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손진태(孫晋泰)의 시조 인식과 제국의 시선

        유정란 ( Yu Jeong-ran ) 민족어문학회 2021 어문논집 Vol.- No.92

        이 논문은 손진태(孫晋泰, 1900~?)의 학문 기반을 바탕으로 재일(在日) 당시의 시조론과 『朝鮮古歌謠集』(1929)에 내재된 그의 연구 관점과 방법론을 이해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가운데 손진태의 시조 인식과 그 연구가 실상은 일본인들의 조선 민족성론, 나아가 식민담론을 답습하는 것이었음을 규명하고자 했다. 1920년대 손진태의 학문 기반은 민족 문화사를 연구하는 민속학에 토대를 두고 있었다. 손진태가 무엇보다 관심을 쏟은 연구 대상은 조선의 정신을 충실히 보이는 민중의 문화였다. 동시에 그는 그 고유성이 남아있는 국문학 자료에 관심을 가지고 조선의 동요, 민요, 시가 등을 연구했다. 특히 손진태는 국문학 자료를 통해 조선 민족의 특성을 발견하고자 했는데 이런 점에서 그의 국문학론은 민속 연구의 일환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손진태의 시조론 역시 고유 조선과 그 민족성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따라서 『조선고가요집』을 관통하는 그의 시조관은 중국형 유교 문화와 거리가 먼 ‘조선적인 것’, 그의 말을 빌리자면 바로 ‘향토미’에 있었다. 나아가 손진태는 무엇보다 사설시조의 가치에 주목했다. 그 결과, 시조의 연원을 속요로부터 찾는가 하면 사설시조에서 평시조로 발전하는 시조사의 틀을 제시하기도 했다. 민속학 논의의 기반이었던 반중국적, 반귀족적 민족의식이 사설시조를 우상화하는 데 연결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손진태의 연구 관점이 일본학자들의 조선 사회연구, 곧 민족지학과 상통하는 것임을 조망했다. 그가 사설시조의 연원을 소급하면서까지 밝히려 했던 조선 고유의 민족적 특성은 당대 제국이 요구했던 조선색과 다름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 시대 시조를 통한 민족성 기술의 배경에 제국의 이데올로기가 자리하고 있는 점도 확인했다. 결국, 손진태의 시조 인식 방향에는 일본의 식민담론과 그들의 의식이 혼종, 교차되어 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based on Son Jin-tae’s academic foundation, discussing his perception of Sijo (時調). The aim is to understand the research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inherent in the JoeseonGogayojip (朝鮮古歌謠集). Among them, Son Jin-tae’s perception of Sijo and his research were intended to follow the Japanese people’s theory of ethnicity in Joseon and even colonial discourse. In the 1920s, Son Jin-tae’s academic foundation was based on folklore that studied the history of national culture. Above all, Son Jin-tae paid attention to the culture of the people that faithfully showed the spirit of Joseon. At the same time, he studied Joseon’s children’s songs, folk songs, and poetry with interest in the remaining Korean literature materials. In particular, Son Jin-tae sought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seon people through Korean literature materials, and in this regard, it was confirmed that his theory of Korean literature was part of folk research. Son Jin-tae’s theory of Sijo was also focused on Joseon and its ethnicity. Thus, his perception of the sijo was that of ‘Joseon’, which was far from Chinese Confucian culture, and, in his words, of locality. Furthermore, Son Jin-tae paid attention to the value of Saseol-Sijo (辭說時調). As a result, Son Jin-tae found the origin of the Sijo from the folk songs and presented the framework of Sijo-history which developed from the Saseol-Sijo (辭說時調) to the Pyeong-sijo (平時調). The anti-Chinese and antinobilism national consciousness, which was the basis of folklore discussions, was linked to the Saseol-Sijo (辭說時調). It was observed that Son Jin-tae’s view of research was in line with Japanese scholars’ social studies of Joseon, or ethnography. The unique ethnic characteristics of Joseon, which he tried to reveal by retrospecting the origins of the Saseol-Sijo (辭說時調), were the same as the ‘Joseon color’ demanded by the empire of the tim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deology of the empire lies in the background of ethnic description through the progenitor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end, Son Jin-tae’s recognition of Sijo revealed that Japanese colonial discourse and their rituals were mixed and crossed.

