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 도로변과 주거지역의 PM<sub>10</sub>과 PM<sub>2.5</sub> 농도 특성

        전병일 ( Byung-il Jeon ) 한국환경과학회 2018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7 No.7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M<sub>10</sub> and PM<sub>2.5</sub> concentration at roadside (Choryangdong) and residential (Sujeongdong) locations in Busan. The PM<sub>10</sub> concentration at roadside and residential locations were 50.5 and 42.9 ㎍/㎥, respectively, and PM<sub>2.5</sub>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28.1 and 23.9 ㎍/㎥, respectively. The roadside/residential ratio of PM<sub>10</sub> and PM<sub>2.5</sub> concentration were 1.18, and the PM<sub>2.5</sub>/PM<sub>10</sub> ratio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0.55 and 0.56, respectively. The PM<sub>10</sub> concentration in spring at roadside were 64.6 ㎍/㎥, and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48.0 ㎍/㎥ and 45.2 ㎍/㎥ in winter and summer. Number of exceedances per year of the daily limit value for PM<sub>10</sub> at roadside and residential were 66 and 39 days, respectively. The PM<sub>10</sub> and PM<sub>2.5</sub> concentration, and PM<sub>2.5</sub>/PM<sub>10</sub> ratio at roadside were 53.0 ㎍/㎥, 29.0 /㎥ and 0.55 for day, and 45.5 ㎍/㎥, 26.7 ㎍/㎥ and 0.59 for night,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adside and residential could provide insight into establishing a strategy to control urban air quality.

      • KCI등재

        연구논문 : 서울시 도로변지역과 인근 주거 밀집지역의 실시간 대기 중 PM2.5 농도 비교

        윤동민 ( Dong Min Yun ),김보경 ( Bo Kyeong Kim ),이동재 ( Dong Jae Lee ),이선엽 ( Seon Yeob Lee ),김성렬 ( Sung Roul Kim ) 한국환경과학회 201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4 No.7

        In 2013,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concluded that outdoor air pollution is carcinogenic to humans, with the particulate matter component of air pollution most closely associated with sufficient evidence of increased cancer incidence by exposure to particulate matter component of air pollution. Motor vehicles are one of a major emission sources of fine particle (PM2.5) in urban areas. A large numb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reported a positive association of morbidity or mortality with distance from the roadside. We conducted this study to assess the association of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at roadside hotspots with those at adjacent residential sites using real-time PM2.5 monitors. We conducted real-time PM2.5 measurements for rush hour periods (08:00∼10:00 and 18:00∼20:00) at 9 roadside air monitoring Hotspot sites in metropolitan Seoul over 3 weeks from October 1 to 21, 2013. Simultaneous measurements were conducted in residential sites within a 100 m radius from each roadside air monitoring site. A SidePak AM510 was used for the real-time PM2.5 measurements. Medians of roadside PM2.5 concentrations ranged from 9.8 μg/m3 to 38.3 μg/m3, while corresponding median values at adjacent residential sites ranged from 4.4 μg/m3 to 37.3 μg/m3. PM2.5 concentrations of residential sites were 0.97 times of hotspot roadside sites. Distributions of PM2.5 concentrations in roadside and residential areas were also very similar. Real-time PM2.5 concentrations at residential sites, (100 m adjacent), showed similar levels to those at roadside sites.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roadside and residential sites, if needed, should be considered to protect urban resident populations from PM2.5 emitted by traffic related sources.

