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 書院과 中國 書院의 立地・空間構成과 遊息空間에 대한 比較硏究

        김덕현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本 硏究는 朝鮮時代 韓國의 書院과 中國의 書院을 立地와 空間構成, 그리고 遊息空間의 측면에서 比較 考察하였다. 書院制度는 中國에서 始源하였으나, 儒敎 國家 朝鮮에서 私學으로 繁盛하여 全國的으로 分布하고 最近 UNESCO世界遺産 에 登載되었다. 이에 중국 서원과 辨別되는 한국 서원의 固有性과 眞正性을 把握 하는 比較 硏究가 要請된다. 宗敎的 性格을 가진 敎育施設인 書院은 儒敎의 世界觀을 再現하는 立地・空間 構成・景觀을 創出한다. 立地 측면에서, 중국과 한국의 書院은 共通的으로 學問과 祭享에 適合한 幽閒한 景勝地와 風水思想의 影響으로 山水環抱하는 地形을 立地 의 基本으로 共有한다. 中國의 著名 書院은 道敎와 佛敎의 影響으로 名山 名勝에 立地했다. 한국의 書院은 祭享人物의 緣故地를 가장 重視하고 이차적으로 生氣 活潑한 風水 形局을 찾았다. 旣存 景勝地에 立地한 中國의 書院과 대조적으로, 한국의 書院은 祭享 人物이나 書院 自體의 名聲으로 後代에 景勝地로 인정받기도 했다. 한국의 書院은 展望景觀을 중시하는데, 展望景觀의 類型에 따라 溪景・江 景・野景으로 立地를 구분할 수 있다. 서원의 空間構成 측면에서 중국과 한국의 書院은 3가지 차원에서 비교할 수 있다. 첫째, 空間 規模와 制度에서 중국 서원은 그 位相에 따라 差異가 크다. 한국 書院에서 位相의 差異는 祭享 人物에 주로 관련되고, 書院의 외형 規模와 관련이 적다. 둘째, 서원 내부 空間構成에서 한국 書院은 대체로 前低後高 地形 위에서 單一한 軸線에 건물을 位階的으로 配置하고 그 最高位는 祠堂이다. 중국 書院은 複數의 축선에 藏書樓-講堂의 축선과 祠堂群의 축선이 구분되고, 장서루[御書樓] 가 최고위에 해당한다. 셋째, 書院의 威儀와 卓越性 誇示 方式이 다르다. 중국 서원은 石造의 牌坊, 柵栏(照墻), 泮池와 石橋, 壯麗한 御書樓 등으로 位相을 誇示 하고 園林과 碑亭으로 品格을 더한다. 한국 書院은 前低後高의 軸線에 簡明하고 位階的인 左右對稱의 建築物 配置, 節制된 植栽와 虛靜의 中庭으로 整齊嚴肅의 禮空間을 具顯한다. 한국의 書院은 威儀와 卓越性에도 人爲的 建築과 造景보다 산과 하천 같은 自然에 依存한다. 한국과 중국 書院의 가장 의미 있는 차이는 遊息 공간에서 발견된다. 중국의 서원은 대체로 外部 自然景觀 展望이 없고, 境內 庭園이 유식 공간이 된다. ‘背山臨 流’ 입지의 한국 서원에서 展望景觀은 儒學者들의 궁극적 이상인 天人合一을 體 得하는 현장이다. 서원에서 천인합일의 느낌을 얻도록 한국 서원은 生氣活潑한 自 然에 展望을 開放하는 방식으로 유식 공간을 구성하는데, 門樓가 대표적 장소이 다. 문루의 堂號는 서원의 展望 景觀 이미지와 부합하는 經傳과 先賢의 말씀에서 가져왔다. 門樓의 堂號는 展望 景觀의 特性과 그 儒學的 含意, 祭享 人物의 精神 世界를 三位一體로 담은 記號로 볼 수 있다. 문루 당호로 기호화된 전망경관은 自 然과 融合하는 한국의 傳統建築 思想과 한국 서원의 理念인 性理學의 天人合一觀 이 결합된 독특한 事例이다.

