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慶州 玉山書院의 院屬 파악과 운영

        손병규 조선시대사학회 2005 朝鮮時代史學報 Vol.35 No.-

        Seo-won was the place where a self-governing body of the yangban gathered together and also a local organization to support a ruling ideology of the state. So besides managing the finances independently, it was under financial support and policy control of the government. ‘Won-sok’ means people called out as human resources(compulsory labor) of Seo-Won, in accordance with military service system of the state.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late 18th century, fixed a quorum of Won-sok in order to make every human resource into one military service system, and controlled Seo-won's independent holding of more human labor. But Seo-won had an informal list of names apart as well as a formal list of names, and independently investigated labor persons more than a quorum even until the 19th century. As for finance affairs of Seo-won, demand of human resources was specially important. Even though compulsory service was changing into payment of goods, Seo-won couldn't give up supernumerary Won-sok, because it could call people around itself into service at any time and receive goods from them. On the contrary managing Won-sok independently, it had held human resources by increasing the formal number of Won-sok, making use of government authority. Won-sok was investigated by the state as one of military service, but at the same time it was managed by Seo-won independently. Because Seo-won was a self-governing body as well as a subordinate organiz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Won-sok was also managed in this way. This was a special feature of financial system of Choson conducting finance of centralization and one of decentralization side by side.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전승 구조와 현황 -9개 서원 홀기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재훈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Sacrificial rite of Seo-won base on Seok-jeon(釋奠) was held in the government school such as Hyang-gyo and imitate it, but drew a sharp distinction about the subject, the scale and the ritual. Especially, it strongly reflected the sense of authenticity lineage(道統) when select the subject, but it adopted relatively small scale and simple ritual. These characteristics of sacrificial rite of Seo-won outstanding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So-su-seo-won(紹修書院), Nam-gye-seo-won(灆溪書院), Ok-san-seo-won(玉山書院), Do-san-seo-won(陶山書院), Pil-Am-seo-won(筆巖書院), Do-dong-seo-won(道東書院), Byeong-san-seo-won(屛山書院), Mu-seong-seo-won(武城書院), Don-am-seo-won(遯巖書院). Toe-gye Yi-hwang laid the groundwork for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by making extensive retouching the sacrificial rite of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by Sin-jae Joo-seboong. Since then, 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developed through inheritance and criticism about this Toe-gye’s work. Joseon Dynasty Seo-won was under tension and worry to set own stature in the middle of Hyang-gyo(鄕校) which is the government school and Hyang-sa(鄕祠) which is the town shrine. And it could form unique ritual style of sacrificial rite of Joseon Dynasty Seo-won through these tension and worry.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empirically that sacrificial rite of Seo-won how to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by comparison the Nine representative Seo-won in Joseon Dynasty. Specific rituals are difference between the Nine Seo-won, if it includes the other Seo-wons, the difference is more. However the existence of this difference itself shows that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autonomously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ess and debate.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Joseon Dynasty maintained general similarity, but also maintained negligible differences, it represents diversity of Seo-won culture in in Joseon Dynasty. 한국 서원의 향사는 국학(國學) 즉,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봉행하는 석전(釋奠) 을 기준으로 삼아 모방하면서도, 그 대상과 규모 그리고 의식절차 등에서는 융쇄(隆殺)의 차등을 견지한다. 서원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퇴계 이황은 신재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의 향사례에 대폭 수정을 가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특히 제품의 진설과 의절의 진행과 관련하여 중요한표준을 제시하였고, 제관의 구분과 수행조건 등에 대해서도 기준을 제공했다. 이후한국의 서원 향사례는 이러한 퇴계의 작업 결과물을 기준으로 삼아 계승과 비판그리고 조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갔다. 한국의 서원은 자신의 위상을 국학(國學)과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특히 서원의 향사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향교의 석전을 참고하면서도 융쇄의 차등을 견지하려고 긴장했다. 이러한 긴장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들은 한국적 서원 향사례를 조성해나갔다. 현존하는 서원들 중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필암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무성서원・돈암서원)의 향사례를 ‘홀기(笏記)’의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의 서원향사례가 어떻게 진행되고 전승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항목들의 경우 9개 서원들 간에도 차이가 있고, 이외의 서원들까지 포함한다면 훨씬 다양한 차이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서원의 향사례를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하여 제공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정립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 향사례가 대동(大同)을 유지하면서도 소이(小異) 또한 존속케 했던 것이 이를 대변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서원향사례 비교연구- 9대서원 향사의절을 중심으로 -

