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진주류씨(晉州柳氏)의 연원과 가문의식의 정립

        權奇奭 ( Kwon Kiseok ) 한국계보연구회 2019 한국계보연구 Vol.9 No.-

        족보는 동족 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동성동본’의 계보를 모아놓은 기록이다. 따라서 가문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상계 인물에 대한 고증이 필요한데, 시조 이하 선대 인물들은 고려 이전의 먼 조상들이기에 자료적 실증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진주류씨도 시조와 계보 연결에 있어서 많은 논란이 있어왔고, 통칭 ‘移封’ 진주류씨(移柳)와 ‘土姓’ 진주류씨(土柳)로 불리는 두 계열이 별개의 족보를 편찬하며 상반된 주장을 펼쳐온 바 있다. 이류에서 주장하는 계보는 『안동권씨성화보』와 『문화류씨가정보』 등 초기 족보를 근거로 하고 있다. 이들 족보는 신뢰도가 높고 여러 족보에 참고가 된 바 있지만, 편찬자 류희잠도 계보적 논란에 대한 여러 이견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고, 이류의 晉州 移封說에 대해서도 수긍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_晉州柳氏丙子譜_(1756)는 계보적 논란에 대해서 이류 측의 정리 내용을 공식화한 족보이다. 1423년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진 「永樂子姓編譜圖」를 인용하고, 「子姓編考證」이라는 항목을 두어 상계 논란에 대한 여러 견해를 밝혔다. 『晉州柳氏己丑譜』 (1829)는 계보적 논란을 재론하고 이류와 토류의 계보를 통합하는 것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분명히 했다. 토류에서 주장하는 계보적 근거는 16~17세기 저명 보학자인 鄭崑壽(1538~1602)와 趙從耘(1607~1683) 등의 권위에 힘입어 널리 통용되었다. 이로 인해 조선후기 다수의 방목류 자료가 토류의 계보 파악을 따르게 되었다. 토류의 족보에는 계보적 논란에 관하여 정리한 「晉州柳氏世譜記事」라는 글이 있는데, 여기에 인용된 柳珦妻 李氏 戶口草는 토류 측의 계보 고증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자료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여성이 호주가 되는 호적 자료는 조선시대에 실재하였기는 하지만, 관청 문서의 서식으로 보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있고, 당시의 가족 상황과 맞지 않는다는 이류 측의 반박도 이루어졌다. 동성동본은 한국의 족보 문화에서 동족인지 他族인지를 구분 짓는 가장 중요한 조건이었다. 성관 체계와 동족 관념을 형성하는 계보 고증의 과정은 긴 시간에 걸쳐 형성된 역사적 산물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류와 토류는 서로 상충되는 계보 정리를 해 오면서 독자적 가문 의식을 성장시켜 왔다고 볼 수 있다. 지속된 계보적 논란 속에서 무리하게 合譜를 시도하지 않은 것은 혈통에 대한 고증을 중시하는 것이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가문의식이 형성되는 기본 원리였음을 잘 보여준다. Jokbo, genealogical book in Korea is the record of descendants who share the family name and bongwan, the birthplace of lineage. In order to establish the scope and identity of a family to be included in any genealogical book, the ancient records must be considered, but the evidence is difficult to find. There have been many controversies over the existence of two different lineages of Jinju Ryu. The genealogy claimed by Ibong(移封) lineage is based on the early genealogical books of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is highly reliable. Meanwhile, genealogy claimed by the Toseong(土姓) lineage was based on the views of the masters of genealogical research and had considerable public confidence. In particular, the family register of the early ancestors was presented as evidence, and the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which have been the subject of controversy. Through the dispute between the two lineages, who are suspicious of the offspring of the same ancestors, it is well demonstrated that the proof of genealogy was very important to form a family consciousness in traditional Korean society.

