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옥산서원과 여주이씨

        이수환 ( Lee Soo-hwan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본고는 조선시대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인 옥산서원과 그 제향자인 이언적 가문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주의 驪州(驪江)李氏는 본래 경기도 驪州牧 土姓으로 고려후기까지 여주의 戶長職을 세습하다가, 고려 말에 본관을 떠나 영남으로 내려온 것 같다. 영남에 정착한 초기에는 迎日에 살다가 이언적의 조부 李壽會가 경주인 生員 李點의 사위가 되어 경주로 온 것이다. 이 가문이 경주 지방에서 확고한 재지적 기반을 갖게 된 계기는 이수회의 아들 李蕃이 손소의 사위가 되면서부터이며, 이로 인해 그의 처가 소재지인 양좌동은 마침내 손·이 양 성의 세거촌이 되었다. 경주 여강이씨 가문은 17세기 이후 급격히 족세가 번창하면서 경주권의 어느 가문보다 대·소과 합격자를 많이 배출하여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名祖 이언적이 사후에 ‘宗廟配享’[明宗]과 ‘文廟從祀’라는 人臣으로서 또는 학자로서 최고의 영예를 향유한 데서 이후 이 가문은 영남의 대표적인 명문으로 자리 잡았다. 옥산서원은 이언적 사후 경주 지역 사림들이 이언적의 학통을 계승하기 위해 1572년(선조 5)에 건립하였다. 옥산서원은 당시 慶州府尹 李齊閔이 權德麟(이언적 門人) 등 鄕中士林 13명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를 監司에게 보고하자, 감사 任說이 禮曹에 狀請하여 창건하였다. 옥산서원은 설립 후 당시 조선왕조의 서원진흥책에 힘입어 급속한 발전을 보게 되었으며, 특히 제향자인 이언적이 1610년(광해군 2)에 ‘동방 5현’의 한 분으로 文廟에 종사되자 그 영향력은 더욱 크게 증대되었다. 이후 옥산서원은 막대한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경주부의 유림사회를 실질적으로 대표하면서 지역 유림들의 교육 및 정치·사회적 활동의 중심지로 역할하였으며, 나아가 당시 중앙 정계의 치열한 정쟁 속에 도산서원과 함께 영남 남인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 남인의 정치적 명분 제공과 이들의 상호결집을 위한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편 옥산서원은 인조반정·갑술환국 등 중앙 정계의 정쟁에서 남인 세력이 점차 실세함에 따라 院勢가 상당히 위축되었지만, 영·정조 대에 와서 다시 중앙 정계로부터 주목받았다. 영·정조 두 왕은 『대학』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이때 주자의 『大學章句』의 결유된 부분을 보완하여 『大學章句補遺』를 다시 편한 이언적의 학문이 주목되면서 그를 봉양하는 옥산서원도 중앙으로부터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옥산서원은 경주권을 넘어 영남의 대표적인 서원으로서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으며, 대원군의 전면적인 원사훼철 때에도 文廟從祀諸賢의 서원으로서 남게 되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Oksanseowon, a representative academy in Youngnam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Lee clan who were responsible for Confucian ritual at the academy. The Yeoju Lee clan in Gyeongju came from Yeoju-mok, Gyeonggi-do where their ancestors lived until the late Goryeo dynasty, some of them served as Hojang in Yeoju. The clan is believed to have left Yeoju and moved to the Youngnam region around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Early in their settlement in the Youngnam region, they lived in Youngil until Lee Su Hee, grandfather of Lee Eon Jeok married to a daughter of Lee Jeom, a saengwon in Gyeongju and the entire clan moved to Gyeongju. The clan came to power in academic aspects in Gyeongju when Lee Beon, a son of Lee Su Hee, became a son-in-law of Son Soh. Finally, Yangja-dong, home to his wife’s household, became a village of residence for generations of both Son and Lee clans. The Yeogang Lee clan in Gyeongju enjoyed prosperity all of sudden since the 17th century, produced more successful examinees in national civil service exams than any other clan in the Gyeongju area, making the clan establish itself as a representative noble family. In particular, after his death during the reign of Myeongjo, Lee Eon Jeok enjoyed the highest honor as a subject to the king and as a scholar such as Jongmyobaehyang [Myeongjong] and Munmyojongsa, which was a key influence to make this clan a leading noble family in the region. Oksanseowon was built in the 5th year of King Seonjo in 1572 by Confucian scholars in the area after his death with the aim of inheriting academic tradition of Lee Eon Jeok. The academy was established as the then Gyeongju mayor Lee Jae Min accepted a suggestion of 13 Confucian scholars in the village including Gwon Deok Lin, a pupil of Lee Eon Jeok and reported it to Governor Im Seol E, who recommended to the Ministry of Rites. Since its foundation, Oksanseowon witnessed a rapid growth with the help of academy promotion policy of the then k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especially, when its former ritual manager Lee Eon Jeok was enshrined as one of the five sages in the Orient in the 2nd year of King Gwanghae in 1610, its influence grew stronger than ever before. Afterwards, with enormous economic resources, Oksanseowon became a symbol of Confucianism in Gyeongju, playing a center of education, politics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local Confucian scholars. Beyond that, as a representative academy of the Namin camp in the Youngnam region together with Dosanseowon, Oksanseowon played a role in providing a political cause for the entire Namin camp and uniting them amid fierce political struggles in the then central government. While the academy’s influence considerably decreased, as the Namin camp began to lose power in political struggles in the central government such as Injobanjeong and Gapsulwhanguk, it drew attention again of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Youngjo and Jeongjo. The two kings had special interest in Daehak. Accordingly, while the two kings ruled, much attention was paid to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Lee Eon Jeok who supplemented missing parts of Daehakjanggu of Chu Hsi and re-complied Daehakjangguboyou, and therefore, the academy which enshrined him was treated specially from the central government. In this situation, the academy established its firm status as a representative academy in Gyeonggju and Youngnam region and survived Daewongun’s full-scale destruction of academies and temples as an academy of sage enshrined in a Confucian shrine.

