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스포츠 팬덤의 인지 부조화 과정과 해소에 대한 연구 - LCK T1을 중심으로 -

        최규원,유승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6

        As the social influence of e-sports fandom increases, the analysis of its characteristics and aspects is steadily progressing. In a competitive e-sports game, the outcome of the match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e-sports fans. Because it affect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eam. They mainly encounter win/lose information and share emotions and opinions through online communities. In particular, when faced with information about defeat, fans use social media as a means to resolve dissonance such as anxiety and discomfort. The ripple effect of reactions to the cognitive dissonance of fans on social media can aff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fando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gnitive dissonance of e-sports fans in the community and the process of resolving it through social media participation observation. To this end, Facebook, a social media online community space, was selected where e-sports fans can easily access posts about game results and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For the study, the fandom of T1, which has been active for the longest time in the LCK, the largest e-sports league in Korea, was chosen as the research subject. In this study, the cognitive dissonance theory and the dissonance reduction strategy after decision-making were applied to understand the cognitive dissonance process of e-sports fans and the specific dissonance resolution method. In addition, in order to analyze how the ways of resolving dissonance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eam identification, the team identification was divided from the perspective of behavioral involvement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dissonance resolution. According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gnitive dissonance process and resolution types of e-sports fandom, focused on LCK, are as follows. First, after selecting the team to support, that is, in the process of team selection decision, ① the type of changing one’s cognition and ② the type of interpreting the situation of a losing game and expecting future changes were mainly shown. On the other hand, the types who changed their chosen team or refused to be part of a team were quite rare. In the process of deciding to watch the game,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type of game viewing cancellation, but this type was also found to be very few. Second, there was a type of dissonance resolution that ignored other opinions in the process of group communication (social disagreement). Third, fans with a high team identification did not easily change their cheering and supporting attitude toward the team even if they experienced cognitive dissonance when they encountered the game result of defeat. This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oncepts of CORFing and BIRFing. Fans with the high team identification are less likely to engage in CORFing to resolve dissonance by escaping from negative outcomes such as team defea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trying to reduce dissonance through BIRFing, which means continuing support for the team even if the team loses. Therefore, they resolved the cognitive dissonance while maintaining a cheering attitude by finding new strengths of the team they supported or emphasizing the existing strengths. In other words, dissonance was resolved in the form of changing one’s cognition or reinforcing the existing attitude. Fans with a low team identification partially resolved the dissonance by moving their favorite team or giving up watching the gam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experience of cognitive dissonance that occurs within the e-sports fandom through social media and strategic methods to resolve it.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e-sports fans reduce dissonance in game outcomes in a manner similar to that predicted by studies on professional sports, team identification, and cognitive dissonance.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hich analyzed the type of dissonance resolu... e스포츠 팬덤의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그 특성 및 양상에 대한 분석은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경쟁 구도로 진행되는 e스포츠 경기에서 경기의 결과는 팀의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e스포츠 팬들에게 중요한 정보이다. 이들은 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승패 정보를 접하고 감정과 의견을 공유하는데, 특히 패배라는 정보를 접했을 때 팬은 불안감과 불편함 같은 부조화를 해소하려는 수단으로서 소셜미디어를 이용한다. 이러한 소셜미디어에서 나타나는 팬들의 인지부조화에 대한 반응의 파급 양식은 팬덤의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소셜미디어 참여관찰을 통해 커뮤니티에서 나타나는 e스포츠 팬의 인지 부조화와 그 해소 과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e스포츠 팬이 경기 결과에 대한게시글을 쉽게 접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공간인 페이스북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e스포츠 리그인 LCK에서 가장 오랫동안 활동해 온 T1 팀의 팬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e스포츠 팬의 인지 부조화 과정과 구체적인 부조화 해소 방식에대해 파악하기 위해 인지 부조화 이론과 의사결정 후 부조화 감소 전략을 적용하였다. 또한, 팀 정체성에 따라 부조화를 해소하는 방식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분석하기 위해 행동 참여의 관점에서 팀 정체성을 구분하여 부조화 해소 유형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LCK를 중심으로 살펴본 e스포츠 팬덤의인지 부조화 과정과 해소 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원하고자하는 팀을 선택한 이후, 즉, 팀 선택 결정 과정에서는 ① 자신의 인지를 변경하는 유형과 ② 패배한 경기를 재해석하고 변화를 기대하는 유형이 주로 나타났다. 반면, 선택한 팀을 바꾸거나 팀에 속해 있기를 거부하는 유형은 상당히 드물었다. 경기 시청 결정 과정에서는 경기 시청 취소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 유형 또한 극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집단 소통 과정(사회적 의견 불일치)에서 다른 의견을 무시하는 부조화 해소 유형이 있었다. 셋째, 팀 정체성이 높은 팬은 패배라는 경기 결과를 접했을 때, 인지 부조화를 경험해도 쉽게 팀에 대한 응원과 지지의 태도를바꾸지 않았다. 이는 CORFing과 BIRFing의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팀 정체성이 높은 팬은 팀의 패배와 같은 부정적인 결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부조화를 해소하려는 CORFing을 행할 가능성은 낮다. 반면, 팀이 패배해도 팀에 대한 지지를 지속하는 것을 의미하는 BIRFing을 통해 부조화를 감소시키고자 할 가능성은 높다. 따라서 그들은 자신이 응원하는 팀의 장점을 새롭게 찾거나 기존의 장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응원하는 태도를 유지하면서 인지부조화를 해소했다. 즉, 자신의 인지를 바꾸거나 기존의 태도를 강화하는 형태로 부조화를 해소했다. 반면, 팀 정체성이낮은 팬은 부분적으로 응원하는 팀을 옮기거나 경기 시청을 포기하는 방식으로 부조화를 해소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e스포츠 팬덤 내부에서 나타나는 인지 부조화 경험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e스포츠 팬이 경기 결과에 있어서는 프로스포츠와 팀 정체성, 인지 부조화에 관한 연구에서 예측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부조화를 감소시킨 ...

