method was modified to focus on phonics instruction and various slow reading strategies. As the result of the second action, the underachiever improved his cognitive reading abilities (alphabet recognition, phonemic awareness,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nd word association ability), and affective attitudes(motivati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addition, hi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sing his own strategy in dealing with some tasks has appeared.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 학습부진 학습자 진단을 위한 주요인 분석

        이훈병 ( Hun Byoung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3

        현재 우리나라 대학에서 학습부진 문제는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연구는 학습부진 학생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고 주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부진단 도구를 개발하여 학습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부진 진단도구는 7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7개 요인은 다음과 같다: “학습내용이해노력”, “시험불안”, “의지부족”, “교수의지지”, “교우관계”, “부모의 관심”, 그리고 “경제적 문제”를 주요 변수로 설정하였다. 둘째, 학습부진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교수의지지”, “학습내용이해노력”, “교우관계”, “시험불안”, “경제적 문제”였다. 셋째, 학습부진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 판별에 영향을 보인 요인은 “교수의 지지”, “경제적 문제”, 그리고 “의지 부족”으로 나타났다. 일반학습자와 학습부진 학습자를 구별하는 변량의 58.4% 정도를 설명하고 있으며, 분류 정확률은 90.6%였다. 이상의 결과가 보여주는 것은 대학에서 학습부진 학생 지도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Currently in Korea, Underachieving students is a large problem in colleg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diagnostic instrument tools for under achievers and to analysis of the main factors for under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was selected the underachievers and non underachievers.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iagnostic instrument tools for underachievers could be composed of seven factors: “effort to understand learning content”, “test anxiety”, “lack of will”, “supporting of professor”, “peer relation”, “attention of parents”, “pecuniary crisis”. Secondly, in “effort to understand learning content”, “supporting of professor”, “peer relation”, “attention of parents”, and “pecuniary crisi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derachievers and non underachievers. Thirdly, “supporting of professor” and “pecuniary crisis” are very influential to distinguish between underachievers and non underachievers. Classification accuracy rate is 90.6%.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ollege, we must consider a variety of factors in order to improve the underachiever

      • KCI등재후보

        동요학습 활동이 학습부진아의 받아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혜정,민천식 한국통합교육학회 2009 통합교육연구 Vol.4 No.2

        This paper was a single subject experiment study to clarifying the effect of nursery rhyme activities on elementary underachievers’ dictation ability, and it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s do nursery rhyme activities have on underachievers’ spelling? Second, what effects do nursery rhyme activities have on underachievers’ word spacing?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selected 3 first grade underachievers at B Elementary School in Daegu and conducted the experiment for 6 weeks, 4 sessions per week and a total of 20 sessions, and 40 minutes per sessio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8 nursery rhymes selected from the nursery rhyme programs of Choi In-sil(2002) and Shin Jae-choong(2004) and nursery rhymes in the ‘Pleasant Life’ textbook for the 1st graders. The evaluation tool, which contained 10 questions for each session, was prepared by the researcher in a way that children could read, write and understand easily the words of the nursery rhymes modified in consideration of adequacy for spelling and word spacing and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impression of the researcher and the subject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ursery rhyme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underachievers’ spelling ability. As the words were oriented to children and easy to sing, the underachievers could approach nursery rhymes with interest and learned vocabulary naturally in the process of singing nursery rhymes and this was considered to improve their spelling ability. Second, nursery rhyme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underachievers’ word spacing ability. As the underachievers sang their favorite nursery rhymes repeatedly their interest in and concentration on learning were heightened, and as a result they came to pay attention to what the teacher was saying in the dictation test and this was considered to improve their word spacing ability. 본 연구는 동요학습 활동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받아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대상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 B초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학습부진아 3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기간은 9월초부터 10월말까지 매 회기 40분간 주 3회 7주간 총 20회기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최인실(2002), 신재충(2004)의 동요학습 프로그램과 초등학교 1학년 즐거운 생활에 수록된 동요를 중심으로 총 18곡으로 구성하였고, 평가도구는 철자와 띄어쓰기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회기별로 각 10문항씩 구성하였다. 자료 처리는 받아쓰기 능력을 백분율로 환산하여 단일 대상 연구의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그래프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동요학습 활동은 학습부진아의 철자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둘째, 동요학습 활동은 학습부진아의 띄어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다.

