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실습에서의 수학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문효영,권성룡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ffect of mathematics teaching experience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entire research were, as follow:First, it can be said that mathematics teaching experience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Specifically, the teaching experience during the teaching practicum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p=.05)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bout the teaching mathematics. Second, the factors which help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most in preparing for mathematics classes are collaborating teachers in charge of supervising them, the teacher's guidebook and materials acquired from the Internet. Thir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re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students and emphasize concrete manipulative activities, but experience lots of failures due to difficulty of drawing students' attention. Fourth, collaborating teachers do not play a significant role in help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evelop and change their beliefs about mathematics positively. The advise given by collaborating teachers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s mostly about simple techniques of managing the classroom. So, collaborating teachers do not affect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on the chan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liefs. Fifth, regardless of their belief tendenc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ach more confidently and feel more satisfactory when they prepared for classes more thoughtfully and understanded students more deeply. 대개의 수학교실에서 교사는 자신의 수학 신념에 바탕을 두고 학생들에게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교사의 수학 신념은 과거의 다양한 수학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만들어지기에 초등예비교사의 수학 신념은 교육실습을 통해 유의미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에 관한 신념이 교육실습 전․후로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 분석해 보고, 나아가 이들의 수학에 관한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았다.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실습 전과 후의 설문조사 및 소수 대상자들을 교육실습 과정에서 관찰조사 한 결과, 교육실습은 예비교사들의 수학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들이 지닌 신념에 따라 수업의 방향이 달라지고, 지도교사나 수업에서의 성공과 실패 요인 등이 신념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 과정에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수학 신념 변화에 대한 논의 및 제언을 담고 있다.

      • KCI등재

        교수적 수정에 대한 예비 과학부전공 초등교사와 예비 과학전공 중․고등교사의 인식

        하정숙,박종호 한국특수교육학회 2012 특수교육학연구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minor in science)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major in science) concerning their perception on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questionnaire study was performed to 175 students, including 65 pers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12 persons of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 and B located at the J-region. As for data analysi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 test, two-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material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both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erceived to have the need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highly.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total-area instruction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 about sub-areas.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note betwee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re-servic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bout experience of instruction inclusive education, contact with disabled students, whether or not. Third, both groups were became aware of the benefit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 the time involved in inclusive class, and both groups demanded a de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본 연구는 교수적 수정의 필요도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과학부전공)와 예비 중․고등교사(과학전공)의 인식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하여 J지역에 있는 교육대학의 예비 초등교사(과학부전공) 65명과 종합대학에 있는 사범대학의 예비 중․고등교사(과학전공) 115명, 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80부의 설문지 중 무성의하게 응답한 5부를 제외한 예비 초등교사 설문지 63부, 예비 중․고등교사 설문지 112부, 총 175부를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 처리로써 교수적 수정의 필요도에 대한 예비 초등 및 중․고등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은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는 t 검정, 변인별(장애인 접촉여부, 통합교육 교수경험) 인식 차이는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교수적 수정의 효과와 필요한 지원에 대한 예비 초등 및 중․고등교사의 전반적인 인식 차이는 빈도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적 수정에 대한 전반적인 필요도 인식은 예비 초등 및 중․고등교사 모두 4점 척도에서 평균 2.5이상으로 높은 필요성 인식을 하고 있었다. 둘째, 예비 초등 및 중․고등교사 간의 교수적 수정의 하위영역별 필요도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교수적 수정 전체의 필요도에 대한 두 집단 간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장애인 접촉여부와 통합교육 교수경험이 두 집단의 교수적 수정 필요도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한 결과 두 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적 수정의 효과는 예비 초등 및 중․고등교사 모두 장애학생의 통합학급에서의 참여시간 증가를 뽑았으며, 학급당 인원수 감소와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와의 협력을 가장 필요한 지원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 KCI등재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이상에 근거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 분석