      • KCI등재

        경주지역 孫李是非의 전말

        이수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9 민족문화논총 Vol.42 No.-

        This paper examined the course of events of a dispute between both families of Sohn and Lee at Yanggwa-dong, Gyeongju regarding disciplinary origin of relationship of maternal uncle and nephew between Sohn Jung-don(孫仲暾) and Lee Eon-jeok(李彦迪). The dispute occurred because Sohn Jung-don(孫仲暾) played great role at Lee Eon-jeok(李彦迪)’s entering government service and growth to be a great scholar. Such a phenomenon made appearance at the time when disciplinary origin regarding leadership of country village power was emphasized. The dispute made appearance since 1905, and it was made even before 1905. The dispute was already made one or two times because of insertion of Donggangseowon(東江書院) Myoujunggeonsangryangmun(廟宇重建上樑文) that was written by Lee Sang-jeong(李象靖) at the time of addition and revision of “Ujaesilgi(愚齋實紀)” in 1845, and it was expanded to be a serious quarrel between both families when Jangmun(狀文) and Mansa(輓詞, lament) on Sohn Jung-don (pen name: Ujae(愚齋)) that were written by Lee Eon-jeok(李彦迪) were discovered at Lee’s head family (Mucheomdang, 無忝堂) in 1904 to let Sohn family republish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In April 1905, Sohn family republished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to include both Jangmun(狀文) and Mansa(輓詞) and to add Yeonwondomaekgu(淵源道脈句) of Sangryangmun(上樑文) that was written by Lee Sang-jeong(李象靖) to be a problem before: Based on the material, Si(詩) and Bal(跋) of Jingeong(眞城) Lee family’s Lee Man-do(李晩燾), Lee Byeong-ho(李炳鎬) and Lee Man-gyu(李晩煃) were published saying that Lee Eon-jeok’s science was originated from Sohn Jung-don. When “Gyeongjeolgongsilgi(景節公實紀)” containing such contents was republished, the dispute was expanded throughout Gyeongsang-do(慶尙道) from the beginning including Hyangnae(鄕內) because the problem was related to disciplinary origin of Yurim(儒林) society to have relation not with family level but with roads of Sarim(士林) society and to produce fierce struggle through Tongmun(通文) between both parties. At the beginning of the dispute, an arbitration in both Hyangnae(鄕內) and Donae(道內) was made, and it could not play a role to elevate conflicts continuously. Since then, the dispute was expanded up to other provinces to let Taehak(太學), Hoseoyusaeng(湖西儒生) and Honamyuhoeso(湖南儒生), etc send Tongmun(通文) blaming Sohn family strongly. 본 논문에서는 경주 양좌동내 손ㆍ이 양가문 孫仲暾과 李彦迪 舅甥 간의 학문적 연원 문제를 두고 벌어진 孫李是非의 전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시비가 나오게 된 배경은 이언적의 출사와 그가 대학자로 성장하는데 외삼촌인 손중돈의 역할이 컸다는데 있었다. 이 같은 사정이 향권의 주도권 문제와 관련하여 학문적 연원문제가 중요시 되는 이 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맞물리면서 나타난 것이다. 이 시비가 본격화 된 것은 1905년부터이지만, 이미 그 이전부터 논란이 있어 왔다. 본 시비는 1845년 『우재실기』를 증보하여 간행할 당시에 李象靖이 지은 동강서원 廟宇重建上樑文의 삽입 문제로 이미 한차례 논란이 있었지만, 양 문중 간에 격렬한 시비로 확대된 것은, 1904년 이씨 종가(無忝堂)에서 이언적이 쓴 愚齋에 대한 狀文과 輓詞가 발견되면서, 이를 계기로 손씨측에서 『京節公實紀』를 중간하면서 부터이다. 1905년 4월에 손씨측에서 『경절공실기』를 중간하면서 이 狀文과 輓詞를 삽입하고, 또 그전에 문제가 되었던 이상정이 쓴 상량문의 淵源道脈句를 附註하고, 나아가 이들 자료에 근거하여 이언적의 학문이 손중돈에 연원하고 있다는 내용의 진성이씨 李晩燾, 李炳鎬, 李晩煃의 詩와 跋을 얻어 싣고 이를 반포하였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절공실기』가 중간되고 반포되자, 이 문제는 유림사회의 학문적 연원과 관련된 사안이기 때문에 문중 차원의 문제가 아닌 사림사회의 도맥과 관계된다는 점에서, 향내 뿐만 아니라 초기부터 곧바로 경상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양측 간에 통문 등을 통한 치열한 공방전이 전개되었다. 시비 초기에 향내와 도내에서 중재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계속 갈등이 증폭되어 갔다. 이후 이 시비는 타도 지역까지 확산되면서 태학과 湖西儒生․湖南儒會所 등에서도 손씨측을 강력히 성토하는 통문을 보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을사사화기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을 둘러싼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인수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4