      • 한국의 성씨(姓氏)와 족보(族譜)

        李成茂 ( Lee Song-mu ) 한국계보연구회 2010 한국계보연구 Vol.1 No.-

        성씨는 자기의 혈통을 밝히고자 해서 붙인 것이요, 족보는 자기의 조상을 존중하고 친족 간의 친목을 도모하고자 만들어졌다. 그런 데 전통시대에는 본관에 따라 신분이 달라지고,족보가 없으면 과거 (科擧)ㆍ승음(承蔭)ㆍ상속(相續)ㆍ사환(仕宦)을 할 수 없었으며, 군역 (軍役)까지 부과되었다. 그러니 무리를 해서라도 명족(名族)에 끼려 하고, 족보를 만들거나 위조하려 했다. 한국의 성씨는 6세기부터 왕실, 귀족들이 먼저쓰기 시작했다. 그러나 호족들이 대거 성씨를 가지기 시작한 것은 나말여초부터이다. 국가에서 주부군현의 토성(土姓)을 공인하고, 토성은 신분에 따라 인 리성 (人吏姓)ㆍ백성성 (百姓姓)ㆍ촌성 (村姓)ㆍ향소부곡성 (鄕所部曲姓)으로 갈렸다. 이 중 국가의 관품을 차지한 성씨가 양반으로 공인되고, 나머지는 소임에 따라 중인성(中人姓)ㆍ평민성(平民姓)으로 격하 되었으며, 천인은 성씨가 없었다. 양반들은 자기의 가계를 밝히기 위해 족보를 만들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가계도(家系圖)ㆍ세계도(世系圖)ㆍ족도(族圖)ㆍ팔고조도(八高祖圖) 등 가첩류(家牒類)가 유행하다가 15세기에 이르러 족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족보는 17세기에 활발히 유행하다가 19-20 세기 사회변동에 따라 위보(僞譜)가 널리 유행해 모든 사람의 양반 화가 진행되었다. 그리하여 현대적인 새로운 가족ㆍ친족문화가 형성 되게 되었다. Family names are used to reveal their heritage, and genealogies are created to show one’s respect to one’s ancestors and maintain an amicable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Yet in the past, the ’region of the house(本貫)’ dictated one’s social status(class), and without a genealogy one could not present himself as eligible for applying to the national examination(科擧) or accepting a protective appointment(承蔭), or claim the right of inheritance and succession(相續)or the right to enter the government(仕宦).And without genealogy one would even have to report for military service. So one had to add oneself to the genealogy of illustrious families(名族), and in order to do so they fabricated or forged genealogy records. Korean family names(sumames) were first used in the 6th century by members of the royal families or aristocratic houses. Yet it was only the transition period between Shilla and Goryeo when local influentials(“hojok”) started to assume last names. The state would authorize the usage of some local surnames(土姓) in individual local units, and those local surnames included clergy surnames(人吏姓), commoner surnames(百姓姓), village surnames(村姓) and special colonies surnames(鄕戶斤部曲姓). Among them, surnames carried by people who obtained official ranks of the state were established as Yangban surnames, and the rest were classified as middle-class surnames(中人姓) or commoner surnames(平民姓) according to their duties, and the low-boms had no surname. The Yangban figures started to create genealogy records to clarify their descent. At first they created household genealogical records(家牒 類頁) for either individual families or individual lines of descent, or for individual groups or lines of limited ancestors(家系圖, 世系圖, 族圖, 八高祖圖), and then coming into the 15th century, standardized genealogy records began to surface. They really prevailed in the 17th century, yet coming into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e number of forged genealogies(僞譜)continued to increase. As a result, all people suddenly became members of the Yangban families. A new, contemporary culture of family and houses was formed.

