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시민사회운동의 현황과 발전과제

        김영래(Kim, Young-rae) 한국NGO학회 2003 NGO연구 Vol.- No.1

        본 논문은 21세기를 맞이하여 학계는 물론 일반시민들로부터 가장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한국시민사회의 현황과 앞으로의 발전과제를 고찰하고 있다. 최근 사회를 ‘시민사회의 시대’라고 지칭할 정도로 시민사회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는 세계적인 현상이다. 최근 개최된 각종 국제회의에서 시민사회단체들의 영향력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한국에서 시민운동은 2000년 4월 총선에서 부패 무능 정치인들의 낙선운동을 전개한 ‘총선시민연 대’ 활동과 더불어 발전하였으며, 2002년 12월 19일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 서도 한국 비정부조직(Non-Governmental Organization: NGO)들은 ‘2002 대선유권자연대’를 결성, 정책과제 발굴, 대선자금공개, 공명선거캠페인 활동을 전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NGO의 이론적 배경과 발전요인 등을 고찰하고, 한국의 사례에 주목하여 1980년대 중반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의 출범과 더불어 그 후 참여연대 등으로 상징되는 한국 시민사회의 중요한 행위자로서 NGO의 성장, 발전과정을 개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주로 2003년 한국민간단체총람에 수록된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가지고 한국NGO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21세기는 국가를 중심으로 하는 공공영역도 아니고, 또한 이윤 추구를 중심으로 하는 사적 영역도 아닌 제 3의 영역인 NGO가 중심 되는 사회가 될 것임으로 NGO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해야 된다. 대중의 기반을 둔 NGO, 시민사회의 대변자로서 NGO, 민주적 정치과정의 확립, NGO의 자율성 제고 등이 요구된다. 또한 NGO는 정부와의 지속적인 제도적 연계망을 구축하여야 되며, 신뢰성을 일반국민들로부터 유지 하기 위하여 철저한 투명성과 높은 수준의 도덕성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정보 사회의 등장에 따른 네트워크의 확대를 통한 국제적 연계활동의 강화와 협력 체제의 구축도 요구되고 있다. Recently the global community is to more concern about the growing influencing power of citizen’s groups. 21st century, so we called, is to be ‘age of civil society’ or ‘age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The increasing concern on ‘activities of citizens’ groups including NGOs would be a global phenomena. In Korean government and other foreign governments it is natural for NGOs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such as environment, political reforms, and consumer problems, and others. In Korea, public interest groups such as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and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have been much influenced in electoral process and other policy-making process. So the paper mainly focuses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tasks of Korean civil society movement. There seems to be no doubt the increasing citizens’ power in many areas such as political, economic , and social spheres. In conclusion, the paper proposes some task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NGOs. In particular, the paper suggests increasing of the grassroots organizational ties with citizens, democratic leadership, strengthening networks both internal and external groups, professional knowledges in policy-making, and transparency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finance.

