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광고 이용 행태와 기업의 SNS 광고마케팅 효과 및 전략

        안동근,목양숙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3

        Amid a deluge of various advertisements in a modern society, 'delivery of information and advertising message' of advertisements is rapidly emerging a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s of the advertising purposes. Along with diversification of advertising media, besides four major traditional media advertising and marketing utiliz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SNS) are also getting popular speedily.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employ various media such as Facebook, Twitter, Kakao Tok etc. Consumers using Facebook migrate from a desktop to a smart phone. Thus, under a new media environment Facebook advertising discloses its limit. In this context, some point out that recent skyrocketing corporat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have failed. In reality, substantial corporate sponsors withdraw from Facebook advertising and marketing who are disappointed at the lower advertising and marketing effects than they expected. However, 900 millions use Facebook worldwid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users of the SNS such as Twitter, MeToday, Kakao Tok etc. corporat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could be very effective depending upon their utilization and strategy. In this respect, this study explores motivations and purposes of th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users, and analyses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A survey was administered with 137 respondents. The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Twitter users who use the SNS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exchange are likely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corporat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activities. It is true that SNS users' SNS advertising use activities do influence both whether they take part in corporat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activities and activeness in their participation. However, it is possible that corporat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effect may vary depending on SNS users' level of SNS usage. Participants in corporat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Twitters are more active than those through Facebook. Based upon the research findings, corporat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could expect better effect when the activities meet the SNS users' motivations and needs. In addition, the paper discusses more effective SNS advertising and marketing strategies from the corporate perspectives. 현대는 쏟아져 나오는 광고 속에서 살고 있어 다양한 광고를 접하다보니 광고에서의 ‘정보 메세지 전달’은 광고목적 중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중요하게 급부상하고 있다. 더불어 광고매체의 다양화로 기존의 4대매체외에 SNS를 활용한 광고마케팅이 급부상하고 있다. SNS광고로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등 그 범위도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더불어 Facebook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데스크톱이 아닌 스마트 폰으로 활용 매체를 옮겨감에 따라, Facebook을 이용한 광고에 많은 한계점이 드러났다. 때문에 최근 들어 급속도로 증가한 SNS(Social Network Service)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기업의 광고마케팅 전략은 실패작이라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Facebook에서는 이미 상당수의 광고주가 기대만큼의 효과를 거두지 못한 채 Facebook을 이탈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Facebook은 전 세계적으로 9억명의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으며, Facebook외에 Twitter, MeToday, 카카오톡 등의 SNS를 포함한 이용자 수를 고려해 본다면, SNS를 통한 기업의 마케팅은 그 활용과 방법에 따라 충분히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SNS 광고 활용 동기와 목적을 파악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SNS 광고마케팅 전략의 영향력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수의 SNS 미사용자를 포함한 1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한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인커뮤니케이션과 정보교류를 위해 SNS를 이용하는 트위터 사용자가 SNS 광고마케팅 활동 참여에 있어서도 보다 적극적이다. 둘째, SNS 사용자의 SNS 광고 이용행태는 SNS 광고마케팅 참여여부와 참여에서의 적극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지만, 각 SNS 이용 정도에 따라 광고마케팅 효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셋째, 트위터를 통한 광고마케팅 참여자들은 페이스북을 통한 광고마케팅 참여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적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기업의 SNS 광고마케팅은 각각의 SNS 미디어 이용 동기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밖에도, 기업의 입장에서는 SNS를 이용한 효과적인 광고마케팅 방향에 대해 제시하기 위한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후보

        도서관 마케팅 도구로서 SNS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차병철 ( Cha Byeong Chul ),조재인 ( Jane Cho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11 No.2