        Lee Eon-jeok was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long with Kim Going-pil, Jeong Yeo-chang, Jo Gwang-jo, and Lee Hwang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He was the first figure of Joseon to be placed in a Confucian shrine. A lot of time and effort was invested to place these figures in a Confucian shrine with controversy over their qualifications in the process. A few of them were the subjects of controversy, but Lee Eon-jeok was the most controversial of all. This study reviews, in depth, contradicting evaluations of Lee's acts and reactions in the early days of King Myeongjong's reign. The study starts with the year that King Myeongjong ascended the throne when the Eulsa Literati Purge took place, and goes up to the fourth year of his reign when Lee Hong-yun was imprisoned as part of the Eulsa Literati Purge, by assessing Lee's acts and reactions during the period in a sympathetic manner. Lee was a serious representative statesmen that made forthright statements at many different meetings during the purge to ensure the safety of the royal family and prevent damage to literati. Some people may regret that Lee was not able to prevent damage to the Confucian literati, but it is not true that his acts deserved the evaluation that he made no forthright statements.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of a person before the assessment of his acts. The present study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between those who made positive assessments of Lee and those who made negative ones.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underwent turmoil in those days, and those who read the chronicles of the period seem closer to the truth. The present study considered the assessments of Lee by those who read the records to be more accurate, even by those who neither underwent the turmoil, nor read the records of the chronicles assessed Lee. There are fundamental limitations in their assessments since they were based on a lack of data. Reliability of old assessments by people from the past also impacts the assessments. The circumstances and experiences of those who make assessments themselves have impacts as well. 회재 이언적은 광해군대에 김굉필·정여창·조광조·이황과 함께 문묘에 종사되었다. 조선조의 인물로는 처음으로 문묘에 종사된 것이었다. 이들이 문묘에 종사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경주되었고, 그 과정에서 자격 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논란이 없었던 사람이 드물지만 그 중에서도 이언적과 관련된 논란이 가장 많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명종 초년 이언적의 처신과 대응에 대한 엇갈린 평가들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먼저 명종 즉위년 을사사화부터 명종 4년 이홍윤 옥사에 이르는 시기를 을사사화기라는 시기로 설정하고, 이 시기 동안 이언적이 보인 처신과 대응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였다. 이언적은 을사사화 당시 각종 회의석상에서 왕실의 안위를 걱정하고 사류의 피화를 막기 위해 직언을 한 대표적인 중신이었다. 이언적이 사림의 피화를 막지 못한 데 대한 아쉬움은 토로할 수 있지만, 직언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들을 정도의 처신을 한 것은 결코 아니었다. 한 사람의 행위를 평가할 때는 그 사람의 처지나 환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과 이언적에 대해 긍·부정적인 평을 내린 평가자에 대해서는 관점의 차이라는 점을 우선 고려하였다. 당시를 겪은 자와 당시 실록 기록을 본 자, 두 사람의 평가가 진실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 중에서도 기록을 본 자의 평가가 더 정확하다고 보았다. 당시를 겪지도 못하였고 실록의 기록을 보지도 못한 이들의 평가도 있었다. 충분하지 못한 자료에 근거하여 평가를 한 근본적인 한계를 가진다. 이전 사람이 해 놓은 평가에 대한 신뢰 여부도 영향을 미치며, 평가자 자신의 처지나 경험도 작용한다고 보았다.