      • KCI등재

        팀스포츠 활동에서 갈등의 전개 과정에 대한 교육적 의미

        배상석,김동환,이병준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students’ conflict during team sport activities at a physical education class, to fing its educational meaning, and to understand the causes and types of students’ conflicts based on the results to use them as basic data in instructional design. Methods: 319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a team sports activity in middle school in Gyeongsangnam-do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The team sports experience questionnair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s, such as open coding, category generation, and topic extraction. Results: First, 91% of the students in the team sports activity experienced conflict. This shows that students are very concerned about team sports activities. Second, the causes and types of conflicts in team sport activities varied, but more conflicts occurred between teammates than against other team. So “I disagree with my friends when making team tasks” were the most replied case. Third, when the students had a conflict during team sports activities, they mostly solved the conflict by conversation. This is interpreted that students are trying to resolve the conflicts in a positive way. Fourth, it was revealed that the students’ actions to solve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m activities. This shows that there is meaning to look at conflicts positively and use it educationally. Fifth, the most cases of the problem of team sport activities were “opinions (ideas) differ.” Sixth, what students learned the most through team sport activities were teamwork and cooperation. Seventh, students thought consideration, understanding, and concession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s to learn through team sport activities. Conclusion: This results mean that they learn teamwork and cooperation through team sports activities, but they think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eam sports are consideration, understanding, and conc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manuscript discussed the process of students’ conflict during team sports and its meaning of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 수업 팀스포츠 활동에서 학생들이 갈등을 전개하는 과정과 이의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갈등 원인과 유형을 파악하여 더 나은 팀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수업을설계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팀스포츠 활동 경험이 있는 31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팀스포츠 경험 질문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귀납적 내용분석 방법을 실시하여 개방코딩, 범주 생성, 주제 추출의 단계를 거쳤다. 그 결과 첫째, 팀스포츠 활동에서 91%의 학생은 갈등을 경험하였다고 나타났다. 이는 팀스포츠 활동에서 학생들은상당한 걱정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팀 스포츠 활동에서 갈등의 원인과 유형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나팀 간 갈등보다 팀 내에서 갈등이 더 많이 생성되었으며, ‘팀 과제를 만들 때 친구와 의견이 안맞다’는 사례가가장 많았다. 셋째, 팀스포츠 활동 중 학생들이 갈등상황에 대처한 행동은 대화로 해결하는 것이 가장 많았다. 이는 갈등상황에서 학생들이 긍정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하려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팀스포츠 활동 중학생들이 갈등상황에 대처한 행동은 팀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갈등들을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교육적으로 활용할 의미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다섯째, 팀스포츠 활동이 갖고있는 문제점으로는 ‘서로 간의 의견(생각)이 안맞다’가 많은 사례수를 나타냈다. 여섯째, 학생들이 팀스포츠 활동을 통해 배우는 것으로 팀워크,협동심을 가장 많이 배운다고 나타났다. 일곱째, 더 좋은 팀스포츠 활동을 위해 팀원들이 배워야 할 것으로는 배려심, 이해심, 양보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팀스포츠를 통해 팀워크와협동심을 배우지만 팀스포츠에서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배려심, 이해심, 양보라는 것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이 팀스포츠 활동에서 갈등의 전개 과정과 교육적 의미에 관하여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대학의 엘리트 스포츠팀 운영에 따른 재학생들의 학교 인식 및 동일시 차이 연구