        SNS는 마케팅 캠페인을 저렴하게 전개할 수 있는 저비용의 플랫폼으로 인식되고 있어 정치, 비즈니스 공공영역에서 최근 가장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SNS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신규 서비스가 갑자기 등장해 시장을 점유하기도 하며, 차별화된 속성을 개발하거나 다른 속성을 모하면서 경쟁적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따라서 도서관 SNS 마케팅 전략 수립 시 SNS의 속성과 그에 적절한 마케팅 요소의 속성을 대응시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SNS를 이용자가 인식하는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속성화 하고 이러한 속성이 도서관의 마케팅 요소에 어떻게 대응될 수 있는지 포지셔닝 하였다. 이를 위해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도서관 방문자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다차원척도법 및 대응일치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된 인지 체계를 실제 인천 지역의 공공도서관 SNS 마케팅 현황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제시하였다. 이용자들의 인지 체계를 분석한 결과 SNS의 속성은 소통중심의 개방형(SOC), 정보제공 중심의 개방형(SOI)과 폐쇄형(SC)으로 구분되었으며, 마케팅 요소 역시 단문의 빠른 소식 전달 중심의 개방형(MOS), 장문의 정보제공 중심의 개방형(MOL)과 폐쇄형(MC)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군집화된 SNS와 마케팅 요소 간의 1:1의 대응 관계는 형성되지 않았으나 폐쇄형 마케팅 요소는 폐쇄형 SNS(SC) 적절하게 대응되며, 개방형 마케팅 요소는 정보제공중심의 SNS(SOI)보다 소통중심의 개방형 SNS(SOC)에 대응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도서관 SNS 마케팅 전략 수립시, 한정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마케팅은 네이버 밴드와 같은 폐쇄형 SNS(SC)를, 그렇지 않은 개방형 마케팅은 페이스북과 같은 소통중심의 개방형 SNS(SCO)를 활용하는 것이 이용자들의 인지 체계에 부합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이용자들의 인지 체계와 인천지역 공공도서관의 SNS 마케팅 실제를 비교해 본 결과 큰 차이가 존재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착도서와 참고봉사 서비스에 트위터, 페이스북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지각하는 이용자의 인식과는 달리 실제로는 SNS를 활용한 신착도서 알림과 참고봉사 서비스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블로그는 서평 제공보다 홍보, 도서관의 각종 소식 제공과 동아리 운영 등 도서관 마케팅에 범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eing considered as a low-cost platform to develop a marketing campaign with a small budget, SNS is recently used as the most useful tool in politics, business and the public sector. In SNS marketing strategies, it will be thus desirable to have the SNS attributes correspond with their proper marketing elements. This study set out to categorize the SNS attribut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SNS users and position them as elements of library marketing.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150 library visitors making active use of SN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orresponding analysis. The resulting cognitive system was compared with the current state of SNS marketing by public libraries in the Incheon Area to demonstrate differences between them. The analysis results of users' cognitive system show that SNS attributes were categorized into communication-oriented open SNS(SOC) and information-oriented open(SOI) and closed SNS(SC). Marketing elements were categorized into quick news delivery-oriented open elements based on short sentences(MOS) and information-oriented open(MOL) and closed elements based on long sentences(MC). There were no one-on-one corresponding relations between SNS clusters and marketing elements, but the closed marketing elements corresponded with the closed SNS(SC) appropriately. The analysis results also reveal that the open marketing elements corresponded with communication-oriented open SNS(SOC) rather than information-oriented SNS(SOI). The study compared users' cognitive system with the actual SNS marketing practice of pulic libraries in the Incheon area and found no big differences between them. Unlike users' understanding that Twitter and Facebook could be put to the helpful use for new arrival book notifications and reference service, however, there was no active use of SNS-based new arrival book notifications and reference service in reality. It was also analyzed that blogs were comprehensively used in library marketing including promotion, all kinds of library news, and club management rather than book reviews.

      • KCI등재

        중소수출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마케팅 지원사업의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이상진(Sang Jin Lee),김형철(Hyoung Cheol Kim)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3 전자무역연구 Vol.11 No.3

        최근 소셜미디어의 보급 확산으로 중소수출기업들은 해외시장 개척 방법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일부 기업들은 SNS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지만 대부분 중소기업들은 구체적인 SNS 마케팅 방법에 대하여 모르고 있다. 따라서 그들은 효과적인 SNS 마케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역마케팅 전문 대행기관에 의뢰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소수출기업이 스스로 상품을 고객에게 제품을 홍보하고 거래처를 발굴할 수 있는 SNS 마케팅을 활용하기 위해서 SNS 마케팅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부와 무역유관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SNS 수출마케팅 지원사업을 바탕으로 링크드인과 같은 SNS을 활용한 마케팅 사례를 분석하고 효과를 도출하여 SNS 마케팅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rough the recent spread of social media, small and medium-sized exporting companies are seeking to change a way of developing overseas markets. Some companies take advantage of the marke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NS), but most small and medium-sized exporting companies do not recognize the specific SNS marketing methods. So they are asking specialized agency to perform an effective SNS marketing. For the use of SNS marketing that SMEs themselves can advertise the goods to the customer and identify trade partners,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SNS marketing and address its effect analysis. Therefore, on the basis of support project for SNS export marketing by government and trade organization, this study would like to analyze SNS marketing cases such as LinkedIn and to propose utilization plan to SMEs through drawing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보험회사의 SNS마케팅활동과 바이럴마케팅과의 관련성 연구

