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곤 실레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 원리적 특성에 대한 고찰

        이성우 ( Sung Woo Lee ),김일 ( Il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3

        현대예술에 혼재하는 미적 가치와 표현매체들은 우리들에게 다양한 시도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현대성이란 개념과 미래 지향성이란 개념의 미적 가치추구는 가치의 결합과 매체의 결합을 양산하여 우리들에게 더욱 복잡한 형태의 이해를 요구하고 있으며, 가치의 혼돈을 일으키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혼돈 속에서 한 세기 전 에곤 실레의 미적 가치가 미술사적 가치를 넘어 현대에서도 그 빛을 발하는 시대 초월적 미감에 대해 주목하여, 우리들에게 제안하는 아름다움에 대한 원리들이 어떠한 미적 형상을 불러일으키는지에 대하여 고민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비엔나가 활동 무대였던 에곤 실레는 세기말 시대적 변혁기를 거치면서 당시 빈의 시대의지로 나타난 표현주의와 일본미술 그리고 상징주의 등의 영향을 받으며 독창적 표현 세계를 구축한다. 특히 여타의 표현주의 화가 와는 차별된 데생력을 기반으로 한 실존적 형상의 인물화를 다수 남긴다. 에곤 실레의 드로잉 작품들에서는 조형 원리적 특성이 상당 부분 함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의 작품들은 게슈탈트의 이론에서 밝히는 통일감의 원리들을 간결한 표현상에서도 절묘하게 표출시키고 있으며, 실레만의 확장된 개념의 비대칭 균형감을 제안하고, 다양한 형태의 초점을 발생시켜 화면상의 강조를 이끌어 내고 때로는 초점의 배제와 초점의 부재를 통해 실레의 작가적 의도를 드러내기도 한다. 특히 초상화에서 닮은꼴의 실현을 통한 실존성 부여와 조형요소들에 가해진 표현주의적 성격이라는 이중적 구조의 표현분배를 통해 실레만의 조형적 특성의 정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esthetic values and representational media, which coexist intricately in modern art, allows for the possibility of diverse artistic attempts. In the process, however, the aesthetic pursuits resting upon the concepts of modernism and future-oriented-ness have massively produced the annexations of artistic values and representational media, demanding the need of understanding of more complicated forms and even eliciting the confusion in artistic value. Under these chaotic circumstances, this study draws attention to Ego Schiele`s transcendental aesthetic sensibility, which, although Schiele was an artist from a century ago, defies all art-historical evaluations and shines out even in modern age, and analyzes the principle of beauty that Schiele`s art offers to us. Finally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Schiele`s artistic principles to fashion illustr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aesthetic forms that they create. Egon Schiele who lived and worked in Vienna went through the historical transition period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establishing his unique world of artistic expression under the influence of Expressionism, Japanese art, and Symbolism, all of which came out as the zeitgeist of Vienna at that time. Schiele left a few pieces of existential figure painting which show his ability of dessin far greater than any other Expressionist painters of his time. Schiele`s works imply the principles of plastic art to a great extent. His works reveal exquisitely the principles of unity clarified in Gestalt theory even in simple expressions, suggest the sense of asymmetrical balance conceptually created by Schiele himself, generates emphatic points on the plane by making focal points of various kinds, and sometimes betray the author`s intentions through the termination and absence of the focal point. Particularly in the portraits by Schiele, one may witness the consummation of Schiele`s application of plastic-art characteristics to his paintings in which he uses distribution of expression styled the dual structure of existential quality through the realization of resembled figures and Expressionistic attributes of the plastic art elements.

