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논문의 글쓰기 사례 연구

        한재영 ( Jaeyoung Ha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4

        과학교육 논문의 글쓰기 실태를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의 측면에서 조사하고 그 개선점을 찾아보았다. 과학교육 연구는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특성을 모두 나타내며 양적 연구를 더 많이 하는 특징이 있어 논문 글쓰기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번역투는 순수한 한국어가 아닌 외국어에서 유래한 상투적 표현을 말한다. 한국어 기초 문법은 호응의 문제, 맞춤법·띄어쓰기·문장 부호의 문제, 사동 표현의 문제, 무분별한 영어 사용의 문제로 정리하였고, 번역투는 영어번역의 문제, 일본어 번역의 문제, 영어와 일본어 번역의 문제로 구분 하였다. 이에 따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한 호에 실린 논문 9편의 글쓰기 중에서 한국어 기초 문법에 어긋나는 사례와 번역투에 해당하는 사례를 찾아 문제를 논의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빈도가 높은 문제사례는 ``~적``, ``영어 사용``, ``복수 표현``, ``하다류 피동``, ``~고 있는``, ``~을 통하여``, ``~에 대하여``, ``가지다``, ``관형격조사 ~의``, ``사물주어 수동태``, ``사동(시키다)`` 등이었다.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과학교육 소 논문의 글쓰기 특징을 ``양적 연구의 글쓰기``, ``학술 연구의 객관적 글쓰기``, ``외국에서 유래한 연구의 글쓰기``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과학교육 논문 글쓰기에 나타나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과학교육 연구자는 한국어 기초 문법과 번역투에 관심을 기울이고, 구체적인 사례와 내용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 글쓰기 교육과 문법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riting in research papers of science education with focus on the translationese and basic Korean grammar,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the Korean language.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 have characteristics of both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and of having more quantitative than qualitative research, which could influence the writing of the research paper. The translationese means the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from foreign language other than Korean. The basic Korean grammar includes ``agreement,`` ``spelling, word spacing, punctuation mark,`` ``causative suffix,`` ``use of English or loanword,`` and the translationese is divided in ``English,`` ``Japanese,`` and ``English and Japanese.`` The sentences in nine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were analyzed, and the problematic sentences were discussed and provided with alternatives. The cases with high frequency include ``-jeok,`` ``use of English,`` ``expression of the plural,`` ``passive voice of the verb with -hada,`` ``-go inneun,`` ``-eul tonghayeo,`` ``-e daehayeo,`` ``gajida,`` ``genitive case marker -eui,`` ``passive voice with subject of thing,`` and ``causative suffix, -sikida.`` Based on the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of science education research papers were described as ``wri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objective writing of academic research,`` and ``writing of research of foreign origin.`` In order to improve the writing of research pap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researcher should pay attention to basic Korean grammar and the translationese, and be familiar with the concrete examples of problematic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education of writing and grammar of Korean language.

      • KCI등재

        인문사회 영재교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안재형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do teaching and learning occur in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ly, What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potentials for new education examin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nterpreted: (1) The students come to engage in creative thinking, whereby they see the world from uncommon perspectives. (2) Motivated, the students build their confidence and design their future selves, thus experiencing the growth of their own selves. (3)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students learn to see an even bigger world. (4) The students encounter “alter egos” who share their interests and passion. (5)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monstrates the power to be free from a climate that emphasizes private/extracurricular education. The limit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ask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1) As for the curricula, while student-centered classes abound, teacher-centered classes are deficient. (2)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situated in an educational climate that stresses results over processes. (3) There are not enough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본 연구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을 연구현장으로 선정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하고, 발전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문사회 영재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또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므로, 본 연구는‘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통한 참여관찰과 면담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평가받고 있는 국내 최초의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 2014학년도에 진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참여관찰하였고, 인문사회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발된 세 명의 학생, 수업을 담당한 한 명의 교사와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르침과 배움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둘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의‘가르침’과‘배움’을 통해 파악한 새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첫째,‘창의적 사고’, 둘째,‘자아 성장’, 셋째,‘융합과 통합’, 넷째,‘흥미와 열정을 함께 나누는 또 다른 나’, 다섯째,‘사교육 풍토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힘’이라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이 안고 있는 한계와 과제를 첫째,‘넘치는 학생 중심 수업과 부족한 교사 중심 수업’, 둘째,‘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풍토’, 셋째,‘인문사회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부족’이라는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 KCI등재