      • 거창군 북상면 영모재(永慕齋)의 특징과 계보학

        金鍾秀 ( Kim Jongsoo ) 한국계보연구회 2018 한국계보연구 Vol.8 No.-

        경남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의 중산마을에 위치한 영모재는 타지인 이 곳으로 이거를 단행한 경주정씨 문중의 정우신을 추모하기 위해 중수한 추모·제례 공간이다. 정우신은 본향인 경기도 파주에서 타향인 옛 안의 현으로 전격적인 이주를 단행한 입향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그런 정우신이 타계한 이후에 후손들에 의해 입향조를 전면에 내세운 재실 영건에 착수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이에 이번의 연구에서는 가칭 피화형 이주로 분류되는 정우신의 이거 경위와 함께, 몇 번에 걸쳐 영건된 재실의 이면사들을 면밀하게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그 과정에서 정우신을 주인공으로 삼는 영모재가 읍지류에서 ‘묘각(墓閣)’조로 분류된 사실을 집중적으로 규명하였다. 묘소와 재각을 합성한 조어인 ‘묘각’은 이른바 ‘수호지제(守護之制)’ 의 차원에서 재실의 기능을 규정한 결과를 반영해 준다. 이는 「학교」조로 범주화된 소위 재실형 서당과는 판이한 분류 기준으로, 재실이 수행한 다양한 기능의 일면을 확인시켜 주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추가하여 영모재는 종법제도상의 소종의 이념을 재실 건립을 통해 구현해 보인 점도 주목된다. 한편 금번 논의에서는 가칭 ‘재실의 사회사’라는 새로운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론은 재실에 가설된 재기·상량문과 같은 기문과 주련·액호·판상시 등과 같이 고문헌에 준하는 자료들을 대상으로 한 면밀한 내용 분석을 통한 인문·사회과학적 방법을 일컫는다. 이는 조경학적·건축학적 차원의 연구에 국한되었던 기존의 연구 성과들에 대해 방법론적 각성의 의미를 지닌다. 그 결과 이번의 논의가 유교의 문화·제도사 방면에서 미개척 분야와 다를 바가 없는 재실 연구의 장도에 유의미한 계기를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Yeongmojae situated at Jungsan village(中山洞), Buksang-myoen, Geochang-gun is a rebuilt memorial service site in tribute to Bukje(北齊) Jeong-usin(鄭禹臣) the first ancestor(入鄕祖) of Gyeongju Jeong family(慶州鄭氏) who moved to Jungsan village away from paju(坡州) home. So after his death, his descendants, as a guardian of grave(守護墓), began to build a memorial service site in honor of him. This study, along with details of his move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avoid misfortunes(避禍), examined the stories behind twice-built construction of the memorial service site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ulture of memorial service sites'. This methodology underwent the process of deciphering materials such as historical records(記文) and poems shown on tablets in front of the building(板上詩), which would form culture of memorial service site. As a result, the study is expected to improve the existing research trend just limited to the level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In case of Yeongmojae maintained by the settling family group, it showcased the upgrade of culture of memorial service site. Behind the rebuilding of Yeongmojae by fourth-generation descendants(玄孫) of great-great-grandfather(高祖父) Jeong-usin was an ideology of clan rule system to firmly(宗法制) set up branched-off minor family groups(小宗) from the mainstream.

      • ‘사라진 계보’의 복원을 통해 본 지방사림세력의 변화 -인조반정 후 밀양지역 점필재(佔畢齋)-송계(松溪)-내암(來庵) 학맥의 부침(浮沈)을 중심으로-

