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공산당 제19차 당 대회의 쟁점 분석 : 시진핑 권력 강화의 이론과 현실적 제약

        전성흥(CHUN Sung Heung)(全聖興)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1

        이 글은 중국 공산당 19차당대회의 핵심 쟁점인 시진핑의 권력강화 현상에 대한 분석이다. 흔히 이번 당대회를 통해 시진핑이 일인지배체제를 구축하게 되었다고 평가하는데, 본문은 이와 다른 시각으로서 시진핑 권력집중의 한계를 설명하고 있다. 시진핑이 전임 총서기와는 달리 18차 당대회 이후 여러 가지 측면에서 권력을 집중해온 사실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19차 당대회를 계기로 ‘시진핑 사상’이 당헌에 삽입되는 등 더욱 권력이 강화되었음에 대해서도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시진핑 사상이 지도이념화될 수 있는 근거인 ‘신시대’의 논리가 설득력이 부족하고, 시진핑 사상의 체계 자체가 권력 강화를 위한 인위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마오쩌둥이나 덩샤오핑과 같은 카리스마적 인물이 발휘하는 ‘권위형 권력’과 달리, 제도적으로 부여된 직책에서 비롯되는 ‘직위형 권력’이기 때문에, 직책과 무관한 절대 권력이 아니라 임기 내에 국한된 상대 권력이라고 평가했다. 그리고 집단지도체제를 견지해야 한다는 당내 공통된 인식을 부정하기 힘들고, 현재 집단지도체제가 작동되지 않는다는 결정적 사례를 찾기도 어렵다고 분석했다. 따라서 집단지도체제와 시진핑 권력집중이라는 이중적 현상이 병존하고 있는 과도기적 특징을 강조했다. 시진핑의 권력집중이 집단지도체제의 부작용인 ‘강력한 리더십 부재’라는 문제 해결을 위한 당내 집단적 필요성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마오 시기 중국정치의 폐단인 ‘과도한 권력집중’과 권력남용을 의미하는 것인지는 향후 추세에 달려 있다고 전망했다. Despite the general belief that Xi established the “one-man rule system” at the 19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is study presents a different perspective, and explains limits on Xi’s consolidation of power. Xi has been consolidating power since the 18th Congress. That effort was evident in the 19th Party Congress, including inclusion of Xi’s ideology in the Party constitution. Nevertheless, a key concept -- the ‘New Era’ -- lacks a logic strong enough to allow Xi’s thoughts to serve as a leading ideology. The system of Xi’s thought is more of a means to consolidate power. Furthermore, contrary to the ‘authoritarian power’ exercised by charismatic figures such as Mao Zedong and Deng Xiaoping, Xi’s power is ‘positional.’ It is not absolute power that exists regardless of position; positional power is “relative” because it is limited by the term period. The party appears to favor maintenance of the system of collective leadership, and there is no indication that the present collective leadership is not operating. Therefore, the current system is characterized by the existence of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collective leadership and the consolidation of power by Xi coexist. This paper makes no conclusion about whether Xi’s consolidation of power is the result of the party’s collective need to resolve the problem of an ‘absence of a strong leadership’ as a side effect of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or whether it signifies an ‘excessive power concentration,’ a negative effect of Chinese politics under Mao. If the latter turns out to be true, it can be a premonition of instability in Chinese politics.

