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홍길동전』의 문화 예술적 변용 사례로서 <로터스 버드>의 번안과 그 특징에 관한 연구

        김남석 (재)한국연구원 2019 한국연구 Vol.0 No.1

        The Koreans who migrated to Hawaii modified The story of Hong Gil-dong in the 1930s to produce a play called Lotus Bud and, they actually performed Lotus Bud. Lotus Bud as one work of the rare examples of The story of Hong Gil-dong performed overseas has secured various features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Among these characteristics, the motif of prison sentence and escape motif in the first act, the emergence and opposition consciousness as the new father appearing in the second act, the active creation of the hostile figure, the whole use of the romantic motif, succession of fantasy are the conversion factors to be noticed. Lotus Bud is a text that embraces motifs and settings of The story of Hong Gil-dong, and at the same time is a text that aligns these motifs and settings with the environment and tendencies of Korean migrants in Hawaii. This makes it possible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artist consciousness that appears in the adaptation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se differences and to sort out the causes.

      • KCI등재후보

        영화 서사의 동력으로서 라면

        김남석 (재)한국연구원 2021 한국연구 Vol.0 No.7

        2000년대 이후 한국 영화에서 라면의 역할은 그 이전에 비해 크게 증대되었다. 가난이라는 기호로 통용되던 라면은 영화적 상황에 맞게 개별적 기호를 지니게 되었다. 영화적 기호로서 라면은 어떤 경우에는 연애의 시작이자 끝으로, 다른 경우에는 복수의 개시이자 실패로, 또 다른 경우에는 부가 아닌 인간의 부재로, 심지어는 희망이자 미래적 대안으로 간주된다. 주목되는 바는 이러한 라면의 역할이 하나의 기능과 의미로 수렴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영화마다 라면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지고 있으며, 이러한 개성적 시각은 영화 서사를 추동하는 새로운 모티프로 작용한다. 이러한 라면의 달라진 효과는 세상을 바라보는 개성화된 시각의 결과라는 점에서 주목되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조선족 극작가 황봉룡의 <장백의 아들>에 나타난 ‘동북항일련군’의 극적 수용에 관한 연구

        김남석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4

        Hwang Bong-ryong is Korean―chinese dramatist and is born at Yanbian in 1946. He has written son of Baegdwoo Mountain on 1959 and this work was performed more than 100 times in North-east three regions. Hwang bong-ryong's son of Baegdwoo Mountain treats ‘Anti-japanese War’ and ‘Northeast Anti-Japanese Allies’. The intention of the author was appropriate valid. In order to prove this point, preferentially I will examine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Northeast Asia in 1930's and 1940's. Then I will draw my conclusions on the aesthetic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heme of the work in this paper. This work is dealing with the cooperation of the military and civilian, Koreans and Chinese mutual symbiosis, warfare of the Northeast anti-Japanese allies and the Japanese army, the description on the turncoat based on a motif of Minsaengdan affair, and dynamics of the relationship on Communist Party and the revolutionary forces. This work is an outstanding masterpiece because of these advantages.

      • KCI등재

        경상북도내 고등교육기관 도서관실태조사 및 분석

        김남석,최달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197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1 No.-

        As a part of the status report of all the libraries of Gyeong Buk Province, the libraries of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rovince were first examin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s were employed for this investigation: 1) questionnaires were sent to the libraries to gather necessary data and 2) the library standards as set by the government were appli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and other related statistical studies and reports were consulted. Eighteen libraries in the 22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province were examined as of August 1974. For the convenience of the study, the 18 libraries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our-year college library, two-year normal school library, two-year junior college library, and three-year nursing school library. Paul Buck contends that the library is the center of academic life and that the quality higher education is not possible without a quality library. This is so because all the research activities have to be supported by good library facilities. Moreover it is difficult to justify the raison d'etre of an academic community if there is no active research activities in it. If the proposition is accepted that the library play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in research and that resear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an academic community, it cannot be helped but observe that the role the libraries in the province play today is irregular and is far from the educational ideals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envisage.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not a single library in the province which could truly support the research and classroom activities of the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ollege and the normal school libraries, nonetheless, had some facilities to be analyzed. The nursing school and the junior college libraries unfortunately had virtually nothing. It is hoped on the basis of the present study that the libraries should reorganize themselves and look for new directions for active support of research activities.

