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도민속학사(南道民俗學史) -연구동향과 동아시아에서 남도민속의 위상-

        이경엽 ( Kyung Yeop Lee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학사(學史)를 점검하는 목적은 한 분야의 학문적 궤적을 살펴보고 미래를 창조적으로 전망하기 위해서다. 여기서 남도민속학사를 다루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의미 있는축적 과정만큼 논의가 심화되고 새 과제가 제시되는 것이 학문의 본질이다. 남도민속 학사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통해 전망을 새롭게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내적 문제에 집중했던 기존의 관심을 발전시켜 안팎을 아우를 수 있는 시각 전환이 필요하다. 지역 단위의 문제에 국한하지 않고 대내외적 시각을 포괄함으로써 남도민속학 전반의 관심과 위상을 새롭게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남도민속학은 성립기부터 일관되게 지역민속학의 기반을 튼실하게 다져왔다. 성립기, 발전기, 성숙기를 거치면서 분야별 전문성을 갖춘 연구자들이 늘어났으며, 민속현장을 연구와 긴밀하게 연결하는 학회 활동을 통해 내실화를 다져왔다. 최근 들어 체계적인 자료집을 간행하고 지역학과 마을민속 연구, 민속활용론 연구를 활성화하는 노력들은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다져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자료집 간행이 주목된다. 민속학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학문적인 기반을 다져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사적으로 볼 때, 남도민속의 위상은 동아시아 차원의 구도 속에서 구체적으로 탐색된다. 문화적 유사성에 토대를 둔 한·일, 한·중 간의 비교 연구가 가장 활성화되어 있다. 특히 남도와 오끼나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남도민속의 보편성과 특성을 탐구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국내외 많은 학자들이 주목해온 농촌 사회, 당골 세습무, 씻김굿, 판소리, 강강술래, 줄다리기, 고싸움, 초분 등은 지역성이 짙은 연구대상이다. 그러면서 다른 지역과 연계되고 또 대비되는 민속이다. 대표적인 사례로, 당골 세습무의 존재는 동아시아 권역에서 보편적인 존재이면서 독자성이 두드러진 남도민속의 위상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진도를 통해 남도민속의 대외적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진도는 남해안에 있는 한 섬이지만 문화적 위상은 물리적 공간의 범위를 넘어 전국적이고 국제적이다. 진도의 사례에서 보듯이, 남도민속은 공간적인 경계를 넘어 수많은 수수께끼를 풀기 위한 시간적·공간적 검색 창으로 활용돼왔다. 남도민속이 대내외에서 주목받는 대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남도민속학은 새로운 과제를 안고 있다. 기존의 지역 단위의 활동을 객관화하고 안팎을 아우르는 시각을 확보해갈 필요가 있다. 이렇게 할 때 지역민속학의 지향성도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남도의 오랜 전통에 해당하는 농경문화, 도서·해양문화에 대한 본격적인 비교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그동안 해왔던 남도와 오끼나와 비교연구를 더 심화하고, 동아시아 차원의 큰 구도 속에서 남도민속학의 위상을 새롭게 모색해가야 한다.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history of a discipline is to look at academic trace of one field and to put the future into perspective in a creative manner. It``s for the same reason that we are dealing with the history of Namdo folklore. The essence of learning is to present new tasks as discussion is strengthened through the meaningful accumulation process. There is a need to find new prospect through new approach to the history of Namdo folklore. Especially, there is a need for change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which focused on the internal matter to develop it to cover both internal and external matters. Not constrained by locality,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the interests and prestige of overall Namdo folklore by includ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perspectives. Namdo folklore, from its birth, has laid the foundation on a sturdy base as a local folklore in a consistent manner. Through the birth period, development period, maturation period, there came researchers with expertise and through the society activities which connect the folklore field with the research, it was able to focus on substance. Recent publication of systematic materials and recent efforts to activate the local studies, town folklore research, and folklore research can be said to comprise the process for continuing growth. Of particular, the publication of materials is to be reckoned with. For continuing development of folklore, there must be efforts to build up the academic found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search history, the prestige of Namdo folklore can be explored in detail in the composition of Eastern Asia. Its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Korea and Japan and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cultural similarity is one of the most activated. Especially, there is research bewteen Namdo and Okinawa in order to study the universality and characteristics of Namdo folklore. Agricultural society, Dangol Sesupmoo, Sitgim Gut, Pansori, Kangkangsullae, a tug of war, Goe fight, tumulus to which close attention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lars are research topics with deep locality. At the same time, they are connected with some regions and contrasted with others. Of notable examples, the existence of Dangol Sesupmoo shows the prestige of Namdo folklore which possesses universality as well as uniqueness in the Eastern Asia. Through Jindo, we can confirm the external prestige of Namdo folklore. Jindo, an island in the Southern coast, has a cultural prestige that extends well beyond the physical boundary to be national and international. As observable from the case of Jindo, Namdo folklore has transcended the spatial limits and it is used as a exploring window of time and space to solve numerous riddles. This is where we can be sure that Namdo folklore is an object of special attention from inside and outside. Namdo folklore has new tasks. There is a need to objectively arrange the existing region-level activities and to secure a perspective that covers inside and outside. Through this, the orientation of local ethnic customs can take concrete shape. There is a need for full-scale comparative research on agricultural culture, islets and oceanic culture which are of profound tradition of Namdo. We need to intensify the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Namdo and Okinawa and find new ways to raise the prestige of Namdo folklore in the bigger composition of Eastern Asia.