        한재훈 영남퇴계학연구원 2017 퇴계학논집 Vol.- No.20

        Sacrificial rite of Seo-won base on Seok-jeon(釋奠) was held in the government school such as Hyang-gyo and imitate it, but drew a sharp distinction about the subject, the scale and the ritual. Especially, it strongly reflected the sense of authenticity lineage(道統) when select the subject, but it adopted relatively small scale and simple ritual. These characteristics of sacrificial rite of Seo-won outstanding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Toe-gye Yi-hwang laid the groundwork for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by making extensive retouching the sacrificial rite of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by Sin-jae Joo-seboong. Since then, 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developed through inheritance and criticism about this Toe-gye’s work. Joseon Dynasty Seo-won was under tension and worry to set own stature in the middle of Hyang-gyo(鄕校) which is the government school and Hyang-sa(鄕祠) which is the town shrine. And it could form unique ritual style of sacrificial rite of Joseon Dynasty Seo-won through these tension and worry.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empirically that sacrificial rite of Seo-won how to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by comparison the Nine representative Seo-won in Joseon Dynasty: So-su-seo-won(紹修書院), Nam-gye-seo-won(灆溪書院), Ok-san-seo-won(玉山書院), Do-san-seo-won(陶山書院), Pil-Am-seo-won(筆巖書院), Do-dong-seo-won(道東書院), Don-am-seo-won(遯巖書院), Mu-seong-seo-won(武城書院), Byeong-san-seo-won(屛山書院). Specific rituals are difference between the Nine Seo-won, if it includes the other Seo-wons, the difference is more. However the existence of this difference itself shows that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autonomously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ess and debate.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Joseon Dynasty maintained general similarity, but also maintained negligible differences, it represents diversity of Seo-won culture in in Joseon Dynasty. 서원의 향사는 국학이나 향교에서 봉행하는 석전을 기준으로 삼아 모방을 하면서도, 그 대상과 규모 그리고 의식절차 등에서는 융쇄(隆殺)의 차등을 견지한다. 특히 대상을 선정할 때는 이른바 신유학의 도통의식을 강력하게 반영하는가 하면, 의식절차에서는 훨씬 간소화한 방식을 채택한다. 이러한 경향은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서원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퇴계 이황은 신재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의 향사례에 대폭 수정을 가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특히 제품의 진설과 의절의 진행과 관련하여 중요한 표준을 제시하였고, 제관의 구분과 수행조건 등에 대해서도 기준을 제공했다. 이후 조선시대 서원향사례는 이러한 퇴계의 작업결과물을 기준으로 삼아 계승과 비판 그리고 조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갔다. 조선시대 서원들은 자신의 위상을 향교(鄕校)와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특히 서원의 향사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향교의 석전을 참고하면서도 융쇄의 차등을 견지하려고 긴장했다. 이러한 긴장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들은 한국적 서원향사례를 조성해나갔다. 현존하는 서원들 중에 대표적인 서원이 이른바 9대서원(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필암서원·도동서원·돈암서원·무성서원·병산서원)이다. 이 9대서원의 향사례를 비교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들이 어떻게 향사례를 전개해갔는지 살펴보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항목들의 경우 9대서원들 간에도 차이가 있고, 이외의 서원들까지 포함한다면 훨씬 다양한 차이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서원의 향사례를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하여 제공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정립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조선시대 서원향사례가 대동(大同)을 유지하면서도 소이(小異) 또한 존속케 했던 것이 이를 대변한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징은 서원의 향사례를 넘어 조선시대의 서원문화가 그와 같은 방식으로 발전해갔을 것이라는 증거이다.