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사증후군과 QTc 간격 연장과의 관계

        박광식,서민석,조완제,이정현,이혜리,심재용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4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Korea is about 20%. The metabolic syndrome is known to increase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However, the relationship of this syndrome with electrocardiographic subclinical risk factors such as corrected QT (QTc) interval prolongation has not been evaluated extensively in Korea. In this perspective,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QTc interval prolongation among Korean adults. Methods: We analysed 1,560 Korean subjects (men, 873; women, 687; age, 30 to 75 years) at a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2006 to Jun, 2007. Subjects were evaluated for metabolic syndrome using a questionnaire, physical examination, blood pressure and blood test. QTc interval was measured from the standard 12-lead electrocardiogram. Results: In women, the odds ratios of QTc interval prolongation according the number 1, 2, 3 ≥ of diagnostic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were 1.62 (1.07 to 2.45), 2.70 (1.59 to 4.59), 3.24 (1.65 to 6.32) compared to the number 0 (P for trend < 0.001). In men, the odds ratios according the number 2, 3 ≥ of them were 2.53 (1.56 to 4.11), 3.49 (2.05 to 5.93) (P for trend < 0.001). Conclusion: In Korean Adult, metabolic syndrome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QTc prolongation. As the number of diagnostic criteria of this syndrome increased, the ratio of QTc prolongation tends to be increased. This study suggest that the measurement of QTc interval of subjects with the diagnostic components of this syndrome can help predict cardiovascular risk of prolonged QTc. 연구배경: 국내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약 20% 정도로높으며 그로 인한 합병증도 증가될 전망이다. 대사증후군이심혈관계 위험을 높인다고 잘 알려져 있지만 심전도상의 QTc 간격 연장과 같은 무증상의 위험 요인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사증후군과 QTc 간격 연장과의 관련성을 보고한 외국 연구가 있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과 QTc 간격 연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본 저자들은 2006년 11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 증진 센터에 내원한 우리나라 성인 1,560명(남자873명, 여자 687명, 연령 30-75세)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신체계측, 혈압측정 및 혈액검사를 통해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요소를 조사하였고 QTc 간격은 표준 12-유도 심전도로부터측정되었다. 결과: 나이, 흡연, 음주, 체질량지수 및 혈청 칼슘을 보정한 후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수에 따른 QTc 간격 연장의 odds비를 조사한 결과 여자의 경우 0개를 기준으로 1개, 2개, 3개 이상일 때 odds 비가 1.62 (1.07-2.45), 2.70 (1.59-4.59), 3.24 (1.65-6.32)로 QTc 간격 연장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for trend<0.001). 남자의 경우 2개, 3개 이상일 때 odds 비가 2.53(1.56-4.11), 3.49 (2.05-5.93)로 QTc 간격 연장의 위험이 높은것으로 나타났다(P for trend<0.001). 결론: 한국 성인 남녀에서 대사증후군과 QTc 간격 연장과의유의한 관련성이 있으며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수가 증가함에 따라 QTc 간격도 연장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 요소가 하나라도 있는 환자에서 QTc 간격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며 향후 심혈관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SCIESCOPUS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당뇨병성 케톤산증의 회복 중에 발생한 Torsades de Pointes 유발 심정지 증례

        김진모 ( Jinmo Kim ),이주엽 ( Ju Yeop Lee ),유원상 ( Won Sang Yoo ),이명용 ( Myung Yong Lee ),정현경 ( Hyun-kyung Chung ) 대한내과학회 2021 대한내과학회지 Vol.96 No.5

        당뇨병성 케톤산증 환자는 QT 간격 연장, 그리고 이에 따른 Torsades de Pointes 발생 위험의 위험요소를 많이 내포하고 있으며 실제로 치명적인 부정맥인 Torsades de Pointes, 그리고 그에 따른 심정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Diabetic ketoacidosis (DKA) is an acute complication related to severe hyperglycemia. While the mortality rate for DKA is low with appropriate therapy, several complications may lead to deterioration of the clinical course. Here, we report a case of a 23-year-old patient with DKA who suffered from a rare but hemodynamically unstable cardiac arrhythmia,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with prolonged QT interval, or Torsades de Pointes. During the recovery phase of DKA, three episodes of Torsades de Pointes suddenly occurred, and were recovered by immediate defibrillation. The patient did not have structural heart disease or a genetic predisposition.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n adult with DKA complicated with QT prolongation related to Torsades de Points after correction of ketosis. To manage DKA, more attention may be needed on changes in the QT interval as well as risk factors for Torsades de Points. (Korean J Med 2021;96:432-43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