      • KCI등재

        중국 최고 지도자의 권력 공고화: 장쩌민의 사례

        조영남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7 중소연구 Vol.41 No.3

        This article analyzes the power consolidation of the CCP’s general secretary, focusing on the case of Jiang Zemin. For this, it investigates two things. First, this paper delves into power sources that the supreme leaders wield, and rectification campaign as a strategy by which the supreme leaders employ in order to consolidate their political power. Second, it investigates concretely the process and result that Jiang Zemin made his power base solid. Supreme leaders in China should take up military control, ideological authority, and network of corteges for their exercise of power, and they make use of rectification campaign as a method to make them possible. Jiang Zemin illustrates the prototype of power consolidation in the reform era. The sequence is as follows: the recruitment of corteges, implementation of rectification campaign, and establishment of a new ideology. It proves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consolidation has made progress in the reform era, as di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succession. 이 논문은 장쩌민을 사례로 중국공산당 총서기의 권력 공고화를 분석한다. 이 논문은 두 가지를 살펴볼 것이다. 첫째는 중국 정치에서 최고 지도자들이 행사하는 권력과, 권력 공고화를 위한 전략인 정풍운동(整風運動)이다. 둘째는 장쩌민의 권력 공고화다. 중국에서 최고 지도자는 군 통수권, 이념적 권위, 지지 세력을 획득해야 권력을행사할 수 있다. 또한 정풍운동은 이를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장쩌민은 개혁기 총서기가 어떻게 권력을 공고화 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전형을 만들었다. ‘지지 세력의충원 → 정풍운동과 반부패운동의 전개 → 새로운 지도이념의 확정’이 바로 그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개혁기 중국의 엘리트 정치에서 ‘권력 승계의 제도화’와 함께‘권력 공고화의 제도화’도 진전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미국 파산법원과 실질적 합병이론

        백재형(Robin J. Baik)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성균관법학 Vol.24 No.1

        One of the most contentious issues in Lehman Brothers' chapter 11 cases was whether to substantively consolidate the debtors that have held themselves out to public as one Lehman group and have engaged in complex intercompany transactions with less than perfect documentation. This issue became the forefront in the plan confirmation battle when an ad hoc group of LBHI creditors filed a plan of reorganization asserting substantive consolidation. Soon, the Lehman debtors filed an amended plan recognizing the risk of substantive consolidation and proposing a compromise, followed by another plan proposed by certain creditors of Lehman's operating subsidiaries based on strict corporate separateness. Substantive consolidation is an extreme remedy available in U.S. bankruptcy proceedings. It is used to combine assets and liabilities of multiple debtors to create a common pool of assets and liabilities in order to protect creditors from injustice that would otherwise result from enforcing strict corporate separateness, due to either the debtors' misrepresentation in their business dealings or extreme costs and delay to separate the debtors' assets and liabilities. The doctrine is based on bankruptcy court's equitable power under section 105 of the Bankruptcy Code, and has been developed through numerous cases, including Union Savings Bank v. Augie/Restivo Baking Co. (In re Augie/Restivo Baking Co.), 860 F.2d 515 (2d Cir. 1988) and In re Owens Corning, 419 F.3d 195 (3d Cir. 2005). This paper reviews the two seminal cases, and summarizes how the arguments for and against substantive consolidation have played out in Lehman's chapter 11 plan process. Then, it suggests various issues that investors should consider from bankruptcy perspective when making their investment decisions and dealing with U.S. companies.

      • KCI등재

        중국 시진핑 정부 특징과 권력 공고화 분석 –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를 중심으로 -

        임진희 중국지역학회 2022 중국지역연구 Vol.9 No.2

        This study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Xi Jinping government through a review of the process of power consolidation. And to this end, this paper compared it with Mao Zedong, the only person in the history of CCP who built and actually operated a one-man-rule system. On this basis, this paper also tried to find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Did Xi Jinping establish the one-man-rule system?', ‘Is the collective leadership system still valid?’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recent years. There are many analyses of the president Xi Jinping and comparisons with his predecessor, Hu Jintao. However, there were no analyses that were compared to the president Mao Zedong.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and compared the method of the power consolidation during the Mao Zedong government in Chapter 2 and the Xi Jinping government in Chapter 3. At the end, Chapter 4 summarized Chapter 2~3 and tried to present its own answers and implications to the above mentioned questions. 본 논문은 중국 시진핑 주석의 권력 공고화 과정 고찰을 통해 시진핑 정부의 특징을 정의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신중국 역사상 유일하게 일인지배 체제를 구축하고 실제로 운영했던 인물인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하고, 동시에 이로써 근래에 빈번히 등장한 ‘시진핑 주석은 일인지배 체제를 구축한 것인가?’, ‘집단지도 체제는 아직도 유효한가?’ 같은 질문에 나름의 답을 구하려 하였다. 현재 시진핑 시기 자체의 분석, 전임인 후진타오 시기와 비교한 분석은 다수 존재한다. 그런데 일인지배 여부를 검토하며 의외로 마오쩌둥 시기와 비교하여 살펴본 분석들은 적었다. 때문에 본 논문은 제2장에서 마오쩌둥 시기의, 제3장에서 시진핑 시기의 권력 공고화 방식을 고찰, 비교하였다. 그리고 제4장에서 이를 정리하며 상술한 질문에 나름의 답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려 하였다.