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전승 구조와 현황-9개 서원 홀기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재훈 ( Han Jae-hoon )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한국 서원의 향사는 국학(國學) 즉,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봉행하는 석전(釋奠)을 기준으로 삼아 모방하면서도, 그 대상과 규모 그리고 의식절차 등에서는 융쇄(隆殺)의 차등을 견지한다. 서원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퇴계 이황은 신재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의 향사례에 대폭 수정을 가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특히 제품의 진설과 의절의 진행과 관련하여 중요한 표준을 제시하였고, 제관의 구분과 수행조건 등에 대해서도 기준을 제공했다. 이후 한국의 서원 향사례는 이러한 퇴계의 작업 결과물을 기준으로 삼아 계승과 비판 그리고 조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갔다. 한국의 서원은 자신의 위상을 국학(國學)과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특히 서원의 향사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향교의 석전을 참고하면서도 융쇄의 차등을 견지하려고 긴장했다. 이러한 긴장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들은 한국적 서원 향사례를 조성해나갔다. 현존하는 서원들 중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필암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무성서원·돈암서원)의 향사례를 ‘홀기(笏記)’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의 서원향사례가 어떻게 진행되고 전승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항목들의 경우 9개 서원들 간에도 차이가 있고, 이외의 서원들까지 포함한다면 훨씬 다양한 차이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서원의 향사례를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하여 제공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정립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 향사례가 대동(大同)을 유지하면서도 소이(小異) 또한 존속케 했던 것이 이를 대변한다. Sacrificial rite of Seo-won base on Seok-jeon(釋奠) was held in the government school such as Hyang-gyo and imitate it, but drew a sharp distinction about the subject, the scale and the ritual. Especially, it strongly reflected the sense of authenticity lineage(道統) when select the subject, but it adopted relatively small scale and simple ritual. These characteristics of sacrificial rite of Seo-won outstanding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Toe-gye Yi-hwang laid the groundwork for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by making extensive retouching the sacrificial rite of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by Sin-jae Joo-seboong. Since then, 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developed through inheritance and criticism about this Toe-gye’s work. Joseon Dynasty Seo-won was under tension and worry to set own stature in the middle of Hyang-gyo(鄕校) which is the government school and Hyang-sa (鄕祠) which is the town shrine. And it could form unique ritual style of sacrificial rite of Joseon Dynasty Seo-won through these tension and worry.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empirically that sacrificial rite of Seo-won how to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by comparison the Nine representative Seo-won in Joseon Dynasty: So-su-seo-won(紹修書院), Nam-gye-seo-won(灆溪書院), Ok-san-seo-won(玉山書院), Do-san-seo-won(陶山書院), Pil-Amseo-won(筆巖書院), Do-dong-seo-won(道東書院), Byeong-san-seo-won(屛山書院), Mu-seong-seo-won(武城書院), Don-am-seo-won(遯巖書院). Specific rituals are difference between the Nine Seo-won, if it includes the other Seo-wons, the difference is more. However the existence of this difference itself shows that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autonomously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ess and debate.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Joseon Dynasty maintained general similarity, but also maintained negligible differences, it represents diversity of Seo-won culture in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박서원 시의 상상 체계 연구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히스테리`의 개념을 중심으로 -