        박병련 ( Park Byung Ryun ) 한국계보연구회 2019 한국계보연구 Vol.9 No.-

        본고는 점필재 김종직의 고향인 밀양지역에서 점필재 김종직-오졸재 박한주(朴漢柱)-송계 신계성으로 대표되는 점필재 학맥의 쇠락 원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점필재 이후, 조선전기에는 한훤, 일두, 오졸재, 탁영(濯纓)에서 남명(南冥), 송계(松溪)로 이어지는 조선 도학의 거장(巨匠)들이 나타나 밀양, 창녕, 현풍, 청도, 함양, 진주, 합천, 산청 등으로 이어지는 학문벨트를 형성하고 영남유학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었다. 그러나 인조반정과 더불어 내암(來庵) 정인홍(鄭仁弘)이 정치적으로 패퇴하자, 영남유학의 헤게모니가 밀양・산청권에서 예안・안동권으로 옮겨가게 되면서, 점필재 학맥의 강력한 기반이었던 밀양권 유림의 쇠락을 불러오게 되었다. 더구나 ‘주자학=정학(正學)’이라는 도학(道學)에 관한 관점이 좁아지면서, 점필재가 창도한 조선적 도학(道學)은 정통성을 위협받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인조반정과 ‘역반정’ 사건으로 몰락하거나 사라진 가문들은 대부분이 과거를 통해 중앙에 진출했던 가문이거나, 부(富)와 명성(名聲)을 갖추었던 가문으로 보이는데, ‘정변’으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밀양의 많은 선비들은 남명(南冥), 송계(松溪), 박재(璞齋), 내암(來庵), 동계(桐溪)정온(鄭蘊) 등으로 이어지는 학문벨트를 버리고, 한강(寒岡) 정구(鄭逑)를 매개로 퇴계학파로 연원을 전환했으며, 그 과정에는 취원당(聚遠堂) 조광익(曺光益)의 창녕조씨 가문과 오한 손기양의 밀성손씨 가문이 매개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고, 국담 박수춘이 주도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시대 상황은 송계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 발전시킬 후속세대를 사라지게 했고, 이것은 동시에 조선후기 내내 점필재의 학문과 사상을 제대로 계승하고 천양(闡揚)할 수 있는 세력의 쇠락을 의미하는 것이다. The paper considered the cause of the decline in the academic circle of Gim Jong-jik, Park Han-ju and Sin Gye-seong in Miryang, the hometown of Gim Jong-jik. In the early Joseon period, after Gim Jong-jik. masters of Learning of Dao in Joseon, such as Gim Goeng-pil, Jeong Yeo-chang, Bak Han-ju and Gim Il-son to Jo Sik and Sin Gye-seong appeared, forming an academic belt that led to Miryang, Changnyeong, Hyeonpung, Cheongdo, Hamyang, Jinju, Hapcheon and Sancheong, dominated the Hegemoni of Yeongnam Confucian School. However, when Jeong In-hong was defeated politically along with Injo Restoration, Hegemoni of Yeongnam Confucian School moved from Miryang and Sancheong to Yean and Andong, which brought the decline of the Confucian scholarship in Miryang region, which was a strong foundation of the school ties of Gim Jong-jik. Moreover, as the view of Learning of Master Zhu considered as correct learning has narrowed, the legitimacy of the Joseon Learning of Dao was threatened which was founded by Gim Jong-jik. In particular, families that have collapsed or disappeared due to Injo Restoration and "reverse" incidents are believed to have advanced to the center through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or have had wealth and fame, which have been seriously hurt by ‘coup’. As a result, many scholars of Miryang abandoned the academic belt that led to Jo Sik, Sin Gye Sung, Gim Yu, Jeong In-hong, and Jeong On, and switched to Toegye School under the medium of Jeong Gu. The Changnyeong-Jo family of Jo Gwang-ik and Son's Milseong-Son family of Son Gi-yang are believed to have played medial roles in the process, and Park Su-chun is believed to have led. This period situation has led to the disappearance of a follow-up generation that will succeed and develop the academic and thought of the Sin Gye-seong. At the same time, this signifies the decline of the power that can properly inherit Gim Jong-jik's studies and ideas throughout the late Joseon Dynasty.

      • 우암(尤菴) 송시열(宋時烈) 가문의 계보(系譜)와 가학(家學)

        이영춘 ( Lee Young-choon ) 한국계보연구회 2014 한국계보연구 Vol.5 No.-

        尤庵 宋時烈(1607~1689)은 조선후기 200여 년간의 性理學과 政治史에 크나큰 영향을 남겼다. 그가 주창했던 春秋大義의 기치는 17세기 중반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의 관료와 지식인들에게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그것은 19세기 말 외세 침략기에 저항 정신이 되기도 하였다. 우암의 가문에 대해서는 아직도 제대로 연구된 것이 없으므로 여기서는 그의 선대와 후손들의 계보를 살펴보고, 후손들의 家學 계승이나 정치 사회적인 활동을 검토해 보았다. 우암은 親子가 일찍 죽었으므로 5촌 조카 宋基泰를 입후하여 가문을 이었다. 宋基泰에게는 다섯 아들(殷錫, 疇錫, 茂錫, 淳錫, 晦錫)이 있었으므로, 우암의 후손 가문은 대단히 번성하게 되었다. 이 다섯 명의 손자들이 바로 우암 후손 가문 각 파의 중시조가 되었고, 그 아래에 수많은 자손들이 배출되었다. 우암 송시열의 정치사상과 춘추대의 정신은 그의 성리학과 함께 후손들에게 家學으로 전승되었다. 우암의 후손들 중에는 훌륭한 학자들이 많았지만 학계나 정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많지 않았다. 그들 중에는 遺逸로 徵召된 분들도 많았고, 高官에 오른 분들도 많았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벼슬에 나가지 않고 재야에서 학문을 닦고 여론을 주도하면서 조용히 살았다. 그들은 선조의 정치사상과 이념을 계승하고 실천하였다. Song Siyeol(1607~1689) whose pseudonym was Woam(尤庵) was a great scholar in later Choseon dynasty. His academic and political thought influenced profoundly for more than 200 years afterwards. His spiritual ideology of the Confucian justice prevailed all through the dynasty, especially in the period of Japanese invasion in 19th century. Though much studies have been done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and political thoughts, it might be a deficiency that few investigation has done on his family backgrounds and the activities of his ancestors and descendants which is essential to understand him. This study focussed on the genealogy of his family lineage and on the activities of descendants all of whom was so much enthusiastic to inherit the spirits and thoughts of their brilliant ancestor. As Song Siyeol had no son grown up, He adopted Song Gitae who had 5 sons and 1 daughter. So Song Siyeol had a large family, and owing to his economic and social properties his descendants were flourished very much afterwards. Each of the five grandsons made their own sub lineages which had thousands of family members. There emerged many high officials and good scholars from the family. But they were very prudent to live silently, and would not eager to do important roles in politics though they were in high positions. Instead they were rather eager to take over the spirits and the ideologies of the Confucian justice of their ancestor Song Siyeol, which became the family tradition to followed up and to hand down forever.