      • KCI등재후보

        미국민속학사 : 유럽에 뿌리를 둔 미국 초기 민속학

        로저자넬리 ( Rofer I. Janelli )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7 No.-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초기 민속학이 유럽의 학문의 영향을 받아서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의 그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유럽 민속학의 발달은 17세기 영국의 철학자인 존 로크로부터 시작한다. 그리고 존로크의 견해에 대한 반론을 한 독일의 철학자인 칸트와 그의 제자인 헤르더를 들 수있다. 이후 헤르더는 칸트의 주장을 수정하면서 그림 형제가 설화를 수집하는데 원리적 동기를 부여하며, 다른 많은 유럽의 학자들을 고무시켰다. 그리고 영국에서 민속학은 테일러의 영향을 입어 다소 다른 방향을 전개되었다. 미국에서는 정치적, 사회적, 지적 조건들이 민속 수집에 대한 다른 동기를 부여했다. 새로 설립된 미국민속학회의 공식적인 학회지인 미국민속학회지의 첫판은 옛날 영국 민속의 유산, 미국 남부 흑인들의 민간전승, 북아메리카 인디언 부족의 민간전승, 프랑스계 캐나다, 멕시코 등의 민간전승에 대한 과제들을 나열하고 있다. 첫 번째 민속의 과제는 미국 민속학회의 초대 회장이었던 차일드의 학술적 성향을 반영하고 있다. 차일드의 또 다른 업적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키트리지를 가르쳤다는 것이다. 키트리지는 다음에 톰슨을 지도했는데, 그 역시 유럽에 널리 유행했던 민속에 대한 문헌학적 접근에 매우 정통했다. 미국에서 민속학의 초창기 발전에 보다 영향력 있는 인물은 보아스라고 하겠다. 보아스의 관심이 비록 비교문화적 인류학, 형질인류학, 언어인류학, 고고학 등에 걸쳐있지만, 그의 문화에 관련된 대부분의 저술들은 구비서사와 여러 예술적인 자료를 다루고 있었다. 미국 민속학에 미친 보아스의 영향은 그 스스로 유럽에서 기원한 사상을 개조하는 일에 그치지 않고 그의 제자들에게 쏟은 열정에 의해서 지속되었다. 그러나 1940년대, 보아스가 죽고 나자 미국 민속학계에는 인류학자들보다는 문헌학적인 배경을 가진 학자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이후에 미국민속학사는 인류학적 민속학자와 문학적 민속학자들 사이에서 일어난 갈등을 주요 쟁점으로 삼기도 하지만 이런 갈등 못지않게 두 학파 간에 중요한 협조와 협력이 있었다. 미국에서 민속은 원래 유럽의 학문분야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사람들은 결코 유럽의 뿌리를 부정할 수는 없지만, 마찬가지로 다른 여러 가지의 뿌리를 발견할 수 있다. 또한 유럽의 뿌리는 다른 정치적이며 학술적인 입장을 가진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의도적으로 이식되고 경작되어 미국민속학의 학풍을 형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process on how the early American folklore was formed through being influenced by the learning in Europe. The development in European folklore starts from John Locke, who is a philosopher in England for the 17th century. And, the persons, who objected to John Locke``s opinion, may be raised Kant, who is a philosopher in Germany, and his disciple Herder. Since then, Herder had encouraged many of other scholars in Europe with giving a principal motive to Brother Grimm``s collecting tales while modifying Kant``s assertion. And, the folklore in England was developed in the slightly different direction through being influenced by E. B. Tylor. In America, the political, social, and intellectual conditions gave different motive to collection of folk customs. The first version for the American Folklore Society Journal, the formal academic journal in the American Folklore Society, which was newly established, is enumerating tasks on legacy in England``s old folk customs, on popular tradition in black people in the Southern part of America, on popular tradition in Indian tribe in North America, and on popular tradition in French Canada and Mexico. The first task in folk customs is reflecting the academic propensity of Francis James Child, who had been the first president for the American Folklore Society. What can be selected as Francis James Child``s another achievement is that he taught George Lyman Kittredge. Kittredge followed to guide Stith Thompson. He was also very familiar with the bibliographical approach to folk customs, which had been prevalent widely in Europe. The more influential figure upon the development in the pioneer day of folklore in America can be said to be Franz Boas. Even if Franz Boas had interest over comparative-cultural anthropology, physical anthropology, anthropological linguistics, and archaeology, most of his literary works related to culture had addressed oral narration and several artistic materials. The influence of Boas, who had impact on American folklore, didn``t stop at reconstructing the thought, which had itself originated from Europe, it was continued by passion that he devoted to his disciples. However, right after Boas died in the 1940s, American folklore circles came to be appeared scholars who have bibliographical background rather than anthropologists. Since the World War II, the history of American folklore had major issue as a conflict, which occurred between anthropological folklorist and literary folklorist. However, there had been important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wo doctrinal factions with being not inferior to this conflict. People cannot reject the root in Europe at all against the issue on whether the folk customs in America are originally the academic field in Europe. However, other several roots can be discovered likewise. Also, the root in Europe was deliberately transplanted and cultivated by many scholars who have differently political and academic positions, thereby being able to be seen to have been formed the academic traditions in American folklore.