        박상수 ( Park Sang-su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2

        박서원의 시는 그동안 90년대, 남성적 질서에 대항하는 여성시의 한 성과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되어왔다. 가부장제 사회의 억압적 질서와 폭력의 철저한 피해자로 그 생생한 고통을 그 어떤 시인보다 선명하게 드러내었으며, 이것을 사회적 맥락으로 확장시키기보다는 대체로 여성 개인의 내면 깊은 무의식적 언어로 표현해내었다는 것이다. 개인사적으로 성폭행이라는 트라우마 이후 누구에게도 이해받지 못하고 혼자서 고통을 감당해야했던 박서원의 정신적 고통과 갈등은 이후 지속적인 육체의 증상으로 드러났다. 이 육체의 증상은 박서원 시의 중요한 시적 출발점이기도 했다는 점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뿐 아니라 `히스테리`와 연관된 언술 특징과 상상 체계에 관한 연구가 요청된다. 물론 이것은 단순히 증상의 1차적 시적 변용을 규명하는 일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무의식적 상상 체계에 관한 탐구로 연결되어야 한다. 먼저 박서원 상상체계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침투-이미지-감각-파편화`이다. 박서원의 작품은 ㉠`작고 대수롭지 않은 주변 환경의 자극을 적대적 공격의 신호인 듯 과민 지각하는 일`을 기반으로 하여 ㉡`언어화할 수 있는 서사 구조가 부재`한 ㉢`지금 발생하고 있는것 같은 무시무시한 즉각성을 가진 독립적 이미지`를 ㉣ `과도할 정도로 선명하고 생생한 낱낱의 감각적·정서적 체험`으로 반복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 과정을 거쳐 논리적인 언어로는 도저히 담아낼 수 없는 한개인의 극단적인 고통이 시적 언어로 구현된다. 외상성 기억의 침투에 의해 만들어진 끔찍한 이미지와 고통스러운 감각이 마치 눈앞에서 지금 일어나고 있는 것처럼 반복된다. 현실의 장막이 찢어지고 범인을 고발 하듯이 외상의 끔찍함이 다시 불려나온다. 그러나 고통스런 이미지의 현시는 시적 자아의 무의식적 욕망에 의해 전환된다. 고통을 황홀로 전환시키는 독특한 상상체계이다. 박서원의 시적 자아는 고통을 도취와 황홀로 전환시켜 그것을 시적 자아의 강력한 힘으로 흡수한다. 고통은 엑스타시가 되고, 육체 안에서 특별한 자기 확신의 근거가 된다. 상처받고 나약했던 시적 자아는 엑스타시 이후 파괴적이고 강인한 남성적 힘을 소유한 존재로 다시 태어난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박서원의 시적 자아는 고통의 극단적인 절정에서 신에 대해 사유하기 시작한다. 시적 자아가 인간으로서 감당할 수 없는 고통에 휩싸이면 이것은 인간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증거가 된다.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것은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말이기도 하다. 즉 신의 지경에 이른 뒤, `신과 합일`하거나 혹은 `신도 어쩔 수 없는 예외적이고 신비한 존재`로 자신을 해석하는 이 순간적인 착란의 지점에서 박서원의 시적 자아가 가진 초극의 욕망이 드러난다는 말이다. 박서원은 트라우마에서 비롯된 고통에 침투당하여 자신도 어쩌지 못하는 힘에 지배를 받아 절규하지만, 고통을 제거할 수 없다면, 바로 그 고통을 동력으로 삼아 어떤 인간도 감당하지 못할 고통을 겪는다는 바로 그 부인할 수 없는 사실 자체로 인간의 한계를 뛰어넘은 존재로 탈바꿈하려는 초인적인 의지를 발동시킨다. 생생한 고통의 감각적 이미지들이 절정의 상태에 이르고, 마침내 박서원은 환상 속에서 신을 만난다. 그리하여 자신을 구원해주지 않은 신을 단죄하고, 마침내 신도 어쩌지 못하는 자신만의 신비한 힘과 존재의미를 확인해내는 상상 체계를 선보인다. 박서원은 외상 신경증이 만들어낸 이미지를 시적 언어로 옮겨 독창적인 시 세계를 구현해낸 시인이다. 병의 심리적이고 상징적인 힘과 실제로 병든 몸이 주는 절망의 긴장 사이에서 박서원은 현실 쪽을 선택하였다. 남성적 세계의 일방적 폭력에 희생당한 한 여성이 삶의 가장 아름다운 젊은 시절 내내 트라우마로 인한 신경증으로 고통받았다. 시를 통해 잠시나마 구원을 꿈꾸었고, 누군가를 사랑하고 누군가에게 사랑받는 평범한 삶을 바랐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것은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 여성의 꿈과 삶이 끝내 좌절되었다는 바로 그 사실에 있다. During the 1990s, Park Seo-Won`s poetry has been evaluated by showing the work of women during the performance against the masculine order. Her poetry has revealed the vivid pain as thorough victims of violence in the oppressive patriarchal social order of sharpening than any other poet. She did express deep and largely unconscious inner language of women`s individual rather than to extend the work to the social context. Park Seo-Won suffered the trauma of sexual assault. But she does not understand anyone who had to bear the pain alone. Eventually emotional distress and conflict appeared as a symptom of an ongoing body. Physical symptoms were also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Park Seo won poetic works. Therefore, the study of the language features and imaginative framework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Hysteria` is required. Of course, the