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간야담(月刊野談)』을 통해본 윤백남 야담의 대중성

        김민정 ( Min Jung Kim ) 우리어문학회 2011 우리어문연구 Vol.39 No.-

        본고는 윤백남과 그가 창간한 『月刊野談』에 주목했다. 윤백남은 역사적 實史를 표방하며 창작된 근대야담을 상업적 대중문화의 일환으로 확대시킨 중심적 인물이다. 그는 대중에게 야담사로 알려지기 이전에 조선의 첫 영화감독으로 이미 근대 대중문화의 중심에 서 있었다. 『月刊野談』은 조선야담사의 야담운동과 달리 상업적 취미독물로 창간된 잡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月刊野談』은 민족 계몽을 위한 잡지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는 윤백남이 『月刊野談』을 "歷史的奇談滿載"의 잡지로 표명한 것에서 근대의 역사지향성을 곧바로 민족 계몽으로 인식한 결과이다. 하지만 『月刊野談』 수재의 야담 목록을 정리하고, 윤백남 야담을 살펴본 결과 윤백남 야담과 『月刊野談』의 역사적 의미망은 미약했다. 곧, 윤백남 야담의 역사지향성은 초기 근대야담에서 주창했던 역사야담과는 달랐다. 그리고 『月刊野談』의 ``역사`` 역시 ``계몽``으로 포장되었으나 그 실제는 통속적 대중성과 상업성으로 규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백남이 ``역사``를 야담의 중심에 세웠던 것은 근대야담에 편승하기 위함이었다. 그렇다고 해서 윤백남과 그의 야담의 대중문화사적 의의가 퇴색되는 것은 아니다. 윤백남 야담은 근대적 대중성을 모색했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근대 대중문화로서 충분한 의의를 지닌다. 대중성은 결국 대중이 형성되어야만 이야기 할 수 있다. 윤백남은 『月刊野談』을 통해서 대중을 중심으로 한 수용자 중심의 텍스트를 만듦으로써 문학의 대중화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thesis pays attention on Yun Baek-Nam and 『Monthly Yadam』 which he published. He was the main figure who expanded the range of modern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created in claiming to support real history to a part of commercial mass culture. Yun already rested on the center of modern mass culture as the first movie maker in Chosun, before he became famous of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The 『Monthly Yadam』 was publicized for commercial taste, unlike the movement of unofficial historical stories. Even if so, this magazine was estimated as national enlightenment movement. It is because Yun explained the 『Monthly Yadam』 as a full of historical strange stories and that was perceived by the contemporaries as national enlightenment. However, as I had organized the story list from the 『Monthly Yadam』 and examined it thoroughly, Yun`s Yadam and the magazine`s stories were networked very weekely in terms of historic meaning. In short, historical direction of Yun`s stories was different from the magazine`s. Also, although in the 『Monthly Yadam』, ``history`` was covert as ``enlightenment``. Actually, the true self of the magazine was popularity and commercial character of it. Despite, Yun put the importance of ``history`` on the top of Yadam for the purpose of bandwagoning to modern Yadam. It does not mean, however, the modern cultural historic value of Yun and his historical stories get discolored. His stories have a certain level of meaning just because he searched for modern popularity. Mass appeal is valid only when the public is formed. In this sense, Yun made consumer-oriented text via 『Monthly Yadam』 and it is worth to have significance in popularization of literature.