      • KCI등재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 역사민속학(歷史民俗學)의 태동(胎動)과 전개(展開) -손진태(孫晉泰) 민속학(民俗學)을 중심으로-

        송화섭 ( Hwa Seob Song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한국 민속학은 1930년대 초에 태동하였다. 한국 민속 연구의 성립 배경은 일제강점기였으며, 일본에 유학하였던 손진태와 송석하가 선도하였다. 당시 일제 관학자들은 식민통치의 수단으로 역사 연구와 민속 연구에 집중하는 시점이었고, 초창기 민속학자들은 일본인 인류학자의 영향을 받으며 민속학 연구를 전개하였다. 한국 민속학의 개척자인 손진태도 일본 유학중 역사학적 인류학도로서 민속 연구에 강한 집념을 보였고, 많은 연구 업적을 냈다. 손진태 민속학은 민족 문화를 인류학적으로 해석,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국 민속을 원시문화로 기술하는 논조가 강하였다. 손진태의 초창기 민속 연구는 일제가 추구한 제국주의적 인류학 연구에 묵시적으로 동조한 면이 있다. 그러나 1934년 귀국한 이후 10여 년간 식민지 민속학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의 과정을 거치면서 신민족주의 사학자로서 과감하게 변신을 시도한다. 민속학자가 아닌 한국사학자로서 민족사 및 민족문화에 대한 역사관을 드러낸다. 그는 민속학을 민족문화학이라 규정하였다. 현장 중심의 한국 민속 연구가 농촌의 공동체 붕괴로 위기를 맞을상황에 놓여 있다. 한국 민속학의 위기 극복은 “민족문화학으로서의 민속학”이 대안일수 있다. 손진태는 일제하에서 식민지 민속학에 기여하였지만, 자신의 역사관을 재정립한 뒤 해방 이후에는 민족문화학의 정립에 앞장섰다. 오늘날 한국 민속학계도 일제강점기 이후 지속되어 온 식민지 민속학 연구 방법론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거듭나야 한다. 손진태가 제창한 민족문화학으로서 민속학을 실천하고, 민속의 현장을 중시하고 역사 속에서 민속자료를 찾아서 연계시키는 역사민속학 방법론을 적극 수용하는 것이 민속학의 위기 극복의 지름길이라고 본다. Studies on folklore in Korea started in the early of 1930s. Jin-Tae Son and Suk-Ha Song who studied in Japan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were the leaders of the studies. Those were the times when Japanese scholars studied on Korean history and Korean folklore as a way to rule Korea and they influenced on Korean scholars who studied on folklore. The pioneer of the studies on Korean folklore, Jin-Tae Son, had a strong interest in Korean folklore while he was in Japan and made remarkable achievement in the field. His early studies described Korean folklore as a primitive culture which shows that he agreed with the Japanese scholars who studied anthropology to control Korea. However, after he returned to Korea in 1934, he regretted his previous studies and turned into a neo-nationalist. He revealed his ideas on Korean history and nationalistic culture as a Korean historian. He prescribed folklore as national culturism. Studies on Korean folklore is on the verge of collapse with the breakdown of village community. The conquest of the crisis can be an alternative of folklore. Jin-Tae Son l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culturism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while contributed on the folklore with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Today, Korean scholars who study on Korean folklore should change their way to study which they took after the Japanese scholars. We should study folklore in the way of Jin-Tae Son’s national culturism, consider the spots of folklore seriously and accept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folklore and it can be an way to overcome the risk which we have today in studies on folklore.