      • KCI등재

        韓・中서원의 院任 비교 연구-한국 소수서원과 중국 백록동서원을 중심으로

        채광수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4 No.-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executives of seowon in Korea and China through cross validation on Sosu Seowon, Korea’s first seowon, and Bailudong Seowon in China which is one of the exemplary seowon in East Asia. The general difference in the executives is that Korean seowon appointed men of repute in the village voluntarily while the seowon was operated mostly with the system of a director-(jangui)-yusa. On the other hand, Chinese seowon were operated by dividing the executives for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Also, the director was appointed as one of the local officials or an invited great scholar, and it was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largely. In addition, Chinese seowon had a more subdivided and larger organization about the executives than Korean ones. However, autonomy was guaranteed much more in Korean seowon than in Chinese ones which were influenced by the government strongly. The following is a comparison between Sosu Seowon and Bailudong Seowon. First of all, in Sosu Seowon that pursued the organization of a director-yusa, 657 directors served for five months on average from its foundation to 1900. They were mostly the enrollees of it, and the cases of those who served as the director twice or more reached up to 225, and they served as few as twice and as many as seven times. The bylaws stipulate the qualifications for being one of the executives among those who passed Mungwan (文官) and Sama (司馬), but more than half of them were Confucian scholars. Meanwhile, many of them were the figu res who lived in the villages near the seowon, and it was operated exclu sively by some Seonggwan (姓貫). From the mid- or late 18th century, prestigious men from outside or local officials in service were appointed as the director in order to adhere to governmental authority. About yusa, permanent yusa was there while temporary yusa were selected from time to time, too, to take charge of the duties. Concerning Bailudong Seowon, for Yeosan-gukhak in the Tang Dynasty, the master of Gugyeong (九經) in Gukjagam became Dongju in charge of teaching with a goal of edu cation to cu ltivate persons of ability then. In the Northern Sung Dynasty when the seowon was restored, it took on characteristics as a national school according to the prevailing trend of the time.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s of Bailudong Seowon were established by Chu-tzu in the Sou thern Sung Dynasty. He pu t himself in the position of the first Dongju and recruited students for teaching and also suggested the direction that the seowon should pursue, for instance, Dangjang (堂長), inviting noted scholars, or supervising the lectures. The most noteworthy part about the Ming Dynasty is that Dongju who had passed Gwageo formed up to 90%. This was a phenomenon in response to the trend of seowon becoming bureaucratic due to the government’s control over education. Since teaching in the seowon during the Qing Dynasty took ‘Gwageo Gongmyeong’ as its main principle, the court dispatched a person suitable for this condition as Dongju. 이 글은 韓・中서원의 院任을 한국 최초의 서원 소수서원과 동아시아 서원의 모범 중국 백록동서원을 교차 검증한 것이다. 원임의 일반적인 차이점은 먼저 한국서원은 향촌 내 명망가를 자율적으로 선임 하되, 주로 원장-(장의)-유사 체제로 서원을 운영했다. 반면 중국서원은 교육과 행정을 담당하는 원임으로 구분하여 운영했고, 원장은 지방 관료 또는 대학자 초빙 등의 형태로 이루어졌는데 官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다. 또 중국서원이 한국서원 보다 원임의 직제가 보다 세분되어 있으며, 조직 규모가 더 컸다. 다만 한국서원은 관의 영향력이 강한 중국서원에 비해 자율성이 크게 보장되었다. 다음은 소수서원과 백록동서원을 비교해 살펴보았다. 우선 원장-유사 직제를 지향한 소수서원은 창건부터 1900년까지 657명의 원장은 평균 5개월씩 재임했 다. 이들은 주로 입원생 출신들로 2회 이상 원장을 중임한 자가 무려 225회에 달했고, 적게는 2회 많게는 7회나 역임하였다. 규약에는 文官과 司馬 합격자 중에서 원임의 자격을 명시하고 있으나 실제 유학 신분의 비율이 절반이 넘었다. 한편 이들은 주로 서원 인근 고을에 거주한 인사들이 많은 가운데, 일부 姓貫들에 의해 배타적으로 운영되었다. 18세 중・후반부터는 외부 명망가, 현직 지방관을 원장으로 삼아 官權과 밀착했다. 유사는 상시 유사를 두면서 서원의 필요에 따라 임시유 사를 수시로 선발하여 일을 담당하게 하였다. 백록동서원은 唐代 여산국학은 국자감 九經박사가 동주가 되어 교수를 관장하 며, 과거 인재 양성에 교육 목적을 두었다. 서원이 복원되는 북송 대에는 당대 보편적인 흐름에 따라 관학적 성격을 띠었다. 남송 대 주자에 의해 백록동서원의 정체성과 특징이 형성된다. 그는 스스로 초대 동주에 올라 원생을 모집해 강학한 것을 비롯해 堂長과 유명학자 초빙, 강학 업무 관장 등 서원의 지향할 방향성을 제시해 주었다. 명대는 과거 출신 동주가 무려 90%를 차지하고 있는 점이 가장 주목 되는 부분이었다. 이는 조정의 교육 통제에 따른 서원의 관학화 흐름에 조응한 현상이었다. 청대 서원의 강학 성격은 ‘과거 공명’을 주요 기조로 삼았기 때문에 조정 에서는 이 조건에 적합한 인사를 동주에 파견했다.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와 지속・발전을 위한 방안 제안

