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경후 성장과 적응 모형 검증 : 중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이옥희,이지연 한국인간발달학회 2015 人間發達硏究 Vol.2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concerning post-traumatic growth(challenge of core belief, centrality of event,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psychological pain,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satisfaction with life),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Tirplett et al., 2012). The subjects of study were 617 men and women of mid-lif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As the result of study, there were generally three route-processes that reached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ation. In the first route in which the challenge of core belief reached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ation, it was verified that deliberate rumination was a meaningful factor to reach post-traumatic growth. In the second route in which centrality of event reached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ation, it was verified that centrality of event’ was an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on of post-traumatic growth, rather than the challenge of core belief, and meaning in life intermediated satisfaction with life in post-traumatic growth. In the third route, it was verified that centrality of event had negative influences on post-traumatic growth and adaptation. These consequences suggest that growth and pain may coexist after post-traumatic experience. And they implies that intrusive rumination causes psychological pain, but deliberate rumination leads us to post-traumatic growth. Also they represent that meaning in life guides us to satisfaction with life, rather than post-traumatic growth is directly connected with satisfaction with life.

      • KCI등재

        외상 후 스트레스로서의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노출과 성장적 반추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신영 ( Kim Sin Yeong ),오인수 ( Oh In S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는 학생으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스트레스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기 노출, 성장적 반추,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영향과 이를 통해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성장을 돕는 상담적 개입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의 교사 404명을 대상으로 학생에게 당한 폭력 피해 경험, 사회적지지, 자기 노출, 외상 후 스트레스, 성장적 반추 그리고 외상 후 성장의 정도를 측정하여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적 반추의 완전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으로부터 폭력 피해를 경험한 교사의 경우 외상 후 스트레스를 성장적 반추를 통해 재해석 할 경우 외상 후 성장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피해 교사를 상담할 경우 피해 교사가 의도적·건설적으로 피해 사건을 재해석 하도록 돕는다면 외상 후 성장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사회적 지지에서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주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주변의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최근 교권침해사례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학생으로부터 폭력을 경험한 교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에 대한 내적, 외적 보호요인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또한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폭력 피해 교사를 상담할 경우 피해 교사의 성장적 반추를 촉진하는 인지적 상담 기법과 사회적 지지를 촉진하는 지지체계강화의 필요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from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counseling intervention to facilitate post-traumatic growth o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The subjects were 404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measuring severity of violence, social support, self-disclosure, post-traumatic stress,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ull mediation effect of rumination and the main effect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st-traumatic stress can be sublimated into post-traumatic growth if the teacher who experienced violence damage from the student re-conceptualizes the post-traumatic stress through rumination. If teachers who experienced violence receives counseling like facilitating themselves to confront and reinterpret the traumatic incident intentionally or constructively, it would be helpful for them to experience post-traumatic growth, which means rumination occu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not only it found which kind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re needed in converting post-traumatic stress to post-traumatic growth for teachers victimized by violence from student, but also it gives insight for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for the teachers in terms of post-traumatic growth.

      • 여대생/부모 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유보희, 송현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8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ediating effects of active stress coping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post - traumatic growth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attachment between parent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and parental perceived Attachment to daughters on post - traumatic growth in the parent - daughters pairs group. the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ughter group is as follows.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attachment to the father influenced post - traumatic grow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active coping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s of attachment to the father and attachment to the mother after trauma. On the other hand, attachment to moth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 - traumatic growth of children through passive coping strategies. In the parent - daughter pair group, the attachment of father to the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 - traumatic growth through active copin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und that Attachment to mother that daughter perceives affects the post - traumatic growth through the passive cop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ediating effects of active stress coping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effect of parent attachment on post - traumatic growth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attachment between parent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and parental perceived Attachment to daughters on post - traumatic growth in the parent - daughters pairs group. the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ughter group is as follows. Act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attachment to the father influenced post - traumatic grow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mediating effects of active coping were significant in the effects of attachment to the father and attachment to the mother after trauma. On the other hand, attachment to mothers perceived by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 - traumatic growth of children through passive coping strategies. In the parent - daughter pair group, the attachment of father to the female college stud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ost - traumatic growth through active coping.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und that Attachment to mother that daughter perceives affects the post - traumatic growth through the passive coping method.