      • KCI등재

        에곤 실레의 자화상 분석-라캉의 응시 개념을 중심으로

        김정은,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1

        본 논문은 Lacan의 예술이론을 응시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Schiele의 자화상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Lacan의 예술론의 중심에 있는 응시의 개념에 대해서 고찰한 다음 그림에 대한 Lacan의 정의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실재로서의 응시의 측면에서 Schiele의 작품을 해석해 보았다. Lacan은 전통적인 시각방식이 지각하는 주체의 위치를 우위에 둠으로써 시각에 대한 몰인식을 초래했다고 보았다. 이와는 달리 응시는‘보다’라는 지각 행위와 관계하지 않는 영역으로 무의식적 주체와 관계하는 것이다. Lacan의 예술론의 중심에는 대상a로서의 응시개념이 있으며, 그에게 있어 예술이란 근본결여로써 대상a의 응시에 응답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Lacan은 그림의 기능을 응시의 사나운 시선에 볼거리를 제공함으로써 응시를 내려놓도록 하는 응시-길들이기로써 정의하며, 20세기 표현주의 회화에 대해서는 응시에 노골적으로 호소하기로 표현하여 예외적인 경우를 제시한다. 응시에 호소하기는 응시가 요구하는 것을 일정하게 만족시키는 것으로 이는 실재와의 만남을 촉구하는 것이다. Schiele의 자화상은 관람자의 관음증적 시선을 무화시키며 더 나아가 상징계의 질서에 의해 금지되고 은폐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우리를 끊임없이 욕망하게 만드는 대상을 응시하라고 종용함으로써 불안과 공포를 느끼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f-portraits of Egon Schiele, by examining the concept of ‘the gaze’ that contains central idea of Lacan art theory. To do this, I have considered ‘gaze’ as key concept of Lacan’s psychoanalysis, and then have analyzed Egon Schiele’s pieces from aspect of the gaze as the real. For Lacan, the traditional ways of seeing have put a seeing subject ahead of everything, and as a consequence caused many mis-understandings and non-understandings of the seeing. But ‘the gaze’ is deeply related to the unconscious subject, not to just a looking. One must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 object petit a’ in Lacan aesthetics, because arts are responses to the gaze of such a object a as a basic lack. Lacan defines function of pictures as taming of the gaze, that means that pictures let seeing-subjects put down ‘the heavy burden of the gaze’ by providing attractions for fierce and wild gaze, and he offers expressionist paintings of the 20th century as an exceptional example that clearly shows an unconcealed appeal to the gaze. This appeal to the gaze is to satisfy what the gaze requires, in other words, it is to encourage subjects to encounter the real. Egon Schiele’s self-portraits make voyeuristic eyes to nothing and urge subjects to gaze the objects that should be banned and suppressed by the symbolic order, but encourage us to desire. It leads to irrational anxiety and fear.

      • KCI등재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 불안에 관한 연구

        이지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the image of anxiety in Egon Schiele's tree pictures appears an unconscious self-expression. The subject of the research are Egon Schiele's 13 tree pictures painted from 1906 to 1918. In order to inquire the image of anxiety, the research analysed the painter's formation process and pictorial characteristics through his life and then examined, through the qualitative methods, lines, colors, and forms in the picture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13 tree pictures in this research were 15 variables of the analytic indicators in Baum test. The analysis of the data is used by cross-analysis employing SPSS 14.0 Program for calculating inter-annontator agreem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following: First, the tree pictures of Egon Schiele ignored the perspective and used dark color tones, and showed a human feature of trees as like his self-portrait. Additionally it unconsciously showed a conflict between his defensive character and anxiety. Second, there were the 3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15 variables, for instance the thickness and surface of tree's trunk, in relation between Baum test and Egon Schiele's tree. 본 연구의 목적은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에서 불안의 이미지가 무의식적인 자기표현으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06년부터 1918년까지 에곤 쉴레의 작품 중 나무그림 13점이며 나무그림에서 나타나는 불안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작가의 성장과정과 회화적 특성을 시대별로 나누어 분석한후 선, 색채, 형태 등은 질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나무그림 13점을 분석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나무그림검사(Baum test)의 분석 지표 중 15개 변인을 이용하여 양적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에곤 쉴레의 작품 13점의 나무그림의 채점자간 일치도 및 분석을 위해 SPSS 14.0 Program을 이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곤 쉴레의 나무그림은 원근법을 무시하고 어두운 색조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무그림을 통해 자신의 자화상처럼 나무도 인간의 형태를 닮게 그리고 있다. 그리고 자신의 방어적 성격, 불안과 자기 사이의 갈등을 무의식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둘째, 나무그림검사와 에곤쉴레의 나무와의 관계에서는 15개의 변인 중 줄기의 굵기, 밑둥, 줄기표면 등 3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죽음충동과 창작심리: 에곤 실레의 작품을 중심으로