      • KCI등재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의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희 ( Lee Jinhee ),정진우 ( Jung Jinw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에는 편리한 이동을 위해 수많은 가로가 존재한다. 도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독특한 특징을 기억하여 수많은 가로를 쉽게 알아보고 다양한 길을 서로 구분하며 환경을 인지한다. 사람들이 기억하는 가로의 특징은 가로변 건축물을 이루는 건물들 사이 대비를 가지는 건물이며, 이는 가로 환경을 인지하는 단서가 된다. 하지만 현대 도시는 사람들의 새로운 경험을 위해 다양한 업종과 디자인이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되면서 시각적으로 매우 혼잡한 상태이다. 그로 인해 가로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할 경우 현대 도시의 특징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즉,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은 가로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기억되는 가로의 특성이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특성이 있는 가로환경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독립변수를 상업가로의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으로 정하고, 하나의 가로변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 차이로 독립변수 대비 수준 (A, B, C)을 설정하였다. 업종 대비 수준은 유사한 업종을 가진 건물들로 구성된 유사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A), 유사한 업종이 연속하는 건물들 사이에 그와 상이한 업종을 가진 건물이 조합된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 건물의 업종이 모두 다르게 구성된 개별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C)로 분류된다. 종속변수는 가로의 특징으로 정하고, 제시된 특징을 알아볼 때 사용하는 능력인 기억으로 측정한다. 측정한 기억은 본 것을 통해 기억해 내는 재인기억으로 설정한다. 재인 기억은 ox 퀴즈를 통해 제시된 건물을 기억하여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정답 점수와 얼마나 빠르게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평균 시간을 측정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실험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에서 (A), (B), (C)가로변 건축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집단별 재인 평균 시간에서는 (B와 A),(B와 C) 가로변 건축물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A와 C) 가로변 건축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세 집단 중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가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와 재인 평균 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억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기억에 남는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 조건을 밝히고, 이를 통해 특성 있는 가로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물의 색, 형태, 재질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로 연구되었던 가로변 건축물을 건물이 내포하는 의미인 업종, 성격과 같은 비물리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실험연구로 검증하였다는 것과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의 특성 있는 가로 조성에 대한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Numerous streets exist in cities to enable convenient movement. People can easily recognize and differentiate these streets using memorable features that are often created by contrasting buildings along the roadside. However, modern cities, filled with diverse industries and designs, have visually chaotic streets. Consequentl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treets are often lost, making it challenging for people to identify and remember them. The configuration of roadside buildings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memorable streets are form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 facades. By elucidating the impact, this study proposed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Method)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business types of buildings along commercial streets. Three levels (A, B, and C) were established based on differences in business types within buildings along a street. Level A represented buildings with similar business types, Level B represented a combination of continuously similar and contrasting business types, and Level C represented buildings with entirely different business typ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measured by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remember the street when present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Recognition memory was assessed, specifically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call presented buildings using an ox quiz.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R,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memory scores for all three roadside building levels (A, B, and C).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recognition time between Levels B and A and between Levels B and C,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A and C. Third, among the three levels, roadside buildings with contrasting business types (Level B) positively influenced both recognition memory scores and average recognition time.(Conclusion) This study used memory experiments to reveal how the fa‡ad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s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by identifying the conditions that render roadside buildings memorable. Notably, the study approached roadside buildings not only in terms of physical elements, such as color, form, and material, but also in terms of non-physical concepts, such as the meaning and nature represented by business types. This unique approach, validated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provides applicable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urban street environments.

      • KCI등재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의 특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희,정진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에는 편리한 이동을 위해 수많은 가로가 존재한다. 도시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독특한 특징을 기억하여 수많은 가로를 쉽게 알아보고 다양한 길을 서로 구분하며 환경을 인지한다. 사람들이 기억하는 가로의 특징은 가로변 건축물을 이루는 건물들 사이 대비를 가지는 건물이며, 이는 가로 환경을 인지하는 단서가 된다. 하지만 현대 도시는 사람들의 새로운 경험을 위해 다양한 업종과 디자인이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되면서 시각적으로 매우 혼잡한 상태이다. 그로 인해 가로의 특성을 명확히 이해하지 못할 경우 현대 도시의 특징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려워진다. 즉,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은 가로의 특징을 알아낼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에게 기억되는 가로의 특성이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을 통해 어떻게 형성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특성이 있는 가로환경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독립변수를 상업가로의 가로변 건축물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으로 정하고, 하나의 가로변에 구성된 건물들의 업종 차이로 독립변수 대비 수준 (A, B, C)을 설정하였다. 업종 대비 수준은 유사한 업종을 가진 건물들로 구성된 유사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A), 유사한 업종이 연속하는 건물들 사이에 그와 상이한 업종을 가진 건물이 조합된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 건물의 업종이 모두 다르게 구성된 개별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C)로 분류된다. 종속변수는 가로의 특징으로 정하고, 제시된 특징을 알아볼 때 사용하는 능력인 기억으로 측정한다. 측정한 기억은 본 것을 통해 기억해 내는 재인기억으로 설정한다. 재인 기억은 ox 퀴즈를 통해 제시된 건물을 기억하여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정답 점수와 얼마나 빠르게 알아보았는가에 수준인 재인 평균 시간을 측정 데이터로 수집하였다. 실험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R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에서 (A), (B), (C)가로변 건축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집단별 재인 평균 시간에서는 (B와 A),(B와 C) 가로변 건축물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A와 C) 가로변 건축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세 집단 중 상이 업종 대비 가로변 건축물(B)가 집단별 재인 정답 점수와 재인 평균 시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가로변 건축물의 파사드 구성이 가로 특징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억 실험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사람들이 기억에 남는 가로변 건축물의 구성 조건을 밝히고, 이를 통해 특성 있는 가로 환경을 설계하기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건물의 색, 형태, 재질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로 연구되었던 가로변 건축물을 건물이 내포하는 의미인 업종, 성격과 같은 비물리적 개념으로 접근하여 실험연구로 검증하였다는 것과 연구 결과를 통해 도시의 특성 있는 가로 조성에 대한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Numerous streets exist in cities to enable convenient movement. People can easily recognize and differentiate these streets using memorable features that are often created by contrasting buildings along the roadside. However, modern cities, filled with diverse industries and designs, have visually chaotic streets. Consequentl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streets are often lost, making it challenging for people to identify and remember them. The configuration of roadside buildings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characteristics of memorable streets are form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 facades. By elucidating the impact, this study proposed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Method)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business types of buildings along commercial streets. Three levels (A, B, and C) were established based on differences in business types within buildings along a street. Level A represented buildings with similar business types, Level B represented a combination of continuously similar and contrasting business types, and Level C represented buildings with entirely different business typ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measured by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remember the street when presented with these characteristics. Recognition memory was assessed, specifically the ability to recognize and recall presented buildings using an ox quiz.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s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R,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to propose design directions.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memory scores for all three roadside building levels (A, B, and C).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verage recognition time between Levels B and A and between Levels B and C,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A and C. Third, among the three levels, roadside buildings with contrasting business types (Level B) positively influenced both recognition memory scores and average recognition time.(Conclusion) This study used memory experiments to reveal how the façade composition of roadside buildings influences the formation of street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street environments by identifying the conditions that render roadside buildings memorable. Notably, the study approached roadside buildings not only in terms of physical elements, such as color, form, and material, but also in terms of non-physical concepts, such as the meaning and nature represented by business types. This unique approach, validated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provides applicable design directions for creating distinctive urban street environments.