      • KCI등재

        야담의 근대적 전환과 그 시대적 재편 양상--김동인의 『야담(野談)』을 중심으로-

        신상필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5 No.-

        In the traditional context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the genre of yadam (野談) holds a unique position. Having developed during the Joseon period, yadam was established as a literary form through works like Yongjaechonghwa(慵齋叢話), which expressed interest in the lower class, and Eouyadam(於于野談), which focused on human desires. As it gained momentum from popular folklore in the late Joseon era, yadam formed its own tradition. This tradition underwent a transition and reorganization suitable for the modern era through the emergence of media and publishing companies in the 20th century.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 of Kim Dong-in, who was both a writer and operator of the monthly yadam magazine called Wolgan Yadam, to explore the status of modern yadam that he envisioned. In particular, he planned and provided materials such as "So-hanrok"(消閒錄), "Saekjimyeon"(色紙面), and "Ilsa Pyeonpyeon"(逸史片片) to improve the knowledge and hobbies of general readers as part of his efforts to elevate yadam as a literary genre. This emphasis on 'authenticity' in yadam writing can be observed,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he created a learning space for literature within a specialized yadam magazine to foster readership and nurture literary education. For instance, in the issues 33 to 36 (May to August 1932) of Donggwang (東光), Kim Dong-in serialized The Rebirth of Nongae(論介의 還生), which aimed to satirize the society of that time by resurrecting Nongae, who embraced a Japanese general during the Imjin War and died. Although it couldn't be completed due to Japanese censorship, Kim Dong-in's activities as a yadam writer and editor reflect his attempt to establish his literary position amidst the tension with the colonial reality. Through the planning of the magazine Yadam, he sought to reconstruct traditional yadam from the previous era and lay the foundation for modern Korean literature. 한국 서사문학사의 전통 속에서 야담(野談) 양식은 매우 독특한 지위를 갖는다. 조선전기에 형식을 완성한 필기(筆記) 문학이 이후 하층민에 대한 관심을 보인 용재총화(慵齋叢話) 와 인간 이욕에 주목한 어우야담(於于野談) 을 거쳐 조선후기에 이르러 민간의 서사로부터 동력을 확보함으로써 야담의 전통을 완성하였기 때문이다. 이렇게 형성된 야담의 전통은 이후 20세기를 거치며 근대의 언론매체와 출판사를 통한 새로운 시대에 부합한 전환과 재편을 시도하였다. 본고는 야담 전문잡지를 표방한 월간야담 과 야담 의 작가이자 운영자였던 김동인의 사례를 통해 그가 기획했던 근대 야담의 위상을 확인해 보았다. 그는 특히 잡지 야담 을 운영하면서 신문예로서의 야담에 대한 일반 독자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소한록(消閒錄)>, <색지면(色紙面)>, <일사편편(逸史片片)> 등을 기획해 독자들의 지식과 취미의 자료로 제공하였다. 이는 그가 야담의 저술에 ‘고증’을 특히 강조하고 있음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야담을 통한 독자대중의 양성을 위해 문예의 학습장을 야담 전문잡지에 마련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광(東光) 33~36호(1932.5~8.)에 연재한 <논개(論介)의 환생(還生)>의 경우 임진왜란 당시 왜장을 끌어안고 죽음을 맞이한 논개를 일제 강점기에 환생시켜 당대 사회를 풍자하고자 했던 경우가 그러하다. 일제의 검열로 인해 비록 완결하지는 못하였으나 김동인의 야담 작가와 편집자로서의 행보는 식민지 현실과의 긴장 관계 속에서 자신의 문학적 위치를 잡고자 한 듯하다. 식민지시기의 김동인은 그 자신이 탐미주의와 예술지상주의를 선택했던 작가적 한계와 함께 한편으론 잡지 야담 을 통해 전통시기 야담을 근대에 재편하는 기획을 통해 근대 한국 문학의 기초를 마련하려던 노력도 기울였던 것이다. 본고는 이 점에서 20세기 전반 근대 야담의 존재는 그 양적 존재만큼이나 다양한 스펙트럼과 위상의 차이가 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기에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화의 현실 속에서 하층민들의 의식과 삶을 문학적으로 정착시킨 민중의 역사로서의 야담이 근대 언론매체로의 전환과 정착 과정에서 어떠하였는지가 ‘야담의 근대’를 가늠하는 기준이 되어야 함을 새삼 제기해 본 것이다.