      • KCI등재

        과학 학습 부진아 지도로서의 중재반응모형(RTI)의 적용 효과

        주혜련,박종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This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effect of Response to Intervention(RTI) as a teaching methodology for underachievers in science. The participants were fifth-grade students, and the intervention program involved the science textbook section 'The speed of an object'. In the first stage of the intervention, the subject matter was taught generally over a period of three weeks. The researcher conducted subgroup teaching using the direct method of teaching in the second stage of the intervention for eight weeks.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of the intervention involved selecting underachievers in science and determining their baseline(the bottom 15%), the second provided sixteen thirty-minute sessions, twice a week over eight weeks. In the first stage of the RTI program, the researcher selected eleven underachievers in a fifth-grade science class for an experimental group. In the second stage, interventions were provided to them based on the Direct Instruction(DI) method. During the interventions, three achievement tests and ten curriculum-based assessments were conducted.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s based on the DI approach had positive effects on the underachievers. The science underachievers showed a higher achievement level than the general students when a sincere attitude was indicated. Second, the RTI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some of the science underachievers; although three of the eleven participants in the second stag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achiev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is closely related; science underachievers in the second stage were all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too. RTI has not been applied to mathematics classes; bu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TI in science class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in the future; it could contribute to the relief and determination of science underachievers. 현대 과학교육은 ‘모든 이를 위한 과학’을 지향하고 있다. 과학적 인재를 양성하는데 주력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이에게 과학적 소양을 함양시킬 수 있는 과학교육에 집중하는 것이다. 초등교육은 더욱 그러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재 반응(Response to Intervention, RTI)을 적용하여 과학 학습부진 아동을지도하여 구제하는 데 효과가 있는지 입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5학년 2학기 3단원 ‘물체의 속력’단원으로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중재 1단계에서는 3주에 걸쳐 과학 전담 교사가 일반 교수를 실시하였고, 중재 2단계는 8주간연구자가 직접 교수법을 활용한 소집단 교수를 실시하였다. 1단계에서 학업성취도 검사 2회, 교육과정 중심 평가는 4회를 실시하여 두 검사 점수의 합이 하위 15%를 나타내는 15명을 과학 학습부진 아동으로 선별하여 그중 본인의 동의를 얻은 11명을 2단계 연구를 실시하였고, 2단계에서는 총3회의 학업성취도 검사와 총 10회의 교육과정 중심 평가를 실시하여 중재 반응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2단계 중재로 과학 학습부진 아동으로 선별된 11명의 아동 중 8명이 일반 아동을 뛰어넘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따라서 과학 학습부진 아동이라 할지라도 중재 반응의 2단계소집단 교수에 성실히 임한 부진 아동은 일반 아동과 같은 학업성취도를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구제되지 못한 나머지 3명의 아동은 동일한 시간 동안 동일한 중재를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반응하지 않았으므로 과학 학습부진 아동이라고 판별할 수 있었다. 또한 2단계에서 반응을 보이지 않아 과학 학습부진 아동으로 판별된 아동이 모두 수학기초 학습 부진이었던 것으로 나타나 수학기초 학습 부진과 과학 학습 부진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제껏 수학에서만 다루어지던 틀을 깨고 앞으로는 과학에서도 중재 반응을 적용한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과학 학습부진 아동의 구제와 판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지도교사의 인식 조사

        김용욱,이창섭,안정애,이성환 한국학습장애학회 2009 학습장애연구 Vol.6 No.2

        The present study has been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alities and teachers’ notions of underachiev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objective, sampling was made at 10 elementary schools from each of 16 school districts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of 320 people who were made up of 1 person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work for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and 1 teacher (including part-time teacher) in charge of that underachiever’s teaching per school. The analysis of the administrators’ replies showed that the rate of occurring underachievers was 2.42%~ 5.05%, and the rate was higher in math than in reading and writing. After diagnostic evaluation, one-to-one teaching in various forms is conducted, but still unsolved problems are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special education under the discretion of homeroom teachers, forming the environment for such education, parents’ objection, lack of operational expense, etc. On the other hand,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replies revealed the following problems: The parents’ participation was insufficient in the course of planning the education: The lack of standardized textbooks, the burden of excessive other work, inappropriate work division and deficient teaching time, parents’ lack of concern: Insufficient incentives including insufficient lecture fee. Also the teachers expressed considerabl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present education system for underachievers and various support systems. At the same time, they called upon the reduction of administrative work, more incentives, standardized texts and learning aids, human support including part-time teachers, more intensified teachers training and on-the-job training, etc. The outcom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esent system of underachiever’s teaching need to be reviewed as well as standardized diagnostic evaluat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ppropriate textbooks, participation of parents, the decline of teachers’ administrative work, and various supports.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부진아 지도 실태 및 교사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교육청별로 각 10개 초등학교를 표집한 후 학교별로 학습부진아 업무 담당교사 1명과 학습부진아 지도 교사(외부강사 포함) 1명씩 총 3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업무 담당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학습부진아의 발생율은 2.42%에서 5.05%까지 나타났고, 읽기, 쓰기에 비해 수학영역의 발생 비율이 높았다. 진단평가 후 다양한 특별지도 형태로 일대일 지도가 이뤄지고 있으나, 표준화된 진단평가의 개발과 활용, 담임재량에 의한 특별지도, 여건마련과 학부모 반대, 운영경비의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지도교사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지도계획 수립 시 학부모 참여가 미흡하였다. 실제 지도에 있어 표준화된 교재의 개발과 보급, 업무 부담 및 지도시간 확보, 학부모의 무관심 등에 의해 어려움을 겪는 반면 강사료 등 인센티브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교사들은 현행 학습부진아의 지도체제와 각종 지원에 대하여 상당 부분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었으며, 업무경감 및 인센티브 제공, 표준화된 교재와 교구의 보급, 보조 강사 등의 인적 지원, 교사 훈련 및 연수의 확충 등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습부진아를 위한 지도체제의 적절성과 효율성을 제고하고, 표준화된 진단평가, 지도교재의 개발과 보급, 학부모 참여, 담당교사들의 업무 경감과 다양한 지원 등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