        이해준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We would like to explore and propose measures to foster the cultural heritage valu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4,500-year-old Seowon memorial rites of “Seowon in Korea.” Although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system (Seowon) originated in China, the Korean academy system maintains a unique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which differs from the Chinese academy system that is centered on “semi-style lectures.” A Korean Seowon was a space where a symbolic ancient sage, who was worshipped by each Seowon, was selected as a mentor and revered through ancestral rites. In addition to its role in ancestral rites, it was a space where some of the high class talented persons made contact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Korea is the only place where the Seowon memorial rites are practiced unchanged, and the Korean Seowon memorial rites can be said to be the most completely reproduced Confucian-style memorial rites in the world. The memorial rites of the “Korean Seowons,” collectively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Sites, have been practiced by descendants and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nine Seowons, and have sufficient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value to constitute intangible heritage.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signate the “Korean Seowon” memorial rites, protected under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s a nationally designated intangible heritage by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redefining their value, and establishing a transmission system for them. ‘한국의 서원’이 지닌 4-500년 전통의 서원 제향의례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 제안해 보고자 한다. 서원제도는 중국에서 비롯되었지만 중국 서원이 ‘강학(講學)’ 위주인데 반하여, 한국의 서원은 독특한 ‘제향(祭享)’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한국의서원은 서원별로 추앙하는 상징적인 선현을 선정하여 사상적 멘토를 삼고 그를 추숭하고 제향 하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제향과 함께 고급 인재들이 수시로 출입하고접촉, 교류했던 거점 공간이었던 것이다. 또한 서원의 제향의례가 온전하게 남아 시행되는 경우는 한국뿐으로,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는 세계에서 가장 완비된 형태로 재현되는 유교식 제향 의식이라 할수 있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서원’의 제향의례는 9개 서원의 제향의례는후손, 지방 유림들에 의해 지속되어 왔고, 무형유산으로서 역사적・학술적・예술적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9개 서원의 제향의례 원형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재정립, 전승체계를구축해 나감으로써 세계유산인 ‘한국의 서원’ 제향 의례를 국가지정 무형유산으로 지정하였으면 한다.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전승 구조와 현황 -9개 서원 홀기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재훈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Sacrificial rite of Seo-won base on Seok-jeon(釋奠) was held in the government school such as Hyang-gyo and imitate it, but drew a sharp distinction about the subject, the scale and the ritual. Especially, it strongly reflected the sense of authenticity lineage(道統) when select the subject, but it adopted relatively small scale and simple ritual. These characteristics of sacrificial rite of Seo-won outstanding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So-su-seo-won(紹修書院), Nam-gye-seo-won(灆溪書院), Ok-san-seo-won(玉山書院), Do-san-seo-won(陶山書院), Pil-Am-seo-won(筆巖書院), Do-dong-seo-won(道東書院), Byeong-san-seo-won(屛山書院), Mu-seong-seo-won(武城書院), Don-am-seo-won(遯巖書院). Toe-gye Yi-hwang laid the groundwork for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by making extensive retouching the sacrificial rite of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by Sin-jae Joo-seboong. Since then, 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developed through inheritance and criticism about this Toe-gye’s work. Joseon Dynasty Seo-won was under tension and worry to set own stature in the middle of Hyang-gyo(鄕校) which is the government school and Hyang-sa(鄕祠) which is the town shrine. And it could form unique ritual style of sacrificial rite of Joseon Dynasty Seo-won through these tension and worry.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empirically that sacrificial rite of Seo-won how to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by comparison the Nine representative Seo-won in Joseon Dynasty. Specific rituals are difference between the Nine Seo-won, if it includes the other Seo-wons, the difference is more. However the existence of this difference itself shows that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autonomously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ess and debate.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Joseon Dynasty maintained general similarity, but also maintained negligible differences, it represents diversity of Seo-won culture in in Joseon Dynasty. 한국 서원의 향사는 국학(國學) 즉,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봉행하는 석전(釋奠) 을 기준으로 삼아 모방하면서도, 그 대상과 규모 그리고 의식절차 등에서는 융쇄(隆殺)의 차등을 견지한다. 서원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퇴계 이황은 신재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의 향사례에 대폭 수정을 가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특히 제품의 진설과 의절의 진행과 관련하여 중요한표준을 제시하였고, 제관의 구분과 수행조건 등에 대해서도 기준을 제공했다. 이후한국의 서원 향사례는 이러한 퇴계의 작업 결과물을 기준으로 삼아 계승과 비판그리고 조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갔다. 한국의 서원은 자신의 위상을 국학(國學)과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특히 서원의 향사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향교의 석전을 참고하면서도 융쇄의 차등을 견지하려고 긴장했다. 이러한 긴장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들은 한국적 서원 향사례를 조성해나갔다. 현존하는 서원들 중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필암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무성서원・돈암서원)의 향사례를 ‘홀기(笏記)’의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의 서원향사례가 어떻게 진행되고 전승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항목들의 경우 9개 서원들 간에도 차이가 있고, 이외의 서원들까지 포함한다면 훨씬 다양한 차이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서원의 향사례를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하여 제공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정립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 향사례가 대동(大同)을 유지하면서도 소이(小異) 또한 존속케 했던 것이 이를 대변한다.