      • KCI등재

        고속도로 야립광고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효과 연구

        심성욱(Sung Woook Shim),김미정(Mi Jeong Kim),박정선(Jeong Sun Park)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광고연구 Vol.0 No.95

        이 연구는 지금까지의 야립광고 효과 관련 연구들을 정리하여 관련 변수들에 대해 수용자는 어떻게 반응하는지 기술하고, 관련 변수들이 광고태도 및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조사 구간 내 광고물에 대해 휴게소에서 수용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야립매체 태도는 평균 이상으로 나타났고, 타 옥외매체 대비 흥미도가 높게 나타났다. SSL(Scale, Subliminal, Landmark) 특성 평가에서, 야립광고의 스케일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스케일과 랜드마크는 긍정적으로, 서브리미널은 부정적으로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야간조명도, 가시성, 장애물, 정체도) 평가에서, 가시성이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으며, 광고태도에는 가시성과 정체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자는 야립매체의 광고 형태(복합형/평면형) 차이를 인식하였고, 평면형 광고보다 복합형 광고에서 광고 주목과 광고 크리에이티브가 높게나타났다. 광고 효과의 기본이 되는 노출변수인 광고 주목과 광고 기억에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추가하였더니 광고 태도에 대한 설명력이 4.3%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야립 광고가 수용자에게 영향력 있는 매체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지금까지 탐색적으로 다루어져왔던 다양한 효과 변수들의 광고 태도와 구매 의도에 주는 영향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e how people exposed to roadside advertising perceive its impact. From previous studies, roadside advertising could be characterized as or categorized by some variables such as SS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asked questions of variables to people passing by the roadside advertising installed in the area selected for this study through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shows that people have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toward roadside advertis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media interests, compared to other ooh media. People perceive scale impact of roadside-billboard advertising high. While scale and landmark impact have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 toward ad, subliminal impact has a negative impact on attitude toward ad. When it comes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people perceive visibility variable high. Also, visibility and traffic congestion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People perceive the difference of Ad types and ad creative related variables, which means that creative can be a major determinant of advertising imp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roadside-advertising can play a significant role as an effective advertising medium.