        김선규,이정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1

        This study explores an effective SNS marketing communication method in a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the SNS community and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marketing and viral marketing. By examining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proposes the hypothesis with some factors such as information itself factors (information offer and inform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offer factors (information reservation, newsletter), and information verification factors (feedback) and examines the hypothesis by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viral marketing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in information posted and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posted.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some factors such as information offer, newsletter, and feedback have an effect on the viral marketing, but others such as information promotion and information reservation do not have an impact on the viral marketing. It also reveals that the viral marketing factors affects the factors like the increase in the information posted and the expansion of the information posted. In conclusion, SNS marketing communication in insurance companies needs to be informative, diverse and consistent in information offer as well as the method of information offer. To effectively achieve a marketing goal, a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expand the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Especially, a method to connect with the viral marketing is to be considered and administered constantly to achive a goal. 본 연구는 SNS사회로의 변화된 경영환경 안에서 보험회사의 효과적인 SNS마케팅커뮤니케이션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를 바이럴마케팅과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에 선행연구를 통해 마케팅커뮤니케이션 구성요인으로 정보 자체요인(정보제공, 정보홍보), 정보 제공요인(정보예약, 뉴스레터), 정보 검증요인(피드백)으로 구성하고 이를 바이럴마케팅 구성요인으로 선정한 게시물 증가와 게시물 확산 요인과의 관련성을 가설을 통해 검정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제공, 뉴스레터, 피드백 요인은 바이럴마케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홍보와 정보예약 요인은 바이럴마케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이럴마케팅간의 요인이 게시물 증가와 제시물 확산 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험회사의 SNS마케팅커뮤니케이션은 정보제공에 충실하고 정보제공 방법의 다양화 및 지속화에 힘써야 할것이며 고객과의 의사소통확대를 위한 정책을 실시해야 만 효과적인 마케팅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를 통해 바이럴마케팅과의 연계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야만 그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항공사 SNS 마케팅속성이 고객의 브랜드지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민주 ( Min-joo Chung ),이근영 ( Gun-young Lee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8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최근 항공 산업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가치있는 마케팅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SNS 마케팅속성이 고객의 브랜드지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국내항공사 소셜미디어 이용자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가운데 개방형 SNS 사용자 23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SNS 마케팅속성 가운데 정보성과 상호작용성은 고객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정보성, 상호작용성, 멀티미디어성은 모두 브랜드인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성을 제외한 상호작용성과 멀티미디어성은 브랜드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지식은 항공사 SNS 마케팅속성과 구매의도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는 SNS를 통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고객이 지각하는 항공사 브랜드 인지수준과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고객의 항공권 구매의도를 높임으로서 수익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항공사의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활동은 다양하고 흥미로운 컨텐츠 제공으로 고객 참여를 유도하고 고객과의 친밀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고객관계를 형성하고 관리하는데 집중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급변하는 항공 산업 환경에서 고객의 니즈와 트렌드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마케팅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의 활용과 경쟁력과 차별성을 갖춘 마케팅 전략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Social media marketing communication in airlines are emerging as an important marketing determinant due to widely spreading electronic word of mouth and airlines are challenged by a new way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the airlines’ SNS marketing attributes, brand knowledge and purchase intention of the customers. Th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233 Airline's SNS users and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sion 20.0 and AMOS 22.0.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formativeness and interaction of SNS marketing attributes were positively effected to customers’ purchase intention. Second, informativeness, interaction and multimedia were positively effected to brand awareness. And interaction and multimedia were positively effected to brand image. Third, customers’ brand knowledge was positively effected to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role of customers’ brand knowledge between SNS marketing attributes and purchase intention was partially support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NS marketing communication is one of the effective ways to facilitate the customers’ brand knowledge and attract customers buying the airline tickets. Namely, the airlines excelling in social media marketing communication can increase their profits from building good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and the differentiated SNS marketing strategies stimulating effective communication is needed.