      • KCI등재

        NGO 선교의 신학적 근거와 과제

        정원범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9 선교와 신학 Vol.4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GO Miss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reliability crisis of Korean Church. The reason why I insist that 'NGO Miss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it is because the reliability crisis of Korean Church grew from the loss of publicness of Korean Church, and 'NGO Miss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implementing publicness of Korean Church. And I insist that 'NGO Mission' can be an alternative for implementing publicness of Korean Church in that ① the purpose of 'NGO Mission' is Kingdom of God, ② 'NGO Mission' utilizes NGO which performs the function of watching and criticizing State power and Economic power, the function of providing social service which a state doesn't provide and the function of speaking on behalf of social weak people etc., ③ 'NGO Mission' provides the opportunity to reduce mistrust of Korean Church by letting church form the partnerships between church and community in the process of solving community problems. This paper is done to suggest 'NGO Miss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reliability crisis of Korean Church. For this purpose, in the second chapter I ascertained the meaning and the necessity of 'NGO Mission.' I made definitions of NGO and NGO Mission as follows: NGO is an association which is formed to watch and criticize State power and Economic power, to provide social service which a state doesn't provide and to speak on behalf of social weak people etc. NGO Mission is to join in Missio Dei through NGO or with NGO, that is, to join in Kingdom of God Movement which is the purpose of Missio Dei, through or with NGO. And then I ascertained the necessity of 'NGO Mission' in three points of ① the demand of a new era, ② the demand of missional church, ③ the demand of public theology. In the third chapter, I suggested four theological foundations of 'NGO Mission': ① the basis of Trinity, ② the basis of Christology, ③ the basis of Kingdom of God, ④ the basis of doctrine of christian. And in the fourth chapter, I suggested four tasks of 'NGO Mission': ① the task of realization of Kingdom of God, ② the task of sympathy and healing, ③ the task of solidarity with social weak people and the pursuit of common good, ④ the task of deciding how church forms NGO.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교회의 신뢰도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NGO 선교를 제시하는 것이다. NGO 선교가 한국교회의 신뢰도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이 될 수 있는 이유는 한국교회의 신뢰도 상실이 기독교의 공공성상실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며, NGO 선교야말로 기독교의 공공성을구현하기 위한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NGO 선교는 다음의 세 가지의 관점, 즉 첫째로, 하나님나라의 공적 가치들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둘째로, 국가권력과 경제권력에 대한 비판과 감시의 기능, 정부가 제공할 수 없거나 무시하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구호, 원조, 개선 등), 사회적 약자의 권익을 대변하는 기능, 집단 간의 갈등을 조정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NGO의 조직구조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셋째로, 지역사회의 문제들을 풀어가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유대와 교류, 협력 관계를 이루게 됨으로써 기독교에 대한 불신을 불식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독교의 공공성을 구현하는 선교의 확실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본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신뢰도 위기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NGO 선교를제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2장에서 NGO 선교의 의미와 필요성을 규명하였는데 ‘NGO란 근본적으로 사회의 공익을 목표로 해서 국가권력과 경제권력에 대한 비판과 정치, 경제, 사회구조의 개혁을 추구하거나 사회적 약자들의 권익을 옹호 또는 그들에 대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결성된 결사체’라고 정의하였고, NGO 선교란 하나님의 백성들이 NGO를 통해서 또는 NGO와 함께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는 것을의미하며, 또한 그것은 하나님의 선교의 목표인 하나님나라의 구현(하나님나라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① 시대적 요청, ② 선교적 교회론의 요청, ③ 공적 신학의 요청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NGO 선교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 3장에서 필자는 NGO 선교의 신학적 근거를 ① 삼위일체론적 근거, ② 기독론적 근거, ③ 신국론적 근거, ④ 크리스천론적 근거로 제시하였으며, 4장에서는 NGO 선교의 과제를 ① 하나님나라 구현의 과제, ② 공감과치유의 과제, ③ 사회적 약자와의 연대와 공동선 추구의 과제, ④ NGO 조직 구성 선택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NGO의 역할과 정체성비교: 고령자취업정책을 중심으로

