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의 지역 극장 소화관(昭和館)의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1931년 설립부터 1968년 폐업까지 운영 상황을 중심으로 -

        김남석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0 항도부산 Vol.40 No.-

        Sohwagwan is a theater established in Busan in December 1931 and has been a major theater in Busan since the 1930s. The theater owner was Sakuraba Fujio, and Sakuraba Fujio was one of the maintainers of Busan theater district, who operated the existing theater Haenggwan and influenced the theater industry in Busan. When Haenggwan, a representative theater in Busan in the 1920s, burned down in a fire in 1930, Sakuraba Fujio built Haenggwan in a different location from the existing location. The location of the new theater was the main road of Jangsutong, where ‘Wookgwan-Taepyeonggwan-Boraegwan’ was located. As a result, a new theater of digestion Sohwagwan could be established, rather than a traditional Haenggwan. The opening of the Sohwagwan played a role in actively leading the activities of Busan theater district, and form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turn the center of the theater into the vicinity of the main road of Jangsutong. From this point on, Sohwagwan is included in the three major theaters of the Busan Theater District, and has grown into a theater that leads the Busan theater industry along with the existing Boraegwan and Sangsaenggwan. Sohwagwan survived Korea's independence and operated as the unchanging center of Busan Theater District in the 1950s and 60s. Sohwagwan changed its name to Choseon-Theater with liberation in 1945, reborn as Donga-Theater in 1949, operated as a theater until 1968, and showed off its building as a theater in the 1960s. This study intends to trace the historical flow from the establishment(new construction) of Sohwagwan. In addition,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establishment, surrounding environment, location determination, building appearance, management strategy, introduction of keys, related facilities, public relations strategy, screening movie (list), and operation method. Subsequentl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operational examples and characteristics of Choseon-Theater and Donga-Theater following the transition of Sohwagwan after Korea's independence. 소화관은 1931년 12월 부산에서 개관한 극장으로, 개관 이후 1930년대 부산의 주요 극장으로 운영된 유서 깊은 극장이었다. 사주는 櫻庭藤夫였는데, 櫻庭藤夫는 기존 극장 행관을 운영하며 부산의 극장업을 주도하던 부산 극장업계의 실세 중 한 사람이기도 했다. 1920년대 부산을 대표하는 극장인 행관이 1930년에 화재로 전소하자, 櫻庭藤夫는 행관을 기존 위치와는 다른 위치로 이전하여 새로운 극장을 건축하였다. 새로운 극장 자리는 ‘욱관-태평관-보래관’이 위치하던 장수통의 주도로 인근이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행관이 아닌, 새로운 극장 소화관이 설립될 수 있었다. 소화관의 개관은 부산 극장가의 운영을 더욱 활발하게 이끄는 역할을 수행했고, 극장가의 중심을 장수통 일대의 주도로 근처로 이전하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 이때부터 소화관은 부산 극장가의 ‘3대 극장’에 포함되며, 기존 보래관·상생관과 함께 부산 극장업을 이끄는 극장으로 부상했다. 소화관은 해방 이후에도 존속하여, 1950~60년대 부산 극장가의 변함 없는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1945년 해방을 맞으면서 소화관은 ‘조선극장’으로 그 명칭을 변경했고, 1949년에는 주식회사 동아극장으로 재탄생했으며, 이후 1968년까지 상영관으로 운영될 정도로 1960년대에도 운영상의 건재를 과시했다. 본 연구는 소화관의 설립(신축)부터 그 역사적 흐름을 추적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도정을 따라, 설립 의도, 주변 환경, 위치 비정, 건물 외형, 경영 전략, 사주 소개, 관련 시설, 홍보 전략, 상영 영화(목록), 운영 방식 등을 논구하고자 한다. 이어서 해방 이후 소화관의 변천 자취를 따라, 조선극장과 동아극장으로서의 운영 사례와 그 특징에 대해서도 논구할 것이다.