      • KCI등재후보

        이산해 쓴 <광산이씨승지공이달선비>의 서예사적 가치

        정현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4 No.-

        Lee San-hae, civil minister of the middle Joseon dynasty, wrote Lee Dal-seon Stele in 1576, Lee Eon-jeok Stele in 1577, and Jo Kwang-jo Stele in 1585. Among the three written from the late 30’s to the middle 40’s, the first Lee Dal-seon Stele at Hwasun-gun, Geollanam-do is the tombstone to memorize Lee Dal-seon, famous writer of the time. Yun Gu composed the front side and Lee I the back side. Lee San-hae wrote the title on the top of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Accordingly, it is a important stele showing the fantastic combination of the noted writers and calligrapher of the time. The excellence of the seal and regular scripts clearly tells us the fact that Lee San-hae was a master calligrapher in the 16th century.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calligraphic value of Lee Dal-seon Stele that did not receive attention relatively, compared to the two stelae. The diversified seal script of the title writing, the regular script of the front side with the taste of the light running script, and the regular script of the back side with the sense of the heavy running script were written in some different feeling. It makes the stele very special in terms of the calligraphic style. At the same time, the round shape of the head of the stele, the round stroke of the seal script, and the flowing style of the regular script are natural and harmonious. The stele with such sense of difference and kinship is a very meaningful material having the value of the cultural assets. Lee San-hae succeeded to the style of Zhao Mengfu, the calligraphic tren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partially kept with the style of Han Ho, that of the middle Joseon dynasty. Adding the style of Yan Zhengqing in China to them, Lee finally accomplished his own creative style revealed powerfulness and elegance as well as flyness and fluency beyond them. Therefore, the calligraphic value of Lee Dal-seon Stele, the first one written at the age of 38, should be judged worthy of his calligraphic reputation. 조선 중기의 문신 이산해는 1576년에 <이달선비>, 1577년에 <이언적신도비>, 1585년에 <조광조신도비>를 썼다. 30대 후반부터 40대 중반까지 쓴 삼비 중 첫 비인 <이달선비>는 조선시대 승정원 좌부승지를 지낸 문장가 이달선(1457-1506)의 묘비로, 전남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도덕산 아래에 있다. 윤구가 비문을, 이이가 추기를 짓고, 비액과 양면의 글씨는 모두 이산해가 써 당대의 명문장가와 명필의 조합이 환상적인 의미 있는 비다. 전서와 해서로 쓴 이산해 글씨의 출중함은 그가 조선 중기의 명필임을 분명히 말해 준다. 이 글은 두 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이달선비> 글씨의 특징을 살펴 그 서예사적 가치를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변화가 많은 비액의 전서는 물론 정연하면서 행기가 부분적으로 있는 전면의 해서, 행서의 필의가 농후한 후면의 해서까지 조금씩 다른 느낌으로 쓰여 <이달선비>는 첩에서는 느낄 수 없는 이산해의 특출한 솜씨를 보여 준다. 동시에 비 상부의 원형, 전서의 원필, 해서 비문의 유려한 서풍이 종합적 조화를 이룬다. 이런 이질감과 동질감을 동시에 표현한 이 비는 문화재적 가치가 큰 금석문이다. 이산해는 조선 초기의 유행 서풍인 송설풍을 잇고, 중기의 유행 서풍인 석봉풍과 부분적으로 그 맥을 같이 하면서 동시에 풍후한 안진경풍도 드러냈다. 그러나 그들에 머물지 않고 힘차면서 유려하고, 노련하면서 능통한 자신의 독창적 서풍을 창조하여 일가를 이룬 명필이다. 따라서 그의 나이 38세에 쓴 첫 비인 <이달선비>의 서예사적 가치도 마땅히 그의 서예적 명성에 걸맞게 평가되어져야 한다.

