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v6기반의 UFID(지형지물유일식별자)통신시스템 설계

        강민구,Kang, Min-Go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논문에서는 국가 통합 지리정보시스템(GIS)용 데이터 모델과 인터넷 주소정보를 지리정보로 결합하여 인터넷상에서 원하는 위치정보를 찾을 수 있는 지형지물유일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cation)와 발생지리정보체계(GIS)를 연결하는 UFID의 개념을 무선통신에 활용하기 위한 새로운 IPv6기반의 인터넷 주소체계 구축과 관리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전국의 1,500,000여개의 건물에 대한지형지물을 표시하기 위해 IPv6의 주소관리체계는 6바이트의 코드구성으로, UFID에 의한 지형지물식별체계에서 IPv6의 128비트로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식별체계를 제안하였으며, 권역/광역/기초/건물위치/건물정보의 식별체 계법과 DNS관리방안과 UFID사용 환경을 고려한 UFID 통신시스템 설계방안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the design of URL structures and managements for UFID(Unique feature Identification) 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is presented with the combination of GIS and URL address informations. As a result of IPv6 based UFID wireless communications, new methods for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informations and UFID communication systems are proposed with a 6byte coded 128-bit IPv6 DNS system for the presentation of 1,500,000 korean buildings.

      • KCI등재

        UFID를 이용한 기본지리정보 갱신 및 지형변화율 산출 방안 연구

        김주한(Kim Ju Han),김병국(Kim Byung Guk)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6 No.1D

        정부에서 추진한 1ㆍ2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사업 중 1차 NGIS사업(1995~2000)은 지리정보의 구축에 편중되었고, 2차 NGIS사업(2001~2005)은 1차 사업의 결과물로 얻어진 지리정보의 유통ㆍ활용 방안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2차 NGlS사업의 후반기에서 1ㆍ2차 NGIS사업을 뒤돌아보면 지리정보의 갱신이라는 문제를 간과할 수 없다. 정확한 지리정보의 구축ㆍ유통ㆍ활용은 국가지리정보를 대표하는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듯이 지리정보의 신속한 갱신 또한 LBS(Location Based Services), Ubiquitous, Telematics와 같은 차세대 산업에 지리정보의 변경 사항을 신속ㆍ정확히 제공함으로서 2차적인 산업을 진행하도록 하는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1차 NGIS사업 결과 구축된 수치지도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무결점 수치지도 제작을 거쳐, NGI, NDA, NRL 3가지 파일형식으로 제공되는 기본지리정보(Framework Data)를 구축하게 되었다. 기본지리정보는 다른 지리정보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거나, 여러 지리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위치적 혹은 내용적 참조체계를 제공하는 지리정보이다. 기본지리정보는 데이터 셋, 유일식별자, 데이터 모델을 구성요소로 하고 국가적 기반자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논문은 기본지리정보의 핵심 구성요소인 지형지물 유일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의 업무를 이용하여, 지형지물 관리기관의 현업에서 관리되는 지형지물의 생성ㆍ변경ㆍ소멸에 관한 정보를 지리정보에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실용적인 기본지리정보로 갱신하는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고, 추가적으로 지형변화율을 산출하여 기본지리정보의 갱신 계획 수립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방안도 제안하였다. During the first and second NGIS projects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first one (1995~2000) was limited on construct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second (2001~2005) was focused on cir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geoinformation from the result of the first project. In the latter half of 2nd NGIS project. However, the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NGIS projects have not been renewed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geographical changes. The accurate renewal of geoinformation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the next generation industry (e.g. LBS, Ubiquitous, Telematics). In this respect, it is time to update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NGIS project. Therefore, It is not only important to build an accurate geoinformation but also rapid and correct renewal of the geoinformation.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been studying for improvement of digital map that was constructed by the result of the 1st NGIS projec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lean digital map, NGII constructed Framework Data to three kinds of formats (NGI, NDA, NRL). Framework Data was contained to other database, and provided the reference system of location or contents for combining geoinformation. Framework Data is consist of Data Set, Data Model and 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It will be achieved as national infrastructure data.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 method of the update to practical framework data with realtime geoinformation on feature's creation, modification and destruction managed by 'Feature management agency' using UFID's process. Furthermore, it suggests a method which can provide important data in order to plan the Framework update with the land change ratio.