      • KCI등재

        민속의 영역체계 확장과 활용

        나경수 ( Na Kyung-soo ) 남도민속학회 2017 남도민속연구 Vol.34 No.-

        오늘날 민속학은 주류 학문이 아니다. 이는 비단 한국만의 현상은 아닐 것이다. 태생적한계로 인해서 비롯된 결과일 수 있다. 서구에서 시작된 민속학이 `과거의 문화`, `하층민의 문화`, `구비전승되는 문화` 등으로 대상을 한정했던 것이 그 한계의 원인이라 하겠다. 서양에서는 folklore라는 말이 19세기에 조어가 되었다. 그러나 동양에서 민속은 최소 2,500여년 전부터 사용해온 낱말이다. 특히 동양의 민속 개념에는 과거, 하층민, 구비전승등을 함의하고 있지 않다. 동양에서 사용해온 민속의 개념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방대한 고적 자료를 정리하고 검토하는 집단지성의 참여가 필요하다. 우선 동양의 三間論에 근거하여 민속의 영역 확장을 추구해보자면 3가지 분야의 설정이 가능하다. 공간의 영역(지리)으로서 비교민속, 시간의 영역(역사)으로서 역사민속, 그리고 인간의 영역(사회)으로서 사회민속이 그것이다. 한편 민속의 현재적 활용을 위해서는 전제적으로 3가지 정도의 고려사항이 필요하다. 첫째는 시간자원의 시대가 도래했기 때문에 재생문화자원로서 민속의 가치를 고려하는 것, 둘째는 서구사회의 선망에서 비롯된 외형문화를 반성하면서 기층문화로서의 민속을 고려하는것, 셋째는 문화콘텐츠사업에 있어서 OSMU의 일방적 방향을 지양하고, 이제 민속을 바탕으로 하는 MSOU의 방향을 지향해가는 일이다. Today, the folkloristics is not the mainstream study, which might not be just applied to Korea. It might be caused by its original limitation. The cause for this limitation could be found from the fact that the folkloristics originated from the West limited its subjects to `culture of the past`, `culture of lower classes`, and `culture orally transmitted`. In the West, the word `folklore` became a coined word in the 19th century. However, in the East, it has been used for minimum 2,500 years. Especially, the concept of folklore in the East does not imply meanings such as past, lower classes, and oral transmiss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concept of folklore used in the East, it would be needed to be participated by collective intelligence to summarize/review the massive classic ground in the future. First, when pursuing the expansion of folklore domain based on the East `Samganron`, total three areas could be set up such as comparative folkloristics in the area of space(geography), historical folkloristics in the area of time (history), and social folkloristics in the area of human(society). Meanwhile, for the current utilization of folklore,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three things. First, in the era of time resources, the value of folklore should be considered as reproductive cultural resources. Second, reflecting on the appearance culture originated from the envy of the Western society, the folklore should be considered as a basic culture. Third, rejecting the wrong direction of OSMU in the cultural contents business, the direction of MSOU based on folklore should be pursued.

      • KCI등재

        농경활동을 소재로 한 민속놀이의 창출과 문화재화 시도 -제천 봉양파대놀이의 사례-

        배영동 ( Young Dong Bae ),강종원 ( Jong Won Kang )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이 연구는 전통적 농경활동이 오늘날 민속놀이로 창출되는 현상과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충북 제천 봉양읍에 있는 ‘파대놀이’이다. 이 놀이의 원천문화는 20세기 전반까지 농촌의 수확기에 ‘태기’(표준어: 파대)를 이용하여새를 쫓던 ‘태기치기’라는 농경활동이었다. 이러한 전통적 농경활동이 어떠한 상황에서, 무엇 때문에 민속놀이로 창출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창출된 민속놀이의 등장과활용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파대놀이는 극히 최근에 지자체, 놀이 기획자, 지역문화 기관이 주도하여 만든 것이다. 전통적 연행주체와 다른 오늘날의 연행주체는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파대놀이를 수용하여 연행하였다. 지자체는 공식적으로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고자 파대놀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매년 열리는 충북민속예술축제와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이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한 의도가 작용하였다. 파대놀이는 2006년 제13회 충북민속예술축제를 겨냥하여 처음 만들어졌으며, 무형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하여 창출주체와 연행내용이 몇 차례 바뀌었다. 그뿐만 아니라 파대놀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놀이 창출활동, 학술활동, 수시 연행활동, 보존단체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예술축제에서 몇 차례 연행되다가 기대했던 수상실적이 나오지 않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하자 전승이 중단되다시피 하였다. 지자체에서 기획된 대부분의 민속예술은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파대놀이는 원천문화 태기치기로부터 탈맥락화된 민속놀이일 뿐만 아니라, 놀이 기획자가가 원천문화와 관련이 없는 연행예술을 풍성하게 덧붙여서 만들고 이를 몇 차례 개편한 현대판 놀이였다. 태기치기와 같이 실용을 추구하는 기술적 활동에는 실존적 진정성의 원천문화가 있는 바, 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를 기대했다면 문화재보호법의 취지에 맞게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지 말아야 했고,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여 만든 현대판 놀이라면 예술축제에서 호평을 받고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서 보람을 찾아야 바람직하다. 파대놀이 창출은 전통적 전승주체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아니라, 정책적.제도적 지원에 힘입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놀이 기획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농경문화의 전통을 현대의 공공민속(public folklore)으로 만들려는 시도라고 하겠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창출주체와 연행주체가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속놀이가 아니고, 그밖의 단체나 사람들도 아직은 필요로 하거나 활용하기 어려운 단계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vention of folk play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adae Nori’ performed at Bongyang-eup, Ja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Padae Nori’ originated from ‘Taegichigi’, an agricultural activity performed to deter birds from ripe grains in the harvest season using tool of a braided straw rope. This activity last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and in what situation an agricultural activity was transformed into folk play, and understand the advent of folk play invented in modern society, and its social application. ‘Padae Nori’ was recently inv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a play planner and a cultural organization in the region. Today’s performance host as well as the traditional performance host of ‘Padae Nori’ accepts and performs the play irrespective of his or her intention. It is sai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ly invented this play to preserve and publiciz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but behind the stage, the government had the intention to get the pla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Padae Nori’ is not only a decontextualized folk play that originated from ‘Taegichigi’, archetypal culture, but also a modern play that has been enriched into a performing art by a play planner irrespective of archetypal culture which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Padae Nori’ was not invented from the voluntary needs by those in charge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its archetypal culture. This play can be said to have been an attempt to transform a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y into a kind of public folklore with the support and policies of institutions. The local government also played a central ro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 play planner.