      • KCI등재

        대만 총통제와 민주주의 공고화의 지체: 통치구조와 운영의 비조응성을 중심으로

        김형철 ( Hyung Chul Kim ) 비교민주주의연구센터 2008 비교민주주의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1996년에 첫 직선 총통을 선출한 대만을 대상으로 민주화 이후 민주주의 공고화의 지체 원인을 통치구조와 운영의 비조응성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87년에 시작된 대만의 민주화 이행은 강력하고 초법적인 권한을 갖는 권위주의 통치구조에서 권력이 제한되고 분산된 준대통령제 통치구조로 변하였다. 그러나 준대통령제 모델에 기초한 대만의 총통제는 통치구조와 운영방식에 있어 비조응성을 가짐으로써 정치불안정성과 민주주의 공고화의 지체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즉 통치구조와 운영방식의 비조응성은, 첫째, 행정원의 구성과 관련된 총통의 강력한 권한과 행정원에 대한 책임소재의 모호성이 빈번한 행정원의 개각, 헌법적 혼란과 정치적 교착상태를 가져오며, 둘째, 분점정부 형성에 따른 행정-입법 사이의 교착상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제의 결여에서 찾을 수 있다. 즉, 대만의 총통제는 총통에게 주어진 강력한 권한과 분점정부 상황에서 소수정부를 구성함으로써 발생되는 행정-입법 사이의 갈등 심화가 대만정치의 불안정성과 민주주의 공고화를 지체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problems of procrastinated consolidation in Taiwanese democracy, relating country`s semi-presidential system. In 1987 Taiwan`s democratic transition altered her old authoritative presidential system with unlimited power to the semi-presidentialism with power-sharing nature. However, Taiwan`s semi-presidentialism has resulted in the incongruity between governing structure and its practice. Although its written form is typical semi-presidentialism, actual practice is more like presidentialism. This feature of Taiwan`s semi-presidentialism has engendered political instability and ultimately delayed the advance to democratic consolidation. More concretely, this study argues that following structural and practical problems tend to produce the political instability and the procrastination of democratic consolidation: 1) the strong presidential power for the form of executive yuan and the ambiguity about executive yuan control, 2) the lack of mechanism to solve a deadlock between the executive and the legislature under divided government.

      • 숙종대 정국구도와 왕권강화책

        도동열,정용범 동의공업대학 2000 論文集 Vol.26 No.1

        The system of lineage nobility in the early Ko-ryeo enjoyed the heyday under the balance and restraint. But the Lees of Injoo who had produced the queens from Lee Ja-yeon's time became then the highest lineage nobility, threated the framework of balance among the lineage nobilities, and made the royal power incompetent. The succession to throne by Suk-jong was possible owing to the interests of the lineage nobilities, and for Suk-jong the reorganization of political circles through entire exclusion of lineage nobility was difficult. Therefore, we can think that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e early reign of Suk-jong was established under the mutual restraint of meritorious retainers based on Suk-jong's power and lineage nobility. In this political situation Suk-jong promoted a set of policies such as coinage policy and construction of Namgyeong in order to consolidate the royal power. However, it was not perfectly advanced because of the objection of lineage nobility, and after Suk-jong's death was deteriorated and reduced to the existing regime. In short, the policy of consolidating royal power did not obtained the good results due to the then political situation that could not completely deny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 KCI등재