      • KCI등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NS)를 활용한 패션브랜드의 마케팅 사례 연구

        이수철(Soo Cheol Rhee),김소현(So Hyu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최근 몇 년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NS)는 새로운 미디어 마켓으로써 각광을 받고 있으며 현재 급증하는 모바일 SNS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자들은 직-간접적인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는 등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고 있다. 그 중 패션업계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춰 기업의 제품, 브랜드 등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네트워킹 툴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대중들과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SNS 마케팅을 선택한 브랜드를 사례 분석하고 마케팅 방식을 고찰하여 브랜드 마케팅에 필요한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논문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SNS 마케팅 관련 논문 및 문헌을 참고 하였으며 인터넷 조사를 병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해외명품브랜드에 나타난 SNS 마케팅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패션산업에서 SNS 마케팅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및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SNS를 활용한 마케팅은 인터넷과 스마트 폰의 보급률에 따라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빠른 소통을 통해 기업과 소비자의 브랜드 홍보 및 제품, 서비스에 대한 피드백과 정보 전달이 빨라졌다. 또한 기존의 마케팅 방식보다 홍보비용의 절감이라는 효과를 기대하게 되었으며 홍보 전략을 짜는데 있어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때문에 우리는 이 영역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SNS와 마케팅 관계를 이해하고 기업은 소비자의 만족을 추구할 수 있는 마케팅 자료로 이용되길 기대한다. During the last couple of years, Social Network Service (SNS) has become a new media market for businesses. They promote their brands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social media marketing and create new business models. Companies in a fashion industry especially try to communicate with public through various networking tool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following the newest trends and uploading their products on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oretical materials for brand marketing through analyzing social media marketing of some of the brands and studying their marketing tools. Previous researches on social media marketing were referred for this study along with some of literature and internet research. Based on those materials, social media marketing cases of global luxury brands were studied and a role of social media marketing in the fashion industry was also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Social media marketing has high potential to grow as smartphone and internet penetration rates increase. Moreover, through the fast interaction using SNS, companies and customers can quickly exchange information and feedback about products. It also reduces marketing costs and helps to plan effective promoting strateg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nd marketing and be used as materials for companies to pursue customers` satisfaction.

      • KCI등재

        편의점 기업의 SNS 마케팅 속성이 편의점 소비자의 구매의도와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신아,윤혜려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2

        The number of users of SNS has been steadily increased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smart phones, since marketing using SNS is easy to communicate and fast to spread, many companies are actively utilizing SNS marketing. In this study, we established a hypothesis by selecting SNS marketing attributes based on prior research as informational, interactive, entertainment and reliability.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examine the impact on SNS marketing on purchase behavior at the convenient store to provide basic data for sale promotional strategy. Analysis of differences in SNS marketing attribut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 showed that differences in information were significant in age and monthly income, and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ender. Among SNS marketing attributes, information, entertainment and reli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and the interactivity was rejected because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While interactivity, entertainment, and reliability of SNS marketing attributes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h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them. Satisfaction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s. 스마트 폰의 인기와 함께 SNS 사용자 수는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확산이 쉽고 빠른 SNS마케팅은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등을 기반으로 SNS 마케팅 속성을 정보성, 상호작용성, 오락성 및 신뢰성으로 분류하여 가설을 세웠다. 연구의 목적은 편의점 기업의 SNS 마케팅 속성이 편의점 소비자의 구매 행동과 구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대한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SNS 마케팅 속성의 차이를 분석 한 결과 정보성의 차이는 연령과 월 소득에서 유의미하였고, 상호작용성은 성별에 따라 크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SNS 마케팅 속성 중 정보성, 오락성 및 신뢰성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 작용성은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이 부분 기각되었다. SNS 마케팅 속성 중 상호작용성, 오락성 및 신뢰성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나 가설이 채택되었으나, 정보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구매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SNS를 활용한 골프브랜드 마케팅 활동이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우,이정은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선수들의 SNS 마케팅과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골프구력 1년 이상의 SNS 이용하는 아마추어 골퍼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단 순무선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총 288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수립한 연구모 형으로 SNS마케팅, 기업이미지 및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마케팅은 기 업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마케팅은 기업이미지를 매개변인으로 구매의도에 간접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이미지는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SNS 마케팅은 구 매의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브랜드 마케팅을 하기 위해 서는 SNS를 활용해 지속적이고 일관된 활동을 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측면에서 제품의 경쟁력이 확보 될 수 있는 마케팅 방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on discovering relations among golfer’s SNS marketing, corporate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Method] To achieve this goal, we wet amateur golfers using SNS with an experience in golf more than a tiar as a population, and used survey data about total 288 people in analysis through simple-random-sampling. Analyzing data with using SPSS 23.0 and AMOS 23.0, we made following conclusion. [Result] First, it appears to be appropriate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marketing, corporate image and intention to purchase, using the research model established in this study. Second, SNS marketing seems to affect corporate image, and SNS marketing seems to indirectly affect intention to purchase, with the corporate image as the intervening variable. Third, corporate image has appeared to influence intention to purchase. [Conclusion] In order to make efficient and effective brand marketing, it is necessary to use SNS to carry out continuous and consistent activities and to consider marketing methods that can secure product competitiveness in various aspects.