      • KCI등재후보

        회재 이언적에 대한 고찰

        이필문 한국사상문화학회 2019 韓國思想과 文化 Vol.98 No.-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it would be academically shed new light on HeoJae Lee Eon-Jeok’s philosophy shown on Mu-geuk-tae-geuk-byun. Accordingly, study of this thesis is shown below as following the research method of literature analysis 1st, It is focused on analyzing the beginning of controversy and its develop process referred to the letters, ’Seo-Mang-Jae-Mang-Ki-Dang-Mu-Geuk-Tae-Geuk-Seol-Hwoo’ and ‘Dap-Mang-Ki-Dang’ which were written on Jop-Jeo in collection of HeoJae’s works No5 2nd. It is deeply contemplated to the meaning of the history for Korean philosophy related to the controversy of Tae-geuk by Lee Eon Jeok and his mental world as his confucian scholar. 3rd. This thesis is analyzing. “Mu-geuk-tae-geuk-byun”’s impact on neo confucian at mid Joseon, comparing the confucian interpretation for “Mu-geuk-tae-geuk-byun“ by Lee Eon-Jeok to philosophy of Jo Han-Bo who insisted taoism-buddhism theory. 4th, This thesis would like to realize the limitation of neo-confucianis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look into the topicality of this stud The result of study is shown next. Learning of Lee Eon-Jeok consist in the practical confucianism which is constantly looking back his own reality and manifestation of humanistic spiri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회재 이언적의「무극태극변」에 보이는 학문세계를 학술적으로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문헌분석적 연구방법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회재선생문집』제5권 잡저(雜著)에 수록된 서간문 중「서망재망기당무극태극설후(書忘齋忘機堂無極太極說後)」,「답망기당서(答忘機堂書)」에서 논쟁이 된 발단과 전개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이언적의 태극논쟁이 차지하는 한국철학사적 의의와 그의 유학자적 정신세계를 살펴본다. 셋째, 논쟁이 되었던「무극태극변」에 대한 이언적의 유교적 해석과 노불론(老佛論)을 주장한 조한보의 철학사상을 비교하고,「무극태극변」이 조선중기 이후에 유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을 분석한다. 넷째, 조선초 성리학의 한계상황과 이언적의 독창적인 학문세계를 밝히고, 그에 따른 연구의 시사성에 대하여 알아본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언적의 학문은 끊임없이 현실을 되돌아보는 실천유학의 관점에 있는 것이며, 더불어 인문정신의 발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주자학의 한국적 특성을 이루는 기초가 되었고, 중국의 아호논쟁과 달리 인간의 심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 문제로 집약되어 갔다. 특히 태극을 리(理)로 규정하면서 그 리에 능동적이며 창조적인 도덕성을 부여한 이언적의 주장은 뒷날 리를 우위에 두고 심성론을 철학의 주축으로 삼아 도덕적 가치를 강조한 이황의 철학의 토대가 되었다. 이런 점은, 선조 때 조선에 들어온 명의 사신들이 조선에도 공자, 맹자의 학문을 다룬 심학이 있는가를 물어 왔을 때 사신들에게 이언적의 글을 보여 주었던 사실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이처럼 이 논쟁에는 주자학적 이론의 깊이와 더불어 한국적 주자학의 전개에 있어서 회재사상의 심대한 가치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이산해 쓴 의 서예사적 가치