      • KCI등재

        손진태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번역과 그 성격

        유정란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9 동방학 Vol.0 No.41

        This article look at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translated text <Nongawolryounga(農家月令歌 )> by Son Jin-tae in 1927. And review the cultural and political dynamics surrounding the translation. Son Jin-tae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osun Literary and Poetry. Among them, he has done important work in translation and cultural history, translate the <Nongawolryounga> and published in magazine of 『Dongyang(東洋)』. This paper noted that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was carried out in Japan by Son Jin-tae, an alien.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ranslation <Nongawolryounga>, which wa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nationalist Joseon intellectuals. First of all, took a look at Son Jin-tae's academic journey and the opportunity for his translation. He was earlier approaching Joseon's literature to understand the ethnicity of Joseon and its spiritual world. In this situation, Son Jin-tae, who discovered <Nongawolryounga> emphasis on the historical aspect and introduces it to Japan. The specific aspects of translation are largely organized into two variations: shape and content. Separation of phrases and revision and addition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active interpretation have been attempted. This is a translation strategy to convey "the Joseon" most effectively. In order to gauge the character of the translation of <Nongawolryounga>, looked into it as well Son Jin-tae's theory of poetry and the context of its acceptance. As a result, the translated version of <Nongawolryounga> was provided to imperial Japan as a study of the ethnic life of colonial Joseon. revealed the point where Son's translation was link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thnography of Japan. 이 글에서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가 1927년 번역한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텍스트의 특징적 양상을 살피고 번역을 둘러싼 문화 정치적 역학들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손진태는 조선의 국문학, 구체적으로는 시가(詩歌) 문학 방면에 많은 업적을 남기고 있다. 그중에서도 번역문화사 방면에서 중요한 작업을 수행한 바 있는데 바로 <농가월령가>를 번역하여 잡지 『동양』에 게재한 것이다. 본고는 <농가월령가> 번역이 외지인 손진태에 의해 일본에서 수행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민족주의 계열의 조선 지식인들과는 사정이 달랐다는 점을 시야에 넣고 번역문 <농가월령가>의 성격을 살피고자 한 것이다. 우선 손진태의 학문 여정과 <농가월령가> 번역의 계기를 짚어보았다. 그는 일찍이 조선의 민족성과 그 정신적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조선의 문학에 접근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가월령가>를 발견한 손진태는 작품의 민족생활사 방면을 강조하며 번역해 일본에 소개한다. 번역의 구체적인 양상은 크게 형태상의 변형과 내용상의 변형 두 가지로 정리된다. 구(句)의 분리, 원문의 적극적 해석을 통한 수정 및 첨가 등이 시도되었는데 ‘조선적인 것’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번역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농가월령가> 번역의 성격을 가늠하기 위해 손진태의 시조론과 번역의 수용 맥락을 아울러 살폈다. 그 결과 <농가월령가> 번역문은 식민지 조선의 민족 생활을 연구하는 자료로 제국 일본에 제공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손진태의 번역이 제국 일본의 민족지(民族誌) 구축작업에 연동한 지점을 밝힌 것이다.