        최윤정,하지현 한국정신분석학회 2017 精神分析 (Psychoanalysis) Vol.28 No.3

        Death instinct was first introduced by Freud in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in 1920. Dominant death instinct can negatively affect the balance of mental apparatus with a variety of psychopathologies. The author analyzed life and work of the Austrian painter Egon Schiele and tried to determine how death instinct affected his work. In this study, typical themes of his work were analyzed. The first theme analyzed was ‘mother and child’. Typical mother-child attachment and emotional ties were not observed in his work. This reflected Schiele’s detachment from his mother and a dominant death instinct in his mental apparatus. It also in-dicated a predominantly paranoid-schizoid position in object-relationship. The second theme was ‘Self-portrait’. Usually the face in his self-portrait was grotesque and asymmetry. In some pieces, the genital was exaggerated or extremities were cut. These self-portraits reflected Egon Schiele’s ego. He was asexual. He indulged in masturbation due to phobia of syphilis which took his father’s life and mental. These works showed that he was preoccupied by death instinct which also caused psychological developmental ar-rest in various aspects. With the work of ‘Death and the Maiden’ in 1915, he accomplished maturation of sexuality with integration of death instinct and libidinal instinct. By creative working for several years, he could overcome his unconscious predominant death instinct and ‘paranoid-schizoid position’. In conclusion, death instinct could distort normal mental functioning, it also could be mastered by creative activity.

      • KCI등재후보

        방어기제 관점에서 본 에곤 실레의 작품에 내재된 미술의 치료적 요인에 관한 탐색적 고찰

        박윤미(Yun Mi Park),전수경(Su Kyung Je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 therapeutic function of the art by analyzing how the artist’s desire and dissatisfaction were recognized in the form of the defense mechanism, and how such cognitive structure was expressed as the introspection procedure to defend oneself in unfolding of the Egon Schiele’s painting. For this purpose, we researched the Egon Schiele’s life events to undercover the conflict and agony in his life by reviewing the existing literature. Then, we reviewed the concept and types of the defense mechanisms and the maturity level according to the defense mechanisms used. 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gon Schiele’s works best reflecting his life experience and emotions were analyzed, after dividing his works into six stages according to the chronological order. Finally, with the artist’s changed art world, we tried to find the therapeutic factors of the art. As a result, we found the changing trajectory of Schiele’s defense mechanism in his works; from the immature mechanism like identification, to the Narcissistic defense and Neurotic defense like projection, distortion, repression and conversion, and ultimately to the mature defense like the sublimation. Therefore, we concluded that he succeeded in understanding and accepting himself through expression of himself via the art work, and has grown into the mature individual who grew out from the personal problems and defects, which showed the therapeutic aspects of the art.