        김찬동,윤형호 한국NGO학회 2006 NGO연구 Vol.4 No.1

        공공정책과정에서 NGO들의 역할이 중요하고, 이들은 정부관료제와 어떤 역할관계를 가지는가에 따라 의존형NGO가 되기도 하고 자립형NGO가 되기도 한다. NGO는 시민사회의 자발성, 공공성을 가지고 활동하고 비영 리성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NGO의 특성이 정부부문을 견제하기도 하고, 감시할 수 있는 권위를 부여해주게 된다. 그런데, 공공정책과정에 나타나는 NGO는 공공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주는 재원과 사업계획 들에 의존적이 되어 NGO로서의 기본성격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공공정책 과정에 나타나는 NGO의 역할과 행태에 대하여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하여 분석한 것으로, 구체적인 사례로서는 최근 고령화사회가 됨에 따라 그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고령자취업정책에 관련된 NGO들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시니어클럽과 고령자취업알선센터를 일본에서는 고령자고용개발협회와 실버인재센터를 비교분석하여, 한국NGO의 중앙정 부의존성과 일본NGO의 민간주도형의 자립성을 지적하였다. 또 이러한 공공사업들이 추진되는 시스템에서 한국에서는 지방정부의 형식적인 역할, Top-down형의 업무추진형태를 가지고 있음을 지적하였고, 일본의 경우 지방정부가 사업성격에 따라 직접참여하면서, 지역유관기관과의 수평적 연계를 통하여 지역별 분산추진을 하고 있는 점이 대별된다는 것을 지적하 였다. 한국 NGO의 공공정책과정에서의 자립성과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평화사상과 유엔갱신을 위한 평화NGO의 역할 : 유엔 경제사회이사회의 NGO협의지위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김인수 한국평화NGO학회 2021 평화NGO연구 Vol.1 No.-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세계평화를 위한 전략은 궁극적으로 유엔갱신을 향하고 있다. 현재의 유엔은 회원국들의 자국우선주의에 따라 세계평화를 가져올 수 없음을 비판받고 있다. 문선명·한학자 선생은 이러한 현재의 유엔은 몸적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마음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갱신되어야 하며, 그 마음적 기능을 종교권이 담당해야 하고, 그 역할을 수행할 다양한 NGO들(평화NGO)을 설립하고 운영하였다. 궁극적으로 유엔은 양원제를 도입하여 운영이 될 때, 인류에게 하나의 세계로 가는 방향을 다시 제시할 수 있음을 문선명·한학자 선생은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면 문선명·한학자 선생이 주창한 ‘유엔갱신’을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이 연구문 제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평화사상과 평화NGO를 통한 유엔 갱신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둘째, 현재의 유엔에 종교지도자들을 중심한 상원과 기 존 정치지도자들을 중심한 하원을 두는 양원제의 도입을 위한 방법으로서, 유엔 경제 사회이사회(UN ECOSOC)의 NGO협의지위(Consultative Status) 인증제도를 소개하였 다. 셋째, 상기의 2가지 연구를 근거하여 문선명·한학자 선생의 평화사상을 통한 유엔 갱신의 꿈을 실체화하기 위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은 세계평화여성연합(WFWP)과 천주평화연합(UPF)처럼 UN ECOSOC의 NGO협의지위 인증제도를 활용하는 전략적 행보를 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끝으로, 평화NGO들과 선학유피대학원대학교 평화 NGO학과의 산학협력을 제안하였다. 문선명·한학자 선생이 주창한 평화사상을 통한 유엔갱신을 실체화할 수 있는 전략적 방법은 문선명·한학자 선생이 설립하고 운영한 평화NGO들이 UN ECOSOC의 포괄적협의지위와 특별협의지위 그리고 등록협의지위 에 포진하면서, 특히 포괄적협의지위 인증을 목표로 하여, 현 UN과 협업을 하면서 신 뢰관계를 구축할 때에야만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평화NGO들과 선학유피대학원대학 교 평화NGO학과는 주도적이며 전략적인 산학협력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The strategy toward world peace of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is eventually orienting toward UN Reform. Today’s UN is under criticism for inability to bring world peace because of member nations’ tendency of domestic preference.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foresaw that the U.N. of today performed only bodily function and so should be reformed so as to be able to do spiritual function and such spiritual function should be taken in charge by religious realm, and then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a variety of NGOs (Peace NGOs) to perform such role.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re emphasizing that the U.N. can once more present humankind the direction advancing toward one world when it is eventually operated with being applied of the bicameral system. Then, what should be done in order to realize ‘UN Reform’ that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dvocated? For this research question, this paper firstly has reviewed on Peace Thought of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nd UN Reform through Peace NGO. Secondly, it has introduced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Consultative Status for NGOs with the Economic and Social Council of the U.N. (UN ECOSOC) as a way to adopt the bicameral system of putting the Upper House centering on religious leaders and the Lower House centering on existing political leaders in today’s UN. Thirdly, it has argued that the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should take a strategic move to utilize the accreditation system of the Consultative Status for NGOs with UN ECOSOC as like the Women’s Federation for World Peace (WFWP) and the Universal Peace Federation (UPF), in order to substantialize the dream of UN Reform through Peace Thought of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based on 2 types of aforementioned researches. And finally, it has suggeste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etween Peace NGOs and Peace NGO Department of SunHak UP Graduate University. The strategic way to be able to substantialize UN Reform through Peace Thought that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advocated is possible only when those Peace NGOs that Masters Moon Sunmyung and Han Hakja have established and operated build up a relationship of trust in cooperation with Today’s UN while being stationed in the General Consultative Status, the Special Consultative Status and the Roster Consultative Status, targeting in particular the accreditation of General Consultative Status, and for this, Peace NGOs and Peace NGO Department of SunHak UP Graduate University would need to devise dominant and strategic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 KCI등재