        정현숙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9 문화와예술연구 Vol.14 No.-

        조선 중기의 문신 이산해는 1576년에 <이달선비>, 1577년에 <이언적신도비>, 1585년에 <조광조신도비>를 썼다. 30대 후반부터 40대 중반까지 쓴 삼비 중 첫 비인 <이달선비>는 조선시대 승정원 좌부승 지를 지낸 문장가 이달선(1457-1506)의 묘비로, 전남 화순군 화순읍 앵남리 도덕산 아래에 있다. 윤구가 비문을, 이이가 추기를 짓고, 비액과 양면의 글씨는 모두 이산해가 써 당대의 명문장가와 명필의 조합이 환상적인 의미 있는 비다. 전서와 해서로 쓴 이산해 글씨의 출중함은 그가 조선 중기의 명필임을 분명히 말해 준다. 이 글은 두 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은 <이달선비> 글씨의 특징을 살펴 그 서예사적 가치를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변화가 많은 비액의 전서는 물론 정연하면서 행기가 부분적으로 있는 전면의 해서, 행서의 필의가 농후한 후면의 해서까지 조금씩 다른 느낌으로 쓰여 <이달선비>는 첩에서는 느낄 수 없는 이산해의 특출한 솜씨를 보여 준다. 동시에 비 상부의 원형, 전서의 원필, 해서 비문의 유려한 서풍이 종합적 조화를 이룬다. 이런 이질감과 동질감을 동시에 표현한 이비는 문화재적 가치가 큰 금석문이다. 이산해는 조선 초기의 유행 서풍인 송설풍을 잇고, 중기의 유행 서풍인 석봉풍과 부분적으로 그 맥을 같이 하면서 동시에 풍후한 안진 경풍도 드러냈다. 그러나 그들에 머물지 않고 힘차면서 유려하고, 노 련하면서 능통한 자신의 독창적 서풍을 창조하여 일가를 이룬 명필 이다. 따라서 그의 나이 38세에 쓴 첫 비인 <이달선비>의 서예사적 가치도 마땅히 그의 서예적 명성에 걸맞게 평가되어져야 한다. Lee San-hae, civil minister of the middle Joseon dynasty, wrote Lee Dal-seon Stele in 1576, Lee Eon-jeok Stele in 1577, and Jo Kwang-jo Stele in 1585. Among the three written from the late 30’s to the middle 40’s, the first Lee Dal-seon Stele at Hwasun-gun, Geollanam-do is the tombstone to memorize Lee Dal-seon, famous writer of the time. Yun Gu composed the front side and Lee I the back side. Lee San-hae wrote the title on the top of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Accordingly, it is a important stele showing the fantastic combination of the noted writers and calligrapher of the time. The excellence of the seal and regular scripts clearly tells us the fact that Lee San-hae was a master calligrapher in the 16th century. This paper is to search for the calligraphic value of Lee Dal-seon Stele that did not receive attention relatively, compared to the two stelae. The diversified seal script of the title writing, the regular script of the front side with the taste of the light running script, and the regular script of the back side with the sense of the heavy running script were written in some different feeling. It makes the stele very special in terms of the calligraphic style. At the same time, the round shape of the head of the stele, the round stroke of the seal script, and the flowing style of the regular script are natural and harmonious. The stele with such sense of difference and kinship is a very meaningful material having the value of the cultural assets. Lee San-hae succeeded to the style of Zhao Mengfu, the calligraphic trend of the early Joseon dynasty, partially kept with the style of Han Ho, that of the middle Joseon dynasty. Adding the style of Yan Zhengqing in China to them, Lee finally accomplished his own creative style revealed powerfulness and elegance as well as flyness and fluency beyond them. Therefore, the calligraphic value of Lee Dal-seon Stele, the first one written at the age of 38, should be judged worthy of his calligraphic reputation.