      • KCI등재

        근대전환기 잡지에 수록된 야담의 존재양상

        이승은 ( Lee¸ Seung-eu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3 No.-

        본고는 1900~1910년대 잡지에 야담이 수록되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전근대 시기 ‘집’의 형태로 향유되었던 야담은 근대적 매체인 잡지와 만나면서 개별적인 이야기로 수록되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다. 견문의 기록을 표방하는 야담의 특징은 소식을 전달하는 언론 매체로의 잡지 성격에 힘입어 당대의 사건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수용되기도 하였고, 과거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로 소환되기도 하였다. 또한 야담이 지니고 있는 서사성은 이를 허구적 이야기로 소비하도록 만들기도 하였다. 즉 전대 야담의 복합적 성격이 이 시기 잡지 매체에 수용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분화되어갔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몇몇 사례를 통해 당시 야담과 잡지 매체가 만나는 방식을 세 가지 층위로 분류하였다. 첫째, 야담 형식의 수용과 새로운 가치의 제시, 둘째, 역사기록 및 전대 야담의 재수록과 근대적 배치, 셋째, 전대 야담의 변개와 활용이 그것이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된 야담은 잡지가 내포하고 있는 근대 지식의 체계 속에서 나름의 위치를 부여받으며 잡지 편찬자의 근대적 주체 만들기 기획에 기여했다. 그런데 1926년 창간된 『별건곤』은 기존의 세 층위를 모두 흡수하는 동시에 문체와 형식, 내용과 방향에 있어 완전히 갱신된 야담을 제시하였다. 이는 1927년 이후의 야담운동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고 있으며, 동시에 1935년 이후 『월간야담』을 비롯한 야담 전문잡지와도 맥이 닿아있는 것이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spects of yadam in magazines of the 1900s and 1920s. Yadams, which were enjoyed in the form of collection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were recorded as individual stories while meeting with magazines, a modern medium, and were accepted in various way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yadam, which stands for the record of what he sees and hears, it was accepted as a form of recording events of the time due to the nature of a magazine as a medium that delivers news, and was recalled as a historical fact in that it was a record of the past. Also, because of the narrative nature of Yadam, it was consumed as a fictional story. The complex character of yadam in the previous period was differentiated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being accepted in magazine media of this period. In this paper, through several examples, the way that yadam and the magazine media met at the time wa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First, in terms of form, it accepts yadam and adds new value to it. Second, the records of the history and yadam of the previous period are re-recorded and rearranged from a modern point of view. Third, change the story of the previous period and use it according to the purpose. Yadam, accepted in such various ways, was given its own position in the system of modern knowledge contained in the magazine, and contributed to the planning of the magazine editor to create a modern subject. By the way, “Byeolgeongon”, which was founded in 1926, absorbed all three layers of the existing one, and at the same time suggested a completely updated yadam in style, form, content, and direction.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movement after 1927, and at the same time, it was in touch with the magazine specializing in yadam such as “Monthly Yadam” since 1935.

