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 인식 조사

        노영희,오의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2 No.2

        This study is a broad examination researchon LIS students’ perception about public library’s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Students majoring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s respondents, it examined the recognition level of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cognition level of necessity, competencies of subject special librarians and students and opinions on special status system of subject psecial librarians. Main factors shown in the results include the the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subject special services and subject special librarian, students’ willingness to work as a subject special librarian, the willingness to put additional effort into equip themselves with competencies as subject special librarians. There were respondents who have equipped competencies as subject special librarians through courses provided by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school curriculum but have not done anything further.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re is a need to systematize special status system of subject special librarian and that subject specialty is important in implementing subject special services but that there is a lack of subject special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put more emphasis on developing curriculum that can help overcoming difficulties faced by students majoring in Information Sciecne and help them become competent subject special librarians.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의 인식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 연구이다. 전국의 문헌정보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인지 수준, 필요성 인식 수준, 주제전문사서의 역량과 현재 학생들의 역량, 주제전문사서의 자격제도 등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주제전문서비스와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수준, 주제전문사서로 일하고자 하는 의사, 주제전문사서 역량을 구비하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기울인 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전문사서의 역량은 학사제도와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을 통해서 구비하고 있지만 아무것도 하지 않는 응답자 비율도 높았다. 주제전문사서 자격제도화 필요성이 있다고 하였고, 주제전문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주제전문성이 가장 중요한데, 현재 학생들은 스스로 주제전문성 부분이 가장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재학생들의 현재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유능한 주제전문사서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방안 개발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현황 및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이미숙 ( Mi Suk Lee ),송기호 ( Gi Ho So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1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2 No.3

        본 연구는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현황과 도서관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특수학교에서 도서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질적 면담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학교 도서관의 운영 현황으로, 도서관 운영시간, 도서관 이용 대상, 도서 선정 방법, 도서관 보조인력, 도서관의 대출·반납 방식, 도서관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 제시하였다. 둘째,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의 특징으로, 소수 학생들의 도서관 이용, 학교 관리자의 도서관에 대한 낮은 인식, 도서관 사용의 다른 용도, 도서관의 상근자 부재를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활성화방안으로, 교사들의 수업지원, 도서관의 인력지원, 도서관의 환경개선 지원, 도서관 운영 연수지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and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on the management of the libraries. The study included 6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charge of the school library, and they participated on the qualitative interview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findings were about the current management status of the library in special schools including the operating hours of the library, the users of the library, the ways to select books to be purchased, the assistants of the library, the ways to check out and to return books, and the library programs. Second, the findings were about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including the small number of students using library, the perception of the administrator on the library, the library used as different purposes, too much workload due to the absence of assistants. Third, the teachers suggested the ways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the library, for example, the support for teaching classes, the support of the library personnel, the support for the change of the library environment, and the support of the in-service training for the library management.

      • KCI등재

        특화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기반 활성화 방안 연구

        노영희,신영지,곽우정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overall satisfact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o compar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ecialized subject data, specialized service places, specialization programs, specialized subject area facilities and environment based on ISA technique in order to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a specialized library subject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history, and resources of the library location as well as based on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and users. Second, based on the appropriate program type of specialized subject and the results from users’ demand surveys,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develop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type, lecture-type, view-type and the likes. Third, specialized library space types can be divided into integrated type, independent-in-integration type, and independent type. Even though it is most ideal to provide independently specialized space, the space must be constructed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and subject of specialization of each library. Four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have at least one dedicated specialist in the corresponding subject. Dedicated specialists should provide lending and reference services related to the specialization such as tidying, browsing, reading and operating specialized programs. And a dedicated specialist must be an expert in the specialized subject and also a librarian who is responsible of the general library operation.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특화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주제 선정은 해당 도서관 지역의 특징, 역사, 자원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뿐 만 아니라 지역 주민 및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 주제 분야에 적합한 프로그램 유형과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 공간은 일체형, 일체 속 분리형, 분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분리형으로 독립적인 특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각 도서관의 상황 및 특화 주제의 특징을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특화도서관은 해당 주제 분야의 전문가를 최소한 1명 정도는 특화 전담인력으로 배치해야 한다. 전담 인력은 특화공간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수서, 정리, 열람과 관련된 업무, 특화관련 프로그램 운영, 특화 관련 대출 및 참고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특화주제분야의 전문가이면서도 도서관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사서여야 한다.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에 대한 학교 도서관 담당교사의 경험과 인식