      • KCI등재

        민속마을 보호,지정제도의 문제점 및 방향 -광주 칠석동 사례를 중심(中心)으로-

        이용식 ( Yong Sik Lee ) 남도민속학회 2012 남도민속연구 Vol.25 No.-

        민속마을 지정의 근간이 되고 있는 문화재보호법은 ‘건조물 중심’의 원형보존개념에 기초하고 있어 변화하는 생활의 요구를 전혀 수용치 못하는 모순을 안고 있다. 또한 건축물중심의 지정정책은 가치 있는 민속문화재들이 급속하게 훼손되는 상황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문화재청에서는 민속마을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지정에 대한 외연을 확대함으로 훼손이 더 진행되기 전에 보존, 전승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민속마을 다양화 기초 조사 및 지정연구”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민속마을 경관 및 민속전통의 전승이 비교적 양호하다고 판단되는 마을을 각 지역별로 전문가들에 의해 50개 마을을 선정하고, 추후 7개 마을을 선정하여 민속마을 지정 다양화에 따른 지정권유 마을로 추천하게 되었다. 한편 일본과 중국의 민속마을지정에 관한 사례에서 보면 일본 전통마을의 보호·관리시스템 속에는 법·제도에 의한 강제성보다는 자발적인 주민활동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민속마을지정제도도 8개 유형분류를 통해 지정 다양화를 하고 있다. 중국 사례에서 보면 중국은 그 법적 제도의 특징으로 헌법을 모법으로 하여 종횡적인 법체계에서 문화재 보존을 위한 항목이 다양한 수준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런 체계적이고 섬세한 제도적 시스템을 바탕으로 전통마을을 유지하고 있다. 지정권유마을로 추천된 대상 중 이곳 소재지인 칠석마을은 ‘고싸움놀이’를 보존, 전승하고 있고 정월 대보름엔 ‘고싸움축제’를 개최하고 있는 등 다양한 문화적 자산을 지닌 곳으로 조사되어 민속마을로 추천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종심사결과 무형문화재를 꾸준히 전수해 오고는 있으나 뚜렷한 와가가 없고 마을이 전통문화경관과는 거리가 멀어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되었다. 이처럼 기초 연구결과를 무시하게 된 것은 민속마을 지정에 관련된 법적근거 및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담당자들의 인사이동에 의해 민속마을 바라보는 정책의 관점도 바뀌면서 마을 주민과 연구자들의 가슴에 상처만을 남긴 채 다음을 도모하게 되었다. 지정정책의 향후 방향으로는 좀 더 법적체계를 우리 실정에 맞게 정확하게 수립하고 현재 근대문화재과에서 담당하고 있는 민속마을 지정에 관한 주무 부서를 문화재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배치·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건조물 중심의 ‘전통건조물 보존지구’와 생활민속 중심의 ‘전통민속문화보존지구’로 나누어 지정함으로써 지정다양화와 함께 민속마을을 효율적으로 지정하고 관리하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e folk village designation is ba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but ground principle is conservation concept of architecture, it can not accept varying life needs, and Folk cultural asset worth is rapidly destroyed to make problems in situation where policies focus on the building as propert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ducted “The study on the foundation of diversify way and designation of the folk village” in order to find ways to preserve tradition, acknowledge the diversity of the folk villages, extend the scope of cultural property designation to prevent the further demage progress. The study also put 50villages in each region on the list by experts where are relatively good landscape and folk traditions, afterwards 7 villages were selected to the recommended folk villages for the designation according diversifying the folk villages. In the Japanese traditional village protection and management system, the voluntary works by inhabitants are more active rather than compulsion by the law and the plan. Also the system of folk village designation has the eight types of classification. In the case of China, it has wide rang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in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law system based on the constitution. So China maintains traditional village based on institutional and delicate system. Chilseok Village is recommended to designate one of folk villages where has passed down traditional play ‘Gossaum’ and held ‘New year’s full moon festival’ with diverse cultural assets. However the villager had final inadequate judgment, even though they have handed dow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steadily, because there are neither distinct traditional tile roofed houses nor traditional land scape. The reason why the fundamental research result was ignored is that legal basis and standards of the folk village designation are not clear as well as when the personnel reshuffled, the policy perspective was unstable. The villagers and researchers are disgruntled and wait next chances. As the direction of future policy, the legal framework needs to be established to suit our situation accurately. The competent department belong to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division, charging for folk village designation, should be adjusted and arranged up to cultural heritage’s characters such as it could be divided to ‘preservation district of Traditional Buildings’ in architecture part and ‘preservation district of folk culture’ in living folk part, It could be effective management system and diversify designation of the folk villages.