unconscious imagination system and poetic transfiguration of Symptoms are needed at the same time. First, the major imagination system of Park Seo-Won`s poetry appears as `intrusion-image-sense-fragmented `. Park Seo-Won` work has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 `small and insignificant things seemed to stimulate an attack of hostile signals that are sensitiv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perception` ㉡ `a narrative structure that can be absence Language` ㉢ `independent image with the immediacy ghastly like that now occur` ㉣ `clear and vivid sense of Piecewise enough to excessively emotional experience` As a result, the logical language is a personal extreme pain that can not be hardly packed is implemented by Poetic language. The terrible images and painful sensations created by the penetration of traumatic memories is repeated as if it were happening in front of you. The reality is torn and accused as the culprit emerges again called cruelty of this trauma. But manifestation of a painful image is converted by the unconscious desire of the Poetic ego. A unique imagination system that converts pain into trance. Park Seo-Won`s poetic ego was converted pain into trance and carried away and then absorb it into powerful poetic ego. The pain becomes ecstasy, it is the basis of a special self-confidence in the flesh. Poetic ego was hurt and passive weakness is reborn as a strong masculine presence who owns the destructive force after ecstasy. Poetic ego of Park Seo-Won does not stop here, starts to think about God at the pinnacle of extreme pain. If the poetic ego is engulfed in pain as a human being who can not afford this is evidence that surpassed human limits. Jumped over the limit is reached it is saying to the godhood. Early after God`s borders, and interprets itself as a `union with God`, or `existence and exceptions God can not help the mysterious`. From the point of momentary confusion reveals the desire of the poetic self with ultra Park Seo-Won. Park Seo-Won will receive scream subject to the pain of the trauma ever, not even What if his strength. If she can not remove the pain, suffer not just bear the pain any human to superhuman power is thus immediately activate willingness to transform itself by the fact that no one can deny the existence surpassed human limits. Sensory image of the terrible pain they reached a state of climax, finally Park Seo-Won meet with God in fantasy. So she condemned God did not save herself, imagining system that will finally serving out the mysterious force and meaning of their own existence What if believers do. Park Seo-Won is a poet, the world came up with during implementation of the original moving image created by traumatic neurosis as a poetic language. Between the psychological and symbolic force of despair that the disease actually a sick body tension Park Seo-Won chose the side of reality. A woman who was victim of a one-sided violence in the masculine world suffered from neurosis caused by trauma throughout the life of the most beautiful youth. She wanted someone to love and someone who loved simple life, dreamed of a moment when salvation through. But her dream was not done in the end. It is particularly unfortunate in the very fact of women`s dreams effort to overcome the pain and frustration life was finished.