      • KCI등재

        이언적과 중(中)의 정치

        박홍규 ( Hong Kyu Park ),박설수 ( Sul Soo Park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4 韓國 政治 硏究 Vol.23 No.1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은 사화가 연달아 벌어지던 16세기 초 조선에서 중앙정치의 정상화를 모색하였던 인물이다. 특히, 명종 즉위년(1545) 벌어진 을사사화의 파국 속에서 이언적은 신중한 자세로 최대한 피화의 범위를 축소하고 권신의 독주를 막으려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시기 이언적의 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의 저작 『대학장구보유』(大學章句補遺)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책에서 등장하는 주요개념인 중(中)과 본말은 이 시기 이언적의 문제의식, 구체적 대응방식과 연관된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관관계는 선조(宣祖) 때 벌어진 문묘종사 논쟁에서 영남 유생들에 의해 다시 언급되기도 하였다. 정치적 파국이 거듭되었던 16세기 초의 조선의 정국 속에서 “진실로 그 중(中)을 잡아”(允執厥中) 정국의 평형을 유지하였고, 신중하게 당대 정치의 핵심과제인 중앙정치의 정상화를 모색하였던 이언적은 문묘종사를 통해 후대인들에게 하나의 모범적인 정치가 상으로 자리잡았다. 정치적 갈등의 양상이 나날이 복잡해져가는 대한민국의 상황 속에서 이언적의 정치가 상을 복기하는 작업은 오늘날에도 유의미한 일이 될 것이다. Lee Eon-jeok (李彦迪: 1491-1553) is a scholar and statesman who tried to settle the Joseon Dynasty`s political instability in the 16th century. This instability was mainly caused by a series of literati purges. When the last purge, Ulsa Sahwa (乙巳士禍), occurred in 1545, Lee attempted to reduce the scale of the calamity and prevent Yoon Won-hyung`s group―which persecuted other political groups to take power-from monopolizing political authority. In this paper, Daehak jangguboyu (大學章句補遺), one of Lee`s books, will be analyzed to explain his behavior in 1545. The concepts of Jung (中) and Bonmal (本末), which are emphasized in Daehak jangguboyu, properly represent his awareness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and the discreet manner in which he reacted to Yoon`s group. More than 50 years later, the literati from Yeongnam region also used the terms Jung (中) and Bonmal (本末) to clarify Lee`s intentions and behavior in 1545. Lee strove to stabilize the Joseon Dynasty`s politics, while prudently minimizing damages from constant purges under intricate and harsh circumstances in 1545. As a result, Lee became one of the most revered Confucian scholars and an ideal statesman of the times. Remembering Lee`s political thought and behavior also gives meaningful lessons in today`s era of complicated political circumstances.