        손지영,박현옥,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에 대한 학교 도서관 담당 교사의 운영 사례와 경험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학교 도서관 운영을 위한 지원 요구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학교 도서관 운영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5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도서관 운영 사례, (2) 지적장애학생 대상 학교 도서관 운영의 어려움, (3) 도서관 이용 활성화 및 학교 도서관 운영 관련 지원 요구라는 3개의 주제 하에 1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각 주제를 토대로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지적장애학생들을 위한 학교 도서관 운영 방안과 시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n the school library service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total of fiv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a focus group interview for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experienced in providing a school library related service to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re currently working in libraries of special schools. They were asked to describe their experiences and insights on practical management of special school library services for their students. After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themes and sub themes. The three major themes were (1) service cases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2) difficulties in managing school libraries, and (3) needs for library services and support of managing school libraries.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ed library services and methods of suppor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류명옥 ( Myung Ok Ryu ),이미숙 ( Mi Suk Lee ),노진아 ( Ji N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의 운영 실태와 운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49개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에서 도서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자 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 실태와 특수학교 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담당자는 사서교사 자격증이 없는 특수교육 전공 교사가 교과 수업을 하면서 하나의 업무로서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실정이었으며, 도서관 담당 경력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운영시간은 평균 5시간 이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반수 이상의 학교도서관이 학교정보화 시스템의 구축과 도서관 이용에 대한 교육, 교과와 연계한 도서관 활용 수업 운영, 도서관 행사 프로그램 운영, 자료 대출 서비스를 운영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반한 정신지체학생 중심 특수학교 도서관의 활성화 전략으로, 사서교사의 확보, 정신지체학생을 위한 도서관 편의시설 개선, 다양한 장서의 확충, 학교구성원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 개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status and activation ways of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tudy included 49 people in charge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for the survey of the study. The survey consisted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and the activation ways of the libraries. In results, the people in charge of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are mostl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out the licence of the teacher librarian, and most of them had less than a year experience. The open hours of the library was over 5 hours a day, and majority of the libraries operated the school information system, education for the library utility, subject class related to library utility, library event program, and the lending service. As the activation ways for the special school librar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placement of teacher librarian, improvement of amenitie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expansion of the diverse books, and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special school libraries.

      • KCI등재

        전공특성에 따른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이용태도 및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장아리(Chang, Ari),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s in need of major modification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needs of various major. Th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will be able to support university library users who are inclined to use the general reading room. Therefore, the study presents spatial planning for the average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by taking into account student majors. This could be a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future. The summary of results for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 are as follow: 1)Natur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should be, partially connected with the humanities/social scienc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order to provide an open-concept reference room. In the shared area connecting the two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needs to be installed a staff counter and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ervice booth for users of both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2)For humanities/soci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partially connect with the natur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the connecting area between the two rooms, plan an open-concept lounge for resting and reading. 3)It is best to plan subject specialization room for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s separate from the subject specification room of other majors. Structurally separate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from the building or plan a separate room in an art/music/physical education building. Users of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a spatially separated and specialized library structure, which proves that an art/music/physical education library need to be planed based on the specialized library structure found in law school libraries or medical school libraries. Plan the center of the room with open-concept based reading room. Use wall-sides, partitions, or shelves to create reading space separate from the shelving area.