        박기용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to relat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and meaning of instruction.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was analyzed and synthesized based on the John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1916).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was tested using the Chan and Elliott(2004)’s ‘The epistemological belief questionnaires,’ The simple free-response essay test was provided to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for identifying the meaning of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ollowing. Firstly, 10 ideals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were selected from the John Dewey’ ‘Democracy and Education’(1916). Secondly, there was no certain or consistent patters i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therefore, relating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to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 epistemological belief was impossible. Thirdly, there is no certain differences between the ideal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and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eaning of instruction.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communication, interaction, experience, and growth in education according to the their essay. Last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objectives that were written by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he meaning of instruction who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as not yet established. Instruction is merely delivering the knowledge to children and students has to remember, understanding, and apply the knowledge learned that is unrelated to the real life. 통합교육과정은 통합교과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교육이 나가야할 방향을 근본적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교사가 통합교육과정의 가치를 학교에서 실현하려면, 국가가 개발한 통합교육과정뿐만 아니라 그것이 지향하는 본질적 이상과 가치를 내면화해야한다. 이 내면화에는 필연적으로 상당한 경험과 성찰이 요구되므로, 교사교육단계에서부터 예비교사들은 올바른 지식관, 학습관, 교육관을 가질 수 있는 경험을 해야 한다. 그러자면 우선은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과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이상 간의 격차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을 Dewey의 ‘Democracy and Education(1916)’에서 분석 및 종합하여, 최종 10개로 선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초등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지식, 학습, 수업의 개념과 비교한 후, 두 개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통합교육과정이 지향하는 교육적 이상과 대조해볼만한 지식과 학습에 관한 자신만의 패턴과 양식 즉, 인식론적 신념 자체가 아직 발달하지 않았다. 일관성 있는 신념이 나타난 예비교사는 44명 중 9밖에 없었으며, 그마저도 3명만이 세련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교육과정의 인식론적 명제와 비교적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예비교사는 44명 중 3명밖에 없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수업은 통합교육과정의 교육적 이상과 큰 차이가 없었다.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이상적 수업은 의사소통, 상호작용, 경험, 성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직접 만든” 수업계획서에 포함된 목표를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아직 수업에 관한 의미가 확립되어 있지 않았다. 더욱이 이들이 만든 목표가 지향하는 수업은 학생들의 삶과 유리된 지식을 전달하여 학생들이 그 지식을 기억, 이해, 적용(생활과 무관한 단편적 문제해결이나 계산)하도록 하는 그런 수업이었다.

      • KCI등재

        과학교육 관련 자기이해와 변화역량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 -초등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광희 ( Kwanghee Jo ),정용재 ( Yong Jae Joung ),최재혁 ( Jaehyeok Choi ),김희경 ( Heeky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6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교육 관련 자기이해와 변화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자기이해와 자신의 변화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 검토와 토론 등을 거쳐 초등예비교사들의 자기이해와 변화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의 전반부는 자기이해와 관련되는데 ‘자기개념명료성’, ‘진로정체성’, ‘자기효능감’을 요인으로 하여, ‘초등예비교사로서의 자기이해’(12개 문항)와 ‘초등과학예비교사로서의 자기이해’(12개 문항)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후반부는 ‘변화감수성’, ‘목표의식’, ‘협력’, ‘성찰’, ‘숙달’을 요인으로 하는 변화역량에 관한 내용으로, ‘일반적인 변화역량’(17개 문항)과 ‘초등예비교사로서의 변화역량’(17개 문항), ‘초등과학예비교사로서의 변화역량’(17개 문항)에 대하여 각각 인식 조사 문항을 작성하였다. 이 조사도구를 사용하여 153명의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기이해와 변화역량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자기이해와 변화역량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지만 초등과학예비교사로서의 자기이해와 변화역량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이었다. 둘째, 초등과학예비교사로서의 자기이해와 변화역량 요인들은 대체로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자기이해의 ‘자기효능감’과 변화역량의 ‘목표의식’, ‘숙달’ 사이에 높은 상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이해와 변화역량 관련 과학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cognition of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for science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s with it.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we made a tool to investigate the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s. The former half of the questionnaire was related to self-understanding with factors such as ‘self-concept clarity,’ ‘career identity’ and ‘self-efficacy:’ ‘self-understanding as a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12 items) and ‘self-understanding as a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12 items). Its latter half was about the change capacity with factors such as ‘change sensitivity,’ ‘goal consciousness,’ ‘collaboration,’ ‘reflection,’ and ‘mastery.’ It consisted of three parts: ‘general change capacity,’ ‘change capacity as a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nd ‘change capacity as a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with 17 items, respectively. With this tool, we surveyed 15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a positive recognition about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but the recognition of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as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were relatively less positive. Second, factors of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as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ach other. Especially,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of self-understanding and ‘goal consciousness’ and ‘mastery’ of change capacity. Based on thes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self-understanding and change capacity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와 중등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이념 성향 분석