        남북통일과 NGO 역할

        안성호 북한연구학회 2003 北韓硏究學會報 Vol.6 No.2

        이념과 체제를 뛰어넘어 닫힌 마음의 문을 열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확인하는 것, 그리고 한쪽의 외침에 반응을 보이며 관심을 가져주는 것 등이 남북한간의 통일의 모습일 것이다. 색깔과 정책을 앞세워 상태를 헐뜯고 깎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 보고 있는 상대의 실패를 인정하는 것이 진정한 통일의 시작인 것이다. 정부는 95년부터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주민의 식량난을 덜어주기 위해 식량. 비료 등을 지원해오고 있다. 대북지원을 인도주의차원에서 북한동포를 돕고 남북간 화해협력관계를 증진시키고 한반도에서 전쟁의 위협을 감소시키기 위한 평화우지비용이라는 긍정적 측면이 있다. 그리고 국제사회도 대북지원사업에 일정 부분 참여하고 있다. 정부,국제사회, 기업과 시민단체(NGO) 등 민간단체의 대북 인도적 지원과 남북통일은 여려 면에서 관계가 된다. 그동안 성향이 진보적이거나 보수적이거나 간에 NGO를 중심으로한 시민단체에서도 꾸준히 북한을 지원하고 다양한 접촉을 시도해왔다. 남북당국자간의 관계가 악화되더라도 한민족이라는 커다란 명제아래 순수한 NGO들의 북한주민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NGO의 활동은 남북한 당국자간의 관계에도 많은 영향을 주며 통일이나 통일정책에도 여러 면에서 영향을 줄 것으로 인식된다.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에 전국민적 전세계적으로 확산된 것은 국내·국제적인 NGO의 활동의 큰 기여를 했다고 본다. 당국간 교류가 악화되어도 일관되게 순수한 인도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교류와 관계를 갖는 북한을 이해하고 북한이 우리를 다소나마 이해하면서 개방과 개혁의 길로 나서도록 하는데 일정부문 역할을 했다고 본다. 그러나 앞으로 통일을 위해서 남북한 당국, 남한 NGO들이 해결해야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NGO의 남북관계에서 역할이 크다고 해도 혹 소수의 소리가 너무 강하게 표출되어 다수의 뜻이 오히려 무시될 수 있음도 인식해야한다. 아직도 북한의 통일에 대한 자세가 투명하지 않고 많은 부문 남한의 보수적 시각은 북한을 경계의 대상으로 보고 잇기 때문이다. 남북간의 실질적인 차이를 어떻게 지혜롭게 극복하고 북한을 서서히 자유의 세계로 유도하는가의 문제는 당국뿐 아니라 NGO 에게도 커다란 과제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NGO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다른 한편 국가와 정부의 정책 그리고 국민적 합의와 함께 특히 진보적인 NGO의 경우는 남북관계에 있어 약간만 앞서가는 수준에서 활동하는 것도 앞으로의 남북통일문제에서 소중하리라고 인식하였다.