      • KCI등재

        영화상설관 ‘행관(幸館)’의 신축과 운영으로 살펴 본 ‘부산 극장가(劇場街)’의 변전과 그 의미 연구

        김남석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29 No.-

        Haengjwa is the first theater in Busan. Since 1903, the existence of Haengjwa has been proved, and this Haengjwa has been transformed into a new theater hall in 1915. The change from Haengjwa to Haenggwan does not mean only a silent theater change. The establishment of Haenggwan means the new boom of Busan's theaters street, which began to be built around Haengjwa. This new boom can help to understand the fluctuations of Busan's coastal theaters street. At the time of the 1910s boom, the Kabuki-style theater which had been around since the 1900s was withdrawn(upgraded/ renovated), and the number of permanent theaters increased, and Busan's theaters street was temporarily restructured. Haenggwan, together with Boraegwan and Sangsaengkwan, became the leading theater of this trend. Then in 1930 Haenggwan was in a crisis again due to a big fire in Nambinjeong. At the same time, the natural transformation of Haenggwan has become a key driving forc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Busan theater market, in line with the opening of the theater exterior since the mid-1920s. 桜庭藤夫(Fugio Sakuraba), who was the owner of the Haenggwan in the 1920s, planned a new theater that could replace the burnt Haenggwan. However, the theater was built under the new name Sohwagwan on the site near the competition theater Boraegwan, not the place where it was originally located. Since then, Boraegwan and Sohwagwan have operated as competition theaters facing the road. Since independence, both theaters have emerged as important cinematic assets of Busan. Especially after a lifetime as a movie theater, Sohwagwan still remains a past heritage of the BIFF square. 부산의 ‘행좌’는 부산 최초 극장으로 공인되는 극장이다. 1903년부터 행좌의 존재는 증명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행좌는 1915년 증축을 통해 새로운 극장 ‘행관’으로 변모한다. 행좌에서 행관으로의 변모는, 비단 한 극장의 변화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행관의 탄생은 행좌를 중심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부산 극장가의 신축 붐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신축 붐을 통해 극장가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10년대 신축 붐이 일어나는 시점에는 1900년대 무렵 들어섰던 가부키 식 극장이 물러나고(증/개축), 그 대신 상설영화관 위주의 극장 풍토가 조성되면서 부산 극장가가 일시적으로 재편되기에 이르렀다. 행관은 보래관, 상생관과 함께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고 대표하는 극장이었다. 1930년 남빈정 대화재로 인해 행관은 다시 위기에 처한다. 때마침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터 펼쳐진 극장 외관의 단장 사업과 맞물려, 행관의 자연스러운 변신은 부산 극장가 변전의 핵심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1920년대 행관의 사주였던 사쿠라바 후지오(櫻庭藤夫)는 전소된 행관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극장을 기획하는데, 이 극장은 기존 부지가 아닌 보래관 인근 지역에 새로운 극장 이름인 소화관으로 건립되었다. 이후 보래관과 소화관은 행길을 마주보고 위치한 경쟁 극장을 운영되었다. 이후 해방 이후 두 극장은 부산의 중요한 영화적 자산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소화관은 영화관으로서의 수명이 다한 이후에도 여전히 비프 광장을 지키며 과거의 유산으로 남아 있다.