      • KCI등재후보

        외상경험자의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성순이,김해란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8 복지상담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성인애착 두 차원인 애착불안,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과의 상관관계에서 자아분화가 매개하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외상 경험을 보고한 전국에 거주하는 20세에서 55세까지의 성인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외상 경험질문지, 성인애착 척도, 외상 후 성장 척도, 자아분화 척도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402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SPSS 23.0과 AMOS 20.0을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 분석(SEM)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첫째, 애착불안, 애착회피는 외상 후 성장과 애착불안, 애착회피가 자아분화와는 각각 부적상관이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은 정적상관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불안애착과 애착회피가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직접 경로는 둘 다 부적이었다. 그러나 자아분화와 외상 후 성장의 직접 경로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분화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인애착이 자아분화를 거쳐 외상 후 성장에 간접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분화는 외상 후 성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의미는 외상 후 성장과 자아분화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함에도 자아분화 변인이 성인애착과 외상 후 성장의 개인내적인 보호자원으로써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자아분화를 활용한 상담 및 시사점을 알아보고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on post-traumatic growth among traumatized people and verifies the mediating role of self-differentiation. Thus, a research-based path model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differentiation i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growth and adult attachment, including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500 adults aged 20 to 55 living in Korea who have had traumatic experiences were measured wit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adult attachment scale, post-traumatic growth scale, and self-differentiation scale. Of those, 402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nd AMOS 20.0 and cond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first,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and post-traumatic growth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self, but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rd, the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s among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dult attachment had an in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differentiation of self and differentiation of self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This study identifies that self-differentiation was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adult attachment and post-traumatic growth of individuals while research regarding post-traumatic growth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limited. With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for counseling practices, its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에 미치는 효과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3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과 우울증상에 대한 외상 후 부정적 인지와 대처전략들의 효과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여러 차원들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쉼터에 거주하거나 상담기관을 방문한 가정폭력 피해여성 10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외상관련 특징, 외상 후 부정적 인지, 대처전략,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과 우울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다른 모든 관련 변인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불안 및 우울증상 각각에 대하여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회피 대처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및 외상관련 특징들의 영향을 통제했을 때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우울증상에 각각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영향을 추가로 통제한 후에는 고유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적극적 행동 대처의 경우, 불안증상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인구통계학적 및 외상관련 특징들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는 불안증상에 대한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동시적 회귀분석 결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여러 차원들 중 외상반응관련 부정적 자기 차원만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불안증상에 각각 유의하게 기여하였으며, 미래/가치관련 부정적 자기 차원만이 우울증상에 유의하게 기여하였다. 이 결과들은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들을 이해하고, 예방 및 치료하는데 있어 그들의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역할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nd coping strategies on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s well as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the dimension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to their psychological symptoms. 106 residents in domestic violence-related shelters or visitors to domestic violence-related counseling cent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coping strategies,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questions about their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Avoidance coping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ost-traumatic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bove and beyond some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but when additionally controlling f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its unique effect was not significant. Active behavioral coping which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nxiety symptom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anxiety symptoms above and beyond some demographic and trauma-related characteristics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Next, of the dimensions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 on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traumatic reactions uniquely contributed to post-traumatic stress and anxiety symptoms, and only negative self-concept about future/values uniquely contribu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role of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in order to prevent and treat female assault victims' post-traumatic stress and emotional symptoms or disorders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 외상 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조용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4 인지행동치료 Vol.14 No.3

        본 연구는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영향을 검증하고, 그 구체적 기제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정신건강에 대한 탄력성의 작용기제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들 및 문헌 리뷰에 기초하여, 외상경험자들의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및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외상 후 성장 또는 외상 후 부정적 인지가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세 가지 부분매개모형과 한 가지 완전매개모형이 상정되었다. 321명의 외상사건 경험 대학생들로부터 탄력성, 외상 후 성장, 외상 후 부정적 인지, 정신적 웰빙,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우울과 불안증상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탄력성은, 다른 관련 변인들을 모두 통제한 후에도,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각각에 고유하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탄력성과 외상 노출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외상 후 성장과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둘 다 탄력성과 정신적 웰빙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는 탄력성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가정된 통합적인 부분매개모형의 적합도가 다른 매개모형들에 비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탄력성은 다른 관련변인들의 영향을 넘어서서 정신적 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을 각각 예측하는데 있어 고유하게 기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탄력성이 정신적 웰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직접 경로 외에 외상 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외상 후 부정적 인지를 개선하는 두 가지 간접 경로가 더 있다는 점과, 탄력성은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완전 매개를 통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resilience on mental health and to shed light on its specific mechanism.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ree partial and one full mediational models in whic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mediate the relations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ere proposed. Three hundred twenty one trauma-exposed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inventories measuring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mental well-being,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Resilience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relevant predictors, but did not moderate the relations between trauma exposure and mental well-being 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supported an integrated partial mediational model in which both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would fully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ilience uniquely contributes to mental well-being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that these impacts may be mediated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or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 KCI등재

        국가지정 감염병전담병원에서 COVID-19 환자를 간호한 간호사의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 - 간호사의 외상 후 성장요인 -

        김지은,신기수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2023 Crisisonomy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post-traumatic stress,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nurses who care for COVID-19 patients in a national designated infectious disease hospital and to investiga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post-traumatic growth. We performed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 to July 4, 2022. A total 166 nur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post-traumatic stress was 21.13±14.83,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57.54±13.30, and the mean score of post-traumatic growth was 36.98±12.84. In this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ost-traumatic growt, post-traumatic stress and resilience. Religion and resilience were factors influenced post-traumatic growth among nurse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3.7% in the regress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ventions that can help post-traumatic growth of nurses in national designated infectious disease hospitals.