      • KCI등재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과 서원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자운 ( Kim Ja-woon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3 No.-

        2019년 한국의 서원 9개소가 연속유산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면서 최근 서원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과 활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네스코가 인정한 한국 서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핵심은 첫째, 조선왕조의 성리학 교육기관을 대표하는 9개 서원이라는 점, 둘째, 몸과 마음의 전인적 수양을 위한 교육환경을 구비하고 있다는 점(산수 근처에 위치), 셋째, 중국에서 발원한 성리학을 한국의 교육적, 사회적 관행으로 토착, 발전시킨 문화적 전통의 우수한 증거라는 점, 넷째, 그 정신적 가치의 많은 부분이 계승되고 있으며, 건축물의 보존상태가 우수하다는 점이다. 유네스코가 지적한 바와 같이, 한국 서원의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해서는 ‘대중성’ 뿐 아니라 ‘정신적 가치’의 계승과 재해석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그렇다면 서원의 교육과 활용을 위해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정책과 각 서원의 실제 교육환경은 이 두 가지를 과연 얼마나 제대로 충족시키고 있을까? 이 같은 문제의식 하에 본고에서는 세계유산 등재 전후 문화재청 정책을 비교하고, 최근 서원 교육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계유산 등재 이전부터, 서원의 활용은 2014년 정부 국정 과제의 일환으로 추진된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을 기점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으며, 2019년 세계유산 등재 이후 현재까지 매우 빠른 속도로 진화해오고 있다. 또한 정부 국정 과제가 시작된 2014년을 전후로 문화콘텐츠와 관광학 분야에서는 문화재활용 사업 및 유교문화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전통문화재와 유교문화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방향 모색과 모니터링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세계유산 등재 이전까지를 대상으로 대부분 특정 지역이나 특정 시기의 문화재 활용 사업에 국한되어 있어 최근 현황 및 향후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시사점 제공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세계유산 등재 이전과 이후로 문화재청 정책의 변화와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최근 운영되고 있는 서원 교육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진정성 있고 지속 가능한 교육과 활용을 위한 서원의 교육환경’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세계유산 등재 이전 문화재청 정책을 ‘살아 숨 쉬는 향교ㆍ서원 만들기’ 사업의 목적과 성격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둘째, 세계유산 등재 이후 문화 재청 정책 및 통합보존관리단 사업의 성과와 과제, 셋째, 최근 서원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성과와 과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유네스코가 한국 서원의 ‘OUV’를 인정한 가장 중요한 지점 중 하나는 서원이 ‘중국에서 발원한 성리학을 한국에 맞게 토착적으로 발전시킨 우수한 문화적 증거’라는 점에 있다. 즉, ‘중국의 것을 조선의 것으로’ 의미 있게 변용,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이제 우리 시대가 담당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는 단순한 모방과 계승을 넘어 현대의 상황에 맞게 그 가치를 변용, 발전시켜 ‘조선의 서원을 21세기의 서원으로’ 재해석하고 재탄생시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Seowon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he use of seowon has been gradually revitalized starting with the cultural property utiliz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government in 2014 and the registration of the Korean seowon as a World Heritage Site in 2019. However, there is a lack of comprehensive research on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and the use of seowon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before and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comprehensively reviews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to seek 'seowon’s educational environment for sustainable education and utilization'. To this end, first, we will review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y prior to World Heritage listing, focusing on the purpose and nature of the ‘Creating a Living Hyanggyo and Seowon’ project. Second, changes, achievements and tasks in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policies after being registered as a World Heritage Site will be reviewed. Third, I would like to review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the recent educational programs at seowo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at UNESCO recognized the ‘OUV’ of Korean seowon is that seowon is ‘excellent cultural evidence that indigenously developed Neo-Confucianism that originated in