      • 한국 종가음식의 문화적 의미와 가치

        주영하 ( Joo Young-ha ) 한국계보연구회 2012 한국계보연구 Vol.3 No.-

        이 글은 최근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는 종가음식에 대해 그 문화적 가치와 의미가 무엇인가를 탐색하는 데 목표를 두고 서술되었다. 고대 중국에서 시작된 종법제도의 맥락을 살피고, 이것을 기반으로 조선시대 종가와 종가음식의 함의를 살폈다. 조선시대 종가음식은 다음과 함의를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 조선시대 종가음식은 지역의 여러 가문이 서로 연계하여 구성된 지역 공동체의 속성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종손과 종부의 친인척 관계에서 맺어진 음식의 조리법은 지역적 체계 속에서 공유되고 있었다. 두 번째, 지역적 체계 속에서도 종가마다의 예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4가가례(家家禮)’로 나타났다. 이 ‘가가례’는 종가마다 서로 다른 의례음식의 종류와 조리법을 만들어냈다. 세 번째, 성리학적 ‘식치(食治고와 ‘절음식 (節飮食)’의 관점 이 조리 법에 관통하고 있다는 점이다. 적게 먹고, 음식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관념이 종가음식에도 적용되었다. 네 번째, 종가의 상차림에 올라가는 음식의 식재료는 곡물과 채소는 물론이고 가금류ㆍ조류ㆍ어류가 망라된 식단 구성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간장ㆍ된장ㆍ고추장과 같은 장류와 각종 김치류는 종가음식의 맛을 좌우하는 소스였다. 하지만 일제시대와 농지개혁, 한국전쟁과 근대화와 같은 한국사회가 20세기에 겪어온 역사적 경험은 전근대시기의 종가가 유지되었던 사회경제적인 기반을 뒤흔든 사건들이었다. 이로 인해서 종가의 해체와 종가음식의 쇠퇴가 진행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가는 여전히 농촌에서 지속되고 있기도 하다. 21세기에 와서 지속되는 종가와 그들의 종가음식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몇 가지 조건이 요구된다. 첫째 불천위(不遷位) 제사를 모시는 조상을 가진 문중의 적장손(嫡長孫)이 거주하는 집을 종가라고 정의해야 한다. 둘째 농촌에 기반을 둔 종택에서 종가 구성 원이 거주하면서 각종 의례에서 소비하는 음식을 종가음식이라고 정의해야 한다. 셋째 가능한 범위 내에서 종가음식의 식재료는 종가가 위치하는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I want to focus on the cultural meaning and value of Korean head family(宗家)food that has lately become an social issue. Investigating the context of clan rule from the ancient Chinese era and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Joseon dynasty head family and food based on its clan rule. The head family food of Joseon has a specific meaning. First, it has the property of one regional community that connects several families together. Especially, the cookery is shared with the relative of the grandnephew and grandmother within the social system. Second,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bout courtesy in the social system shows ’Each Family Manners(家家禮)’.It makes each different ceremonial food and art according to the head family in each clan. Third, the conception of Neo-Confucianism influences the cookery of ‘food control(食治)’ and ‘food moderation(節飮食)’. This rule of small-eating and preventing disease applies to head family food. Fourth, the food materials in setting table contain a variety of food such as the grains, vegetables, poutry, fowls, and fishes. Moreover, the traditional Korean sauces like soy sauce, soybean paste, and red pepper paste and the kimchi group reflects the taste of head family food. However, the many events of 20th century of Korean society like the Japanese colonial era, agrarian reform, Korean war and modernization changed the pre-modem social-economic base sustaining the head family. This has resulted in the head family disorganization and the decline of head family food. Nevertheless, some head family has kept on their legacy in the rural areas. Such conditions like the following have been required to sustain the heritage of the head family and food in the 21st century. First, the head family is where the right grandson has persistent ancestral rites(不遷位祭祀). Second, the definition of head family food is the food consumed by the family members in the clan house based on rural area. Third, ingredients of head family food must be produced and obtained in the same region as much as possible.