      • KCI등재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개발을 위한 통합 공간정보식별자 개발

        송명수(Song, Myung Su),송상철(Song, Sang Cheo),장용구(Jang, Yong Gu),이성호(Lee, Sung H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적을 정의하고, 객체선별, 표준화를 통하여 UFID체계 기반의 측량분야 통합 ID 체계를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구축된 통합 ID 체계를 서울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객체 ID 체계와 비교검토를 통하여 향후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총 41자리로 구성한 UFID기반의 지적공간정보 통합 ID 체계를 개발하였으며, 개발한 통합 ID를 서울시에서 구축한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의 객체 ID와 비교 검토한 결과 객체 ID의 경우 위치정보가 제한적이며 타 기관과의 연계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통합 ID는 정확한 위치정보와 정보연계의 유연성 및 활용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study aims to secure an integrated UFID system-based ID system as it defines the three-dimensional land registration record through selection and standardization of objects. By comparing the integrated ID system secured by the study and the objected ID system proposed by Seoul City, the study came up with practicality of the integrated ID system for the three-dimensional land registration record information system. An integrated UFID-based intellectual spacial information which is consisted of 41 figures in total was developed by the study. The study confirmed the practicality of the integrated ID system by comparing it with the objected ID of the three dimensional land registration record information system established by Seoul City.

      • UFID를 이용한 객체기반 수치지도 공간 데이터 모델

        김형수,서성보,김상엽,이양구,박기석,류근호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A demand on the spatial data management has been rapidly increased with the introduction and diffusion process of ITS, Telematics, and Wireless Sensor Network. And many different users use the digital map that offers various thematic spatial data. Spatial data for digital map can be managed by tile-based and feature-based data. The existing tile-based digital map management systems have difficult problems such as data construction, history management, and update data based on a spatial objec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d the data model for feature-based digital map management system for representation of feature-based seamless map, history management, real-time update of spatial data, and analyzed the validity and utility of the proposed model. 최근 ITS, 텔레매틱스, 유비쿼터스 등의 도입으로 공간 데이터는 다양한 환경에 응용되거나 활용 분야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수치지도를 일반인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공간 데이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기존의 수치지도 관리 시스템은 도엽이라는 일정한 단위로 구분하여 공간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구축은 용이하지만 객체 단위의 데이터 구축, 관리 및 갱신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객체기반의 연속적인 지형지물 표현, 공간 데이터의 객체별 이력관리 및 수시갱신이 가능한 객체기반의 데이터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 모델에서 객체기반 공간 데이터는 각 지형지물에 UFID를 부여하고 도엽 단위로 구축된 수치지도 데이터의 조인 연산을 통해 연속적인 지형지물을 표현하였다. 아울러 갱신으로 인한 변경 데이터를 이력 DB에 시간간격 단위로 저장, 관리하였으며, 제안된 모델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객체 기반의 기본지리정보 갱신시스템 개발

        이진수 ( Jin Soo Lee ),최윤수 ( Yun Soo Choi ),서창완 ( Chang Wan Seo ),전창동 ( Chang Dong Jeon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1 No.1