      • KCI등재

        『震檀學報』와 손진태의 학문적 역할

        유정란 진단학회 2023 진단학보 Vol.- No.141

        본고는 남창(南滄) 손진태(孫晋泰, 1900~?)에 중점을 두고 『진단학보(震檀學報)』에서 확인되는 그의 학문적 역할과 연구사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진단학보』에 수록된 총 5편의 연구 성과물은 일본 내지의 학문 경로를 잇는 것인 동시에 이후 그의 연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될지를 미리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진단학회에서의 손진태의 역할을 고찰하는 본고의 목적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손진태는 와세다 고등학원 시절부터 연을 맺었던 인류학자 니시무라 신지의 문하에서 자연스럽게 문학에서 민속학으로 관심을 옮기게 된다. 니시무라와의 만남, 그리고 그의 강의가 민속학자로의 길을 걷게 한 결정적 계기가 된 셈이다. 또한, 손진태 민속학의 근간에는 비교적 관점이 관통하고 있다. 수학기의 여러 성과물에서 확인되듯 그의 연구는 동북아시아 민속 비교라는 방법론으로 그 편폭을 더욱 확장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 까닭에 『진단학보』에서 손진태가 담당한 민속학의 세부 영역은 바로 해외의 그것이었다. 문헌 사료와 채집한 현지 자료를 이어 붙이고 타민족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되는 보편성, 나아가 그 속에서 발견되는 조선 고유의 특성을 찾는 것이 손진태가 보여준 논의의 정수였다. 비교민속학을 통한 조선 연구란 그의 연구 방향은 진단학회의 창립 목적인 ‘조선 및 인근 문화의 연구’에도 부응하는 것이었다. 이에 그가 보여준 민속학의 윤곽은 『진단학보』의 학술 외연을 넓히는 데도 크게 기여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Nam-chang(南滄) Son Jin-tae(孫晋泰, 1900~?) and examines his academic role and research implications identified in the Journal of 『Chin-Tan Hakpo(震檀學報)』. A total of five research results included in the 『Chin-Tan Hakpo』 connect academic paths in Japan and show in advance the direction in which his research will proceed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which examines Son Jin-tae's role in the Chin-Tan society, has an important meaning. Son Jin-tae naturally shifts his interest from literature to folklore under the guidance of anthropologist Nishimura Shinji(西村眞次, 1879~1943), who has been associated with Waseda High School since his days. His meeting with Nishimura and his lectures served as a decisive opportunity for him to walk the path of a folklorist. In addition, there i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on Jin-tae's folklore. As can be seen from various achievements, his research was further broadening its scope to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in Northeast Asia. For this reason, the detailed area of folklore that Son Jin-tae charge in the 『Chin-Tan Hakpo』 was that of overseas. The essence of Son Jin-tae's discussion was to connect literature and collected local data and find the universality ident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ethnic groups or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oseon founded in them. The study of Joseon through comparative folk studies was to respond to the founding purpose of the Chin-Tan Society, 'the study of Joseon and neighboring cultur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outline of folklore he showed greatly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academic extension of the 『Chin-Tan Hakpo』.

      • KCI등재

        해방 후 손진태의 활동과 국사교과서 편찬

        김상훈 한국근현대사학회 2019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1 No.-

        Son Jin-tae wrote about the problems and direction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fter liberation. And he published a history textbook and an opening document. Thus,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Son Jin-tae’s ideology around writing. In this paper, it confirmed Son Jin-tae’s activities reported in the newspaper after liberation in chronological order and examined his changing appearance. It also compared and reviewed how Son Jin-tae’s ideology about Korean history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was described and changed in the history textbook published for three years from 1948 to 1950. Son Jin-tae felt a great responsibility as a historian for the chaos of the Korean history education community two years after the liberation. As a history scholar, he was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Korean history education for students and the public in building a new country after liberation. Therefore, he acted to realize the education of Korean history as he thought. Compilation of national history textbooks, bureaucratic life a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Dean of College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specific ways of practicing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is paper, it examined how Son’s beliefs as a historian and educator changed over the reality of the Rhee Syngman government’s education policy and the reality of history education, and most of all, through the pistol attack. 손진태는 해방 후 국사교육의 문제점과 방향에 대한 글을 남겼고, 국사교과서와개설서를 발행하였다. 그래서 앞선 연구들이 글을 중심으로 손진태의 이념에 대해논의해 왔다. 본고에서는 해방 후 신문에 보도된 손진태의 활동을 시간적 순서에따라 확인하며 그의 변화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또한 손진태가 주장한 국사와국사교육에 대한 이념이 1948년부터 1950년까지 3년 동안 계속해서 발행된 국사교과서에 어떻게 서술되고, 변화해 갔는지 비교·검토하였다. 손진태는 해방 후 2년이 지난 뒤에도 국사교육계가 혼돈 상태에 있는 것에 대해국사학자로서 중대한 책임감을 느꼈다. 그는 국사학자로서 해방 후 새로운 국가를건설하는 데 있어 학생과 대중에 대한 국사교육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고, 자신이생각한 국사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행동하였다. 국사교과서 편찬, 문교부 관료 생활, 서울대 사범대 학장 등은 국사교육을 실천하는 구체적인 방법이었다. 본고에서는손진태가 국사학자이자 교육자로서 가지고 있었던 신념이 이승만 정부의 교육정책과 역사교육이라는 현실, 무엇보다 권총 피습 사건을 겪으면서 어떻게 변화해 갔는지를 살펴보았다.