      • KCI등재

        진도 치기형 민속놀이의 전승 현장과활성화 방안

        이옥희,하미순,이경엽,나경수 남도민속학회 2024 남도민속연구 Vol.47 No.-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hit-type folk game handed down in the Jindo region, examined its transmission patter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field research, and proposed its characteristics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ways to revitalize it. Hit-type folk game includes children’s play, adult play, men’s play, and women’s play. Overall, it is a cultural correlation that allows us to see through our traditional play culture. There is a need to re-recognize the importance of everyday play that even people without special skills or entertainment can participate in and that can be enjoyed on a regular basis, not just during special times Hit-type folk games have a variety of play methods and are also games that contain oral expressions and traditional knowledge. Tools are often used when playing chigi-type folk games. It includes not only amusement equipment but also household and crafting tools. In addition, hit-type folk game ha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angible heritage in that it is a game that reflects the local lifestyle and philosophy of life. Hit-type folk gamei is a universal game that is passed down in other regions as well. Therefore, the form and content of play are not much different from other regions. However, Jindo local residents have strong vitality and resilience in folk culture and arts.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area to seek and realize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culture, which is becoming a residual culture. Just as most traditional games are neglected by modern people and are in danger of being cut off from their transmission, the same goes for hit-type folk games. As a way to avoid this, we propose grouping of individual plays. In addition, a creative perspective is needed to transform residual culture into regenerative culture by linking it with digital-based online business. In addition, to revitalize the region, it was proposed to create a hit-type folk game theme park and hold a hit-type folk game competition.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form the Jindo region residents-centered tentative name “Jindo hit-type Folk Game Preservation Society.” Only when the private sector, institutions, business community, and academia cooperate will we be able to secure sustainability rather than just a one-off reproduction 본고에서는 진도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치기형[打型] 민속놀이에 주목하여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통해 전승 양상을 살피고, 무형유산으로서의 특징과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치기형 놀이는 아동놀이, 성인놀이, 남성놀이, 여성놀이를 망라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우리의 전통적인 놀이문화를 관통할 수 있는 문화적 상관물이다. 특별한 기예능을 갖추지 않은 사람도 참여할 수 있고, 특별한 시기가 아닌 평소에도 즐길 수 있는 일상적인 놀이에 대해서도 중요성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치기형 민속놀이는 치기놀이 특유의 다채로운 전개방식이 있고, 구전표현과 전통지식이 담겨있는 놀이이다. 치기형 민속놀이를 할 때에는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놀이도구뿐만 아니라 생활도구와 생산도구까지 포함한다. 놀이도구의 재료를 선택하고, 제작하고 활용하는 과정마다 사람들이 터득하고 있는 전통지식이 동원된다. 또한 치기형 민속놀이는 지역의 생활상과 생활철학이 반영된 놀이라는 점에서 무형유산으로서 특징을 갖고 있다. 치기놀이는 다른 지역에서도 전승되는 보편적인 놀이이다. 따라서 놀이의 형편과 내용은 다른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진도 지역민들은 민속문화예술에 대한 실제적인 활력과 탄력이 강하므로, 잔존문화가 되어가고 있는 전통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현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다. 대부분의 전통놀이가 현대인들에게 외면받고, 전승 단절의 위기에 처해있듯이 치기형 민속놀이도 마찬가지이다. 이를 탈피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개별놀이의 집합화(grouping)를 제안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반 사업과 연동하여 잔존문화를 재생문화로 전환하려는 창의적 시각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지역활성화를 위해 치기형 민속놀이를 테마로 한 액티비티(activity) 창안과 치기형 민속놀이 대회 개최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주민 중심의 “치기형민속놀이보존회”의 결성이 필요하다. 민간, 기관, 재계, 학계가 협력해야 일회성 재현에 끝나지 않고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주민이 경험하는 민속문화 소통의 현주소와 전망