      • KCI등재

        김동인의 『야담』 잡지를 통해 본 근대 야담의 서사 기획

        신상필 ( Shin Sang-phi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조선전기 成俔의 『?齋叢話』에서 싹을 틔워 柳夢寅의 『於于野談』으로 면모를 일신해 조선후기 꽃을 피운 野談이 있다. 상품경제의 발전과 함께 신분층의 동요에 따른 다양한 인물군상들이 욕망과 인간관계로 얽힌 閭巷의 이야기들 속에 살아 숨쉬는 야담은 조선후기의 사회적 이면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한 양식으로 주목받았던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야담의 문학적 운동성은 근대를 맞아 한문의 퇴출과 함께 사라지는 듯 했으나 1920년대 金振九의 야담운동으로, 그리고 신문과 잡지의 야사와 일화 연재로 재조명을 받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야담 전문잡지인 尹白南의 『月刊野談』과 金東仁의 『野談』이 탄생하여 1만 독자를 넘는 각각 5년과 10년이라는 장기 간행물로 환영을 받았다. 하지만 당시 근대문학을 이끌었던 문단과 평단의 비판이 끊이지 않았고, 현재의 상황도 그리 나아지지 않았다. 본고는 두 야담 전문잡지의 정기 간행이 단순히 조선 전래의 고답적 이야기를 독서 대중의 취미에 영합시킨 식민지적 통속성으로 이해되는 방식을 지양하고자 한다. 윤백남과 김동인이라는 두 잡지 간행자의 역량 안에서 한문으로 기록된 전근대 기록을 번역해 한글로 소화해낸 수많은 문단 작가들의 참여와 야담 작품들의 성과가 실재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전시대야사·야담의 근대적 야담화라는 서사화 기획의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특히 김동인이 1년여의 『월간야담』참여와 이후 『야담』의 운영과 편집 방식을 통해 야담 전문잡지의 독서층 계몽 사업이자 근대 문학 의식제고를 위한 대중 기획의 일환을 확인하려는 것이다. 이는 1930년대 문단에서 역사소설은 물론 순문예의 층위에 자리 잡을 수 없었던 야담 독물을, 『야담』의 발간과 편집방침으로 위상을 제고시켜 1만 독자의 독서 수준을 순문예로서의 소설 독자로 제고키 위한 김동인의 미완의 서사 기획으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Korean narrative literature started in Late Shilla and Early Koryo, and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antastic novels until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full-length Chinese character novels in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alphabet representation system, and novel depicting women`s life in Joseon and full-length family novel as a result of creation of Hangeul, Korean language. Adding to the foregoing, there exist narrating styles such as unique work groups of Mongyurok from the mid-Joseon and Pansori novel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noticeable existences along with them, there is yadam that put forth the bud from Seonghyeon`s _Yongjaechonghwa _ and bloom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putting on quite a new aspect to Yu Mong-in`s _Eouyadam_. Yadam that recorded stories of yeohang (a village where ordinary people live together) that various characters intertwined with desire and human relations as a result of disquiet over class of social status with development of commodity economy attracted public attention as a significant form in the way that it discloses the hidden side of socie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Literary motility of Yadam which was formed in such way seemed to vanish with liquid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modern times, but back into the spotlight indebted to the Yadam movement by Kim Jin-gu in 1920s, and serialization of unofficial history and anecdote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Based on the situation of the times, specialized yadam magazines like Yun Baek-nam`s 『Monthly Yadam』 and Kim Dong-in`s 『Yadam』 were created and got a warm welcome for more than 7 years as prolonged publications having over a million readers. Criticism from the literary world and critics that led modern literature were unceasing, and present situation has not bee improved. Instead of understanding periodical publication of the two specialized yadam magazines as a colonial popular style that accommodated traditional highbrow story of Joseon Dynasty to a hobby of reading masses, the purpose of this manuscript is to access from an aspect of a kind of common planning of modern narrative literature in modern narrative literature. Especially,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at Kim Dong-in`s participation in the 『Monthly Magazine』 for more than a year, and operation of 『Yadam』 and editorial method afterward was the business of enlightenment for readers of specialized yadam and public planning for raising awareness of modern literature.