      • KCI등재

        세계-무덤으로서의 일상세계와 윤리-에곤 실레의 회화에 대한 존재론적 성찰-

        한상연 한국가톨릭철학회 2022 가톨릭철학 Vol.- No.38

        The main idea of this paper is that the everyday world is ontologically to be defined as the world-grave because it is always already standardized by legal and ethical norms. As is well-known, Heidegger regards the everyday world as the refuge of escape from death: In its everyday average immersion in the world, Dasein understands itself in a worldy way, and, although Dasein’s awareness of its own being as being-towards-death has an ontological potentiality to liberate it from its absorption in the ‘they’ of everyday existence, Dasein tends to take direction from ‘them’ and constantly flees from the anxiety of death. But the everyday world cannot be considered as the mere refuge of escape from death. The very fact that the everyday world is always already standardized by legal and ethical norms reveals the ontological truth that the everyday world is an potentialㆍactual execution ground and grave, reserved for me and others, because legal and ethical norms are grounds for punishing Dasein who is fundamentally not free from the possibility to commit what is forbidden by legal and ethical norms. In order to clarify the ontological meaning of the everyday world as an world-grave, some artworks of an Austrian Expressionist painter will be analyzed: Egon Schiele who is often considered to be a major figurative painter of the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will demonstrate that Schiele’s work, noted for its raw sexsuality, reveals the ontological truth that the everyday world is for Dasein its own potentialㆍactual execution ground and grave because it is always already standardized by legal and ethical norms. 글의 주된 문제의식은 일상세계가 존재론적으로 세계-무덤으로 규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일상세계란 언제나 이미 법적으로, 윤리적으로, 규범화된 것이기 때문이다.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하이데거는 일상세계를 죽음으로부터의 도피처로 간주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세계 안으로의 일상적이고 평균적인 빠져듦 안에서현존재는 자신을 일상적이고 세속적인 방식으로 이해한다. 물론현존재에게는 죽음을-향한-존재로서 자신의 고유한 존재를 자각함을 통해 일상적으로 현존하는 세인과 동화되지 않고 자유롭게 될잠재성이 주어져 있다. 그럼에도 현존재는 세인에게서 길을 찾고늘 죽음의 불안으로부터 달아나려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문제는, 하이데거가 암시하는 바와 달리, 일상세계를 죽음의 불안으로부터의 도피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일상세계는 언제나 이미 법적으로, 윤리적으로, 규범화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그 자체로서 일상세계란 나와 타자를 위해 예비된 잠재적ㆍ현실적 처형장이자 무덤이기도 하다는 존재론적 진실을 드러낸다. 법적ㆍ윤리적 규범은, 현존재가 근본적으로 법적ㆍ 윤리적 규범이 금하는 바를 행할 가능성으로부터 온전히 자유로울수 없다는 바로 그러한 점에서, 현존재를 처벌할 그 근거인 것이다. 이 글은 일상세계가 지니는 세계-무덤으로서의 존재론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오스트리아 출신의 한 표현주의 화가의 작품들을분석할 것이다. 그는 바로 종종 20세기 초를 대변하는 주요 화가들가운데 하나로 손꼽히는 에곤 실레이다. 이 글은 원초적 성적 취향으로 주목받는 실레의 작품이 일상세계란, 언제나 이미 법적으로, 윤리적으로, 규범화되어 있는 것으로서, 현존재를 위해 예비된 그자신의 잠재적ㆍ현실적 처형장이자 무덤이라는 존재론적 진실을 드러낸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 KCI등재