      • KCI등재후보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Analysis of Roadside Air Pollutants

        Jong-Sun CHOI,Min-Jae JUNG,Jun-Cheol LEE,Woo-Taeg KWON 한국웰빙융합학회 2021 웰빙융합연구 Vol.4 No.2

        Purpose: In this study,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and aldehydes generated from roadside vehicles and other pollutants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s a result of measuring and analyzing three areas near the roadside, Vinyl chloride 0.00 ∼ 0.02 ppb, Benzene 2.87 ∼ 5.01 ppb. Toluene 4.51 ~ 8.62 ppb, Styrene 0.00 ~ 0.34 ppb, Formaldehyde 8.45 ~ 17.12 ug/m3, Acetaldehyde 7.01 ~ 17.64 ug/m3 were detected. When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6-month average concentration of the hazardous air monitoring network, the analysis results were about 26 times higher for Benzene, about 5 times for Toluene, and about 3.75 times for Styrene. In the case of vinyl chlorid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bout 20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hazardous atmosphere monitoring network.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measurement network because people are exposed to pollutants on the actual roadside. It is judged that it is right to build a measurement network that is practically helpful to people by increasing the measurement items in the measurement network.

      • KCI등재

        서울시 도로변에서 입자상 다환방향족탄화수소의 농도 특성

        이지이(Ji Yi Lee),김용표(Yong Pyo Kim),배귀남(Gwi-Nam Bae),박수미(Su-Mi Park),진현철(Hyun-Chur Jin) 한국대기환경학회 2008 한국대기환경학회지 Vol.24 No.2

        이 연구에서는 2005년 5월부터 2006년 6월까지 5차례에 걸쳐 서울시 신촌동에 위치한 도로변에서 입자상 PAHs의 농도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도로변에서 입자상 PAHs 농도 분포는 측정시기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지만, 2005년 11월을 제외하고는 벤젠고리가 5~6개로 구성된 고분자량 성분들의 농도가 높았다. 입자상 PAHs의 도로변 고유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기존 대기와 터널에서 측정한 입자상 PAHs 농도들과 비교하였다. 터널 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로변에서는 BbF, Ind, BghiP 등의 고분자량 성분들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것은 동력계 시험을 바탕으로 알려진 자동차의 PAHs 배출 특성과 유사하였다. 대기에서는 도로변에 비해 Phen, Pyr, Flt이 높았지만, 도로변에서는 이들 성분들이 고분자량 성분들과 비슷한 비율로 분포하였다. 서울과 고산 대기 중 입자상 PAHs에는 석탄 연소를 포함한 여러 배출원에서 배출된 PAH 성분들이 혼합되어 있는 반면, 도로변에서 측정한 이 연구결과는 자동차 배출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졌다. 도로변에서 입자상 PAHs의 주요 배출원을 추정하기 위하여 특정 성분들의 농도비를 분석한 바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도로변에서는 자동차 배출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이었고, 자동차 중에서도 경유 자동차 배출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2005년 9월과 11월에는 석탄과 바이오매스 연소의 영향이 보였는데, 이는 도로변이 대기와 혼재되어 나타난 결과로 추정된다. Five intensive measurements of particulate PAHs were made at a roadside in Seoul from May 2005 to June 2006.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PAHs was 15.1±10.6 ng m?³. The high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fluoranthene and pyrene were observed in November 2005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wer ambient temperature. Compared to the previous results at tunnel and ambient sites in Seoul, larger fraction of the high molecular PAH compounds which consist with five or six benzene rings, was observed at a roadside. This might indicate high influence of vehicle emission at a roadside. The distribution of diagnostic ratios for specific PAH compound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vehicular emission, especially diesel vehicular emission seems to be high at a roadside.

      • KCI등재후보

        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한 부천시 대기오염의 공간 분포 특성 연구

        김종범,김창혁,노수진,황은영,박덕신,이정주,김정호,Kim, Jong Bum,Kim, Chang Hyeok,Noh, Sujin,Hwang, Eun Young,Park, Duckshin,Lee, Jeong Joo,Kim, Jeongho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21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7 No.1

        As a large city advanced, the urban environment is becoming an issue. The contribution of vehicle emissions in air pollutants was very high according to the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 In order to improve the air quality in large c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mprovement measures by sources, analyzing the air quality of roadside. We divided Bucheon city into 4 regions to investigate the roadside pollutants of each district using the mobile laboratory (ML) and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AQMS). ML was used to measure pollutants emitted from vehicles and AQMS data was used as a comparison group of ML data. As a measurement result of pollutants in the roadside,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industrial & engineering complex area was the highest and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in residential & forest complex area was lower. By street, Bucheon-ro, Sinheung-ro, Sosa-ro, and Gyeongin-ro were identified as high concentrations. Therefore, further researches on preparing management measures for roads in the hot-spot area are needed.