      • KCI등재

        『월간야담』의 여류 야담가의 정체와 전통적 글쓰기의 의미

        진선영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6

        This paper starts with an interest in Jang Duk-jo's historical novels and reverses its origins to Yadam. At that time, Jang Duk-jo was a symbol of modernity, including women's university graduation, female journalist, and female writer. Why did you write Yadam?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t is surprising that Jang Duk-jo was a Yadam writer who wrote many works. In addition, Chun-geum Yeo-sa and Il-pa the fact that both are the pen name of Jang Duk-jo are the authors who wrote the most yadam in Monthly Yadam. The characteristic of Jang Duk-jo Yadam is that the weight of romance is high. Jang Duk-jo's Yadam shook the hearts of the public with good narrative and romantic sentiment through the victory of goodness and the destruction of evil. The beautiful and tragic romance Yadam would have been the seed of Jang Duk-jo's popular love story and melodic historical story since the 1950s. Jang Duk-jo grew up in a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local environment, and his childhood experience of being baptized in Confucianism naturally moved into the world of Yadam. Jang Du-jo's short stories are based on traditional gender role theory, and the artist's life is not different from the literary world. In addition, the situation of trying to solve poverty as a plaintiff after marriage may have been the reason for writing several works. The 1930s was a time of conflict antagonism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 paradigm, and Jang Duk-jo started as a member of the masses producing modern girl's discourse, but he also contributed to cultural activities of the Chinese generation through writing Yadam. 본고는 장덕조 역사소설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그 시원을 식민지 시기 발표한 야담에까지 역상하였다. 장덕조가 식민지 시기 발표한 소설을 보면 놀라운사실을 발견하게 되는데 여성의 생활과 감정에 밀착되어 있는 소재를 채택하여 서사화한 단편소설의 수만큼이나 『월간야담』에 발표한 야담의 수가 많다는 사실이다. 여자전문 졸업, 여기자, 여류작가 등 당시 근대성의 지표를 배지처럼 달고, 전형적인 인텔리성과 모더니즘 경향의 소설을 썼던, 20세 전후의 장덕조는, 왜 야담을 쓰게 되었을까. 이것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장덕조가 『월간야담』에서 다섯 손가락에 안에 드는 다작의 야담작가였다는 사실도 놀랍지만, 그보다 작품 수가 많은 춘금여사, 일파 모두 장덕조의 필명이라는 사실, 그렇다면 『월간야담』에서 그 누구와도 비견할 수 없는 많은 야담을 집필한 작가는 장덕조인 것이다. 장덕조 야담의 특징은 연애물의 비중이 확연히 높고 그 이야기적 성취도도 높다는 것이다. 장덕조의 야담은 확실한 이야기성과 로맨틱한 필치로 대중들의 심금을 건드릴 뿐 아니라 한편으로 죄와 악을 징계하고 의와 선을 취득하면서 부지불식간에 대중의 가슴을 태우고 주먹을 쥐게 하는 야담들이다. 아름답고 비극적인장덕조의 로맨스 야담은 장덕조가 1950년대 이후 펼쳐 놓은 대중연애소설과 멜로풍 역사소설의 씨앗이 되었을 것이다. 장덕조는 아씨라고 불리는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지역 환경에서 성장하였고 유교주의적 세례를 받은 유년의 경험은 자연스럽게 야담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토대가 되었을 것이다. 그의 단편소설 또한 전통적 젠더 역할론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작가의 삶 또한 문학세계와 다르지 않았다. 더불어 결혼 이후 원고료로써 호구지책을 해결하려했던 뼈아픈 속사정은 다작의 한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1930년대는 전통과 근대의 패러다임이 충돌 길항하는 시대였고 장덕조는 신여성 담론을 생산해 내는 대중지의 일원으로 출발하였지만 야담 쓰기를 통해 한문세대의 문화 활동에도 한 몫을 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윤백남의 야담 활동 연구