        은행그룹화가 은행시장경쟁에 미친 영향과 정책시사점

        이상규,이종건 한국은행 2004 經濟分析 Vol.10 No.4

        This paper tries to estimate empirically the effects of bank consolidation on competitive behavior in the Korean banking industry and provide some competition policy suggestions. Market concentration has been markedly increased from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banks and the widening in the size distribution of banks caused by bank consolidation after the Korean currency crisis in1997. The Herfindhal-Hirschman Index shows that the Korean banking market is currently moving from moderately concentrated into highly concentrated. Applying an empirical method developed by Panzar and Rosse (1987), we estimate H-statistics for the period of 1992-1997 and the period of 1998-2002. We find that the Korean banking market show monopolistically competitive behavior for the two periods, but market competition has been significantly weakened over the period of 1998-2002. Our findings suggest that some competition policy responses need to be considered to make the Korean banking market more competitive in the wave of bank consolidation. Finally, we briefly discuss some competition policy implications from structural, behavioral, and contestable aspects. 외환위기 이후 소수의 대형은행 중심으로 급속하게 진전된 은행산업의 구조조정으로 은행시장의 집중도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은행시장의 경쟁도 약화와 대형은행들의 독과점적 폐해 발생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외환위기 이후 이루어진 은행그룹화가 은행시장의 집중도와 경쟁도에 미친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우리나라 은행산업에 대한 경쟁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은행시장의 집중도는 은행수가 감소하고 은행규모간 분산이 확대되면서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2002년말 현재 허핀달-허쉬만 지수(Herfindhal-Hirschman Index) 기준으로 판단해 보면 우리나라의 은행시장은「다소 집중된 시장」에서「매우 집중된 시장」으로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구조적 분석방법인 Panzar-Rosse 모형을 적용하여 추정한 H-통계량에 의하면, 외환위기 이후기간(1998년~2002년)의 우리나라 은행시장의 경쟁도는 외환위기 이전기간(1992년~1997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약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OECD 선진국들의 은행산업들과의 비교평가를 통하여 우리나라 은행산업을 진단하면서, 본 논문은 은행산업구조의 재편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높아진 은행시장의 집중과 이에 따른 독과점폐해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고 과도하게 약화된 은행시장의 경쟁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제고시키기 위한 경쟁정책들을 시장의 구조적 측면, 행태적 측면, 경합성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해 중경시기 대외관계의 양상과 의미