      • KCI등재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감소 및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예술치료 사례연구

        이미선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by conducting arts therapy for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year-old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tic events, and 30 sessions of arts therapy were perform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from August 2018 to May 2019. Impact of Event Scale-Revised-Korean version (IES-R-K),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X-1) and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were used for assessment. For the data analysis, the pre- and post-test of each scale wa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recording the change in the arts activities of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rts therapy was effective in relieving the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in women. Second, arts therapy was effective in reducing anxiety symptoms in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Third, arts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of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Based on this, the present study could provide evidence on the effectivenes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xiety, and post-traumatic growth in women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trauma. 본 연구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에게 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불안 감소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30세 성인 여성이었으며, 2018년 8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30회기의 예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측정 도구로는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수정판(IES-R-K), 성인 상태 불안 척도(STAI-X-1),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각 척도 별 사전·사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회기 별 활동 사항에 대한 변화를 기록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치료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예술치료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불안 증상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예술치료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의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불안, 외상 후 성장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음에 의의를 둔다.

      • KCI등재

        규칙적 운동, 신체적 자기-효능감, 외상후 성장, 외상후 시간경과와 주관적 외상고통간의 관계

        김동환(Kim, Dong-Hwan),박경준(Park, Kyong-Jun)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간경과와 신체적 자기-효능감 → 외상후 성장 → 주관적 외상고통간의 인과모형을 검증하고. 둘째, 이 인과모형에서 규칙적 운동과 무운동 집단의 영향력에 차이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운동 동호회 회원들과 00대학교에 운동과 건강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 총 342명(규칙적 운동 236명, 무운동 106명)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외상후 성장, 주관적 외상고통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응답된 자료는 SPSS WIN 21.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분석, t-검증(t-test), 요인분석, Cronbach‘s α 분석으로 처리되었으며, AMOS 18.0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으로 처리되었다. 또한 운동집단과 무운동집단의 경로계수를 비교하기 위해 쌍별모수비교(Pairwise Parameter Comparisons)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외상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외상후 성장은 외상후 주관적 외상고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규칙적 운동집단이 무운동집단에 비해 외상후 성장 → 주관적 외상고통의 경로 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간경과 → 외상후 성장과 주관적 외상고통의 경로값 또한 규칙적 운동집단이 무운동집단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규칙적 운동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외상후 성장을 증진시키고, 외상후 주관적 외상고통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규칙적 운동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외상후 성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심리학적 기전에 대해 논의 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examine the causal model between first time lapse and physical self - efficacy → post traumatic stress → subjective trauma pain and secondly in this causal model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and no exercise Method: A total of 342 college students(236 regular exercise, 106 non-exercise)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on Googl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using SPSS WIN 21.0. and analysed for path analysis using AMOS 18.0. Pairwise Parameter Comparisons analysis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ath coefficients of the athletic group and the athletic group. Results: First, physic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growth decreased post-traumatic subjective pain. Second, the regular exercise group had a higher path coefficient of post-traumatic growth → subjective trauma than the no exercise group. Third, the path value of elapsed time →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post-traumatic pain was also higher in regular exercise group than in non-exercise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self-efficacy are effective in promoting post-traumatic growth and reducing post-traumatic subjective pai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y which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self-efficacy can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has been discussed. Discussions; Regular exercise and physical self-efficacy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how post-traumatic growth can be promoted.

      • KCI등재

        COVID-19 상황에서 간접외상 경험이 있는 운동선수들의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그릿의 매개효과

        김상태,홍석호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in athletes who experienc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indirect trauma. To verify this, the results of verifying grit's indirect influence on post-traumatic growth for 228 athletes who experienced post-traumatic growth through indirect trauma experienc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resilience of athletes with indirect trauma experienc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e growth. Second, in the effect of resilience on post-traumatic growth, grit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positive effect. Competition is essential, and athletes with many indirect trauma experiences through excessive training or competition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competition can improve resilience and grit and post-traumatic growth levels through post-traumatic growth experience. Therefore, rather than dealing with athletes' indirect trauma experiences individu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raining program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of athletes to efficiently control their indirect trauma experiences to improve resilience, grit, and post-traumatic growth. 이 연구는 간접외상을 통해 외상 후 성장 경험을 한 운동선수들의 회복탄력성이 COVID-19 상황에서 역경 후 성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 중, 고, 대학교 운동선수들 중 간접외상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을 경험한 운동선수 228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간접적인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접외상 경험이 있는 운동선수들의 회복탄력성은 역경 후 성장에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은 간접적인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쟁이 필수적이며, 경쟁의 궁극적 목적인 승리를 성취하기 위하여 과도한 훈련이나 시합을 통해 간접외상 경험이 많은 운동선수들의 경우, 외상 후 성장 경험을 통해 회복탄력성과 그릿 및 역경 후 성장 수준이 제고될 수 있기 때문에 운동선수들의 간접외상 경험에 대해 개별적으로 대처를 시키기보다는 외상 후 성장 수준을 제고시킬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동선수들의 간접외상 경험을 효율적으로 통제시켜 회복탄력성과 그릿 및 역경 후 성장 수준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