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고리즘적 디자인에 의한 공간 경계의 유기적 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태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many spatial designs using algorithms as a principle of generative form have appeared in modern architecture, and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of design has expanded from the genera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to the overall structure and spatial composition of the space.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on algorithm design deals with morphological reproduction but does not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of spatial boundaries in the composition of a space.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ow space is organically expan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oundary, which is the basis of the algorithm design.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algorithmic spatial design and analyzed the organic relationship of spatial boundaries in the works made by modern architects using algorithmic spatial thinking, and examined it as a design methodology that might solve the problem of spatial diversity of origin in the modern society which seems to be unsettled but is becoming homogenized. (Method) The study first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gorithm desig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algorithm. The organic relationship of the algorithm space design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patial boundary, was interpreted to derive the organic expansion factor for analysis and analyze the organic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boundary of the algorithmic spatial design case, and to present the possibiliti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non-linearity and non-equilibrium relationships occupy a large proportion of the spatial design type that uses an algorithm to generate spatial forms.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an indeterminate form that cannot be predicted by a simple algorithmic operation of spatial elements, a variational boundary is generated, and the non-linear relationship of the spatial boundary is strongly demonstrated. In the spatial design type, which uses an algorithm to diversify the spatial structure, multilayered, overall, and resonant relationships occupy a large proportion. In the process of organically organizing the spatial structure using the algorithm, the multilayered and overall relationship of the spatial boundary is strongly expressed as the boundary of an inclusive concept in which the boundary is set with the relative relationship. (Conclusions) In spatial design, this study of algorithmic design is considered to be a spatial attempt to control unpredictable parts through an algorithm.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investigated the kinds of organic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algorithmic design in terms of spatial boundaries.

      • KCI등재

        A Meta Analysis on Domestic Research Trends of Healthcare Design in Spatial Design Field

        이민아,박혜경,오찬옥,백지원,김석태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y life, the aging modern society has paid attention to healthcare design in various fields, which was mainly researched in the spatial design field of a healthcar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to date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ealthcare design centering on spaces to provide materials for current issues and to predic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Method) Met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by selecting 499 papers in total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until November 2018, from keyword search, limited to journals, and 5 experts' judgement. In this study, (1) the healthcare space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space in healthcare design was conceptualized to reveal the meaning of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2) subject papers were extracted by the KCI system with keyword related to healthcare design, and (3)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sub topics of spatial design such as time series, research methods, target space, key actors, and design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meta analysis, (1)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taring from 2002 with expanding healthcare spaces from a traditional healthcare design category focusing on hospital, the area of behavior of patients and medical professionals, to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nd even to everyday spaces for healthcare. (2) As research methods, empir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analysis, survey, experiment and evaluation were mainly carried ou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design results, and (3) the trend of research was found that suggests spatial design elements in complex rather than single to realize effective healthcare spaces, and Also, (4) the research trends was found that deal with users who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not only in the space for direct medical care but also in other functional spaces. (Conclusions) This study, which meta analyzes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is a follow-up to the first study that analyzes the trend of overall healthcare design research, and is meaningful to find the direction of visual and perceptual results of the user's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healthcare design. By analyzing the trend in healthcare design research focusing on design other than spa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enabling comprehensive design prediction for healthcare design in the future by comparing issues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in each design sector.