        인문사회 영재교육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안보형(Ahn Boh hy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을 연구현장으로 선정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진단하고, 발전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인문사회 영재교육에서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또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므로, 본 연구는‘문화기술적 사례연구’를 통한 참여관찰과 면담을 연구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문사회 영재교육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다고 평가받고 있는 국내 최초의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 2014학년도에 진행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참여관찰하였고, 인문사회 영재교육 대상자로 선발된 세 명의 학생, 수업을 담당한 한 명의 교사와 면담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첫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르침과 배움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기술하고 분석함으로써, 둘째,‘인문사회 영재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는 무엇인가?’의 답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에서의‘가르침’과‘배움’을 통해 파악한 새로운 교육의 가능성을 첫째, ‘창의적 사고’, 둘째, ‘자아 성장’, 셋째, ‘융합과 통합’, 넷째, ‘흥미와 열정을 함께 나누는 또 다른 나’, 다섯째, ‘사교육 풍토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인문사회 영재교육의 힘’이라는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인문사회 영재교육원이 안고 있는 한계와 과제를 첫째,‘넘치는 학생 중심 수업과 부족한 교사 중심 수업’, 둘째,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교육풍토’, 셋째, ‘인문사회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부족’이라는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해석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Firstly, How do teaching and learning occur in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ly, What a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potentials for new education examined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nd interpreted: (1) The students come to engage in creative thinking, whereby they see the world from uncommon perspectives. (2) Motivated, the students build their confidence and design their future selves, thus experiencing the growth of their own selves. (3) Through convergence and integration, the students learn to see an even bigger world. (4) The students encounter “alter egos” who share their interests and passion. (5)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emonstrates the power to be free from a climate that emphasizes private/extracurricular education. The limita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tasks at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and examined: (1) As for the curricula, while student-centered classes abound, teacher-centered classes are deficient. (2) The gifted education center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s situated in an educational climate that stresses results over processes. (3) There are not enough teachers in charg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KCI등재

        예비 생물 교사들의 생태학 참탐구 수행 및 논문 작성에 관한 사례연구

        정세종,장재연,김재근 한국생물교육학회 2024 생물교육 Vol.52 No.1

        Authentic inquiry means the inquiry conducted in a genuine context, such as ‘scientist’s researche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consider the intrinsic value and meaning of ‘inquiry’ as ‘ecology’ in ecological education. We conducted a case study with students taking “Biological Science Lab & Instruction Methods I” of a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in Seoul. This course is based on authentic inquiry conducted by real ‘ecologists’. Accordingly,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difficulty’, ‘solving the difficulty’, and ‘change of perception’ experienced during the inquiry with 13 voluntary participants.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such as ‘topic selection’, ‘biological identification’, ‘self-doubt about methods’, and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etc. They dynamically overcame these difficulties. Through the experiences, they have expanded their awareness of inquiry, such as ‘improvement of inquiry ability and confidence’, ‘expanding awareness of the scope of inquiry’, and ‘internalization of scientific attitude’. In addition, they expanded their awareness of the ecosystem as ‘increased interest in the natural environment’, ‘realizing of biodiversity and interaction’, and ‘awareness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In addition, after conducting authentic inquiry, one pre-service teacher, who had previously had a high interest in ecology, recognized that ‘the interactions of numerous main characters are intertwined in the ecosystem’, and the other pre-service teacher, who had little interest, also recognized that ‘the process and results of inquiry are an open, not a closed one’.

      • KCI등재

        한자문명권 데이터 구축・분석과 ‘디지털 문해력’의 관계

        허철 계명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동서인문학 Vol.- No.65

        디지털 문해력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데이터 구축・수집・정제・분석하는 방법과 이를 객관적 데이터와 분석을 바탕으로 주관적으로 해석함을 의미한다. 우리에게 디지털로 유통되는 모든 것들은 믿음의 대상이 아니라 관찰이나 반문의 대상이며, 성찰과 통찰을 통해 수용되어야 하는 것들이기에, 비판적 사고력과 판단력은 필수적이다. 더이상 디지털과 기계에 대한 무조건적 맹신 혹은 불신이 아니라, 다양한 과정을 통해 신뢰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아가는 것은 인간의 몫이며, 이는 현재를 살아가는 지식인들의 몫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