      • 전문도서관의 공간 구성에 적용된 서비스스케이프 요소

        허정민(Heo, Jeong-Min),한혜련(Han, Hae-Ryon)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Escaping from the concept of keeping and storing information data, libraries are changing into services and experiences to all users. Also, with the rise of the need for customized libraries responding to target-specific user needs, the demand for special librarie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s is increasing. Accordingly, in order to express the promotion and brand identity as part of the marketing strategy, a company is opening its corporate special libraries by selecting a theme associated with the company. A physical environment appearing in the space where services occur is called servicescape and acts as an important factor determining a service environment applied in space. Thu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rvicescape elements applied in space configuration of a special library.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references, special libraries and servicescape are theoretically examined and the feasibility of correlation is presented and a checklist suitable for the case space is created. The checklist obtains the average value of the user` awareness of servicescape elements applied to space configuration of special libraries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by question answered on a case-by-case basis by using a 5-point scale and analyze a higher score as higher awarenes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servicescape elements applied to space configuration of special libraries are as follows. If each element applied as measurement items in outer space and inner space of the library is suitable and awareness of the functional elements, design elements is higher, it can be analyzed to provide a service environment satisfying both users and service providers.

      • KCI등재

        도서관 특화에 대한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비교 연구

        노영희,신영지,곽우정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1

        In this study, development directions for smooth introduction of transferring non-specialized libraries to specialized librar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on non-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and user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mparative requirements for specializing libraries, specialization topics, demand for spaces and programs for specialization and view of important factors of each area when operating specialized libraries in future. As a result, first, when introducing a specialized library, it is necessary to derive a specialized topic that can identify and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status of existing library. And a demand analysis. Based on this, the subject should be selected through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Second, from the stand point of targeted subjects of specialized serv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ailored services by understanding the service range for each age group based on local population distribution and library user analysis. Third, experience-type, lecture-type and view-type can be suggested for specialized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ized subject field. It is ideal to operate combination of the three based on the subject filed detail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e types of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for specialized spaces. Finally, in order to systematically operate and promote specialized libraries, allocating dedicated personnel, linking with other institutions and strategies of promotion and marketing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요구사항 비교분석,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수요조사, 향후 특화도서관 운영 시 영역별 중요도 인식 등의 조사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도입 시, 지역의 특성과 현 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특화 주제를 도출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서비스 대상의 경우 지역 인구 분포와 도서관 이용자 분석을 기반으로 연령별 서비스 범위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특화 프로그램은 특화 주제 분야의 특징을 고려하여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세부 주제분야별로 혼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화 공간의 경우 주제의 특징과 프로그램 유형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화도서관 운영 시 체계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 특화 전담 인력 배치, 타 기관과의 연계, 홍보 및 마케팅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특화 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장서이 ( Seoee Chang ),김용선 ( Yongsun Kim ),김억 ( Uk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생활방식의 다양화에 따른 여가 증대 등 사람들의 생활양식 변화로 인해 도서관의 다양한 역할과 노력을 더 필요로 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도서관은 이용자들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문화관광부(현 문화체육관광부)에 의해 특화 도서관 사업이 나타났다. 그러나 지속적인 지원이 부족하고 후속적 사업으로 연결이 되지 않아 2002년 특화 도서관 사업이 중단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도서관들은 특화 주제를 지정하여 특화 도서관으로써 활발히 운영하고 있으나 관련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특화 도서관을 사례중심으로 공간을 분석하여 향후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특화 도서관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들을 살펴본 다음 사례 중심으로 분석 연구가 이루어진다. 첫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특화 도서관의 공간 구성 요소를 구축하여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구성 요소를 분석한다. 두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면적에 따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해 특화 도서관 내 일반 자료실의 면적 비와 특화 공간의 면적 비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세 번째, 분석 대상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와 특화 공간의 형태를 도식화하여 그 특성을 분석한다. (결과)특화 공간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의 특화 공간은 도서/열람 공간을 운영하였으며, 2002년 이후 특화 공간은 도서/열람을 바탕으로 전시/공연과 체험의 성격을 갖는 공간을 운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화 공간의 면적에 따른 중요도를 알아보기 위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과 이후 특화 공간은 일반자료실의 약 1/6 면적으로 과거와 비교하였을 때 제자리 상태로 중요도 또한 예전 그대로임을 알 수 있었다.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와 특화 공간의 형태 분석을 통해 2002년 이전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는 일체형이 4개관, 분리형이 1개관이며, 특화 공간 형태는 분리형이 4개관, 일체 속 분리형이 1개관이다. 2002년 이후 특화 공간의 건물 형태는 5개관 모두가 일체형이었으며, 특화 공간 형태는 일체형이 4개관, 분리형이 4개관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특화 도서관이 다양한 특화 주제를 지정하여 개관하며 활발히 운영 중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특화 도서관은 아직 많이 미흡한 상황이며, 그에 따라 특화 도서관에 관한 연구의 지속화가 진행되어 더욱 발전에 도모해야 한다. 따라서 특화 도서관의 정책 및 서비스 연구뿐만 아니라 특화 공간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Due to the changes of people``s lifestyles such as leisure increase followed by the variety of lifestyles, different roles and efforts of libraries are more required. Accordingl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now,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d progressed a specialized library project from 1998 to 2000 in order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s well as high-quality services for library users. However, since there were no sufficient consistent support and succeeding projects, the specialized library project was suspended in 2002. Nevertheless, libraries have been operating so far as specialized libraries by designating specialized topics but related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space with a focus on specialized libraries and building basic data for the future research. (Method)This study examines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and proceeds with analysis focusing on following cases. First, in order to review the character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the space components of the specialized libraries are constructed and the components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are analyzed. Secondly, to examine th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specialized space to be analyzed, the proportion of area of general reference room in specialized libraries, and the proportion of specialized space are compared and analyzed. Third, the building types of the specialized space of the analysis target and specialized space types are schematize to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Through the analys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specialized space, it was found that specialized space before 2002 was operated for book/reading space, and specialized space has been operated for the space with the characters of exhibition/performance and experience based on book/reading since 2002.When the comparison of specialized space before and after 2000 was performed with around one-sixth area of the general reference room through the analysis to review the importance according to the area of space, it has been in a standstill and the importance also did not change. The analysis of the form of the buildings and the forms of specialized space reveals that the building forms of specialized space before 2002 were 4 unified buildings, and 1 separate building, and especially, there are 4 separate spaces and 1 separate space within unified building for the form of specialized space. After 2002, the building for of specialized space had been unified form for the 5 buildings, and the form of specialized space is 4 unified spaces, and 4 separate space. (Conclusions)It was concluded by this study that specialized libraries open by designating specialized subjects and are in active operation. However, South Korea``s specialized libraries are still largely insufficient, and the research of specialized libraries must be continued, contributing to more development. Therefore, follow-up research on specialized space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research on policy and services of specialized libraries.