China for Korea’. In other words, it is a meaningful trans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seowon into Joseon seowon’. Now, the most important task of our time is not to simply imitate and inherit the value of the seowon. It is about transforming and developing its value, reinterpreting and reinventing the seowon of the Joseon Dynasty into the seowon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전승 구조와 현황-9개 서원 홀기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재훈 ( Han Jae-hoon )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한국 서원의 향사는 국학(國學) 즉,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봉행하는 석전(釋奠)을 기준으로 삼아 모방하면서도, 그 대상과 규모 그리고 의식절차 등에서는 융쇄(隆殺)의 차등을 견지한다. 서원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퇴계 이황은 신재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의 향사례에 대폭 수정을 가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특히 제품의 진설과 의절의 진행과 관련하여 중요한 표준을 제시하였고, 제관의 구분과 수행조건 등에 대해서도 기준을 제공했다. 이후 한국의 서원 향사례는 이러한 퇴계의 작업 결과물을 기준으로 삼아 계승과 비판 그리고 조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갔다. 한국의 서원은 자신의 위상을 국학(國學)과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특히 서원의 향사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향교의 석전을 참고하면서도 융쇄의 차등을 견지하려고 긴장했다. 이러한 긴장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들은 한국적 서원 향사례를 조성해나갔다. 현존하는 서원들 중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필암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무성서원·돈암서원)의 향사례를 ‘홀기(笏記)’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의 서원향사례가 어떻게 진행되고 전승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항목들의 경우 9개 서원들 간에도 차이가 있고, 이외의 서원들까지 포함한다면 훨씬 다양한 차이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서원의 향사례를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하여 제공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정립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 향사례가 대동(大同)을 유지하면서도 소이(小異) 또한 존속케 했던 것이 이를 대변한다. Sacrificial rite of Seo-won base on Seok-jeon(釋奠) was held in the government school such as Hyang-gyo and imitate it, but drew a sharp distinction about the subject, the scale and the ritual. Especially, it strongly reflected the sense of authenticity lineage(道統) when select the subject, but it adopted relatively small scale and simple ritual. These characteristics of sacrificial rite of Seo-won outstanding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Toe-gye Yi-hwang laid the groundwork for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by making extensive retouching the sacrificial rite of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by Sin-jae Joo-seboong. Since then, 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developed through inheritance and criticism about this Toe-gye’s work. Joseon Dynasty Seo-won was under tension and worry to set own stature in the middle of Hyang-gyo(鄕校) which is the government school and Hyang-sa (鄕祠) which is the town shrine. And it could form unique ritual style of sacrificial rite of Joseon Dynasty Seo-won through these tension and worry.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empirically that sacrificial rite of Seo-won how to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by comparison the Nine representative Seo-won in Joseon Dynasty: So-su-seo-won(紹修書院), Nam-gye-seo-won(灆溪書院), Ok-san-seo-won(玉山書院), Do-san-seo-won(陶山書院), Pil-Amseo-won(筆巖書院), Do-dong-seo-won(道東書院), Byeong-san-seo-won(屛山書院), Mu-seong-seo-won(武城書院), Don-am-seo-won(遯巖書院). Specific rituals are difference between the Nine Seo-won, if it includes the other Seo-wons, the difference is more. However the existence of this difference itself shows that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autonomously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ess and debate.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Joseon Dynasty maintained general similarity, but also maintained negligible differences, it represents diversity of Seo-won culture in in Joseon Dynasty.