      • KCI등재

        SNS 마케팅 특성 및 인플루언서 특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애호도의 매개효과 및 인게이지먼트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신홍섭(Shin, Hong-Sub),김철중(Kim, Chul-J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3

        오늘날 코로나19 사태의 심각성과 더불어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로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의 제품구매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기업은 마케팅 수단으로 SNS를 활용한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SNS를 마케팅 수단으로 사용하는 기업은 SNS 특성을 고려하고 브랜드 이미지와 부합하는 인플루언서를 통해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으로 긍정적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NS를 통한 온라인 쇼핑의 추세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기업이 제공하는 SNS 마케팅 특성과 제품 및 서비스를 직접 광고하는 인플루언서의 특성에서 소비자의 브랜드 애호도와 몰입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마케팅전략 도구를 개발하여 소비자의 만족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SNS 마케팅 특성과 SNS 인플루언서 특성이 브랜드 애호도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SNS 마케팅 특성과 몰입의 관계, SNS 인플루언서 특성과 몰입의 관계에서 브랜드 애호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더불어 인게이지먼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Today, with the growing severity of the COVID-19 situation and changes in consumer consumption patterns, a large number of consumers are increasingly purchasing offline products through the Internet. In particular, companies are providing services and products using SNS as a marketing tool. Companies that use SNS as a marketing tool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NS and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rough influencers that match the brand im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consumers" brand affinity and immersion in the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provided by compan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s who directly advertise products and services while the trend of online shopping through SNS is increasing. It is to contribute to increasing consumer satisfaction by developing a marketing strategy tool. To this end, the influence of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and SNS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brand loyalty and flow was confirm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loya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marketing characteristics and fl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influencer characteristics and flow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engagement was confirmed.

      • KCI등재

        SNS마케팅이 네일 아트 소비 행동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하주희,태동숙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3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3 No.1

        Due to the 4th industry revolution, nail salon and overall beauty management industry are facing rapid environmental changing situat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NS marketing strateg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arious industries. However SNS marketing on beauty management industry is limi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apidly-changing social media marketing, to examine what aspects of social media are important to consumer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se characteristics on nail art consumption behavior and revisiting.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 of 320 female nail salon consumers in Busan. Due to March 18 to 25, 2023, data were col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299 valid samples using the SPSS Win Ver. 25.0 program. And the specific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authenticity and interactivity factors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NS marketing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motivation. In addition, authenticity and interactivi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NS marketing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ood change motivation. Second, authenticity, interactivity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SNS marketing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Third, social motivation and mood change motivation which are the sub factors of nail art consumption behavior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visit.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SNS마케팅 특성을 분석하고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SNS의 특성이 무엇인지, 이러한 특성이 고객들의 소비, 고객 만족도, 고객 신뢰도, 재방문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뷰티 산업 고객의 욕구 충족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서비스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를 위해 2023년 3월 18일부터 2023년 3월 25일까지 부산지역의 20∼50대 이상 성인 여성 320명을 대상으로 연구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고, 자발적 의지로 참여한 대상자를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중 불성실한 응답자 21명을 제외한 총 299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마케팅 요인은 진정성, 상호작용, 전문성이라는 3가지로 분류되었고 네일 소비행동 요인은 사회적 동기, 기분전환 동기라는 2가지로 분류되었으며, SNS 마케팅이 네일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SNS 마케팅의 진정성, 상호작용 요인은 네일 소비행동에 매우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SNS 마케팅의 전문성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 가설이 기각되었다. 둘째, SNS 마케팅의 모든 하위요인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일 소비행동의 모든 하위요인은 재방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SNS 마케팅이 네일 소비행동과 재방문에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