      • KCI등재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운영 실태 분석 연구

        장보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ration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after comparing with the School Library.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with general schools by region and school establishment, special schools are lacking in collection, budget, reading seats and usage. The number of collections per student in special schools is 57.9, the number of loans is 10.8, while the number of general schools is 96.7 and 29.6. The budget is about 30% of general schools, more than 90% of general schools have more than 20 seats, while Special Schools are only 75 (42.9%). There is not one volume of use compared to the collection. There are 47 schools (26.8%) with specialized staff, and only 20 schools have librarian licenses.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school library of speci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related organizati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o expand collections, to have professional librarians and to improve the facilities environment. 본 연구는 유명무실하게 존재하는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일반학교 학교도서관과 비교․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역별, 학교 설립별 일반학교와 비교했을 때 특수학교는 장서, 예산, 열람좌석, 이용 측면에서 현저하게 미흡한 수준이다. 특수학교의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57.9권, 대출자료 수는 10.8권인 반면 일반학교는 96.7권, 29.6권이다. 예산은 특수학교가 일반학교의 30% 수준이며, 일반학교의 90%이상이 20석 이상의 열람좌석 수를 보유한 반면, 특수학교는 75개교(42.9%)에 불과하다. 소장 장서 대비 이용량에서도 채 1권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전담직원이 있는 학교는 47개교(26.8%)이며, 사서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는 20개교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장애인 기관과의 협력, 기본적인 장서와 전담인력, 시설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