      • KCI등재

        손진태의 한국 근대사 서술

        김수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3

        There seems to be little interest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at Son Jin-tae had profound interest in. For this reason, the description of the impact of the March 1st Movement on changes in Korean society and culture, or his interests in attempting to systematize the flow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the Korean historical introductions are not being organized properly. It seems that Son Jin-Tae became interested in narrating Korean modern history seems due to the March 1st Movement. The March 1st Movement has brought a huge change of direction both in his life and study. His participation in the March 1st Movement in Busan which resulted in his imprisonment, later led him to choose the path of historian while studying in Japan. Rather than following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Korean history in a sentimental way, he tried to narrate the Korean history in a new way. Therefore, he did not treat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as the center, and tried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Korean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t first, Son Jin-tae's descript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y covered the late 1920s after the Sino-Japanese War. And after the liberation, expanded the scope to include the period from the time when Joseon negotiated with the West to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government. At this time, he tried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with an independent periodization, covering various parts such as politics, social culture, thought, and diplomacy. In this way, he focused heavily on the growth and activity of the people, a newly emerged human group, rather than the yangban, the dominant status of the Joseon Dynasty while describing the flow of Korean modern histor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historical position of Son Jin-tae’s description of Korean modern history has a profound meaning in the research history. It is noticeable due to the fact that this is directly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n Jin-tae’s history, so called the neo-nationalist historicism. 현재 손진태가 매우 깊은 관심을 가졌던 한국 근‧현대사 연구에 대해서는 별다른 관심이 없는 것 같다. 때문에 3‧1운동이 한국의 사회나 문화의 변화에 미친 영향에 대한 서술이라든지, 한국사 개설서를 통해서 한국 근대사와 현대사의 흐름을 새롭게 체계화하려고 했던 그의 관심은 제대로 정리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손진태가 한국 근대사 서술에 관심을 가지게 된 이유는 3‧1운동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3‧1운동을 기점으로 그의 삶과 학문에 커다란 방향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부산에서 3‧1운동에 참여하여 투옥되기까지 하였던 그는 이후 일본에서 공부하면서 역사가의 길을 선택하였던 것이다. 그는 기존의 감상주의적 한국사 이해가 아니라, 새로운 방법으로 한국사를 서술하겠다는 것이었다. 이에 독립운동사가 중심이 되는 역사가 아니라, 한국의 사회사 및 문화사에 새로운 이해를 가지려고 노력하였던 것이다. 손진태의 한국 근대사 서술은 처음에는 청일전쟁 이후 1920대 후반의 시기까지를, 해방 이후에는 그 범위를 확대시켜서 조선이 서양과 교섭한 시기부터 대한민국 정부 수립까지의 내용까지를 서술하였다. 이때 그는 정치, 사회 문화, 사상, 외교 등의 여러 부분을 망라하면서, 독자적인 시대구분과 함께 한국 근대사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노력하였다. 이와 같이 그가 한국근대사의 흐름을 서술할 때 크게 중점을 둔 인간집단은 조선시대까지를 주도했던 지배신분이었던 양반 보다는 새롭게 등장한 인간집단인 민중의 성장과 활동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근대사연구의 연구사에서 손진태의 한국근대사 서술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위치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그의 사학이라고 일컬어지는 신민족주의사학이 보여준 특징과도 그대로 연결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게 해주고 있어서 주목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남창 손진태의 민요론 연구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9 No.-