        채수원 한국체육과학회 2022 한국체육과학회지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ports teams currently operated by universities and the effects of them on the selection of colleges and the sense of belonging of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0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Seoul who run elite sports teams. The main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340 students(85.0%) knew whether their colleges run sports teams or not, and 60 students(15.0%) did not know the operation.,129 students (32.3%) watched the games between the college sports teams and 271 students (67.8%) who had never watched them. The positive reason for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 was that 111 people (27.8%) were the most likely to form a sense of belonging due to the sports team, and 154 people (38.5%) were the most likely to affect the selection (admission) of the school due to the university sports tea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sports team, the identification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the sports team, the recognition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watching the sports team,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watching the sports team.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 has affected the percep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university sports team. Schools that run college sports teams are judged to have a sense of unity among students and to instill a sense of affection and pride in the school through their alma mater sports team.

      • KCI등재

        프로 스포츠팀 연고와 스타 플레이어가 기업신뢰 및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김유경(Kim, Yu-Kyung),김홍중(Kim, Hong-Jung),박종철(Park, Jongchul) 한국상품학회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4

        Through the connection with sport team’s players by means of the school ties, regionalism and blood ties, the general public become to have a primary concern about professional sports. The sports team’s players as the mechanism which can ensure the regular consumers and reduce the risk in marketing are utilized. Thus the flexible application of the sports stars is indispensable to enterprise, and the specific stars’ present will affect the number of the audience and the program rating. This thesis is to study how the attribute of professional sports team-sports players and nepotism affect team attraction and team similarity, and how the team attraction and the team similarity affect on the corporate trust and product evaluation. In this study the total of 265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utilizing the LISREL 8.30 and SPSS 15.0 statistic program, and verified the hypotheses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orts players as the one of the attributes of a professional sports team have an positive effect on the team attraction. Second, nepotism which is one of the attributes of a professional sports team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m similarity. Third, the team attraction and the team similarity positively influence on the corporate trust. Finally, there is an analysis result that corporate trust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product evaluation. 본 연구는 프로 스포츠팀 속성인 스타 플레이어와 연고가 스폰서 기업에 대한 신뢰형성과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팀 매력성과 팀 유사성의 심리적 기제를 살펴보고 있다. 분석결과, 프로 스포츠팀 속성인 스타 플레이어는 팀 매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프로 스포츠팀 속성인 연고는 팀 유사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팀 매력성과 팀 유사성은 스폰서 기업에 대한 신뢰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신뢰는 제품평가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프로 스포츠 팀 속성인 스타 플레이어는 팀 매력성을 형성하고, 팀 연고는 팀 유사성을 형성하여 스폰서 기업에 대한 신뢰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스포츠 팀닥터의 의료법상의 문제