      • KCI등재

        공간디자인 분야에서의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 분석

        이민아 ( Mina Lee ),박혜경 ( Heykyung Park ),오찬옥 ( Chanohk Oh ),백지원 ( Jiwon Baik ),김석태 ( Suktae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고령화된 현대사회는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헬스케어디자인에 주목하였고, 이는 헬스케어 환경인 공간디자인 분야에 집중되어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을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들의 경향을 분석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이 갖는 현시점의 쟁점과 미래의 연구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까지 축적된 헬스케어공간디자인에 대한 연구의 체계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경향 분석을 위해, 2018년 11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키워드 검색, 학술지 분야 한정, 전문가 5인 판단으로 총 499건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1) 헬스케어디자인에서의 공간 의의를 기반으로 한 헬스케어공간을 개념화하여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의 의미를 밝히고, (2) 헬스케어디자인 관련 키워드로 KCI 시스템으로 대상논문을 추출하고, (3)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시계열, 연구방법, 그리고 대상공간, 중점 행위자, 디자인 요소 등의 공간디자인 하위주제를 유형화 하여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메타분석 결과, (1)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는, 2002년을 시작으로 전통적 헬스케어디자인 범주인 환자와 의료인의 행위 영역인 병원 중심에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고령자복지공간으로, 그리고 일반인의 건강관리를 위한 일상공간까지 헬스케어공간이 확대되며 지속적으로 연구되었다. (2) 연구방법으로 사례분석, 설문조사, 실험 및 평가가 수행되어, 사용자 중심으로 설계된 결과물의 방향성 제시를 위해 실증적 연구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3) 효과적인 헬스케어공간 구현을 위해 공간디자인 요소를 단일 요소가 아닌 복합적으로 제시하는 연구 경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4) 공간의 주된 기능이 직접적인 의료를 위한 공간뿐만 아니라, 타 기능의 공간에서도 정신적·육체적 건강 기반의 삶의 질 향상을 요구하는 사용자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 경향도 발견하였다. (결론) 헬스케어공간디자인 연구를 메타분석한 본 연구는 전반적인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 1차 연구에 대한 후속 연구로, 헬스케어디자인을 통한 사용자의 물리적 환경이 갖는 시지각적 결과물의 방향성을 발견하는 데 의미 있는 연구이다. 앞으로 공간 이외의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한 헬스케어디자인 연구 경향도 분석하여, 각 디자인 분야별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주목한 쟁점을 비교함으로써 헬스케어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종합적 디자인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y life, the aging modern society has paid attention to healthcare design in various fields, which was mainly researched in the spatial design field of a healthcar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to date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ealthcare design centering on spaces to provide materials for current issues and to predict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Method) Meta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by selecting 499 papers in total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until November 2018, from keyword search, limited to journals, and 5 experts' judgement. In this study, (1) the healthcare space based on the significance of space in healthcare design was conceptualized to reveal the meaning of research on healthcare spatial design, (2) subject papers were extracted by the KCI system with keyword related to healthcare design, and (3)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the trend of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sub topics of spatial design such as time series, research methods, target space, key actors, and design elements. (Results) As a result of meta analysis, (1)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studied staring from 2002 with expanding healthcare spaces from a traditional healthcare design category focusing on hospital, the area of behavior of patients and medical professionals, to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elderly, and even to everyday spaces for healthcare. (2) As research methods, empir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analysis, survey, experiment and evaluation were mainly carried out to suggest the direction of user-centered design results, and (3) the trend of research was found that suggests spatial design elements in complex rather than single to realize effective healthcare spaces, and Also, (4) the research trends was found that deal with users who dem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mental and physical health not only in the space for direct medical care but also in other functional spaces. (Conclusions) This study, which meta analyzes the healthcare spatial design research, is a follow-up to the first study that analyzes the trend of overall healthcare design research, and is meaningful to find the direction of visual and perceptual results of the user's physical environment through healthcare design. By analyzing the trend in healthcare design research focusing on design other than spac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useful material for enabling comprehensive design prediction for healthcare design in the future by comparing issues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in each design sector.

      • KCI등재후보

        에코테크 개념을 적용한 단독주택의 공간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조경희 ( Kyunghee Cho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3