        이옥희 ( Ok Hee Lee ) 남도민속학회 2011 남도민속연구 Vol.23 No.-

        이 글에서는 전라남도 화순군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민속문화가 소통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정책과 사업을 살펴본 결과, 이주민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가서로 소통되기 보다는 한국의 문화가 전달되는 측면이 강했다. 그리고 한국의 기층문화라고 할 수 있는 민속문화의 소통은 극소수일 뿐이었다. 민속문화가 소통되기 위해서 정책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될 사항들이 있다.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사업은 온정적 시혜적 차원에서가 아니라 결혼이주민 모국에 대한 상호존중의 차원에서 이루어져 한다. 또한 모든 사업이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장기적인 계획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결혼이민자 뿐만 아니라 결혼이민자 가족에 대해서도 같은 비중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제도교육 속에서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성에 대한 깊은 성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호문화 소통을 위한 교육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것이 민족의 정체성을 담고있는 민속문화라는 점을 놓쳐서는 안 된다. 또한 결혼이민자의 삶을 통해서 민속문화가 상호 소통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구술면담을 했는데 이들은 한국의 민속을 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만나고 체험하고 받아들이고 있었다. 그들은 한국 민속문화의 전승자의 위치에 서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비해 출신국의 민속은 경제적으로 덜 발달된 나라의 저급한 문화로 인식되어 거의 소통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들은 출신국의 민속문화를 향유하지 못함을 슬프게 생각했다. 음식문화는 미약하게나마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소통의 주체는 바로 시어머니와 며느리로 이어지는 여성들이었다. 생활 속에서 서로의 민속에 대해 이해하고 조금씩 받아들이는 일들이 많아진다면 민속문화 소통의 길도 조금씩 열릴 수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편 현실에서 결혼이주민들을 더욱 힘들게 하는 것은 이야기를 나눌 대상이 부재함과 경제적 빈곤, 자녀교육 문제, 남편이나 시부모와의 갈등 등이었다. 다문화사회의 해법을 다문화주의로만 해결할 수 없으며 한국의 정치사회현실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있음을 시사한다. It studied the pattern of communication of national cultures in married emigrants who live in Hwasun-sun, Jeollanam-do. As the result of examining governmental and community policies and projects, it was found that the culture of emigrants and Korean culture do not communicate each other, but Korean culture is unilaterally conveyed. Communication between our national culture, also referred to as the underlying culture of Korea, and emigrants’ culture has been rarely made. To fluently communicate our national culture, there are several political requirements to be done. Projects for married emigrants are not for showing compassion and dispensation, but it should be performed with mutual respect for their country. All projects should not be just one-off thing, but carried outaccording to long-term plans. For that, systemic education for their Korean family, as well as emigrants, must be done to understand mutual cultures, reflecting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t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addressed in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the national culture with national identity. In addition, it examined the patter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married emigrants’ life through oral interviews, indicating that they naturally encounter, experience and accept Korean national culture in their life in Korea. It may be fairly said that they also pass down Korean national culture. On the other hand, as their culture has been recognized as low level culture of an undeveloped country, it has been rarely communicated. As our results, emigrants are sorrowful for not enjoying their own culture in Korea. Some of their food culture is communicated between the Korean husband’s mother and the foreign daughter-in-low. It is expected that if they more accept and understand the differences each other more than ever before, communication between national cultures might become better. To burden married emigrants more in their living is that there is the absence of who they can share their feeling with, economic deprivation, child education, and conflicts with her husband or his mother. Multiculturalism only cannot completely resolve the problems of such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those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and political realities of Korea.

      • KCI등재후보

        일본민속학사 : 일본 민속학의 발자취와 전망 -야나기타(柳田) 민속학과의 관계로부터-

        사노겐지 남도민속학회 2008 남도민속연구 Vol.16 No.-

        야나기타 구니오는 민속학이란 일본인과 일본문화라는 것이 무엇인가를 과학적으로 묻는 것이며, 인간의 행복을 실현하기 위한 경세제민의 학문이라고 했다. 1930년 대에 야나기타 민속학은 형태를 갖추게 된다. 일본 민속학의 전개는 야나기타 구니오의 생애, 학문에 대한 자세와 대부분 겹치는데, 야나기타 민속학과 전후 전개해 온 일본 민속학은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다. 민속학의 활성화와 재생의 길은 현실의 사회문제를 직시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만 한다. 근대사회의 민속학적 관심의 시초는 에도시대의 국학에 있다. 국학이란 외래사상에 영향 받지 않은 일본 고래의 문화로, 일본 고전이나 고대 역사 속에서 발견해 가고자한 학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유풍과 흔적이 시골 생활 속에 남아 있다는 것을 국학의 대성자 모토오리 노리나가는 지적했다. 한편 쓰보이 쇼고로는 진화주의적 인류학의 입장에서 풍속과 관습에는 전시대의 잔존이 인정되어 각지에서 토속 조사를 실시해 그결과를 비교하면, 풍속과 관습의 기원이나 변천이 증명된다고 주장했다. 일본 민속학은 에도시대 국학의 흐름을 잇기는 하였으나, 메이지 전기 영국 인류학을 소개한 쓰보이 쇼고로의 토속학 등의 영향도 받은 것이다. 근대 과학으로서의 일본 민속학의 탄생기는 1910년부터 1935년까지이다. 일본사회는 메이지유신에 의해 근대화가 급격하게 진행 되었으나 1920~1930년대에 걸쳐 전통적인 생활문화를 재평가하여 근대화의 의미를 상대화한 운동이 활발하게 행해졌다. 각 분야의 활동 목적이나 성격은 다르지만, 근대화 속에서 망각되고 낮은 평가밖에 받지 못했던 농산어촌의 전통적 생활문화에 존재의미가 있는 것을 구체적 사례를 통해 제시했다. ‘민속’이라는 말에는 근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재평가 입장의 표명과 그 생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운동론으로서의 뉘앙스가 있었다. 전후 민속학은 야나기타 민속학과 결별해 독립과학으로서 일본 민속학의 정립화로 특징지을 수 있지만, 오늘날까지 일본 민속학은 야나기타 민속학의 틀을 초극하는 데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야나기타의 경세제민의 학문으로서의 민속학을 계승하는 한편, 일본 민속학의 수립에 진력한 미야타 노보루가 사망한 2000년까지를 민속학의 성장기라고 할 수 있다. 야나기타 사후 일본 민속학의 담당자로서는 대학과 지방 민속학회의 활동이 있고,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민속쇠멸에 대한 문화재적 관심이 민속지 작성의 기운을 고양했다. 메이지 시대를 산 야나기타가 피했던 테마라고 할 수 있는 ‘여성·성·차별’이라는 문제를 미야타는 민속학적 시점에서의 연구에 몰두하였다. 그리고 민속학은 그 종합성에 의의가 있다고 한 논의로, 현재의 민속학은 ‘역사민속학·지역민속학·비교민속학·종교민속학·신도민속학·불교민속학·환경민속학·도시민속학·여성민속학·관광민속학·응용민속학’ 등으로 그 모습을 갖춘 민속학이 많아지고 있고, 이러한 민속학의 세분화를 현대 민속학의 경향이나 동향의 하나로 지적할 수 있다. 야나기타의 민속학은 일국민속학이라고 하지만, 그것은 ‘향토’의 범위인식의 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회전축에서부터 향토의 범위는 넓어질 수 있으며, 야나기타가 말한 세계 민속학도 정보화 사회인 오늘날에는 실현의 가능성에 더 가까워졌다. 종래 사람의 구별인 ‘인종’·‘민족’·‘국민’·‘계급’을 넘어서 생활문화 수준에서의 공감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공속의식을 가진 ‘세계 상민’이라는 개념이 오늘날의 세계에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농경활동을 소재로 한 민속놀이의 창출과 문화재화 시도 -제천 봉양파대놀이의 사례-