      • KCI등재

        한국(韓國) 서원(書院)의 립지(立地)와 경관(景觀)에 대한 독해(讀解)

        김덕현 ( Kim Duk-hyun ) 한국서원학회 2011 한국서원학보 Vol.1 No.-

        이 글은 한국의 대표적 서원의 案對 景觀을 독해하고, 서원 경관에 再現된 天人合一에 대한 해석을 추구하였다. 서원을 발전시킨 신유학은 서원 입지에 大自然과 一體가 된다는 知覺을 얻을 수 있는 경관을 요구하였다. 서원 설립자들은 입지의 자연지리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안대 경관을 구성하고, 그 유교적 의미를 詩文과 記文으로 해석하였다. 한국의 서원 경관은 大自然과 一體感을 知覺할 수 있도록 自然性과 開放性을 중시하였다. 한국서원의 자연성과 개방성은 중국서원과 구별되는 한국서원의 固有性과 眞正性이라 할 수 있고, 이는 背山臨水· 前低後高의 構造로 표현된다. 한국서원의 입지 · 경관에서 지각된 新儒學의 仁은 각 서원의 입지 특성에 따라 다양한 景觀으로 再現되었다. 사례연구의 대상인 7개 한국 서원의 案對 景觀을 입지유형에 따라 野景· 山景· 江景· 漢景 등으로 분류하고, `天人合一의 仁`과 관련하여 解釋을 試圖했다. This article deals with reading opposite landscape of representative Korean Seowon(書院) and interpreting representation of ren(仁) thought in Seowon landscape. The Neo-Confucianism, developing Seowon culture, demanded the landscapes, which allow commanding view for perception of `Being Oneness All things in the Universe(自然合一)`. The establishers of Korean Seowon constructed various opposite landscapes according with characteristics of natural geography, and interpreted Confucian meaning with poem and documents. The neutrality and open structure were very important features of Korean Seowon. They are the uniqueness and authenticity of Korean Seowon distinguished from Chinese. The topographical character of Korean Seowon could be expressed `Back hill and front stream(背山臨水)` and `Low front and high back(前低後高)`. The perceived `Heaven and human beings in harmony as one(天人合一)` from each Korean Seowon was represented in various opposite landscapes. The opposite landscapes of seven Korean Seowons could be classified such as open field landscape, mountain landscape, river landscape, stream landscape in accordance with locational type. The Confucian meaning of each opposite landscapes of seven Korean Seowons were sought understanding as various expressions of ren(仁).