        This article is a study on folk song theories presented by Son Jin-tae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 tried to clarify the nature of the folk song materials cited in the folk song theory, grasp the viewpoi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folk song theory, and find out the meaning and status of the folk song theory. I found six folk song theories that Son Jin-tae published. Four theories were published in Japanese and two theories in Korean. These folk song theorie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ories of children’s folk songs and theories of women’s folk songs. 「Korean Children’s Folk Songs and Childhood」(1927.2) is the final theory that was completed through Japanese theories on children’s folk songs. This Son Jin-tae’s theory of children’s folk songs was the first to be announced. Most of the children’s folk songs included in the children’s folk song theories were quoted from folk songs collected by Jeong In-seop, and three were quoted in Um Pil-jin’s 『Korean Children’s Folk Songs』. Jeong In-seop’s folk song materials were delivered to Kim So-un by Son Jin-tae and included in 『Korean Oral Folk Songs』(1933). Son Jin-tae discusses the childhood of Korean children’s songs as having seven characteristics in 「Korean Children’s Song and Childhood」. In particular, the multifaceted discussion of the childhood of Korean children’s songs had aspects of nationalism, including awareness of national reality, progressive consciousness including social satire and criticism, and ecological thinking that can be recogniz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oday. Son Jin-tae’s theories of Women’s Folk Songs was published in Japanese, and it seems to have been released earlier as an independent discussion on Korean women’s folk songs. However, with little effort to grasp the context or meaning of the post-war women’s folk songs themselves, the discussions were made with more attention to the background and customs of singing editorials and the manners in which the editorials evoke. There was a self-determined cultural consciousness and self-deprecating cultural consciousness that had been imbued with the colonial discourse. 이 글은 손진태가 일제강점기에 국내와 일본에서 발표한 민요론을 대상으로 민요론에 인용된 민요 자료의 성격을 밝히고, 민요론의 논의 관점과 특징을 파악한 다음, 민요론이 갖는 의미와 위상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인 것이다. 필자는 손진태의 민요론으로 6편을 찾았다. 4편은 일문으로, 2편은 국문으로 발표된 것이다. 이들 민요론은 크게 동요론과 부요론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동요론이 4편(국문 2편, 일문 2편), 부요론 2편(일문)이다. 「조선의 동요와 아동성」(1927. 2)은 일문 동요론을 거쳐 최종 완성된 동요론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동요론 중에서 손진태의 동요론이 가장 앞서 발표된 동요론이다. 동요론에 수록된 동요들 중 대부분은 정인섭이 채집한 민요들에서 인용된 것이며, 엄필진의 『조선동요집』에서 3편이 인용되었다. 정인섭 채록 민요 자료들은 손진태에 의해 김소운에게 전달되어 『언문조선구전민요집』(1933)에 수록되었다. 손진태는 「조선의 동요와 아동성」에서 조선 동요의 아동성을 7가지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했다. 특히 조선 동요의 아동성에 관한 다각적인 논의는 민족현실에 대한 자각을 포함한 민족주의 담론과 사회풍자와 비판의식을 포함한 진보적 의식, 그리고 오늘날 생태학적 관점에서 재인식될 수 있는 생태학적 사유의 면모를 지니고 있었다. 손진태의 부요론 2편은 모두 일문으로 발표된 것이며, 조선의 부요에 관한 독자적인 논의로는 가장 앞서 발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부요 자체의 전후 맥락이나 의미를 파악하려는 노력을 거의 보이지 않고, 노래 사설의 배경이나 부분적인 사설이 환기하는 제도와 풍속에 더 관심을 두고 논의를 전개했다. 여기에는 식민주의 담론에 물든 자가당착의 문화의식과 자기비하의 문화의식을 내재하고 있었다.