        에곤 실레 시와 랭보 수용

        김성화 ( Kim Sung-hwa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4 No.-

        시와 그림의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는 세기전환기 빈의 대표적 예술가 중 하나인 에곤 실레(Egon Schiele, 1890-1918)의 시와 회화작품에 해당된다. 그림에 비해 잘 알려지지 않은 실레의 시와 아포리즘은 부수적 창작물이 아니라 실레의 작품세계와 예술관을 압축적으로 드러낸다. 랭보의 탐독가였던 실레의 예술관과 세계인식, 미학적 표현에는 정신과 감각을 해방시키고 창조적 언어로 새로운 예술형식을 정립하고자 한 랭보의 영향이 발견된다. 실레의 시는 관념적 사유 너머 부유하는 시상이 분절된 파편과 같은 언어로 표현된 것이며, 그 단상을 물질적·시각적으로 구현한 것이 그림이라 볼 수 있다. 본고는 에곤 실레의 시와 아포리즘에 대한 소개와 함께 실레의 랭보 수용을 중심으로 시와 회화에 나타난 실레의 미학적 성찰을 조명한다. 랭보의 「견자의 편지 Lettres dites ‘du Voyant’」는 랭보의 시학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실레의 아포리즘 「예술-새로운 예술가」에 비견될 수 있다. 실레의 시 「자화상」은 랭보의 ‘보는 자 見者, Voyant’로서 예술가상 및 예술가적 자아를 수용하고 있다. 반항적 시인과 새로운 예술가상에 대한 구상은 형식을 통한 감각의 해방으로 구현되며, 랭보의 산문시 형식을 수용한 실레의 시에는 해체적 언어형식과 공감각적 표현이 나타난다. 한편, “나는 타자이다”라는 랭보의 선언은 주체-객체의 해체 및 자기 체험으로서 실레의 수많은 자화상의 의미를 설명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beleuchtet Schieles ästhetische Reflexionen und seine Rimbaud-Rezeption anhand der Intermedialität seiner literarischen Schriften und seiner Malerei. Schieles literarische Schriften wie Gedichte und Aphorismen, die im Vergleich zu seiner Malerei weniger bekannt sind, sind keine sekundären Produkte, sondern drücken komprimiert Schieles Welt- und Kunstauffassung aus. Gemäß Schieles Aussage, “[...] daß jeder Künstler Dichter sein muss”, stehen seine Gedichte, die durch seinen Enthusiasmus für Rimbaud beeinflusst wurden, in engem Zusammenhang mit seiner Malerei. In dieser Hinsicht will die Arbeit versuchen, zunächst Schieles Aphorismus DIE KUNST - DER NEUKÜNSTLER und Rimbauds Lettres du Voyant zu vergleichen bezüglich deren Künstler/Dichter-Konzepte und der Entwürfe einer revolutionären Kunst. Im Gedicht Selbstbildnis Schieles wird das Dichterbild aus Rimbauds ‘Voyant’ rezipiert, ein Entwurf zur Befreiuung des Sinns durch den Abschied vom Sinn und der Form des traditionellen Gedichtes. In Schieles Rezeption der Prosagedichtform zeigen sich poetische Analogien wie destruktive Syntax, fragmentarische Worte und sprachliche Musikalität. Weiterhin soll das ästhetische Manifest “Je est un autre” von Rimbaud zur Interpretation der zahlreichen Selbstbildnisse Schieles ‘Ich als Viele’ herangezogen werden.

      • KCI등재후보

        ‘에곤 쉴레의 인물화 작품을 통한 감상자의 자기성찰 영향에 관한 연구-실존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양원영 ( Yang Won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8 전시디자인연구 Vol.15 No.1