      • KCI등재

        한국문학에 나타난 ‘독락(獨樂)’의 의미

        이진규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3

        이글은 ‘독락(獨樂)’이라는 말을 사용한 중국의 사마광을 비롯하여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의 사마광과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의 ‘독락’에는 표면적으로는 자연을 벗삼아 성정을 수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홀로 즐기며 자득하고자 했던 모습이 표현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여민락’의 세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과인을 바탕으로 한 ‘여민락’할 수 있는 세상을 위해 왕도정치의 실현을 촉구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마광은「독락원기」에, 이언적은 한시 ‘독락’과 당호(堂號)를 ‘독락당’으로, 권호문은 불편한 심사를 자신과 결부시켜 노래하면서「독락팔곡」이라고 하였다. 박인로는 이언적 사후에 ‘독락당’을 찾아가 그가 ‘당시 하시던 닐’을 ‘다시곰 思想하’며 그를 추숭하는 형식으로 가사「독락당」을 지어 노래하였는데 이는 선가자로서보다는 유자로서의 신념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 이처럼 그들에게 사용되었던 ‘독락’이라는 말은 조선조 다른 유자들의 작품과 기록을 통해서도 그 의미를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of ‘dokrak(獨樂)’ through the records and literary works of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Lee Eon-jeok, Kwon Ho-mun and Park In-ro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Sima Guang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fter retiring from politics, Sima Guang built the ‘Garden of Solitary Enjoyment(Dule yuan 獨樂園)’ and wrote an essay devoted to this garden(「Dule yuan ji 獨樂園記」) to cultivate his mind and pursue solitary enjoyment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his poem also reveals his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meaning enjoyment with the people, and criticism of the reality. Lee Eon-jeok, a scholar of Joseon Dynasty, renovated his father’s pavilion and named it ‘Dokrak-dang(獨樂堂).’ Kwon Ho-mun wrote 「Dokrakpalgok(獨樂八曲)」 to describe his state of mind. Park In-ro visited ‘Dokrak-dang’ after the death of Lee Eon-jeok and honored him with a gasa(traditional Korean verse), 「Dokrakdang」 by “thinking about what he had done there during his lifetime.” His work embodies his beliefs as a Confucian scholar, rather than as a writer. The word, ‘dokrak(獨樂),’ which was used by the scholars described above, seems to describe the pursuit of solitary enjoyment by devoting themselves to learning and cultivating mind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it also embodies their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based on criticism of the reality.

      • KCI등재

        [논문철회] 잠계 이전인 시에 나타난 의식 연구

        장도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6

        The Lee joen-in learned from the lee eun-jeok. And he holds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understanding the science of the lee eonjeok. His poetry has three main rites. First, it is a unyieldin spirit and noble character. The former lived in discrimination and pain because of the birth of bastard. Except for the time when he served his father's exile, he was forced to retire with Lee Eon-jeok in Gyeongju. Maehwa or pine trees were recognized by the biblical scholars as an indomitable symbol and are shaped like a recluse who would not be bitten by the world in the midst of the chaos and hardships of the times. The second is a ritual of filial piety and feel in dream. He devoted his life to the service of his father. During the seven years of his reign in the royal world, he was given morning and evening instruction by his father, lee eun-jeok as a teacher and son, and served as a devoted son. During the period of time, he was devoted and devoted to winning his father's education. He was certainly praised as a devoted son. He expressed his longing for his father and loneliness, which he had no place to turn to. The third is live within one s means in. He hid quietly and moved out of the world and lived in harmony with nature. They ate tough rice and tough liquor rather than bitter to the quick, and they lived in harmony with nature. He had found the innocence of nature in the midst of a contented life by throwing aside the hustle and bustle of the world.

      • KCI등재

        [논문철회] 잠계 이전인 시에 나타난 의식 연구

        장도규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The Lee joen-in learned from the lee eun-jeok. And he holds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understanding the science of the lee eonjeok. His poetry has three main rites. First, it is a unyieldin spirit and noble character. The former lived in discrimination and pain because of the birth of bastard. Except for the time when he served his father's exile, he was forced to retire with Lee Eon-jeok in Gyeongju. Maehwa or pine trees were recognized by the biblical scholars as an indomitable symbol and are shaped like a recluse who would not be bitten by the world in the midst of the chaos and hardships of the times. The second is a ritual of filial piety and feel in dream. He devoted his life to the service of his father. During the seven years of his reign in the royal world, he was given morning and evening instruction by his father, lee eun-jeok as a teacher and son, and served as a devoted son. During the period of time, he was devoted and devoted to winning his father's education. He was certainly praised as a devoted son. He expressed his longing for his father and loneliness, which he had no place to turn to. The third is live within one s means in. He hid quietly and moved out of the world and lived in harmony with nature. They ate tough rice and tough liquor rather than bitter to the quick, and they lived in harmony with nature. He had found the innocence of nature in the midst of a contented life by throwing aside the hustle and bustle of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