        (연구배경 및 목적)최근 에너지와 환경문제는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최대의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사회전 분야에서 친환경(Sustainable) 개발 개념이 시급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이에 건축 분야에서도 에너지 절약화가 전 세계적 으로 본격화 되면서 에너지 성능이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새로운 이슈로 등장했다. 이러한 요구 충족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에너지 효율과 순환을 돕기 위해 기술을 도구적으로 사용하여 자연환경과의 공존을 추구하는 에코테크(Eco-Tech : Ecology+Technology) 개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코테크 개념을 정립하고, 에코테크 측면에서의 단독주택 공간디자인 전략 요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를 위해 문헌자료 고찰과 선행 연구 조사 분석을 통하여 에너지 에코테크 개념을 파악하고, 에코테크 기법과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에코테크의 적용 원리에 따라 13가지 에코테크 전략요소 (ETFs: Eco-Tech Factors of strategy)로 분류하였다. 또한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단독주택의 공간 디자인에 적용된 전략을 공간디자인의 세부요소로 정리하고, 에코테크의 전략요소와 연계되어 적용 될 수 있는 범위(SD-ETFs)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단독주택의 공간디자인에서 에코테크 개념의 적용 분석을 위한 ESSD-ETA 분석 지표 모형을 제안하고, 국내외의 사례 공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분석 결과, 첫째, 에코테크 적용을 위한 단독주택의 공간디자인에서의 주요 전략은 우선, 자연 환경요소를 활용한 패시브한 수단을 최대한 이용하여 건물에서 발생하는 부하를 줄이는 에너지 절약기법을 적용한다. 여기에 테크놀로지가 연계된 시스템들을 이용함으로써 에너지 획득과 에너지 보전 기법을 실현하였다. 둘째, 열환경의 조절 원리를 집중적으로 적용하였다. 셋째, 단독주택의 공간디자인 단계마다 에코테크 전략요소를 적용한 총체적인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적극적인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서는 기술집약적 설비(Combined System)와 건물의 전체 생애주기를 고려한 디자인 요소를 적극적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것을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결론)궁극적으로 다가오는 사회에 공존과 균형, 조화의 친환경(Sustainable) 사회 구현을 위한 방안으로서 단독주택의 공간디자인 전략 요소를 제안하는데 의의를 가지며,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에코테크 개념이 적용된 단독주택 주거단지와 같은 관련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Over the years, the energy and environmental problems humans face have become supreme issues. Sustainable development is therefore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the world. As concerns about conservation and saving energy grow, energy efficiency has become a challenge in the spatial design of the built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Ecology + Technology (Eco-Tech) concept was suggested for spatial design. The main idea of Eco-Tech is that technology is used as a tool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and circul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sustainable architecture. The concept of Eco-Tech was delineated, and a new analysis model in which Eco-Tech was applied to the spatial design of a detached house was proposed. (Method)Previous works show that the term Eco-Tech is not defined as one concept. First, it was necessary to define Eco-Tech, and then Eco-Tech techniques and elements of energy efficiency were chosen. We defined 13 Eco-Tech factors of strategy (ETFs) that are based on principles adopted for Eco-Tech. In addition, Eco-Tech strategies adopted for energy efficiency in a detached house were defined as spatial design items, and ETFs that could be applied in a detached house were identified. Finally, we proposed an analysis model called Essential of Strategy of the Spatial Design in a Detached House for Eco-Tech Application (ESSD-ETA), which provides a standard for applying Eco-Tech factors to spatial design in a detached house. We presented the results of SD-ETF analysis of five real cases, inclu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Results)In this study, four main points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five real cases. First, ESSD-ETA was overbearingly considered for energy-saving techniques using element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n energy acquisition and energy conservation techniques with technology systems. Second, the principle of controlling the heat environment was applied intensively. Third, an integrated spatial design that applied ETFs was required for each design step in a detached house. Finally, a combined system for applying design elements needed to be considered during the building life cycle in order to aggressively pursue energy efficiency. (Conclusions)This study proposes adopting an Eco-Tech analysis model for spatial design in detached houses as a sustainable design strategy for the future. In addition, it identifies a need for expanded study of Eco-Tech spatial design for a complex of detached house.