        전세영,범경철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22 스포츠와 법 Vol.25 No.2

        In performing players’ ability potentially for sports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get management and supervision from medical staff, often called trainers or team doctors, with high medical expertise and experience besides the role of team leaders such as managers and coaches. In actual practices of the Korean sports society, however, medical staffs in sports teams are called 'team doctors' indiscriminately and repeatedly. There are no provisions for the definition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eam doctors and there is no sufficient research or discussion. Accordingly, unqualified team doctors conduct medical activities occasionally or commit illegal activities and even in the process of working as a team doctor by a qualified medical practitioner, there is a lot of possibilities to violate the current Medical Service Act. In this paper, I describe the definition, qualification requirements, and operation examples of sports team doctors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I extract the concept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he sports team doctors from articles, rules, regulations, and contracts of the Korean sports society and professional teams in Korea. Through such a review, I try to find important points which can be referred to in determining the definition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of team doctors in sports teams. I also insist that it is necessary to solve various legal problems under the harmonization of distinctiveness and expertise of sports activities by introducing possible issues during the appl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Medical Service Act.

      • KCI등재

        프로스포츠 팀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구단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박창범(Park Chang-Beom) 한국체육과학회 201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a sports team's image can be influence by their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male students and 141 female students randomly from 3 universities in W city.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orts team's social responsibilities on college students' sex(p<.001).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team image(p<.01, p<.001). That is, the male students were better know than the female student about sports team's social activities and sports itself. 2.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orts team'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eam's image on college students' grade(p<.01).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are better understand that other grade students. 3.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ports team'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eam's image on college students' sports participation or not. Sports participation students over 3 times a week are highly understand(p<.05, p<.01). 4.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sports team's social responsibilities and their team's image in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프로스포츠구단의 SNS마케팅이 구단신뢰, 구단동일시, 관람의도, 머천다이징 구매에 미치는 영향

        류민아,정경회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스포츠구단의 SNS마케팅이 스포츠팬의 구단신뢰, 구단동일시, 관람의도, 머천다이징 구 매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프로스포츠구단의 지속적인 발전과 활성화, 그리고 온라 인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프로스포츠구단의 SNS정보를 받아보고 있는 스포츠팬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온라인 설문지를 온라인 메시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552개의 설문지를 배포한 후, 신뢰성이 결여된 47부의 설문자료는 제외하고 최종 505부를 자료 처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모형의 구조적 관계 검증을 위해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프로스포츠구단의 SNS마케팅은 구단신뢰, 구단동 일시, 관람의도, 머천다이징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스포츠구단의 구단신뢰와 구단 동일시는 스포츠팬의 관람의도와 머천다이징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identify the impact of SNS marketing of professional sports teams on the team trust, team identification, spectatorship intention, and merchandising purchase. Based on this,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professional sports teams and the establishment of online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subjects were selected for sports fans who were receiving SNS information from professional sports teams, and onlin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through online messages. After distributing a total of 552 questionnaires, the final 505 were processed, except for 47 questionnaires that lacked reliability.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for technical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n addition,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research model, we conducted a definitive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AMOS 18.0.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first, SNS marketing by professional sports team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team trust, team identification, spectatorship intention, and merchandising purchase. Second, professional sports teams' team trust and team identific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sports fans' spectatorship intention and merchandising purchase.