        배영동,강종원 남도민속학회 2014 남도민속연구 Vol.28 No.-

        This study analyzes the invention of folk play from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Padae Nori’ performed at Bongyang-eup, Jaecheon City, Chungbuk Province, in South Korea. ‘Padae Nori’ originated from ‘Taegichigi’, an agricultural activity performed to deter birds from ripe grains in the harvest season using tool of a braided straw rope. This activity lasted until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and in what situation an agricultural activity was transformed into folk play, and understand the advent of folk play invented in modern society, and its social application. ‘Padae Nori’ was recently invented by the local government, a play planner and a cultural organization in the region. Today’s performance host as well as the traditional performance host of ‘Padae Nori’ accepts and performs the play irrespective of his or her intention. It is said that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ly invented this play to preserve and publicize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region, but behind the stage, the government had the intention to get the play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Padae Nori’ is not only a decontextualized folk play that originated from ‘Taegichigi’, archetypal culture, but also a modern play that has been enriched into a performing art by a play planner irrespective of archetypal culture which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Padae Nori’ was not invented from the voluntary needs by those in charge of the traditional inheritance of its archetypal culture. This play can be said to have been an attempt to transform a traditional agricultural activity into a kind of public folklore with the support and policies of institutions. The local government also played a central ro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 play planner. 이 연구는 전통적 농경활동이 오늘날 민속놀이로 창출되는 현상과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대상은 충북 제천 봉양읍에 있는 ‘파대놀이’이다. 이 놀이의 원천문화는 20세기 전반까지 농촌의 수확기에 ‘태기’(표준어: 파대)를 이용하여 새를 쫓던 ‘태기치기’라는 농경활동이었다. 이러한 전통적 농경활동이 어떠한 상황에서, 무엇 때문에 민속놀이로 창출되었는지를 밝힘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창출된 민속놀이의 등장과 활용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파대놀이는 극히 최근에 지자체, 놀이 기획자, 지역문화 기관이 주도하여 만든 것이다. 전통적 연행주체와 다른 오늘날의 연행주체는 자신들의 의지와 무관하게 파대놀이를 수용하여 연행하였다. 지자체는 공식적으로 지역의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고자 파대놀이를 만들었다고 한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매년 열리는 충북민속예술축제와 한국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이어서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기 위한 의도가 작용하였다. 파대놀이는 2006년 제13회 충북민속예술축제를 겨냥하여 처음 만들어졌으며, 무형문화재 지정을 목표로 하여 창출주체와 연행내용이 몇 차례 바뀌었다. 그뿐만 아니라 파대놀이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놀이 창출활동, 학술활동, 수시 연행활동, 보존단체의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예술축제에서 몇 차례 연행되다가 기대했던 수상실적이 나오지 않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하자 전승이 중단되다시피 하였다. 지자체에서 기획된 대부분의 민속예술은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고 본다. 파대놀이는 원천문화 태기치기로부터 탈맥락화된 민속놀이일 뿐만 아니라, 놀이 기획자가가 원천문화와 관련이 없는 연행예술을 풍성하게 덧붙여서 만들고 이를 몇 차례 개편한 현대판 놀이였다. 태기치기와 같이 실용을 추구하는 기술적 활동에는 실존적 진정성의 원천문화가 있는 바, 이를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기를 기대했다면 문화재보호법의 취지에 맞게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지 말아야 했고, 원천문화의 이치를 변형하여 만든 현대판 놀이라면 예술축제에서 호평을 받고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놀이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데서 보람을 찾아야 바람직하다. 파대놀이 창출은 전통적 전승주체의 자발적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정책적․제도적 지원에 힘입어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놀이 기획자가 참여하는 가운데 농경문화의 전통을 현대의 공공민속(public folklore)으로 만들려는 시도라고 하겠다. 하지만 파대놀이는 창출주체와 연행주체가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민속놀이가 아니고, 그 밖의 단체나 사람들도 아직은 필요로 하거나 활용하기 어려운 단계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