      • KCI등재

        인공지능 생성 콘텐츠 기술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성락천,김소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1950년 앨런 튜링은 기계에 지능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튜링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컴퓨터와 인공지능 연구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났으며,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 방향성과 목표가 새롭게 정립되었다. 하지만 초기 개발 단계의 인공지능 기술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실제로 적용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인터넷의 전 세계적 확산과 대량의 데이터 축적, 알고리즘의 개선으로 인공지능 기술은 실제 적용이 가능한 형태로 급격히 발전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디자인 방법론 중 하나인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Double Diamond Model)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생성 콘텐츠(AI-Generated Content, AIGC) 기술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의 디자인 프로세스 적용 범위와 가능성을 탐구함으로써, 공간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가치 창출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AIGC와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에 관한 문헌조사와 AIGC 기술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실험으로 수행한다. 먼저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AIGC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해 AIGC 기술, AIGC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구축하고, 주요 AIGC 애플리케이션의 기능과 특징, 활용 분야를 중심으로 AIGC 애플리케이션의 발전 현황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AIGC 기술을 적용한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 기반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AIGC 기술은 디자인 프로세스의 각 단계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첫째, 디자인 개념 도출 단계에서 AIGC 기술은 텍스트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디자이너에게 영감을 제공하고, 개념을 시각화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다양한 이미지 생성을 통해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디자인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각화하고 선택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실행 단계에서 AIGC 기술은 스케치의 렌더링 이미지 변환과 설계도면의 심화, 수정, 재설계를 효율적으로 지원하여 디자인 프로세스의 실행을 원활하게 하였다. (결론) AIGC 기술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디자이너들이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용한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디자인 분야에서 AIGC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미래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극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AIGC 기술은 디자인 분야에서 더 많은 연구와 응용이 기대되는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1950, Alan Turing conducted the Turing Test to discern whether machines could exhibit intelligence, marking a fundamental shift in computer and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establishing new directions and goals for the field. However, ear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aced practical limitations due to technical constraints. With the advent of the 21st century,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massive data accumulation, and algorithmic advancements have propelle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to a form readily applicable in real-world scenario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AI-Generated Content (AIGC) technology in spatial design processes based on the Double Diamond Model, a design methodology, to investigate the scope and potential of apply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thereby exploring new possibilities for creating value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spatial design. (Method) This study conducts a literature review on AIGC and the Double Diamond Model and performs experiments on spatial design processes using AIGC technology. Firstly, to analyze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AIGC technology in spatial design proce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s establish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AIGC technology and related applications, focusing on the functions, features, and development status of key AIGC applications. Finally, by understanding the Double Diamond Model spatial design process and applying AIGC technology,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for spatial design processes based on the Double Diamond Model. (Results) AIGC technology has demonstrated its usefulness in various stages of the design process. Firstly, in the design concept generation stage, AIGC technology provided inspiration to designers and facilitated visualizing concepts by transforming text into images. Secondly, through diverse image generation, designers were able to quickly visualize and select various design ideas. Finally, in the design execution stage, AIGC technology efficiently supported rendering image conversions of sketches and deepening, modifying, and redesigning design drawings, thereby facilitating the execution of the design process. (Conclusions) AIGC technology has been confirmed as a useful tool for performing design processes more efficiently and supporting designers in developing more creative and innovative designs. Moreover,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AIGC technology in the design field and presents avenues for its active integration into future design processes. Therefore, AIGC technology is identified as a technology with promising prospects for more research and applications in the design field.

      • KCI등재

        공간디자인의 창의적 조형을 위한 컨셉모델 활용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안소미 ( So Mi 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3

        공간디자인에서 창의적 디자인 개념을 설정하고 이를 조형적으로 해석하여 공간을 디자인해 나가는 단계는 매우 중요한 반면에, 많은 학생들이 고민하고 어렵게 느끼고 있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디자인 프로세스에서 디자인 개념을 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하나의 매개적 방법으로 컨셉 모델(concept model)을 활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상적 공간디자인 개념을 3차원의 컨셉 모델로 해석하여 이를 매개로 공간디자인에 적용하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 컨셉 모델의 유용성과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보다 창의적 공간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컨셉 모델의 활용은 공간 디자인을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용하다고 나타났다. 디자인 개념을 컨셉 모델로 표현하는 방법은 5가지 유형으로 분석되었는데, 모티브를 통한 형태화, 언어적 의미의 형상화, 이미지의 변형, 하나의 과정/상황을 형상화, 다른 분야(음악,문학,IT)와의 융합적 해석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컨셉 모델을 통한 형태적 해석이 공간디자인의 조형적 표현을 용이하게 해주는 장점이 나타났으며, 공간디자인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공간디자인에 대한 어려움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공간이라는 큰 규모의 압박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형태적 스터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컨셉 모델은 공간디자인 교육의 효과적 도구로서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While it is vital to set creative design concepts and interpret them formatively for spatial design, many students have troubles doing this procedure. This study suggests use of concept models as a mediation means by which to apply the design concept used for spatial design process to space.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abstract concept of spatial design as a 3-D concept model, by mediation of which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applying it to spatial design, and to analyze usability & types of concept models. Through thi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enabling more creative spatial design are explored.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utilization of concept models is found useful to students learning spatial design. 5 categories of methods by which to express design concepts in the form of concept models are analyzed; morphologization via motifs, embodiment of linguistic meanings, imagery transformation, embodiment of a process/situation and convergent interpretation in conjunction to other fields(music, literature, IT). These results reveal the advantage that morphological interpretation via conceptual models eases the formative expression of space design, and that it eases the difficulty beginners learning spatial design have. It also has an advantage that learners can have formative studies in relatively liberal manner, freed of large-scale pressure imposed upon them by space. Accordingly, result of this study shows a possibility that conceptual models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ool for education of spatial design.