        이동월(Lee Dongwol)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7 No.-

          1930년대 문화현상의 하나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야담의 성행이다. 야담대회는 매번 성황을 이루었고, 야담 잡지는 절판을 거듭했다. 이렇게 한 시대를 풍미했던 야담의 중심에 윤백남이 있었다.<BR>  본고는 1930년대 야담가로 이름을 떨쳤던 그의 야담 활동을 추적하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야담 활동은 야담대회, 야담방송, 야담 잡지 발행으로 나누어진다. 야담대회에는 매번 수 백 명의 청중이 몰렸으며, 야담방송은 청취자들이 시간을 늘려 줄 것을 요구했다. 드라마틱하고, 막힘없으며, 적절한 언어ㆍ몸짓을 사용한 탁월한 구연으로 청중을 사로잡았던 것이다. 또 잡지 『월간야담』은 불황의 출판계에서 홀로 엄청난 판매 부수를 기록하며 1930년대를 야담의 시대로 만드는 데 일조했다. 이 모든 분야에서 당대 최고 야담가로서 그의 명성을 확인할 수 있다.<BR>  윤백남에 이르러 야담은 흥미 중심의 오락물로 자리한다. 1927년 11월 김진구가 주도하여 창립한 朝鮮野談社는 민중 교화를 목적으로 하고 오락성을 곁들여 근대야사를 주로 구연했다. 반해 윤백남은 흥미를 목적으로 전대의 야담을 현대적으로 개작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1930년대가 암담하고 불안했기 때문에 대중을 위로해 줄 필요가 있었으며, 야담을 이야기의 일부로 인식한 결과였으며, 불특정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한 데서 찾을 수 있다.<BR>  그의 야담 활동에 대한 대중의 열렬한 환영과는 반대로 지식인들은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현실 문제에 대한 진지한 고민 없이 재래적 정서로 대중의 현실 도피 심리를 부추긴다는 이유에서이다. 이러한 비판은 1930년대 야담이 겸허히 수용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그의 야담 활동은 과거 지식층의 전유물이었던 야담을 대중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한 점, 우울한 현실에 대중에게 웃음과 위안을 줌으로써 삶을 견딜 수 있게 한 점, 야담가로서 개인적 능력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One of the cultural phenomena in the 1930’s is a trend in Yadam which is a historical story. Its competition was a great success every time. And its magazines were out of print several times. There was Yoon, Baeknam in the center of Yadam which swept a moment in time.<BR>  This looks into Yoon, Baeknam’s Yadam activity. It hasn’t came into the spotlight because it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commercial and popular all the while.<BR>  His Yadam activity is separated into Yadam competition, Yadam broadcast, and Yadam magazine publication. In Yadam competition, hundreds of audience crowded every time. In Yadam broadcast, listeners asked for extending the broadcasting hours. Also, the magazine 『Monthly Yadam』 was an outstanding sales success in the depression of the publishing circles. Like this, he made himself a name as the best Yadam teller at that time. His interesting Yadam gives a laugh and an amusement to the worried people in the gloomy reality. Dramatic and non-stop narration, using the proper language and gesture, attracted the audience.<BR>  Yun Baeknam had made Yadam of amusement focused on the interest. In the late of 1920s, Joseon Yadam history had mainly narrated the modern unauthorized history purposed on the people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Yun Baeknam had shown the aspect that he had adapted the former Yadam purposed the interest for the modern style. The reason of the change is because the 1930s was gloomy and uneasy. People were needed to console. It was the result that Yadam was recognized the part of the story. It was intended for unspecified individuals.<BR>  His Yadam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flattery to the people’s feeling with the ordinary emotion without concerning the reality. However, he made people enjoy Yadam which was dominated by the intellectual class. He gave the people a laugh and an amusement in the gloomy reality, so they can put up with the life. He will evaluate the personal ability as a Yadam teller positively.