        우리나라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제1단계 기본지리정보 구축사업은 권역별 수정주기가 5년인 1/5,000 수치지도를 사용하여 권역별 최신성이 결여 되었으며, 이는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활용에 저해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본지리정보의 효율적인 갱신을 위하여 위치기반의 객체 기반의 데이터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위치 기반 지형지물 식별자(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를 이용한 객체 기반의 데이터모델과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고, 둘째, UML(Unified Modeling Language)을 적용하여 위치 기반의 UFID 생성, 입·출력, 공간 및 속성 편집, 객체 기반의 데이터처리를 하는 갱신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셋째,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시스템을 적용하여 품질검수에서 정확도 99%의 우수한 양질의 데이터를 생산하였고, 기존 방법보다 35%의 인건비 절감 효과가 있음을 도출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사용자 요구에 만족하는 최신의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여 민간 GIS 및 생활 GIS의 활용극대화를 창출하고, 국가 기본지리정보의 유지관리와 GIS 시장의 활성화 촉진에 기여할 것이며, 또한 객체 기반의 데이터 관리로 지형지물 변화 모델링과 지형지물 모니터링 방법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1st phase framework data implementation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NGIS) used 1:5,000 digital map with 5 years updating period which is lacking in the latest information. This is a significant factor which hinders the use of framework data. This study proposed the efficient technical method of a location based object data management and system implementation for updating framework data. First, we did an object-oriented data modeling and database design using a location based features identifier(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The second, we developed the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a location based UFID creation, input and output, a spatial and attribute data editing, an object based data processing using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Finally, we applied the system to the study area and got high quality data of 99% accuracy and 35% benefit effect of personnel expenses compare to the previous method. We expect that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national framework data as well as the revitalization of various GIS markets by providing user the latest framework data and that we can develop the methods of a feature-change modeling and monitoring using an object based data management.

      • KCI등재

        유일식별자 부여를 위한 건물객체의 효율적인 중첩방안 연구

        문용현(Moon Yong Hyun),박기석(Park Ki Surk),최석근(Choi Seok Ke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2

        1995년 이후 국가지리정보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전국적으로 구축되었던 공간정보시스템의 통합과 연계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공간정보연계와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기준이 모호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축기관마다 공간정보에 대한 식별 ID가 상이하게 구축되어 있어 연계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표준의 공간정보참조체계를 기반으로 하는 UFID를 부여하기 위해 공간정보객체의 중첩방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중첩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After 1995, as a part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 there are a lot of researches about combinations and connections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owever, systematic standard for combinations and connec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is uncertain, and each organization has different identification system which leads to difficulties in connec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is study suggests repeating method about geographic information objects to grant UFID based on national standard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nalyzes the repeating rate.

      • KCI등재

        지하공간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송명수(Myungsoo Song),이성호(Sungho Lee)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6

        최근 들어 지상에서의 건설사업은 녹지공간 조성, 개발공간 부족, 토지보상비 증가 등의 문제로 지상에서 지하공간의 개발로 변화되고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과 함께 지하공간의 지적소유권 관리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3차원 지형도, 해도, 지적도는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정보의 파악(3차원 위치, 속성 등)도 가능해야 한다. 기존의 공간정보객체등록체계는 자동 ID 체계로 구현되고 있어 상호 연계성 및 정보파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하공간의 3차원 입체지적 객체정보의 ID 체계는 객체유일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cation) 기반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객체유일식별자를 공통 연계 ID로 하여 지상, 지표, 지하를 구분코드와 함께 지하공간정보의 심도정보를 포함한 객체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공간정보 통합 ID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을 구성하는 지하공간정보를 정의 및 분류하고, 3차원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지적정보 DB 구축을 위하여 측량?지적정보의 상호 연계성을 고려한 객체유일식별자 기반의 통합 ID 체계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 ID 체계를 기반으로 한 지하공간 지적정보 DB 구축 및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성과는 향후 국토공간정보의 상호?연계성을 고려한 국가 차원의 3차원 입체지적 표준 ID 체계, DB 구축, 시스템 개발의 핵심 기반자료의 역할을 할 것이다. Recently, Construction business is changing from on the ground to underground space because of deficit of developing space, creation of green space and of incremental of land compensation expenses. Meanwhile, 3D Topographic, Marine and Cadastral maps need to have Spatial Interrelation. Also,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is also needed. Spatial information object registration system is impossible to contact and understanding intelligence mutually because the former one is managed as automatic ID system. Therefore, 3D Object information ID System of underground space is managed based on Object Identifier.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tegration ID System is required and it will offer Division Code (Ground, Index, Underground) and depth information. We are defined and classified Under Spatial Information in this paper. Moreover, we developed the integration ID System based on UFID for cadastral information Construction. We supposed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Construction and a developed the way of exploiting 3D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 will be the base data of Standard ID system, DB Construction and system Development of National spatial data which is considered together with spatial inte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