      • KCI등재

        통일 NGO의 조직 평가를 통한 역량 강화 방안

        배한동 ( Han Dong Bae )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9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 통일 관련 NGO의 그동안의 활동과 역할은 통일 관련 시민 단체의 조직 역량의 낙후성이나 취약성과 무관치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그 조직 역량을 평가하고 해법을 찾으려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통일 관련 NGO는 조직의 구성면에서의 회원들의 폭넓은 참여를 확보하지 못하고, 재정의 자립도는 취약하여 정부의 보조금에 상당수 의존하고, 이념의 지 나친 대립, 조직 간의 과당 경쟁, 시민 사회의 신뢰 부족 등으로 활동상의 한계가 노출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국의 통일 NGO가 해결해야할 과제는 시민들의 보다 폭넓은 참여 유도, 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재정의 자립성 강화, 시민 단체의간의 이념 갈등의 극복 문제, 활동이나 사업의 과당 경쟁 방지 등의 구체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통일 관련 NGO의 자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자구적 노력이 선행 될 때 그들의 활동과 역할은 더욱 활성화 것이다. Th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ssess organizational competence of reunification NGO to fi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being based on critical mind that the roles and activities of the NGOs concerning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re not irrelevant with their backwardness and structural vulnerability. To me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ssessed the competence of NGOs on human resources, material resources, and finance, by carrying out the survey of the autonomy of organization, ideological tendency, solidarity, and the credibility of organization etc. Therethrough this study found that the members of reunification NGO have not participated out of their own free will. Also it found that not only the scale of participation was too small, but also the diverse members didn`t joined the organization. Most organizations have relied on government subsidies due to the weakness of the self-reliance ratio of finance. Furthermore, the limitations of the competence of NGOs have been exposed by showing ideological confrontations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getting intensified, increasing serious competition among NGOs, repetitious work done by different departments, the lack of confidence in the civil society. To improve these problems, reunification NGOs should provide the countermeasures that extensively induce public participation and enhance the self-reliance ratio of finance. They have to make every effort to cope with ideological conflict, and to prevent excessive competition among NGOs as well. First of all, reunification NGOs should exert themselves to enhance their competence, improving their roles and functions.

      • KCI등재

        NGO실무자의 인식 :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안득기(Ahn Deug Kee) 한국NGO학회 2005 NGO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한국NGO에 대한 인식연구와 지역연구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기초하여 한국사회 중 강원지역을 선정, NGO실무자가 가지고 있는 인식을 실증적으로 규명·분석하여 한국 NGO에 대한 지역적 차원의 이해를 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의 지역NGO 실무자들 스스로가 그들의 조직과 운영 및 활동과 관련하여 그 인식의 정도가 어떠한지를 밝히고 나아가 지역적 차원의 결과를 통해 한국NGO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NGO의 활동이 이루어지고 그 위상이 정립되기 위해서는 NGO구성원이 어느 정도 NGO의 활동과 부합되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한 이유는 NGO의 활동이 시민의 기대를 저버리고 불신 속에서 이루어지게 된다면 NGO의 존립의 근거는 사라지고 그 유지 또한 어려울 뿐만아니라 그들의 활동을 정당화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NGO활동과 관련하여 누구의 인식이 중요한가를 묻지 않을 수 없고, 이에 대한 대답은 역시 NGO를 이끌어 가는 활동가뿐만 아니라 NGO의 활동을 바라보는 사회구성원의 인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일 NGO가 그 존립기반인 시민의 신뢰를 져버렸거나 혹은 태생적 동기와 목적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면 한국의 NGO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며 시민운동의 부분적인 역기능을 설명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designed to study the perception and locality of Korean NGOs, whereas most of the current researches are geared toward specific NGOs or NGOs active in Seoul.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local NGOs in Korea through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current perceptions the NGOs activists of Gangwon Province have on the local NGOs. At this stage, a research on the operation and perception of local NGOs is very valuable in the study of Korean politics because such recognition of NGOs as well as their current social stature is deeply related to their very survival.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discover the understanding of and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s of member of society, such as local NGO activists, residents, legislators, governmental employees, and journalists, in regard to NGOs in Gangwon Province. Data with corroborative evidence were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individual-level analyses on the member of society. The members of society must possess values that coincide with the objectives of NGOs for the organizations to maintainits activities and establish their stature. Without such a basis, NGOs will lose the interest and trust of the citizens, thereby failing the basis for their existence. Thus, one needs to ask the citizens perception on matters relating to NGOs as well as their understanding of NGO members and their activities. If NGOs were to lose the trust of citizens or if they were to fail their expectation and trust, it would be possible for one to assess such status of Korean NGOs as a civic movement without any substantial involvementof the citizens, and such an outcome can beused to explain the shortcomings of NGOs in part. The current Korean society is in the era of regional politics. There are now more NGOs operating away from the capital. Now, the locals a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activities of local NGOs rather than NGOs operating the capital. Thus, conducting a research on local NGOs has become as important as a research on Korean NGOs in general.