      • KCI등재

        공간마케팅 관점으로서 업사이클링 공간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유기민 ( Kimin Yoo ),김지현 ( Jihyun Kim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오늘날 현대사회는 ‘가치소비’ 기반 업사이클링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시장의 변화는 단순히 물질적인 소비가 아닌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시키고 소비단계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업사이클링 디자인 관련국내 시장의 규모는 해외시장보다 현저히 느려 미약적인 성장을 거듭하였지만 2015년에는 100억 원까지 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관련 사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공간마케팅 관점으로서 업사이클링의 개념과 디자인요소를 분석하여 공간마케팅 전략으로 활용 가능 한 공간디자인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연구대상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복합문화공간을 선정하였고 시간적 범위는 국내 업사이클링 개념도입 시기를 2010년도 이후를 기준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선행분석이 되었던 업사이클링 정의와 디자인요소를 공간마케팅 관점으로 재정립하여 업사이클링 개념을 제안하였다. 둘째, 도출된 업사이클링 디자인요소 45가지를 공간마케팅 관점기준으로 상위개념과 하위개념으로 공간디자인 특성을 분류하였다. 셋째, 연구 대상인 복합문화공간의 업사이클링 공간디자인 특성 세부요소 적용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업사이클링 공간디자인 특성은 균일하게 분포되어 나타났으며, 대상지를 향유하는 주체와 대상의 관계는 매개체를 활용한 특성과 장소성에서 오는 역사적, 시간적 특성에 의해 유희적, 쾌락적 관계가 형성이 되며 기능적 공간 형성을 통해 프로그램을 조성하고 소비자의 참여성을 증가시켜 기업의 이념과 이미지 제고를 시킨다. 그리고 제한된 환경자원을 활용하여 공간에 열린 녹지공간을 조성해 기존 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가치를 지닌 공유공간의 특성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현재 지속가능성의 정의와 의미를 중심으로 건축과 공간뿐만이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시간성을 적용한 디자인요소의 활용은 시장 변화 양상에서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의 디자인의 적용으로 고부가가치성을 창출하여 공간마케팅 적용에 있어 전략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디자인 특성을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contemporary society, the “Value Consumption-based” upcycling market is expanding. Changes in the market satisfy the emotions of consumers, rather than simply addressing physical consumption and are being expanded as the concept including the consuming step. It was expected that the scale of the domestic market related to upcycling design would develop very slowly compared to foreign markets.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the scale reached 10 billion Won in 2015, after repeated rapid growth, so the relevant business will grow continuously. Given the social background, this study is intended to research the features of space designs available for some kinds of spatial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the concepts of upcycling and the design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marketing. (Method)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with various functions, and the temporal scope was decided from the recent years via 2010, when the concept of upcycling had been introduced into our country. Thus, first, the concept of upcycling was suggested after redefining upcycling and the design elements that were previously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patial marketing. Second, 45 kinds of upcycling design elements deduced were classified into the superordinate concept and the subordinate one of space designs. Third, it was analyzed whether the specific elements of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space designs for some complex cultural spaces which are the targets of this study must be applied or not. (Results) It is show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upcycling space designs are evenly distribute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s and objects enjoying the target spaces form amusing and hedonic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utilizing media and the historic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fic place. The ideology and images of a company are enhanced by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consumers after establishing a program through the formation of functional spaces. Characteristics of shared spaces were analyzed, having their spatial values generated from the existing spaces by creating open green spaces in each space, while utilizing limited environmental resources. (Conclusion) Focusing on the current definition and meaning of sustainability, it is expected that design elements will continue to be utilized, applying some economic, social, environmental, cultur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architectural and spatial ones under the conditions of changing trends in the 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suggesting some design characteristics for upcycling designs to be used strategically, applying them to spatial marketing after creating highly added value by applying such upcycling designs.