      • 진양하씨 초간보(1608)를 통해 본 17세기 족보편찬의 유형 검토

        정수환 ( Jung Su-hwan ) 한국계보연구회 2012 한국계보연구 Vol.3 No.-

        진주를 토성으로 하는 진양하씨의 족보가 처음 간행된 것은 1608년(선조 41)이었다. 이에 앞서 개인적으로 자신의 직계 선조만 정리한 일종의 家乘은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나 이들을 종합하여 하나의 족보로 편집하고 이를 목판으로 간행한 것은 이때가 처음 있는 일이었다. 초간보인 『진양하씨세보』가 간행되었던 17세기는 여러 성씨들의 초간보가 간행되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진양하씨 초간보 간행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한 사람은 暮軒 河渾(1548~ 1620)이었다. 그는 1606년 족보를 편집하고, 1608년 내용에 대한 교정을 통해 간행 할 수 있다. 족보의 간기에 의하면 ‘1608년 가을 교정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교정에는 하경중과 성계갑이 참여 했음을 알 수 있다. 하혼이 족보를 편찬하고자 한 의도는 기본적으로 선조의 업적을 드러내려는데 있었다. 그러나 그 결과물이 미친 현재적 해석의 의미는 그의 의도를 뛰어넘는 것이었다. 첫째, 족보를 편찬하면서 남자 들을 중심으로 한 관계성만을 정리한 것이 아니라 어머니, 할머니를 비롯하여 딸, 사위 등 혼인을 통해 형성된 여성계열의 정보도 수록 했다. 이러한 내용을 수록한 족보를 ‘內外譜’라고 하며, 이러한 것은 남성과 여성이 대등한 사회적 지위와 가족적 입지를 지녔던 이 시기의 관념을 반영한 것이었다. 둘째, 족보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참여한 여러 인사들이 16세기에 산림으로 활동한 南冥 曹植(1501~ 1572)의 문인들로 구성되었다. 이로 인해 족보의 내용에 조식과 관련한 학통,혈연적 연결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진양하씨세보’에는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엽 영남우도 지역 지배층의 혈연적, 학문연 연결성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족보의 편찬과정에서도 이러한 지연, 혈연, 학연이 강하게 작용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성씨의 발원지인 진주(= 진양)를 지키고 있는 진양하라는 지연적 기반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그리고 15세기 이 성씨에서 배출한 대표적 관료이자 학자인 河演(1376~ 1453)을 정 점으로 그의 후손들에 대한 기록을 전개하면서 혈연적 연결성에 바탕한 친족간의 결집을 의도하고 있었다. 『진양하씨세보』는 하혼이 편찬, 편집을 주도하여 간행되었다. 그는 지연, 혈연, 학연적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자료를 수집 했다. 그의 결과물에는 단순한 계보인식을 바탕으로 한 조상 현양의 목적 차원이 아닌 17세기 초의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Jinyang Ha Clan’s genealogy was originally published in 1608 (the 41st year of King Seonjo’s reign). The clan is said to have originated in Jinju, Gyeongsang-do. Prior to this publication, individual family lineage records were made, but the Jinyang Ha Clan’s genealogy was the first to be compiled and printed using woodblocks, under the title of The Detailed Genealogy of the Jinyang Ha Clan. Notably, in the 17th century, various clans’ initial genealogies began to be published. The publication of the Jinyang Ha Clan’s initial genealogy was led by Ha Hon (1548-1620). He compiled a genealogy in 1606, and proofread and published it using woodblocks in 1608, the first work of its kind. According to the genealogy publication record, proofreading was conducted in the autumn of 1608, with the help of Ha Gyeong-jung and Seong Gye-gap. Ha Hon promoted his forefathers’ achievements through the publication of the genealogy. The output of the genealogy, however, is considered to have meant more than his purported purpose. First, in compiling the genealogy, he recorded not only male lineages, but also female lineages including mother, grandmothers, daughters and son-in-laws. This type of genealogy is called the paternal and maternal genealogy, which reflected the egalitarianism between males and females within families of those times. Second, editors for the compilation of the genealogy included various literati from the 16th century under the school of the famous regional scholar Jo Sik(曹植, 1501 ― 1572). This led the genealogy to contain much of the Jo Sik-related lineage and school. As such, the Detailed Genealogy of the Jinyang Ha Clan reflected much of the lineages and schools of the ruling class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offering ample materials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modem times. It was confirmed that such lineage and school influences were greatly reflected in the compiling of the genealogy. The genealogy was based on a clan which originated in Jinju. And, the genealogy described Ha yeon(河演, 1376 ~1453), a representative 15-century bureaucrat and scholar from this clan, and his offspring, thus attempting to further solidify kinship ties. In addition, the genealogy implied a connection with the disciples of Namyeong(南冥)Jo Sik(曹植). Ha Hon led the compilation, editing and printing of The Jinyang Clan Ha Detailed Genealogy, collecting extensive data through regional, lineage and school networks. His output was much more than a simple genealogy, reflecting Korean society in the 17th century.