      • KCI등재

        프로스포츠 선수의 학교폭력 사건이 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위기 대응 전략과 팀충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형일,구태연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fessional sports player’s school violence on the team imag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risis response strategy and team loyalty in this causal relationship.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volleyball fans for 3 days from October 18, 2021. Total of 849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SPSS 26.0 program,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cident of school violence by professional sports player negatively influenced team imag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effect of the incident of school violence by professional sports player on the team image was stronger when defensive strategy was employed than an accommodative strateg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eam loyal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effect of the incident of school violence by professional sports players on the team image and the team’s crisis response strategy. The study was able to provide strategic guideline for domestic professional sport teams when it pertains to school violence incident. Particularly teams need to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the incident of school violence in that even fans with high level of loyalty can negatively respond to athletes’ involvement in school violence. 본 연구는 프로스포츠 선수의 학교폭력 사건이 소속 구단의 팀이미지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구단의 위기 대응 전략과 스포츠팬의 팀충성도가 갖는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1년 10월 18일부터 3일간 남녀 프로배구 팬을 대상으로 온라인 서베이를 실시하여 총 849부의 유효 표본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스포츠 선수의 학교폭력 사건은 소속 구단의 팀이미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스포츠 선수의 학교폭력 사건이 팀이미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구단이 수용적 전략을 사용할 때보다 방어적 전략을 사용할 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스포츠 선수의 학교폭력 사건이 팀이미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과 구단의 위기 대응 전략 간의 관계에서 팀충성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국내 프로스포츠 구단이 처한 환경에 효과적인 위기 대응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구단이 위기 상황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프로스포츠 구단들은 높은 수준의 충성도를 가진 팬들조차도 선수들의 학교폭력과 관련된 부분을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정확하게 인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프로스포츠구단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팬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온라인플랫폼을 활용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강윤남,황인선 한국스포츠학회 2023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ports team CSR activities, team image, team trust, and team loyalty, with a focus on the MZ generation who utilize online platform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targeting individuals in their fans who regularly attend sports events, and a total of 202 responses were analyzed. The survey period was from April to May 2021, and was conducted targeting spectators of professional soccer and professional baseball teams. SPSS 22.0 and AMOS 22.0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pro-sports team CSR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m image. Second, pro-sports team CSR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m trust. Third, team im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m trust. Fourth, team imag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m loyalty. Finally, team trus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m loyalty. 이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프로스포츠구단 CSR활동과 구단이미지, 구단신뢰, 구단충성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프로스포츠경기를 주기적으로 관람하는 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총 202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1년 4월부터 5월까지이며, 프로축구 및 프로야구 구단 관중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SPSS 22.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프로스포츠구단 CSR활동은 구단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스포츠구단 CSR활동은 구단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단이미지는 구단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단이미지는 구단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구단신뢰는 구단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여자농구팀 내의 커뮤니케이션과 스포츠자신감 및 팀 효과성의 관계

        백지은,하숙례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여자농구팀내의 커뮤니케이션과 스포츠자신감 및 팀 효과성의 관계를 규명하여 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성을 인식시키고 여자농구팀 내의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팀의 가치추구와 자신감, 그리고 팀에 대한 효율적인 마인드와 우수한 경기력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자농구선수 172명을 유효한 표본으로 선택, 확정하 고 빈도, 요인, 상관관계분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맞게 실증분석을 시행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자농구팀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포츠자신감 하위변인 중 능력검증을 제외 한 신체적・정신적 준비, 코치의 지도력, 사회적인 지지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농구팀 내의 커뮤니케이션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팀 효과성 하위변인 중 팀 몰입을 제외한 팀 성 과와 팀 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자농구팀 내의 스포츠자신감이 팀 효과성 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스포츠자신감의 하위변인(능력의 입증, 신체적・정신적 준비, 코치의 지도력, 사회적인 지지)에 따라 팀 효과성의 모든 하위변인(팀 성과성, 팀 만족성, 팀 몰입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s, sports self-confidence and team effectiveness in women’s basketball teams. The 172 women basketball players effective sampl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verification, membe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search questions to conduct a research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communication in the women's basketball team showed that in the sports confidence ability to exercise confidence in the physical and mental readiness, the coaches, the and the social support of the sport themselve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support. Second, team effectiveness in the team's basketball team has been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am performance and team satisfaction, except team effectiveness. Third, sports confidence in the team's basketball team showed that the impact of team effectiveness lower variables in all team.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