        한화정,심규철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교사교육연구 Vol.61 No.1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and compare curriculum ideologies perceived by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curriculum ideologies of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ere examined across six areas which included the purpose of schools, role of teachers, nature of learning, nature of knowledge, role of childhood, and purpose of evaluation. The propensity of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curriculum ideologies across the six areas was categorized into scholar academic, learner-centered, social efficiency, and social reconstruction ideologies. This examination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the highest propensity for learner-centered ideologies across all the area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the highest propensity for learner-centered, scholar academic, and social efficiency ideologies with some differences in their propensity for curriculum ideologies among areas. The study compared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gap of curriculum ideolog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a higher propensity for learner-centered and social reconstruction ideologies than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had a higher propensity for scholar academic and social efficiency ideologies than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hat can learn various curriculum ideologie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of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비교 연구

        박현진,고현국,권동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기후 위기와 감염병 유행 등 생태적 인식 함양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미래 사회의 주축인 초등학생과 그들을 교육하게 되는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정도가 각각 어떠한지를 검증된 도구를 사용해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생 352명, 초등예비교사 92명이다. 초등학생에게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용 NEP Scale’ 설문지를 인쇄 배부하였고, 예비교사에게는 ‘신 생태 패러다임 척도(New Ecological Paradigm Scale)’를 온라인으로 투입하였다. 그중 초등학생용 설문지 336부, 예비교사용 설문지 92부를 회수하였고, 해당 자료를 SPSS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생태 인식 전체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두 개의 하위 요인에서 초등학생의 평균이 예비교사의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초등학생의 배경 변인별 생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생태 인식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태 인식 하위 요인 중 일부 평균값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초등예비교사의 배경 변인별 생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학년에 따른 생태 인식 평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생태 인식전체 평균과 하위 요인 중 일부 평균값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생태 인식은 연령과 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 인식 관련 교육을 설계할 때교수자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아동과 성인은 생태적 세계관을 구축하는 과정이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초등예비교사와 교사는 아동의 생태적 세계관 구축 과정을 이해하여야 한다. 셋째, 생태 인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그 원인을 다양한측면에서 밝히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future society’s main pillars, along with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ill educate them.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that has been verified by many people and is widely used was used.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NEP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was printed and distributed. In addition, ‘The New Ecological Paradigm Scale’ was distributed online to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 total 336 questionnair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92 questionnaire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collect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s of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owever, the average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wo sub-factor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value of pre-service teache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logical worldview by background variabl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values according to grade level. However, the average values of some of the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cological worldview by background variabl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values according to grade leve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ecological worldview and some of its sub-factors according to gender.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n individual's ecological beliefs may be independent of age.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when designing education related to ecological worldview. Second, children and adults may have different processes for constructing an ecological worldview. Thus,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must understand children’s ecological worldview. Third, the ecological worldview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differ according to gender.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clarify the cause from various aspect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국가관과 관련된 사회과 정치교육의 지향성 탐색

        이수룡(Lee, Su-Ryong)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2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경험을 통해 형성·변화된 국가관이란 무엇인가의 물음을 제기하고, 이와 관련하여 그들이 학교 현장에서 실천할 사회과 정치교육의 지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65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국가관 형성·변화요인을 맥락적으로 탐색하고, 국가관이 적용될 사회과 수업의 양상을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국가상징에 대한 학습경험과 주변인들과의 관계 맺음을 통한 일상생활 경험, 그리고 국가의 구성요소, 역할, 정치·경제·문화현상 이해에 대한 학교교육 학습경험을 통해 국가관을 형성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국가의 위상, 치안, 정책영역의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국가관을 강화하고, 국가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실망, 정치인의 부정부패, 한국인의 낮은 시민성, 역사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사실을 확인하였을 때 부정적인 국가관으로 전환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국가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신념을 내세우는 사회과 수업, 초등학생의 국가관 선택을 존중하는 사회과 수업, 교사의 국가관과 여러 관점의 국가관을 중립적으로 제시하는 사회과 수업, 초등학생의 국가에 대한 자유로운 표현을 통한 토론활동 중심의 사회과 수업을 구상하였다. 이에 예비교사들은 국가에 대한 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스스로 탐구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가 필요하며, 초등학생들의 국가관 학습에 대한 교사의 인식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초등학생들의 민주시민성 교육을 위해 교사는 다양한 관점을 통해 국가를 파악할 수 있고, 초등학생들의 새로운 사회공동체 역량 형성에 기반이 될 수 있는 국가관 형성의 사회과 수업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at the formed and changed a view of the nation is through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with regard to the view of the nation, the purpose was to explore the orientation of political education in social studies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practice at schools. This study used unstructured questionnaires with 65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is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and change factors of a view of the n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ontext and predicted the pattern of social studies instruction to which a view of the nation will be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s in daily life through learning about national symbols and forming relationships with people around them.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med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their experience in learning school education on understanding the components, roles,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phenomena of the nation.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rengthened a positive a view of the nation through direct experience in the status, security, and policy areas of the nation.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hanged to negative a view of the nation when they confirmed their disappointment in the nation’s political role, corrupt politicians, low citizenship of the Koreans and failure to resolve historical issue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vision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at espoused beliefs about the existence and role of the na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oriented social studies instruction, social studies instruction that present a neutral view of the n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social studies instruction on countries centered on debating activiti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 a learning opportunity to explore the causes that affect teachers’ roles in education about the nation. And various efforts are required to raise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ing of the view of the n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should grasp the nation through various perspective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think about designing social studies instruction to form a view of the nation that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formation of new social community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초등영어 예비교사 정체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현직교사의 관점에서