      • KCI등재

        [기획논문] 1930년대 항주(杭州) 시기 중국 민속학과 손진태 『조선민담집』 중역(中譯)의 배경

        권애영 열상고전연구회 2023 열상고전연구 Vol.80 No.-

        In 1925, Zhou Zuoren introduced three Korean folktales, excerpted from Miwa Tamaki's Legendary Joseon, to China. In the 1930s, Korean folktales collected by Miwa Tamaki, Garin– Mikhailovsky, and Matsumura Takeo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In addition, 41 Joseon folktales, including those from Son Jin-tae's Joseon Folktales,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and published in three magazines. The translation was done by Chen Qiufan, wife of Zhong Jingwon, who is known as the father of Chinese folklore.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Korean oral literature including Son Jin-tae's Joseon Folktales into China during the 1930s in the context of folklore trends in China. Research on Chinese folklore began in 1918 during the New Culture Movement when the Modern Song Collection was established at Peking University. The organization changed its name to Song Research Society and published a weekly magazine named Song from 1922, marking the emergence of an organized folklore movement. In the fall of 1926, due to pressure from the Northern Warlords, Zhongshan University became the center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Chinese folklore. During this time, major figures were forced to resign one after another, and they moved from Beijing to Zhongshan University. However, later on, in the 1930s, folklore research at Zhongshan University declined and the Chinese Folklore Society based in Hangzhou became more active. During this period, the largest art organization called Yifengshe(藝風社) was established in Hangzhou. The main members of Yifengshe were Xu Beihong, Zhong Jingwon, and Feng Zikai, who were active in Shanghai and Hangzhou. The organization had about 600 members. In the organization’s journal Yifeng(藝風), there was a special section dedicated to folklore. From the 9th issue of volume 1, when Zhong Jingwon's writing was published, Yifeng, which mainly focused on art, began presenting folklore-related content. Most of the articles published by Zhong in Yifeng were submitted when he was studying in Japan. The topics of his articles included otter legends and Dongguk Sesigi(東國歲時記), a book about seasonal customs in Korea. From the spring of 1934 to the summer of 1936, Zhong was part of the Chinese Literature Research Society in Japan, along with studying folklore and cultural anthropology at the Literature Department of Waseda University in Japan. Zhong developed his research while interacting with folklorists such as Nishimura Shinji, Matsumo Novuhiro, and Matsumura Takeo, as well as scholars of Chinese literature such as Takeuchi Yoshimi, Saneto Keishu, and Masuda Wataru. Zhong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cultural research in neighboring countries in order to examine the source and influence of one’s own country’s folklore. Thus, it seems that Son Jin-tae's Joseon Folktales was chosen for translation not only because it is an important collection of Korean folklore but also because it could help shed light on the origins of Chinese folklore. Furthermore, the fact that Son Jin-tae's folktales were written in Japanese would have made it convenient to translate them and bring them to Chinese readers. In other words, the Chinese translation of Joseon Folktales was possible because Japan and Japanese language served as a medium, and the book was judged to be helpful in identifying the root of Chinese folklore. The unfortunate situation of colonial Joseon also played a role in the introduction of Korean folktales collected by Korean scholars to China using modern research method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discussion only focused on Zhong Jingwon, the husband, and did not sufficiently illuminate the wife Chen Qiufan, who was the translator of Joseon Folktales. In the future, we hope that adequate objective and meaningful data will be collected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 KCI등재