      • KCI등재

        야담의 근대적 전환과 대중문화로서의 기획

        신상필(Shin Sang Phil)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5

        본고는 한국 서사문학의 큰 흐름 가운데 하나로 조선후기 사회경제적 변모에 따른 다양한 인물군의 등장과 그들에 얽힌 이야기를 담아 낸 야담(野談)의 근대적 전환 양상에 주목한 연구이다. 특히 본고가 주목하는 부분은 조선후기 야담 가운데 일부가 한문단편(漢文短篇)으로도 지목되었듯 단편소설에 값했던 현실주의적 서사성, 사회 변화에 따라 등장한 다양한 인물 형상과 연계된 시대성에의 관심, 한문의 기록 양식이 국문 전용의 근대에 처한 문학적 대응 양상의 세 가지 방면이었다. 그 과정에서 확인된 1900년대~1930년대까지 야담의 근대적 전환 양상을 신문의 언론매체에 의해 호출된 근대야담의 등장의 시대, 구활자본으로 대표되는 근대 야담집의 시대, 야담운동으로 전환한 문화운동의 시대, 야담 전문잡지의 출현에 따른 문화기획의 시대로 대략적인 구분을 지어 보았다. 그리고 그 과정에는 근대의 도래, 한일병합, 3.1. 운동, 식민지 체제의 장기화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요컨대 전근대 야담의 국문으로의 전환, 야담을 통한 애국계몽에의 시대적 호응, 야담의 서사성을 활용한 근대 소설 대중의 양성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근대 야담의 변모이자 기획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점에서 본고는 근대 야담의 변모 양상을 시대별 구도로 잡아보려는 시론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10년대 이후의 보다 세밀한 미시적 면모는 지속적인 확인을 통해 후고로 남기고자 한다. This paper is one of the major trends of Korean narrative literature, focusing on the emergence of various character groups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the story of Yadam. Particularly, this section focuses on the realistic narrative that was worthy of short novels, some of which were pointed out as short stories in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three aspects of the literary response in the modern age. The modern transformational patterns of Yadam confirmed in the process were divided into the period of the storytelling which is represented by the roughly old fonts from the 1910s to the 1930s, the era of the cultural movement that transformed Yadam movement into the Yadam movement, I tried to summarize this, I could understand it as a cultural transformation and planning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That is, the transition to the Korean language of the pre - modern era, the response of the era to the patriotic enlightenment through yadam, and the fostering of the modern novel by utilizing the narrative of Yadam. This paper can be regarded as a essay trying to catch the approximate aspect of the modernization of the modern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confirmation of the microscopic aspect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period since the 1910s.

      • KCI등재

        『월간야담』의 전대 여성관련담 개작양상과 의미

        이동월 ( Dong Wol Lee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0

        이 논문은 여성관련담을 중심으로 『월간야담』이 전대 야담을 개작한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월간야담』에서 전대의 야담을 개작한 여성관련담은 25 편 정도로, 남녀의 결연에 관한 이야기와 현부 이야기가 많다. 당시 연애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아내로서 여성의 역할이 강조되었던 사회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전대 야담을 개작한 여성관련담에서 내용의 획기적인 변개를 찾기는 어려웠다. 『월간야담』의 전대 야담 개작이 내용을 부연하는데 그친 까닭이다. 부연으로 인한 서사의 확장은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을 드러냄으로써 통속으로의 변개를 가져오기도 했다. 야담의 내용을 본질적으로 변화시킨 개작은 <금강의 수우>, <위주복수>, <송진사의 기연>에서 이루어졌다. 전대 야담을 답습하다 결말에서 여성의 자결로 극적인 반전을 꾀했다. 일타홍이 남성 가문의 번영을 위해 독약을 마시며, 남편을 살해하고 부정을 저지른 음부가 속죄하며 칼로 목을 찌르며, 과부가 정절을 지키기 위해 연못에 투신한다. 『월간야담』이 추구한 재래 정서로의 회귀는 남성중심사고의 지배를 받는 경직된 여성인물들을 창출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여성들의 죽음이 무의미하지만은 않았다. 일타홍은 심희수의 첩이 아닌 유일한 아내로서의 소임을 다하고자 했고, 음부는 여성이 부정을 저지르고 남편을 죽인 원인이 조혼이라는 악습에 있음을 제기했으며, 과부의 죽음은 축첩하는 남성들의 도덕성에 대한 비판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 concrete aspect on unofficial historical tales adapted by Monthly Yadam, with stories related to woman in the center. Monthly Yadam adapted unofficial historical tales in the last period, and stories related to woman among tales were about twenty-five volumes. And most of the contents was about love between sexes, making a connection, and virtuous wives. Such a tendency was connected with social environment in those days, namely, the increase in love and kisaeng. And besides, the role of woman as a wife was emphasized then. It is no easy to find an epoch making change of contents among adapted stories related to woman. Because Monthly Yadam expatiated on the story in the course of rewrite, and the description of deeds was expanded. In such a course, a sympathetic field between the sexes was inserted. In cases of <Unfavorable rain of the Kum River>, <Song Jinsa`s curious coincidence>, and <Wijuboksu>, their substances were adapted in essence by Monthly Yadam. Iltahong took poison for prosperity of a male family, a widow drowned herself in a pond to lead a chaste life, and a lewd woman committed suicide by stabbing a dagger into her neck. A return to conventional feelings by Monthly Yadam produced a stiffened image of woman under the male dominated society. Nevertheless, women in adapted tales revolted against status system, exposed an evil effect of early marriage, and stood against concubinage. Accordingly, their deaths had partly meaning.