        미술 감상은 객관적 자극으로서의 예술작품, 주관적 감상자로서의 개인, 그리고 전시공간을 대표로 작품을 경험하는 시공간적 맥락이 추가된 복합적인 상호작용이 미술 감상과 연관되어진다. 이러한 미술 감상 과정을 통해 감상자는 개인마다의 현재의 내적 상태에 따라 다양한 정서적 통찰의 경험을 통해 자기 성장의 경험을 가져 갈 수 있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물질적 풍요로움은 넘치는데 반해, 현대인은 사회적 상황의 불안함에 자아 정체성의 혼란과 무력감, 좌절감에서 오는 존재론적 공허감이 빚어내는 정신적 공항에 시달리고 있다. 이러한 현대인에게 있어 실존적 삶의 태도는 내적 불안한 삶 속에서 주체적 삶을 살아갈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해 줄 수 있다고 하겠다. 여기서의 실존적 삶의 태도란 내적 주체성과 외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수용하면서 겸손함을 갖춘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20세기 초 실존주의 사상을 기초로 한 표현주의 작품 중 대표적 작가인 에곤 쉴레의 인물화 감상을 통해 감상자에게 작가의 내면세계를 전달하여 큰 공감을 일으킴으로서 카타르시스와 자기 성찰을 통해 자아통합의 심리치료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특히 오늘날 현대인의 내면 깊숙한 곳에 자리한 불안과 존재론적 공허감, 현대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과 인간 소외 현상들을 에곤 쉴레 회화 작품과 소통하면서 자신들의 실존적 고민과 실존적 삶의 태도에 경종을 울릴 수 있기를 바란다. Art appreciation is related to art appreciation as a combination of artistic work as an objective stimulus and individual as a subjective artist and a spatio-temporal context in which a work is experienced on behalf of an exhibition space. Through this process of appreciation of art, the viewer can experience of self growth through experience of various emotional insights according to the current internal state of each individual. Today, contemporary society is full of material abundance, but contemporary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mental airport created by the ontological emptiness that comes from the confusion, helplessness and frustration of self-identity in the uneasiness of social situation. In this modern people, the attitude of existential life can provide a place of opportunity to live a subjective life in an inner uneasy life. Therefore, this researcher, through the portraitur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 Egon Schiele, of the expressionist works based on the Existential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conveyed the inner world of the artist to the viewer, I think that the psychotherapeutic effect of integration will be shown. Especially today, it is possible to ring the anxieties, the ontological emptiness, deep criticism of the modern society and the human alienation phenomenon deeply in the inside of the contemporary people today, and to wake up their existential agony and the attitude of existential life by communicating with the artwork of Egon Schiele I hope.

      • KCI등재

        세기전환기 빈 회화 속의 육체와 성 -클림트와 쉴레의 그림을 중심으로-

        이재황 ( Jae Hwang Lee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 구 서울대학교 독일학연구소 ) 2010 독일어문화권연구 Vol.19 No.-

        In dieser Arbeit wird versucht, die Bilderwelt von Gustav Klimt und Egon Schiele in bezug auf das Thema ``Korperlichkeit und Sexualitat`` zu beleuch-ten; als reprasentative Kunstler der Wiener Moderne haben sie den gleichen kulturellen Kontext der Jahrhundertwende um 1900 gemeinsam. Das Thema ist auch bedeutend im Verstandnis der asthetischen Moderne. Bei Klimt ist der Korper der Frauen eine Quelle seines kunstlerischen Schaffens und gleichzeitig der Hauptgegenstand seiner Malerei. Dort benutzt er verschiedene ornamentale Elemente des Jugendstils, in denen meistens eine sexuelle Symbolik kodifiziert ist. Die Funktion der Ornamentalitat besteht darin, das Spiel von Verhullen und Enthullen der korperlichen Sinnlichkeit zu ermoglichen. Auf dieser Verbindung von Erotik und Ornamentalitat basiert die phantasti-sche Bilderwelt von Klimt. Im Gegensatz zu Klimt schliebt Schiele die Ornamentalitat grundlich aus. In den meisten seiner Zeichnungen ist sogar der Hintergrund der Figuren zur einfarbigen Flache geworden. Damit liegt die Konzentration auf dem Ausdruck ihrer Korperlichkeit, der aus holperigen und hysterischen Kurven besteht, die wiederum eine unruhige Innerlichkeit der Figuren oder des Kunstlers selber widerspiegeln. Bei weiblichen Figuren ist die Schamlosigkeit charakteristisch, da diese meistens gleichmutig ihre Schamteile entbloßen und ihre Blicke auf den Betrachter richten. Diese Asthetik der Schamlosigkeit konnte dazu beitragen, die sexuellen Phantasien zu zerstoren. Bei allen stilistischen Unterschieden gelten die beiden Kunstler als Bahnbrecher der modernen Kunst, indem sie das Verstandnis der korperlichen und sexuellen Natur des Menschen teil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