        손진태 『조선민담집』 연구

        권혁래(Kwon, Hyeok-Rae)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3 No.-

        손진태의 『조선민담집』은 1920년대 설화를 집성한 설화집으로 연구사적 가치가 큰데, 지금까지 본격적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필자는 먼저 설화 채록방식 및 수록작품에 대한 정보를 조사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둘째, 설화 분류체계와 실제 분류작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 위에서 새로운 분류체계를 가지고 수록 작품들을 재분류하였다. 손진태가 1930년 간행한 『조선민담집』에는 1920년부터 1930년까지 채록된 조선의 민간설화 154편이 수록되어 있다. 이 설화집은 설화 채록의 초창기인 1920년대에 조선의 설화를 가장 폭넓게, 그리고 원형 그대로 채록ㆍ집성한 설화집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가 크다. 손진태는 수록 작품 154편을 ‘신화ㆍ전설류’(51편), ‘민속ㆍ신앙 관련 설화’(33편), ‘우화ㆍ돈지설화ㆍ소화’(47편), ‘기타 민담’(23편)으로 분류하였다. 그런데 손진태의 분류는 신화, 전설, 설화, 우화, 돈지설화, 소화, 민담 등의 용어가 혼재되어 있어 개념의 혼란을 일으키며, 유형 간 변별성도 분명치 않다. 이에 필자는 조희웅의 설화 분류법에 의거하여 재분류하였는데, 그 결과 신이담 78편, 소담 44편, 일반담 19편, 동식물담 9편, 형식담 4편 순으로 분류되었다. 신이담에서는 창세신화, 거인설화, 대홍수설화 등 신화의 세계가 주목된다. 신화에는 창세신화를 비롯하여 인류의 탄생, 조선 산천의 유래 등을 이야기한 것이 많다. 소담은 조선인들의 발랄한 기상과 재치를 드러내는 작품이 많고, 그 외에 민중들의 해학과 풍자의 정신을 보여주는 과장담, 우행담 등이 있다. 일반담에는 전설이나 지역에 관한 기원담과 효 일화를 담은 교훈담 등이 있는데, 이에는 손진태의 민속학적 관심이 투영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손진태는 민중들의 발랄하고 대담한 상상력, 풍자와 해학의 정신, 민속의 양태 등이 나타난 설화들을 채록ㆍ집성함으로써 조선 민간설화의 민족적ㆍ문화적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Joseon Folktales, an anthology compiled by Son Jin-tae, has significance in Korea’s literary history as it is the broadest and most accurate collection of folk tales from the Joseon era. Son Jin-tae divided the 154 folk tales in the book into four categories: ‘Myth and Legend’ (51), ‘Folk and Faith’ (33), ‘Fables and Short Tales’ (47), and ‘Miscellaneous Tales’ (23). But when Son Jin-tae’s categorization of the folk tales is examined more closely, it can be seen that terms such as myth, legend, tale, fable, short story and folktale were used almost interchangeably, which may cause confusion for readers, a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the categories is not sufficiently clear. For this reason, I re-categorized the folktales based on the folktale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d by Jo Hi-wung. As a result, the folktales were classified as Mystery Tales (78), Short Tales (44), General Tales (19), Animal and Plant Tales (9), and Formula Tales (4). The world of myth is featured in the Mystery Tales, and includes genesis myths, giant myths, and deluge myths. In the Mystery Tales, most of the myth stories are about the genesis of humankind, and the origin of the mountains and streams in Joseon. In the Short Tales, most of the stories depict the vibrant and witty spirit of the Koreans, while the others are exaggeration tales and foolish act tales. The General Tales include legends, stories of the origin of a region, and anecdotes of filial duty. Likewise, Son Jin-tae aimed to present the ethnic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oseon folktales by collecting and recording the tales that showed the audacious imagination of the public, the spirit of humor and satire, and the aspect of folk.

      • KCI등재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역사민속학(歷史民俗學)의 태동(胎動)과 전개(展開) -손진태(孫晉泰) 민속학(民俗學)을 중심으로-