      • KCI등재후보

        상주 玉洞書院 소장 자료의 유형과 특징

        김순한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9 No.-

        This study arranged previously undisclosed archives including disclosed ones in Okdong Seowon and review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rchives. Okdong Seowon had been developed from Hoingdang(黌堂) sealed with the portrait of Hwang Hee to Sawoo(祠宇) to Youngdang(影堂). In 1714, Saseo Jeon hick was also enshrined and it was elevated to Seowon and in the following year, it was moved to the current location, and named by King in 1789. A remarkable characteristic of Okdong Seowon's diverse archives consist of those from the time that it became Seowon in the 1650's and those after being named by King until the 1900's. The archive is very important showing of the Seowon's position by figuring out its establishment, organization, education, and socio-economic relations. And the books and published sources could be very helpful for culture of education and publication. Okdong Seowon was named by local heritage in 1984 and the researches about it by lots of researchers have been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o rise to national heritage, the archive of the Seowon was broadly disclosed and the topics of the researches were various including human organization, management, being named by King, Seungmu(陞廡), sacrifice rites. However, the existing sources are few and in-depth studies are limited. This study aims at rearrange and collect the list of all the archives including new ones in and report the current status in order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Currently, old books and book board stored in Sadang and Kangdang in Okdong Seowon were sent to and store in Sangju Museum in three times. The owned sources consists of old books, documents, portraits, and book board. The old documents are 316 cases and 550 items, and book boards and other boards are 105 items there. 본 논문은 옥동서원 소장 자료 중 기존에 공개된 자료와 미공개 자료까지 포함·정리하여 그 내용과 특징을 검토하였다. 옥동서원은 황희 영정을 봉안한 黌堂이 효시이며 이후 祠宇로, 또 影堂으로 발전하였고, 1714년(영조 40)에는 사서 전식을 배향하여 서원으로 승원 하였다. 이듬해 현재 자리로 이건 후 1789년(정조 13)에 사액 되었다. 옥동서원은 1984년 지방 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많은 연구자에 의해 서원 연구가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2013년 국가 문화재 준비과정에서 서원의 많은 자료가 새롭게 발굴되어 서원의 인적 구성· 운영· 사액·승무(陞廡)·제향 의례 등 연구 범위도 다양해졌다. 하지만 공개된 자료만으로 서원의 종합적인 내용과 특징을 규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미공개 자료와 함께 모든 자료를 재조사·수집하여 목록을 작성하고 그 내용을 살펴보고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옥동서원의 모든 자료는 3차에 걸쳐 상주박물관에 기탁 보관하고 있다. 기탁된 자료는 크게 成冊古文書 · 古文書 · 影幀 · 책판 등으로 구분되며, 현대 자료를 제외한 고문서는 약 246종 397건이다. 이들 자료는 165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 자료가 두루 남아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서원의 설립과 승원·사액·운영·경제·제향 등을 밝힐 수 있으며 나아가서 서원의 위상까지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 서원의 서적과 책판 자료는 교육과 출판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다.