      • KCI등재

        書院立地의 水勢論 分析 -辛未存置 書院을 中心으로-

        박정해,한동수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0 No.37

        This study aims at finding features of 21 Seo-won(書院) in relation with water flowing with the point of geomantic topography(形勢) and the Li & Ch’i(理氣) of Feng shui(風水), and finding the importance and awareness of water which is a component of yin and yang(陰陽) theory. Almost all the water flowing shapes of Seo-won architecture are Kum-sung-su(金星水), in which type water surrounds entire site. And the next, Toh-sung-su(土星水) and Su-sung-su(水星水) followed it. Mock-sung-su(木星水) is only applied with Nam-gae Seo-won(南溪書院). However, it seems that Pil-ahm Seo-won(筆巖書院) is not applied to theory of water flowing shape or power(水勢論). Though it has Kum-sung-su(金星水), it shows evil water flowing shape.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some examinations by means of the three method; Sah-kook(四局水法), Hu-cheon(後天水法), Bo-sung(輔星水法), only four Seo-wons exactly applied to the theory of water flowing shape or power which based on the theory of Li & Ch'i. So it looks that the theory of Li & Ch'i has clear limitation in Seo-won architecture. The Seo-won architecture has environmental friendly spaces by being applied and adopted to several logics of Feng shui. 辛未存置 21개 서원을 중심으로 書院立地의 水勢論에 대하여 형세론적 관점과 이기론적 관점에서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고찰하고, 아울러 陰陽論의 한 軸을 형성하고 있는 물의 중요성과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書院立地의 형세론적 水勢論은 環抱하는 형상으로 金星水가 主를 이루고 있고 다음으로 土星 水 와 水星 水 순이며 木星 水와 火星 水의 서원은 남계서원과 옥동서원이 유일하다. 필암서원은 金星 水 형상이나 反背하는 형상으로 水勢論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理氣論的 水勢論은 四局水法과 後天水法 그리고 輔星水法으로 검토해본 봐, 4개서원만이 공통적인 결과가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理氣論의 한계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형조건에 부합하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書院立地는 다양한 풍수논리를 수용하고 활용하여 가장 친환경적인 건축공간을 창조하고 있다.

      • KCI등재

        朝鮮時代 世子侍講院의 敎育課程

        陸受禾(육수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장서각 Vol.- No.11

        In this paper a study of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in Chos?n Dynasty.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was an royal educational institute for teaching royal prince Seo-Yun(書筵). The education for Wang-Se-Ja can be explained effectively according to two periods : before and after Check-Bong(冊封, investiture). Before Check-Bong, an institution called Bo-Yang-Chung (輔養廳) was established, and it took a role for both protecting and rearing Wang-Se-Ja(王世子). When he grew up enough to be able to read books, an institution called Kang-Hak-Chung(講學廳) was established for the education for his youth. After Check-Bong(冊封), an institution called Se-Ja-Si-Kang-Won(世子侍講院) was established and served full-scal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his eventual succession of the throne. Meanwhile, there was also an institution called Se-Ja-Ik-Wee-Sa (世子翊衛司)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him. Choson dynasty also had institutions for educating Se-Son who belongs to royal families, but is not Wang-Se-Ja, because from time to time it happened that Se-Son succeeded the throne of the King, instead of Wang-Se-Ja. Se-Son-Kang-Seo-Won (世孫講書院)이나 Se-Son-Wee-Jong-Sa (世孫衛從司) are such institutions. However, the status of these institutions were different from that of institutions for Wang-Se-Ja.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is not a standing institution, yet was equipped with systematic organization. It seems to reflect the superior status of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to the institutions for educating Se-Son. The specific stipulations on the organization of Se-Ja-Si-Kang-Won(세자시강원, 世子侍講院) are found in the canons of Kyung-Kuk-Dae-Jeon (經國大典) and Sok-Dae-jeon (續大典), etc. First, the canon of Kyung-Kuk-Dae-Jeon (經國大典) shows the organizational change of it during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朝鮮王朝). In the canon, I was able to know that as a whole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dynasty the number of officials for Se-Ja-Si-Kang-Won decreased from sixteen to twelve, and that there were some changes such as changes of name of position and establishments of new position. Second, the canon of Sok-Dae-jeon (續大典) shows the organizational change of it during the second half of Cho-Sun Dynasty. (朝鮮王朝). According to the canon, the number of officials for Se-Ja-Si-Kang-Won rebounded back up to twenty from twelve, and it was due to the increase of Gyum-Jik (兼職) and San-Lim-Jik (山林職). And the rank of it in this canon rose from Jong-Sam-Pum-Ah-Mun (從三品衙門) to Jeong-Sam-Pum-Ah-Mun (正三品衙門). After Sok-Dae-Jeon (續大典), another elevation in rank can be found in another cannon Dae-leon-Hoe-Tong (大典會通). That is, in this canon 보덕(輔德)과 겸보덕(兼輔德) both of which were ranked as Jong~Sam-Pum(從三品) were elevated as Jeong-Sam-Pum (正三品). Except thi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ok-Dae-Jeon and Dae-Jeon-Hoe-Tong about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And yuk-Jeon-Jo-Rye (六典條例) had no change about it since then. Kyeongyun(經筵) a royal banquet among king and subjects, had not only educational function, but also political function including discussion of political affairs. And the latter was more important and main purpose of the royal banquet, 'Kyeongyun'. except special occasions, Seo-Yun(書筵) only had an educational function. The educational course of Se-Ja-Si-Kang-Won (世子侍講院) mainly consisted of basic Confucian Classics or the Four Books.