        송화섭 ( Hwa Seob Song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한국 민속학은 1930년대 초에 태동하였다. 한국 민속 연구의 성립 배경은 일제강점기였으며, 일본에 유학하였던 손진태와 송석하가 선도하였다. 당시 일제 관학자들은 식민통치의 수단으로 역사 연구와 민속 연구에 집중하는 시점이었고, 초창기 민속학자들은 일본인 인류학자의 영향을 받으며 민속학 연구를 전개하였다.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인 손진태도 일본 유학중 역사학적 인류학도로서 민속 연구에 강한 집념을 보였고, 많은 연구 업적을 냈다. 손진태 민속학은 민족 문화를 인류학적으로 해석,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민속을 원시문화로 기술하는 논조가 강하였다. 손진태의 초창기 민속 연구는 일제가 추구한 제국주의적 인류학 연구에 묵시적으로 동조한 면이 있다. 그러나 1934년 귀국한 이후 10여 년간 식민지 민속학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신민족주의 사학자로서 과감하게 변신을 시도한다. 민속학자가 아닌 한국사학자로서 민족사 및 민족문화에 대한 역사관을 드러낸다. 그는 민속학을 민족문화학이라 규정하였다. 현장 중심의 한국 민속 연구가 농촌의 공동체 붕괴로 위기를 맞을상황에 놓여 있다. 한국 민속학의 위기 극복은 “민족문화학으로서의 민속학”이 대안일수 있다. 손진태는 일제하에서 식민지 민속학에 기여하였지만, 자신의 역사관을 재정립한 뒤 해방 이후에는 민족문화학의 정립에 앞장섰다. 오늘날 한국 민속학계도 일제강점기 이후 지속되어 온 식민지 민속학 연구 방법론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거듭나야 한다. 손진태가 제창한 민족문화학으로서 민속학을 실천하고, 민속의 현장을 중시하고 역사 속에서 민속자료를 찾아서 연계시키는 역사민속학 방법론을 적극 수용하는 것이 민속학의 위기 극복의 지름길이라고 본다. Studies on folklore in Korea started in the early of 1930s. Jin-Tae Son and Suk-Ha Song who studied in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were the leaders of the studies. Those were the times when Japanese scholars studied on Korean history and Korean folklore as a way to rule Korea and they influenced on Korean scholars who studied on folklore. The pioneer of the studies on Korean folklore, Jin-Tae Son, had a strong interest in Korean folklore while he was in Japan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field. His early studies described Korean folklore as a primitive culture which shows that he agreed with the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anthropology to control Korea. However, after he returned to Korea in 1934, he regretted his previous studies and turned into a neo-nationalist. He revealed his ideas on Korean history and nationalistic culture as a Korean historian. He prescribed folklore as national culturism. Studies on Korean folklore is on the verge of collapse with the breakdown of village community. The conquest of the crisis can be an alternative of folklore. Jin-Tae Son l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ism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hile contributed on the folklore with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Today, Korean scholars who study on Korean folklore should change their way to study which they took after the Japanese scholars. We should study folklore in the way of Jin-Tae Son’s national culturism, consider the spots of folklore seriously and accept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folklore and it can be an way to overcome the risk which we have today in studies on folklore.

      • KCI등재

        손진태 역사동화 연구

        유정월(Ryu, Jeong-wol)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4

        본고에서는 손진태 역사동화에서 ‘역사’와 ‘동화’의 결합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손진태가 아동에게 역사적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 취한 전략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역사동화의 특징을 살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손진태가 어린이 잡지에 기고한 이야기들 가운데 역사동화라고 할 만한 대상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것들이 원천 텍스트와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남창은 사실적 민담과 환상적 민담, 신화를 차용하여 역사동화를 창작하였다. 그 결과 여기에는 사실적이거나 실재했다고 생각되는 이야기뿐 아니라, 허구적이거나 환상적인 이야기도 등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역사동화에 원천 텍스트와 다른 고유명사, 연도, 전쟁 상황 등은 나오지 않는다. 그의 역사동화에서 새로 담화화된 부분은 등장인물의 개성이다. 인물들은 남성적/여성적인 젠더적 특징과 강인함/유약함 등 개인적 자질을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남창은 역사를 객관적으로 잘 전달하기 위한 보조적 방안으로 가족의 구성원이자 지적 호기심을 가진 아동을 독자로 상정하였다. 이런 점에서 손진태 방식의 역사동화는 역사에 대한 정확한 지시를 위해 친교적 기능을 활용하는 인지적 역사동화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ombination of ‘history’ and ‘fairy tale’ in Historical fairy tales written by Son Jin-tae’. I want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fairy tales focusing on the strategies and effects that Son Jin-tae has taken to communicate historical information to children. To do this, I first selected the texts, which are historical fairy tales, among the stories written by Son Jin-tae and examined how they relate to the original texts. Nam-chang created historical fairy tales by borrowing realistic folk tales, fantastic folk tales and myths. As a result, not only are they realistic or real stories, but also fictional or fantastical stories. Nonetheless, his historical fairy tales do not include proper nouns, years, and war situations which do not match the original text. The new discourses in his history fairy tales are the personality of characters. The characters are portrayed as persons with individual qualities such as masculine/feminine gender and strength/weakness. Nam-chang uses a supplementary means to convey history in an objective way. And he assumes the children as readers who are members of a family and have intellectual curiosity. In this sense, the historical story fairy tales of Son Jin-tae are cognitive ones that utilize communion functions to indicate history exac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