      • KCI등재

        근대 야담의 생성원리, 이야기하기의 즐거움 연구 - 『월간야담』 소재 「압록강의 꽃」, 「정열의 낙랑공주」, 「국경의 비화」를 대상으로

        김신정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7 No.-

        이 글은 『월간야담』 소재 야담작품 세 편을 대상으로 1930년대 야담의 생성원리를 추적하고 야담을 만드는 즐거움의 근원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녔다. 연구대상은 야담잡지 『월간야담』에 수록된 「압록강의 꽃」, 「정열의 낙랑공주」, 「국경의 비화」이다. 2장에서는 세 야담 작품의 서사적 전개에 있어서 여성인물의 감정과 행위가 사건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는 점과 그로 인해 서사가 비극적 상황으로 귀결되는 점에 주목한다. 여성인 물의 감정과 행위를 추동하는 남성인물의 욕망은 서사 내에서 교묘히 가 려져 있고 여성인물의 선택과 행위가 서사를 비극적 결말로 이끄는 것처 럼 보여 여성인물의 책임을 두드러지게 만든다. 이는 곧 서술적 태도가 여성인물의 감정에 부정적 가치를 투영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서사적 세계에서는 남성인물과 여성인물이 드러내는 서사적 의미와 가치가 대립항을 이루고 있다. 또한 묘사에 있어서도 남성인물과 여성인물에 대한 서술적 태도는 차이를 보인다. 남성인물의 내면과 행위는 전개상 불 필요하다고 생각될 만큼 장황하게 묘사된다. 또한 남성인물은 지략과 용 기를 가졌거나 공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반면 여성인물 의 경우 그녀가 행한 중요한 행위나 인간적 고민에 대한 서술이 전개상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생략되어 있으며 여성 신체를 대상화하는 묘사 속 에서 잔인하게 잘려진 모습이나 성적 대상으로 그려진다. 이런 서술적 특 징을 통해 서술자적 시각이 남성적 시각임을 포착하였다. 3장에서는 2장 에서의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야담 창작자들의 서술적 태도 곧 이야기를 창작하는 태도의 근원이 시대읽기나 시대에 대한 고민이 아니라 개인적 이고 현실도피적인 즐거움의 욕구라는 사실을 도출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trace the principles of creating yadam in the 1930s and the sources of yadam writers’ pleasure of writing stories. To this end, examine three yadam stories published in Monthly Yadam(1934-1939): “Yalu River Flower”, “Nakrang Princess of Passion”, and “Sad Story of the Border”. The emotions and actions of female characters, which seem to precipitate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also lead each yadam story to a tragedy. In this paper, I argue that it is male characters’ desire that enforces female characters’ emotions and actions. On the surface, the female characters seem to move the narratives along; however, it is hard to consider them as leading figures. The urges and desires of male characters, both hidden and revealed in the narrative, evoke emotional reactions in the female characters and make them take action accordingly. Also, androcentric perspectives are revealed in all the characters, resulting in oppositional juxtapositions. In different ways, each story describes male and female figures in a masculine view. Also, description of male characters is longer than necessary and male characters are described as resourceful and brave. On the other hand, the female characters’ crucial behavior and deep anguish are not mentioned in the narratives. Based on this textual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asculine viewpoints of yadam writers are derived not so much from reading of the zeitgeist of the 1930s as from the private and escapist pleasure of writing s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