      • KCI등재후보

        나주(羅州) 지역 극장의 생성과 역사적 전개에 관한 연구

        김남석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학연구 Vol.32 No.-

        Najugeukjang is a regional theater in Naju that was established in the 1930s and operated continuously until the 1990s after liberation and turbulence. And Najugeukjang is a special cultural heritage where the theater architecture has been preserved until the present time, the 2020s. Due to its long history, Naju City decided to preserve this theater in the 2020s, and as a result, it is given the heavy duty of cleaning up its historicity. The Naju area also includes Yeongsanpo. Yeongsanpo Theater and Yeongsanpojunganggeukjang existed in Yeongsanpo. Yeongsanpogeukjang was the older theater, and Yeongsanpojunganggeukjang was a competing theater. The two theaters were established with a time difference, and as a result, Yeongsanpogeukjang became a theater with tradition and history, and Yeongsanpojunganggeukjang was established as a theater with both personality and sophistication. These theaters has become a communication channel for culture and art in the Naju region, a place to inspire local people's entertainment and emotions, as well as a sense of culture and culture, and a key space in the community and a landmark in the city. Research on Najugeukjang is inevitably a study of not only the screening space for plays and films, but also a study of the region, culture, historical transformation, and social foundation. Naturally, these studies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examine not only cultural change and growth, but also change and growth of regions and societies. Therefore, a study on theaters in Yeongsanpo area, centering on Najugeukjang, can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Naju and surrounding areas. 나주극장은 1930년대에 설립되어 지속적으로 운영되었으며, 해방과 격동의 시대를 거쳐 1990년대까지 운영된 나주의 지역 극장이다. 그리고 나주극장은 현재 시점인 2020년대까지 극장 건축물이 보존되어 있는 특별한 문화 유산이기도 하다. 오래된 역사성으로 인해 2020년대 나주는 이 극장을 보존하기로 결정했고, 그로 인해 그 역사성을 정리해야 하는 막중한 임무를 부여 받고 있다. 또한 나주 지역에는 영산포도 포함되는데, 영산포에는 영산포극장과 영산포중앙극장이 존재했다. 영산포극장이 더 오래된 극장이었고, 영산포중앙극장은 이와 경쟁 관계에 있는 극장이었다. 두 극장은 시차를 두고 설립되었고, 그로 인해 영산포극장은 전통과 역사성을 확보한 극장이 되었고, 영산포중앙극장은 개성과 세련미를 겸비한 극장으로 설립되었다. 이러한 극장들은 나주 지역에서 문화와 예술의 소통 창구가 되고, 지역민의 오락과 정서 그리고 교양과 문화 감각을 고취하는 장(場)이 되었으며, 지역 사회의 핵심 공간이자 도시의 랜드마크가 되었다. 나주극장에 대한 연구는 비단 연극과 영화의 상영 공간에 관한 연구만이 아니라, 지역과 문화 그리고 역사적 변모와 사회적 기반에 관한 연구가 될 수밖에 없다. 자연스럽게 이러한 연구를 통해 문화적 변모와 성장뿐만 아니라 지역과 사회의 변화와 성장에 대해서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나주극장을 중심으로 영산포 일대의 극장에 대한 연구는 나주와 인근 지역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도울 수 있다.

      • KCI등재

        1950년대 차범석 희곡에 대한 도시 생태학적 접근 -시든 꿈들의 도시-

        김남석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6

        Cha Beomseok's play in the 1950s uses urban space as a transformed residential space as a theatrical background. This change is more clearly confirmed when compared to Cha Beomseok's play during the training period. The urban background newly illuminated in the play in connection with the trend of urbanization in the 1950s is symbolized as a small flowerbed in <Bulmoji(wasteland)>. This small flowerbed symbolizes the decline of human ecological conditions, which suffers from dwelling and anxiety, and shrinks from the logic of urbanization and development. And these fading flowerbed-like characters frequently appear in Cha Beomseok's plays. As a result, in Cha Beomseok's 1950s play, the appearance of a dream crushed by social reality is embodied through various groups of characters. On the one hand, such a group of characters may be the result of reflection of social reality in the 1950s, but from a different angle, these characters and their withered dreams will be the basic conditions for growth and survival lost in the deteriorated social environment and real ecosystem. Therefore, restoring these conditions will bring an overall balance within the social ecosystem. 1950년대 차범석(Cha Beomseok) 희곡은 변모한 주거 공간으로서 도시 공간을 연극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차범석의 습작기 희곡과 비교하면 더욱 뚜렷하게 확인된다. 1950년대 도시화의 추세와 연계되어 희곡에서 새롭게 조명된 도시 배경은 <불모지>의 작은 화단으로 상징된다. 이 화단은 거주와 불안에 시달리며, 도시화와 발전 논리에 위축되는 인간 생태 조건의 몰락을 상징한다. 그리고 이러한 스러져 가는 화단 같은 인물들이 차범석의 희곡에 빈번하게 등장한다. 결과적으로 차범석의 1950년대 희곡에서는 사회 현실에 짓눌린 꿈의 모습이 다양한 인물군을 통해 형상화된다. 한편으로 그러한 인물군은 1950년대 사회 현실의 반영 결과이겠지만, 다른 각도에서는 이러한 인물들과 그들의 시든 꿈은 악화된 사회 환경과 현실 생태계 속에서 상실된 생장과 생존의 기본 조건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회복하는 일은 사회 생태계 내에 전반적인 균형을 가져오는 일일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개화당이문」의 시나리오 형성 방식과 영화사적 위상에 대한 재고再考