      • KCI등재

        영화상설관 ‘행관(幸館)’의 신축과 운영으로 살펴 본 ‘부산 극장가(劇場街)’의 변전과 그 의미 연구

        김남석 ( Kim Nam-seok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8 No.-

        부산의 ‘행좌’는 부산 최초 극장으로 공인되는 극장이다. 1903년부터 행좌의 존재는 증명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행좌는 1915년 증축을 통해 새로운 극장 ‘행관’으로 변모한다. 행좌에서 행관으로의 변모는, 비단 한 극장의 변화만을 뜻하지는 않는다. 행관의 탄생은 행좌를 중심으로 조성되기 시작한 부산 극장가의 신축붐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신축 붐을 통해 극장가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1910년대 신축 붐이 일어나는 시점에는 1900년대 무렵 들어섰던 가부키 식 극장이 물러나고(증/개축), 그 대신 상설영화관 위주의 극장 풍토가 조성되면서 부산극장가가 일시적으로 재편되기에 이르렀다. 행관은 보래관, 상생관과 함께 이러한 흐름을 주도하고 대표하는 극장이었다. 1930년 남빈정 대화재로 인해 행관은 다시 위기에 처한다. 때마침 1920년대 중반 이후부터 펼쳐진 극장 외관의 단장 사업과 맞물려, 행관의 자연스러운 변신은 부산 극장가 변전의 핵심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었다. 1920년대 행관의 사주였던 사쿠라바 후지오(櫻庭藤夫)는 전소된 행관을 대신할 수 있는 새로운 극장을 기획하는데, 이 극장은 기존 부지가 아닌 보래관 인근 지역에 새로운 극장 이름인 소화관으로 건립되었다. 이후 보래관과 소화관은 행길을 마주보고 위치한 경쟁 극장을 운영되었다. 이후 해방 이후 두 극장은 부산의 중요한 영화적 자산으로 부상하였다. 특히 소화관은 영화관으로서의 수명이 다한 이후에도 여전히 비프 광장을 지키며 과거의 유산으로 남아 있다. Haengjwa is the first theater in Busan. Since 1903, the existence of Haengjwa has been proved, and this Haengjwa has been transformed into a new theater hall in 1915. The change from Haengjwa to Haenggwan does not mean only a silent theater change. The establishment of Haenggwan means the new boom of Busan's theaters street, which began to be built around Haengjwa. This new boom can help to understand the fluctuations of Busan's coastal theaters street. At the time of the 1910s boom, the Kabuki-style theater which had been around since the 1900s was withdrawn(upgraded/ renovated), and the number of permanent theaters increased, and Busan's theaters street was temporarily restructured. Haenggwan, together with Boraegwan and Sangsaengkwan, became the leading theater of this trend. Then in 1930 Haenggwan was in a crisis again due to a big fire in Nambinjeong. At the same time, the natural transformation of Haenggwan has become a key driving force for the transformation of the Busan theater market, in line with the opening of the theater exterior since the mid-1920s. 櫻庭藤夫(Fugio Sakuraba), who was the owner of the Haenggwan in the 1920s, planned a new theater that could replace the burnt Haenggwan. However, the theater was built under the new name Sohwagwan on the site near the competition theater Boraegwan, not the place where it was originally located. Since then, Boraegwan and Sohwagwan have operated as competition theaters facing the road. Since independence, both theaters have emerged as important cinematic assets of Busan. Especially after a lifetime as a movie theater, Sohwagwan still remains a past heritage of the BIFF square.

      • KCI등재

        일제강점기 대구의 극장 연구

        김석배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aters in Daegu, and the mass culture formed around them through many kinds of data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erest in building a movie theater in Daegu occurred in the summer of 1905, and Sangjeonryeoksong attempted to build a movie theater similar to Haengjwa in Busan in the early March of 1906, but it failed. In March, 1907, at Geumjeong, Jungchonhuiil built Geumjwa, the first theater in Daegu. In 1911, at Daehwajeong, Sibwoncharang set up Daegugurakbu, the first movie theater in Daegu. In January, 1916, there was a movie theater, Chilseonggwan at Chonsangjeong, whose name was changed to Daeyeonggwan(August, 1924), Daegyeonggwan(January 1, 1929), and Horakgwan(August 12, 1933) in turn. In late October, 1917, Daegujwa, a drama theater was opened at Jeonjeong. On August 31, 1920, Joseongwan, a movie theater for Koreans, was opened at Gyeongjeong, but it was burned down on December 21, 1920. On March 7, 1923, Mangyeonggwan, a movie theater for Koreans, was opened at the place of the former Joseongwan. There was a movie theater, Daesonggwan at Jeonjeong in 1923. Its name was changed to Daeyeonggwan(June, 1927), Somyeonggwan (1929), Sohwagwan(June, 1930), Sinheunggwan(1932?), and Daegusongjukyeonghwageukjang(July, 1949) in turn. There existed a movie theater, Yeongrakgwan at Jeonjeong, whose name was once changed to Daegudongbogeukjang just before the Independence from Japan. Daegukinemagurakbu was opened at Dongseongjeong in 1938, and its name was changed to Daegubochonggeukjang in 1943. In November, 1931, Daegugonghoedang, a cultural institution, was opened in front of Daegu station. What is to be done in future is to reveal the exact opening dates of some movie theaters such as Chilseonggwan, and to find out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movie theaters in Daeg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