      • KCI등재

        소비에트 이데올로기에 대한 안티테제 텍스트로서의 <잠입자>

        박영은(Park, Younge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50

        본고에서는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판타지 『길가의 피크닉』을 원작으로 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영화 <잠입자>가 제작된 과정과 그 속에 은닉된 감독의 의도를 분석하였다. 타르코프스키 자신이 영화의 공상 과학적 부분은 핵심적인 도덕적 갈등을 분명하게 드러내도록 도와주는 전략적 시발점에 불과하다고 언급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잠입자>를 원작소설과 비교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가며 감독의 의도를 발견하려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런 필요성에 입각해 '고스키노'와 타르코프스키의 갈등 관계를 단초로 하여, 그가 『길가의 피크닉』을 선택하게 된 과정과 함께 소설이 영화로 제작되기까지의 과정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타르코프스키는 '도스토예프스키'를 자신이 영화에서 실현시키고 싶은 모든 것들의 총체로까지 인식하고 도스토예프스키 관련 영화를 제작하고 싶어했지만 이것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소설 『길가의 피크닉』에서 초안 시나리오 『욕망의 기계』, 그리고 영화 <잠입자>로 이어지는 시나리오 변형 과정에서 자신의 오랜 꿈을 실현해 갔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타르코프스키가 도스토예프스키 작품의 모티프를 영화에 적극적으로 투영한 양상은 그가 영화 제목을 <잠입자>로 변형시키면서 주안점을 두었던 인물의 성격 형상화에서 분명히 포착된다. '스트루가츠키 형제의 잠입자'가 금지구역의 수수께끼 같은 물건을 판매하는 일종의 약탈자였다면, '타르코프스키의 잠입자'는 불행한 인간의 소망을 실현해 주기 위해 그들을 지성소로 안내하는 사제의 역할을 한다. 특히 타르코프스키는 최종 시나리오에서 '금지된 구역'을 하나의 성스러운 공간으로 변형시키는데, 이로서 '구역'을 향해 가는 등장인물들의 '도정'은 '자신에 대한 내적 탐색의 과정'과 동일시되어 영화가 하나의 철학적 명상으로 변형되어 갔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This thesis compares <The Stalker>, a movie of Andrey Tarkovsky, with a novel of the Strugatsky brothers, 『A Picnic on Roadside』, and closely examines the director's intentions presented in the process of completion of the scenario. Little is known of the novel <A Picnic on Roadside>, except that the novel was adapted several times while dramatizing to <The Stalker>, and finally, the common ground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was almost completely disappeared. This study dra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the reason Tarkovsky selected <A Picnic on Roadside> as the original novel was the result of a compromise with the policy of 'Goskino', the Soviet committee for film, which preferred the science-fantasy genre film-making. Secondly, Tarkovsky takes advantage of a motif of Dostoevsky's work, the use of which the director was rejected, in the process of modifying the resources for scenario. He could make the film, combining with the related works of Dostoevsky and assigning the characters to the color of psychology and existentialism. This paper pay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of Dostoevsky, e.g. Raskolnikov in <The Crime and Punishment>, a holy-fool Myskin in <The Idiot>, and Dostoevsky himself, who had experienced prison at the time of his Siberian exile.

      • KCI등재

        도로변 지역의 이산화질소 확산에 따른 주택 실내공기질 영향

        조준,박종안,손부순,양원호 대한보건협회 2002 대한보건연구 Vol.28 No.4

        Traffic represents one of the largest sources of primary air pollutants in urban areas. Several recent studies suggest an association between automobile exhaust and increase respiratory symptoms and diminished pulmonary function.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nitrogen dioxide (NO_2) concentrations at different distances from the roadside, and indoor and outdoor NO_2 concentrations in 1st floor without NO_2 source and 2nd floor with NO_2 source of multi-family house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Indoor to outdoor ratio (I/O) of NO_2 concentration ratio with indoor source such as gas range was 1.56±1.01, comparing with 0.79±0.62 without indoor sourc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ntribution of traffic to indoor NO_2 concentration be about 80%. Correlation coefficients (Spearman r) between indoor and outdoor NO_2 concentrations with and without indoor source were 0.27 and 0.88, respectively. Measured NO_2 concentrations on weekly was higher than those on weekend, and wind velocity decreased the NO_2 concentrations in accordance with distances from roadside. Estimated NO_2 source strength with indoor source using mass balance model ranged from 20.58~25.89 ppm/hr, assuming air exchanger per hour of 1~1.5 hr^-1 and NO_2 decay rate of 0.94 hr^-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