      • KCI등재

        朝鮮初期 承政院注書 小考

        한충희 대구사학회 2005 대구사학 Vol.78 No.-

        The system of Ju Seo was succeeded the office of Dang Hu within a central organization of Koryo in the early of Choson Dynasty. It became established in process of improving the system of Seung Jeong Won in the 5th year of Tae Jong. It was held 'a clerk writing a separate note' and an officer of Chun Chu at the same time in aspects of the title, rank, quorum, and function in the 26th year of Se Jong. So it was institutionalized that "Ju Seo was the officer ranking No.7 Jeong Pum in the offical hierarchy, the quorum of the office was two men, and the officers wrote 《The Diary of Seung Jeong Won》 and 'a separate note'". Most of Ju Seo were descendants of well-known family, and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y were promoted to high-ranking officers. A half of Ju Seo, or more were held 'the upright and important office', and then the office of Dang Sang in a short period. The officers of Ju Seo conveyed a command of the king, attended to government affairs, made a round of inspection of the royal palace, and took care of prisoners. That is, they took actively part in political affairs. They were connected directly with the function of Seung Jeong Won. When Seung Jeong Won was powerful, they were preferentially received, and took an active role. But when Seung Jeong Won became weakened, they also got feeble in the same way. To sum up, the officers of Ju Seo were promoted to high-ranking officers on the basis of a reputation of the family, functions of the office, and confidence of the king. They were held 'the upright and important office', and then were promoted to the officer of Dang Sang in a short period. Therefore, they enjoyed a predominating position, ranking No.7 hierarchy.

      • KCI등재

        서명응(徐命膺)의 농업·일용 관련 저술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로의 수용 양상

        조창록 ( Jo Chang-roc ) 동방한문학회 2019 東方漢文學 Vol.0 No.78

        본고는 18·19세기 조선학술사에 있어서 상당히 독특한 실학적 학풍을 견지하였던 서명응에서 서유구로 이어지는 지식의 전승과 변모 양상을 살펴보려는 목적에서 쓴 것이다. 그 주요 대상은 서명응의 『본사』와 『고사십이집』 그리고 서유구의 『임원경제지』이다. 이 연구를 위해 우선 2장에서는 『고사신서』와 『고사십이집』의 주제별 분류와 분량을 비교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고사신서』 「목양문」의 ‘양잠’이 『본사』에서는 蠶史로 분리된 점, 「일용문」의 음식 분야가 『고사십이집』에서 「오륙」으로 분리되어 따로 독립된 점 등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분량상으로는 전체적으로 약 98%가 증가하였는데, 특히 「농포문」과 「목양문」은 약 335%가 증가하였다. 3장에는 『본사』와 『고사십이집』이 『임원경제지』에서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그 주제별 구성과 인용 항목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서 밝혀진 사실을 정리해 보면, 서유구는 『임원경제지』에서 「위선지」·「섬용지」·「보양지」·「상택지」·「예규지」 등의 분야를 새롭게 추가하였으며, 어업과 주거, 건강과 경제를 임원 생활의 중요 문제로 간주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본사』의 蠶史가 『임원경제지』에서 「전공지」로, ‘가축 기르기’에 대한 내용이 어업과 결합되어 「전어지」로 확대 개편된 점은 임원 경제의 관심 추이를 잘 보여주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또 『임원경제지』에서 인용한 『본사』와 『고사십이집』의 항목들을 보면, 서유구는 『고사십이집』에서 특히 음식과 취미생활 부문을 집중적으로 계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ransmission of knowledge and aspect of change between the two, Seo Myeong-Eung(1716~1786) and his grandson Seo Yu-Gu(1764~1845). The paper focuses mainly on『Bonsa』 and 『Kosa-sibi Jip』 by Seo Myeong-Eung and 『Yim Won Kyung Jae Ji』 by Seo Yu-Gu. For the study, we compared and considered 『Kosa Sin Seo』and 『Kosa-sibi Jip』in all its aspects in chapter 2. As a result, we could tell that Seo Myeong-Eung had reorganized 『Kosa Sin Seo』into 『Bonsa』 and 『Kosa-sibi Jip』 by doubling its contents. In chapter 3, we examined how 『Yim Won Kyung Jae Ji』 by Seo Yu-Gu had managed to accept contents of 『Bonsa』 and 『Kosa-sibi Jip』.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Seo Yu-Gu had cited 『Kosa-sibi Jip』 evidently in his records about cooking and commodities. Meanwhile, records including fishery, construction and commerce were newly contained in 『Yim Won Kyung Jae Ji』, especially the records about fishery fully reflects Seo Yu-Gu’s own writing.