        윤재운(YUN Jae-woon) 고구려발해학회 2009 고구려발해연구 Vol.34 No.-

        구국에서 현주(중경)으로의 천도는 늘어난 영토의 효율적인 통치와 국력의 상승에 따라 이루어졌다. 구국은 발해 건국지이고, 고왕을 비롯하여 무왕이 잠든 곳으로서 다른 곳으로 수도를 옮긴 뒤에도 여전히 중요시되었다. 중경시기의 도성은 서고성이었는데, 서고성은 그 형태나 규모면에서 이전의 도성인 오동성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발해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국가적인 프로젝트였다. 따라서 서고성은 당시로서는 최신시설과 체제를 갖춘 도성이라고 할 수 있다. 발해가 중경으로 천도한 문왕대는 이전의 무왕대와 달리, 당과의 교류가 매우 활발하였다. 이는 무왕대와 문왕대의 국제적인 정치상황은 달랐지만, 모두 발해의 지배력을 확장하는 방향에서 대응하였기 때문이다. 문왕은 당에 사신파견을 통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하고 국가의 재부를 풍족하게 하였다. 아울러 당나라의 문물제도와 통치술에 대해서도 이해를 심화시키는데 성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앙 및 지방 통치제도, 왕실제도의 정비를 이루어 국가의 기초를 다지는데 성공하였다. 이상에서 이러한 의미를 가지는 발해 중경시기의 대외관계의 양상을 편의상 국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물론 각 장의 제목에 나오는 지배체제의 정비, 말갈복속, 新羅道(교통로) 같은 내용은 다른 국가들과의 관계에도 모두 나오는 일반적인 상황이라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당과의 관계에서는 말갈복속이나 교통로의 문제보다는 늘어난 영토의 효율적인 통치를 위한 소프트웨어의 전수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사절단의 파견목적도 그러한 것에 중점을 두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일본과의 관계는 내부체제의 정비과정과 신라의 견제 의식이 관련이 있었다. 746년 발해인과 철리부인 1,100여명의 일본 도착 기사는, 발해가 새로 포섭한 말갈제부족을 회유하기 위해 그들을 대외무역에 정기적으로 참여시켜 주는 초기단계의 일로 보여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신라와의 관계는 구체적인 자료가 별로 남아 있지는 않지만, 新羅道라는 루트의 재개통을 통해 공적ㆍ사적인 교섭의 토대를 이루었고, 이를 바탕으로 민간차원의 교섭이 이루어지지 않았을까 생각해 보았다. 결국 발해 역사에서 중경시기는 사실상 첫 번째의 계획적인 계획에 의한 도성을 축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배체제의 정비를 통해 발해 주변의 여러 세력들(당, 일본, 신라 등)과의 대외관계의 礎石을 놓았다는 데에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transference of the capital from Kukuk(舊國) to Jungkyung(中京) is made by efficient management about increased territory and rising of national power. Kukuk attach great importance to Balhae, because it is established land of a country and buried King Go(高王) & King Mu(武王). The capital of Jungkyung Period is Seogoseong(西古城) that has the latest equipment and system in those days. The interchange between Balhae and Tang in Jungkyung Period is active. Because political situation is different, the period of King Mu and King Mun(文王) both pursuit Balhae’s control. King Mun created economic profit through dispatch of envoy toward Tang. Besides he achieved deepening understanding about Tang’s civilization and knowhow to govern. The foundation of State is based on this. The relation with Tang hold an important matter in transmission of software. Because it needs in that increased territory and rising of national power. The relation with Japan is connected with consolidation of internal power and diversionary tactics toward Silla. Finally the relation with Silla is effected by reopening Sillado(新羅道). As a result, the Jungkyung Period of Balhae has a meaning in that it build a first capital and a foundation with foreign relations.

      • KCI등재

        중국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권력 공고화 비교

        조영남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6 No.4

        This article analyzes the power consolidation of Hu Jintao and Xi Jinping in terms of comparative perspective. For this, it investigates the meaning of power consolidation and rectification campaign. Then it delves into the concrete processes and results of power consolidation focusing on Hu Jintao and Xi Jinping in three aspects: the recruitment of corteges, implementation of rectification campaign, and establishment of new ideology. Hu Jintao and Xi Jinping as new generation leaders in reform era have been able to make power base solid by similar strategies and steps, and resultantly could exercise their power as general secretaries. In this sense,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consolidation has made progress in the reform era, as di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ower successio 이 논문은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권력 공고화를 비교 분석한다. 이를 위해 먼저 권력 공고화와 정풍운동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후진타오와 시진핑의 권력 공고화를 세 가지의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는 자파 세력의 충원, 둘째는 정풍운동과 반부패운동의 추진, 셋째는 자기 통치이념의 공산당 지도이념화이다. 후진타오와 시진핑은 개혁기 신세대 지도자로서 유사한 과정과 절차를 통해 권력 을 공고히 했고, 그 결과 총서기로서의 권한을 행사할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개혁기에는 ‘권력 승계의 제도화’와 함께 ‘권력 공고화의 제도화’가 진행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Peaceful power transfers or successions and democratic consolidation in South Korea

        함성득,정광호,김도희 한국사회과학협의회 2013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Vol.40 No.1

        This article sheds light on the positive role of power transfers or leadership successions in the democratic consolidation process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argue that democratic consolidation in South Korea is slowly taking place, and it is best measured by institutional rather than an individual president’s accomplishment. Therefore,democratic consolidation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presidents since the transition to democracy occurred in 1987. Regardless of each president’s performance,repeated power shifts and successions through fair elections are likely to lead to the creation of a favorable political environment for democratic institutions to mature, which will support continued democratic consolidation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