      • KCI등재

        전후 이라크 내 한국NGO 활동 : 과제와 전망

        최한우(Choi, Han-Woo) 한국NGO학회 2004 NGO연구 Vol.2 No.1

        9 ·11 사태를 계기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이슬람권의 반미 저항운동은 소비에트 체제 해체 이후 세계 국제질서의 재편과정에서 발발한 종교와 문명을 기축으로 하는 새로운 냉전 질서에 편승하여, 전통적으로 반서구 감정이 강한 비서구권으로 심리적 지지 세력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국면이 지속된다면 장기적으로는 국제적 반미 및 반서구 심리적 프롤레타리아 운동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이러한 네거티브 국제환경이 가속화되면서 국제NGO 활동의 앙상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 서구 NGO 들의 활동은 크게 제한받고 있으며 갈수록 그 활동영역은 축소되고 있다. 또한 단체와 지원의 외형적 규모에도 불구하고 서구 NGO 활동의 효율성과 성과 역시 재평가 받아야 할 상황에 봉착해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에 따라 최근 비서구권 NGO, 특히 한국 NGO의 역할이 크게 기대되고 있다. 실제로 1991년 소련 해체 이후부터 시작하여 최근 몇 년 동안에 금융위기로 인한 IMF 관리체제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한국NGO들의 해외 구제 봉사활동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 그 이유는 1980년대 후반에서 시작하여 1990년대 10여 년 동안의 동아시아의 환경변화, 즉 경제적 성장, 정치적 개혁, 그리고 세계화의 영향으로 보인다. 특히 9·11 사태로 야기된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이후 서구 NGO활동이 크게 제약받고 있는 상황에서 이 지역에서의 한국NGO 활동의 활약상은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역사가 짧은 한국 해외NGO들의 취약점 또한 적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전후 이라크 상황을 살펴보고 한국 해외NGO들의 활동상황을 평가하고 현재 한국NGO들이 당면하고 문제와 과제들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한국NGO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ti-American islamic resistance movements rapidly proliferated due to the 9·11 incident, jump to the new cold-war world order which has been formulated and affected on the ground of religion and civilization issues. This movements have been continually gaining the psychological supports of Non-Western countries, which were traditionally against the Western hemisphere. If they continue to grow internationally in the long run, this would more likely put a fire on the spread of psychological proletarian movements with anti-American and anti-Western spirits. Due to this acceleration of negative aspects, international NGO s activities are affected in a great volume. The western style NGO activities have been significantly limited and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has also been greatly reduced. Despite of its magnitude of their size and appearance, it is largely considered that their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western NGO s activities need to be re-evaluated. Along with this current changes, the roll of non-Western NGOs, especially those of Korean NGOs are greatly expected. Actually, the international relief activities of the Korean NGOs have been increased recently, even though Korea had suffered from the so-called IMF financial crisis for recent years. It may be because of the 10 years of change in East-Asia social environments, which was begun in the late 80 s throughout 1990s. Korea s economic growth, political reform and globalization policy generated the yields. In particular, the activities of Korean NGOs in Afghanistan and Iraq are now very highly evaluated in considering the situation that those of western NGO s were very limited in these regions after the Afghan and Iraq War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weaknesses and vulnerabilities in Korean NGOs because of their short history and lack of experiences. This paper will overview the effects on the post-Iraq War situation, and evaluate the activities of Korean NGOs. Furthermore, by scrutinizing the current issues and confronting problems ahead of them, it will also provide the ideas and proposals for developing and enhancing Korean NGO s activities.