      • KCI등재

        박서원 시의 나르시시즘 연구 - 『난간 위의 고양이』를 중심으로-

        김지은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narcissism in Park Seo-won's poetry and to reveal its meaning. Park Seo-won is evaluated as a representative female poet in the 1990s, who pioneered the field of confessional poetry in Korean poetry. However, research on it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women's poetry studies. For this reason, this paper judged that the modifier of female poet rather limited the viewpoint of interpretation of his poet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Park Seo-won's poetry from a more universal point of view rather than reading it from the point of view of a female subject.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problem tha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meaning of only the poetic subject who removed women, the poem was analyzed in detail from a narcissistic point of view. The narcissism of Park Seo-won's poem, which was divided into primary narcissism and secondary narcissism, meant self-affirmation and self-preservation instinct, and c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ubject. Discussing poetry from the point of view of narcissism served as an effective framework for proving the universality inherent in Park Seo-won's poems while mee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literature that starts with the thought of me.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horizon of Seo-Won Park. 본 연구는 박서원 시의 나르시시즘의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박서원은 한국 시단 내에서 고백시 분야를 개척한 1990년대를 대표하는 여성시인이라 평가 받는다. 그러나 그에 대한 연구는 동시대 다른 여성 시 연구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본고는 이러한 이유로 여성 시인이라는 수식어가 오히려 그의 시에 대한 해석의 관점을 한정하였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박서원 시를 여성주체의 관점에서 읽기가 아닌 보다 보편적인 관점에서의 접근 곧 여성을 떼어낸 시적주체로만의 의미에 대한 정립이 요구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나르시시즘적 관점으로 시를 내밀히 분석하였다. 박서원 시에 나타난 나르시시즘은 프로이트의 일차적 나르시시즘과 이차적 나르시시즘을 통해 분석할 수 있었다. 일차적 나르시시즘은 시적주체가 드러내는 외부 세계에 대한 부정과 시적주체에 대한 긍정이라는 대조적 양상으로, 이차적 나르시시즘은 시적주체의 리비도가 외부를 향하지만 외부에 대한 욕망이 실패하여 다시 내부로 이동하는 양상으로 드러났다. 1차적 나르시시즘과 2차적나르시시즘으로 구분해 살펴 본 박서원 시의 나르시시즘은 자기 긍정과 자기 보존 본능을 의미했으며 주체를 확립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나르시시즘의 관점에서 시를 논의하는 것은 나에 대한 사유로 출발하는 시 문학의 특성에 부합 하면서 박서원 시에 내재된 보편성을 입증하는데 유효한 틀로 작용하였다. 본 연구가 박서원 시 연구의 지평 확장에 기여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