      • KCI등재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 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을 중심으로 -

        이정교 ( Jung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의 실생활과 서로의 인간관계를 맺는 방식까지 차별화된 개성화 추세로 변모시킬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첨단기술 융합 환경으로 우리에게 새로운 기회를 줄 것이다. 이러한 환경변화는 우리의 생활패턴을 복잡성 환경으로 빠르게 변모시킬 것이다. 그리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기술의 변화는 공간디자인의 목적과 기능 그리고 그 가치를 인식하기도 전에 새로운 기술의 탄생으로 목적되지 않는 환경으로 진입시킬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공간디자인의 차별성을 명확하게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공간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재해석과 그에 따른 관련요소의 도구를 확대하여 공간디자인의 차별화 요소를 확장하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차별화에 대한 선행 연구를 비교분석하여 디자인 차별화에 대한 특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요소의 확장을 위하여 들뢰즈의 `차이`에서 새로운 도구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디자인 차별화 요소와 들뢰즈의 차이 특성을 관계적 지배인자로 구조화한 평가모형을 제안 하였으며, 첨단 디지털 기술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커넥티드 환경의 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을 사례 범위로 하여 추가된 디자인 차별화 도구를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자율주행차 공간에서의 디자인 차별화 요소 중 가장 높은 분포결과를 보인 특성은 독특성, 적합성, 당위성 순으로 차별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둘째, 들뢰즈의 차이에서 추가된 도구들을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대상(자율주행차 인테리어 공간)이 내재하고 있는 본성과 의미를 인과관계 측면에서 더 구체적이며 논리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즉, 전체적인 공간의 기능 중심과 디자인 뉘앙스에 대한 동일성으로만 해석되던 공간을 대상, 질료, 형상 등의 이질성 요소들을 함께 분석하여 차별화를 더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가 있었다. 셋째, 본 디자인 차별화 해석과 도구의 확장은 차별적인 공간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모형이 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분석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공간디자인에서 디자인 차별화 개념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차별화의 개념을 재정립하고 공간디자인에서 지배 인자를 체계적인 평가 도구로 구축한 것이 의미가 있었다. 즉 들뢰즈의 차이의 사유에서 도출한 5가지 도구(대상, 질료, 형상, 통일성, 개체화)를 추가하여 기능성 중심과 감성적 관점에서의 인과관계를 해석함으로써 차별화 디자인 개념을 더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더욱 디지털 기술 중심으로 지향될 수 있는 공간디자인 영역에서, 디자인 차별화와 의미를 재 정의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더 구체적이며 객관적인 디자인 차별화의 지배 인자를 추출한 연구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will transform mod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ased on differentiated and personalized trends, will create new opportunities under the environment converging cutting-edge technologies. Such changes in environment will accelerate transformation of our living patterns. In addition, rapidly changing technologies will open up the un-purposed environment, even before we become aware of the purpose, functions, and value of spatial design. Against such a backdrop,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larify the differentiation of spatial design. Thus, this study intends to reinterpret the concept of design differentiation and expand the tools of related ele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tiation in spatial design. (Method) This study identified characteristic elements of design differenti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and derived new tools based on examination of Deleuze`s theory of “difference” to expand the design elements of differentiation. The study proposed an evaluation model that structuralized the derived design differentiation elements and Deleuze`s characteristics of difference as relational controlling factors. Moreover, the study verified the expansion of design differentiation tools, which were added through analyses of interior spaces in self-driving cars, based on the scope of relevant cases. (Results) First, the uniqueness, suitability, and justifiability, which were characteristics with the highest distribution among design differentiation elements in self-driving car space, turned out to be important elements for differentiation. Second, the tools added from Deleuze`s theory of difference were subsequently analyzed, so that the nature and meaning inherent in the object (interior space of self-driving car) could be understood more in-depth from the standpoint of a causal relationship. In other words, the space, which was interpreted through sameness for design nuances and overall function-centricity of space, was analyzed with heterogeneous elements such as substance, shape, etc., and therefore the differentiation could be analyzed more specifically. Third, the results of analyses suggested that interpretation of this design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tools could provide a basis for in-depth analyses of differentiated spati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is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design differentiation in spatial design showed that the evaluation tool could be expanded to re-establish the concept of differenti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us, the study added the 5 tools (object, substance, shape, uniformity, and individualization), extracted reason from Deleuze`s theory of difference, and analyz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centric and emotional perspectives. In that way, the study could analyze the concept of differentiated design with greater clarity and objectivity, so both the design and its meaning can be reinterpreted in the realm of spatial design to be more technology-oriented.