        안경자 한국영어학회 2018 영어학 Vol.18 No.4

        Ahn, Kyungja. 2018.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factors that affect them: Perspectives from in-service teachers.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8-4, 562-585.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identities of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and factors that affected their identities,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s of in-service teachers. The participants were 18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the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course taught by the researcher. Pre- and post-survey responses, autobiographic essays,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ost of the teachers had positive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 identities, whereas some had negative or weak English teacher identities, homeroom teacher identities, and English learner identities. Various institutional factors affected their identities the most, followed by individual and macro-structural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were pre-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programs, English teaching practicum,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and peer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 factors included the participants’ English skills, English teaching skills, and experiences studying and travelling abroad. Lastly, macro-structural factors covered the Teacher Employment Test and the English subject teaching system. The findings revealed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mediation and human mediation by teacher educators, mentor teachers, and peers in pre-service teacher identity development. Further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pre- and in-service English teacher education, development of English teacher identities, and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 초등 교사의 고등학교 재학 시 진로 계열에 따른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현동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3 科學敎育硏究誌 Vol.47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tific self-efficacy by science motivation according to the academic track in high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of which 350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from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track in high school and 17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from the science-engineering track in high schoo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cientific self-efficacy and science motivation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hen’s d were done. In order to find out about the Influencing of scientific self-efficacy on science motiv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ientific self-efficacy and science motivation, and the avera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selected science-engineer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Second, explanation power of scientific self-efficacy on science motivation appeared as 66.7~68.3%. The explanatory power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selecte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higher. The relative importance was high in task difficulty preference factor to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as high in self-regulation efficacy to science-engineering. In conclusion, in order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achieve high achievement and motivation in science subjects, and to teach science well to students in the school field, teacher education that can improve scientific self-efficacy should be conducted.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재학 당시 진로 선택 계열에 따른 예비 초등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과학 동기를 비교하고,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A 광역시 소재 교육대학교 2~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525명의 응답 결과를 활용하였다. 응답한 예비 초등 교사 중 인문사회계열을 선택하였던 학생은 350명,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한 학생은 175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대상으로부터 수집된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과학 동기에 대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증 및 효과 크기 분석,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한 예비 초등 교사들의 경우 두 검사의 모든 하위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한 학생들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과학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서 설명력은 66.7%, 68.3%가 나타났고, 인문사회계열을 선택하였던 예비 초등 교사들에게서 설명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 초등 교사들의 과학 동기에 영향을 주는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하위 요인에서 상대적인 중요도는 인문사회계열을 선택하였던 예비 초등 교사들의 경우 과제곤란도선호가, 자연공학계열을 선택하였던 예비 초등 교사들의 경우 자기조절효능감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예비 초등 교사들이 과학 관련 교과목에서 높은 성취와 동기를 얻고, 나아가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과학을 잘 가르치기 위하여, 과학적 자기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 KCI등재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Noticing in Teaching Demonstration

        Lee, Min Hee,Cho, Mi Kyung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4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what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noticed in teaching demonstrations. For this purpose,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observed the teaching demonstrations of other pre-service teachers and wrote a journal on attending, interpreting, and deciding.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re-ser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howed notable differences in their noticing. For the most part,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aid attention to the facilitating strategies for learners, whereas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aid attention to the mathematical tasks of lesson content. In additi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terpreted and presented the alternative ideas for reconstruction of the facilitating strategies for learners, whereas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uggested the alternative ideas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the mathematical tasks. The findings provide insight on the significance of noticing with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suggested the direc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o better develop teaching expertise in mathematic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