      • KCI등재

        NGO의 인력관리체계 분석

        이희태(李熙泰) 한국지방정부학회 2007 지방정부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NGO의 인력관리체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NGO 인력관리체계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21개 NGO의 인사관리의 최고 책임자 및 실무책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 직원 모집의 적극성, 교육훈련의 체계성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인력관리 기반의 취약성, 비정기적인 근무성적평가 및 그 결과의 비공개, 신분의 불안정과 낮은 보수 수준, 근무여건과 편익의 열악성 등의 문제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NGO의 인력관리 방안으로 인사관리 기반의 체계화 및 합리화, 근무성적평가의 정기적 실시 및 그 결과의 공개, 승진기준의 조화, 보수의 적정화, 신분의 안정성 확보, 복리후생제도의 적극화 특히 NGO공제회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NGO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verifiable factors related to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NGO. To implement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ersonnel management directors and person"s in-charge of twenty-one different active NGOs in the Busan area. As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analysis, this study concluded positive results on staff recruitment and systemized training, but there were problems of a weak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is, non-periodic performance appraisals, un-stabled status, low-salary levels and poor work environment and benefits. Based on such analysis, systemized and reasonable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iodic performance appraisal, a harmonized promotion base, a reasonable salary, secure safety status, a positive benefit system among other things were suggested as ways to improv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NGO.

      • KCI등재후보

        의회행정에서의 NGO참여 연구 : 국회 설문조사와 NGO 담당자의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장지호 경인행정학회 2009 한국정책연구 Vol.9 No.3

        공익성과 전문성을 갖춘 NGO의 자발적 입법참여는 입법과정에 있어서의 실질적 합법성을 부여함으로서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부분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NGO의 입법참 여의 제도적 활성화에 대한 시론적 논의를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국회사무처 공무원 112명과 국회의원 보좌관 13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입법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해봤 던 주요 8개 단체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국회의원 보좌관과 국회사무처의 공무원들 모두 과반 이상이 NGO의 참여가 입법업무 수행에 필요하다는 의견에 동의하였으며, NGO의 참여방식에 대해서는 대개 공청회 및 토론회, 전문가 활용, 대정부 건의 등을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면서 시위나 대중선전 등은 부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단체 실무자들 은 대개 국회와 NGO의 신뢰관계가 부족한 점을 공통적으로 답하면서 의회가 시민단체의 의견 제시를 여론으로 생각하지 않고 단순히 반대를 위한 반대로 인식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의회 운영과 제도측면에서는 NGO가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공청회와 입법청문회가 지극히 형 식적으로 운영되거나 아예 용인조차 되고 있지 않아서 참여의 공식적 통로들이 차단되어있다 는 의견이 많았다. 이를 반영하여 정책의제설정에 있어서의 사전적 과정으로서 NGO의 입법참 여를 보장하는 제도 구축이 시급하다. 우선 기존 제도화된 참여의 장을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현재 공청회 개최에 대한 단서조항을 삭제하여 공청회의 실효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입법청원과 관련하여 이를 독립적으로 심사할 수 있는 의회 내 특별기관을 설치하는 것도 검토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국회와 NGO가 입법의 방향, 제안, 평가 등을 통 해 제도발전을 꾀하는 국회 내 상시적인 기구를 설치하고 국회의 상임위별로 혹은 법안의 분 야별로 상시적으로 자문 및 논의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