      • KCI등재

        공간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공간 디자인 시각화를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접근 방법

        신재영,이진국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2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32 No.6

        Numerous companies have embraced space marketing strategies as a means to cultivate a unique brand identity and image. The design of interior spaces has emerged as a pivotal role in conveying the brand image by crafting a distinct spatial identity. Traditionally, designers conceptualize spatial identity and subsequently iterate through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visualizing a multitude of design alternatives to ultimately arrive at the optimal spatial design. The advent of Generative AI has exhibited exceptional capabilities in the realm of image creation and is poised to significantly enhance the efficiency of creative design work. This paper introduces an innovative approach to visualizing interior space design that captures the elements of spatial identity through the utilization of image generation AI technology. In pursuit of this objective, we have developed a spatial identity visualization model with a range of materials, shapes/patterns, and colors, utilizing real-world interior design cases as training data source. Furthermore, we present diverse application methodologies for leveraging this trained model, offering practical insights through empirical cases across three distinct scenarios. The proposed approa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amlining the early phase of design by facilitating the generation of reference images based on the designated spatial identity. In addition, this enables designers to swiftly explore customized space design alternatives and develop imaginative space designs, thereby reinforcing the spatial identity.

      • KCI등재

        상호작용 공간디자인의 퍼스 범주적 특징

        서준호 ( June Ho Suh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작용을 위해 디자인된 공간의 다양한 양태와 그에 따른 공간디자인의 특징을 퍼스의 기호학적 범주론에 따라 세 개의 범주로 나누고, 범주별 구분에 따른 상호작용 공간디자인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 선택한 각 범주별 상호작용 디자인 사례들은 범주별로 정확하게 구분되어 나타나기보다는 각 사례에서 다양한 범주의 양태가 동시에 작동하므로, 범주적 특징이 좀 더 부각되어 나타나는 것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상호작용 공간디자인의 퍼스 범주적 특징으로는 1)일차성 범주 중심의 특징은 자극적 반응과 감각 체험 중심의 양태로서 도상성과 반응 중심의 디자인과 다중 감각과 공간 성질에 대한 디자인이 주된 특징으로 나타났다. 2)이차성 범주에서는 관계 형성과 상호텍스트성 중심의 지표성과 공간 지향성의 특징을 나타냈다. 3)삼차성 범주에서는 내적 추론을 가능하게 하는 의미 작용을 바탕으로 상징성과 표상을 나타내는 공간디자인을 통해 매개와 통합성의 특징이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모든 현상과 모든실재하는 것을 세 범주로 식별하는 퍼스의 범주론은 보이거나 혹은 보이지 않는, 공간에서의 상호작용 현상과 작동 원리를 공간디자인을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시각적인 정보표면화의 기술성을 기반으로 맥락과 상징, 서사와 내러티브가 복합적으로 생성되고, 공간에서 사용자와 더불어 대화적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양태들을 읽어내고 그것을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상호작용 공간 쓰기 즉, 디자인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 공간디자인을 기호적 성격으로 규명하고 상호작용 공간디자인 방법론을 위한 기반이 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연구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interactive and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using Peirce’s categories. The various modalities of designed space for interaction and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are divided into three classes according to Pierce’s theory for analysis. The samples selected for study in each class fall under two or three categories at the same time, and not just one. I have arranged their categories for emphasi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m.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in interactive space according to Peirce’s categorie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category are centered on stimulating reactions and sensible experiences, along with iconic, reaction-centered, and multi modal design. 2)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category are relativeness, index, and spatial intentional system by intertextuality. 3) The third category is based on signification that could enable internal deduction. Characteristics of this category include mediation and integration by interactive design that presents symbol and presentation. Peirce’s Category Theory enables an analysis of spatial design in interactive space through tangible or intangible interactions. Through the technology of visual information surfaces, context and symbol, storytelling and narrative are created in interaction designed space. And it is able to read various modalities for communications between people and space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interactive space design as the literacy of spatial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