        김남석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Gaehwadang Imun announced in 1932 was a work that attracted attention in the Korean(Choseon) film world at that time, and it was a movie that required observation even at the movie biography on Na Un-kyoo. However, to date,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this Gaehwadang Imun in the history of Korean movies has remained epidermal. The reason is because of lack of film and lack of script. Meanwhile, another reason i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time and the impressions of the people concerned.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reality of the film work if the film is not actually left. So in the course of the research, the work is superficially treated, or not properly assessed by prejudice. Therefore, from a standpoin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research, it is necessary to access Gaehwadang Imun. Fortunately, the scenario(synopsis) of Gaehwadang Imun has been discovered, which allows us to confirm the approximate form of incident progress and the overall flow of the plot. In addition to the related retrospective of Na Un-kyoo, the source documents which were referred to when constructing the scenario, related photographs and various testimonies were discovered. Based on these evidence it is necessary to see the full context of Gaehwadang Imun, naturally the basis was secured for the chance of being able to do this study. In this research, I explored the form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aehwadang Imun, and based on these results, I discussed the reasonable status of Korean film Gaehwadang Imun in the history of Korean film. 1932년에 발표된 「개화당이문開化黨異聞」은 당시 영화계에서 주목되는 작품이었고, 나운규의 영화 일대기에서도 관찰을 요하는 영화였다. 하지만 현재까지 한국 영화사에서 이 「개화당이문」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표피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필름의 부족과 대본의 부재로 요약될 수 있으며, 당시의 평가와 관련자들의 인상에 지나치게 의거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화의 필름이 남아 있지 않은 경우 그 실체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연구 과정에서 피상적으로 다루어지거나 선입견에 의해 재단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따라서 기존 연구와는 다른 입장에서, 「개화당이문」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다행히 「개화당이문」의 시나리오(시놉시스)가 발굴되었고 이를 통해 대략적인 형태의 사건 진행과 플롯의 전모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나운규의 관련 회고, 시나리오를 구성할 때 참조되었던 원천 자료, 그리고 관련 사진과 각종 증언이 발견되면서, 「개화당이문」(시나리오 명칭 「개화당」)의 전모를 살필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개화당이문」의 형식적, 미학적 특징을 살피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개화당이문」이 정당하게 놓여야 할 한국(조선) 영화사에서의 위상에 대해 논구하고자 했다.

      • KCI등재

        두 개의 축 사이에서―일본이라는 타자와 시간을 건너야 했던 두 극작가의 정신사적 궤적을 돌아보며(이상우,『극장, 정치를 꿈꾸다』, 테오리아, 2018)

        김남석 한국극예술학회 2018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60

        유치진과 오영진은 근대 한국의 희곡 문학을 대표하는 두 극작가이다. 그들의 작품은 한국 희곡의 전범이자 원형이 되었으며, 그들의 창작 세계는 한국 희곡(사)에서 중요한 분석 대상이자 정신사적 사표가 되었다. 이상우는 이러한 두 극작가의 일본(어) 체험을 통해 그들의 정신사적 궤적이 어떻게 일본(어)과 만나고 분리되고 또 영향을 받았는가를 논구했다. 이상우의 시각과 문제제기는 그 자체로 한국 희곡사의 중요한 맥락과 본질과 맞닿아 있는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해하고 그 문제의식을 발전시키는 것은 후대 학자들의 몫이자 미래 연구의 초석이라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