      • KCI등재후보

        16-17세기 초반 퇴계 문인의 서원 건립 활동

        권시용 ( Kwon Shi-yong )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8 No.-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그 문인들이 조선시대 서원의 확산에 기여한 점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이황은 지방에서 성장하고 있는 의욕적인 신진사림들에게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시켜 성리학적 향촌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발판으로 다가올 사림의 시대를 준비하려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서원에 주목했으며 그의 문인들과 더불어 서원 보급에 노력하였다. 퇴계문인들은 출세주의ㆍ공리주의에 매몰된 관학에 대한 비판 위에서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위한 공간으로서 서원의 가치를 인정하고 스승인 퇴계의 서원 보급에 동참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모두 56명의 문인들이 43개소의 서원 건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이들이 주로 활동하였던 임진왜란 이전까지만 보면 전국적으로 건립된 서원의 절반 이상에 이들이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방관으로 나간 문인들의 서원 건립이 두드러진다. 모두 17명의 문인들이 지방관으로서 22개 소의 서원 건립에 관여하였다. 초기 서원건립에 있어 지방관의 역할이 상당하였음을 고려하면 각 지역으로 부임해 나간 이들의 서원 건립 노력은 조선 서원의 확대ㆍ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분명하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는 광해군대까지 건립된 서원의 55.2%에 퇴계 문인들이 관여하였으며, 임란이전까지는 70%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경상도 지역의 서원 건립에 있어 퇴계문인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음을 나타낸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경상도에 비해 퇴계문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대부분 임란 이전에 관계한 사례였다. 이처럼 퇴계와 그의 문인들은 조선에서 서원제도가 도입되던 시기에 그 보급과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Seowon(書院)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退溪門人) involved in distributing Seowon based on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Toegye intended to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Sarim(士林) by teaching Sung Confucianism to new powers in Sarim and establishing Sung Confucian(性理學) order in the local areas. He considered Seowon system as a distinctive means for his intention and strove to distribute Seowon along with his fellow scholars. This study indicates that 56 students of Toegye's participated in Seowon establishment in 43 places. Thi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half of the total number founded nationwide before the Imjin War(壬辰倭亂).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eowon establishment in Kyeongsang area(慶尙道). Toegye's stdents made efforts to found Seowon not just at the very places where they lived but where they serv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latter, especially, came to remarkable results showing that 17 students as local officials founded Seowon in 22 places. They initiated the discussion about founding Seowon, encouraged local people to join the establishment activity , and provided them with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They kept on supporting after completing Seowon through taking part in academic trainings(講學) and engaging in running Seowon. These facts tell us that they did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and spreading Seow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conclusion,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 made its way to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which was aimed at the academic training and moral cultivation of Sarim.

      • KCI등재후보

        硏經書院의 설립과 위상 및 의의

        구본욱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0 No.-

        Yeongyeong Seowon School(硏經書院) was the first of its kind in Daegu, representing the starting point of education in the Daegu area. First constructed in 1563 (the 1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nd then, torn down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壬辰倭亂), the School went through a long period of being rebuilt. As the provincial office of Gyeongsang Province(慶尙監營) was set up in Daegu in 1601 (the 34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jo), Yeongyeong Seowon School faithfully fulfilled its function as a Seowon School in Daegu, the capital city of Gyeongsang Province. This ultimately led to the School becoming the main Seowon School when it came to the Toegye Studies in the Daegu area. However, in 1871 (the 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ojong), the School subjected to abolition as a result of the nationwide abolition policy against Seowon Schools led by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King Gojong's father who was acting as a regent at the time. The abolition made the School leave around three-hundred-year-long prosperity behind history.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Yeongyeong Seowon School made an immeasurable contribution to educational, academic and cultural aspects in the Daegu area. In recent days, recognizing the enormous influence of the School on the formation of identity in Daegu, and agreeing on the need for the School to regain its reputation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Daegu education, some interested figures in this matter in the Daegu area have embarked on a campaign for restoring the Seowon School. Against this backdrop, the writer of this thesis has touched on the status, characteristic, and significance of Yeongyeong Seowon School. 연경서원은 대구 최초의 서원으로 대구지역 교육의 원류이다. 이 서원은 1563년(명종 18)에 건립되어,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며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중건되었다. 1601년(선조 34)에 경상감영이 대구에 설치됨에 연경서원은 경상도 首府의 서원이자 監營의 서원으로 그 기능을 다하였다. 이로써 연경서원은 洛中地域 퇴계학의 중심서원이 되었다. 그러나 1871년(고종 8)에 이르러 대원군의 서원철폐정책으로 훼철됨으로써 300여 년간 융성하였던 연경서원의 발자취는 사라지게 되었다. 그러나 연경서원이 대구지역의 교육과 학술, 문화에 끼친 공로는 지대하다. 이것은 『대구읍지』를 비롯한 史書와 先儒들의 문집 속에 기록된 많은 문헌이 이를 실증하고 있다. 최근에 이르러 대구의 뜻있는 인사들이 연경서원이 대구의 정체성 형성에 미친 영향과 대구교육의 원류로서 연경서원이 복원되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모우고 복원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그래서 논자는 본 논고에서 우리나라의 서원 중에서 연경서원의 위상과 특징 및 의의에 대하여 건립연도, 건물의 규모, 건립의 주체, 배향인물, 강학의 참여자, 사액여부, 관리의 방문, 훼철여부, 지역사회의 기여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연경서원 복원을 위한 타당성과 정당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