      • 우복학단의 성격과 계보학적 갈래

        채광수 ( Chae Gwang-soo ) 한국계보연구회 2020 한국계보연구 Vol.10 No.-

        이 글은 우복 정경세의 문인 곧 우복학단의 형성 및 갈래와 그 성격에 대해서 다룬 것이다. 정경세는 화려한 관료생활, 양난 창의활동, 향촌 재건사업, 퇴계학파의 적통계승, 당색을 초월한 교유 등 당대 정치·사회적 위상에 대해서는 재론의 여지가 없는 인물이다. 그는 향촌에서 성리학에만 몰두한 산림과는 또 다른 유형의 관료학자였다. 그의 문인양성은 1600년(선조 33) 영해부사에서 파직되고, 여생을 보내기 위해 상주 우북산 서쪽에 별업을 조성하면서 본격화 된다. 그의 才望은 수학하려는 자들이 주변에 점차 늘어갔고, 이와 같은 문하생에 대한 정보는 『우복문인록』에 실려 있다. 『우복문인록』을 통해 검토한 우복학단의 성격은 크게 5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다양한 연령대의 문인들로 구성, ②지역적 범위가 정경세의 향촌 생활 반경과 합치되는 상주권에 주로 분포, ③다른학파와 상호 소통을 가능케 하는 중첩적사승관계의 문인 다수, ④혼인과 戚緣으로 얽힌 문인 포진, ⑤여타 영남 문인록에서는 보기 힘든 소·대과 합격자와 관직 역임자들의 높은 비율 등을 들 수 있었다. 우복학단의 갈래를 이해하기 위해 확연히 대별되는 남인계와 서인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다수인 전자 집단에서는 도남서원 추향과 운영권 장악을 통해 이황-류성룡-정경세로 이어지는 영남학통의 적전 계보를 정립했고, 우복학단의 거점 서원으로서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하였다. 또 18세기 후반 우복 별집과 연보간행, 우산서원 설립, 우북산 修契所를 설치 등의 현양 사업은 우복문인 후손으로서의 정체성과 계승의식의 또 다른 발로였다. 반면에 영남에서 서인계 성향의 문인이 배출되는 현상은 매우 특이하다. 소수 이기는 하나 이에 대한 검증은 정경세가 영남학을 계승하면서도 기호학을 수용한 융화적인 면모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었다. 또 영남 내 서인계 형성의 시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and branches of the Ubok Academy, a talent-fostering school led by Ubok Jeong Gyung-se. Jeong Gyung-se is an unquestionable person when it comes to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us of his time with various accomplishments, including flamboyant career as an official,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two wars, village rehabilitation work, succession of the principles of Toegye Academy, and social companionship beyond partisan politics. He was a different type of bureaucratic scholar from who classical scholars devoted to Neo-Confucianism without seeking a government position. His effort to foster talents began in earnest in 1600 (33rd year of King Seonjo's reign) when he was dismissed from Yeonghae Busa and built a villa in the west of Mt. Ubuksan in Sangju to spend the rest of his life. His scholarly talent and reputation brought a large number of those who sought to learn from him, which is described in the ‘Ubok Muninnok’. According to the Ubok Muninnok, the characteristics of the Ubok Academy can be summarized in five categories as follows: ①Comprised of literary men of various ages, ② regional coverage limited to the Sangju area, which is within the radius of village life of Jeong Gyeong-se, ③ many literary men with overlapping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disciples that allows interactive communications with other schools, ④ literary men linked with marriage and relative connections, and ⑤ higher percentage of those who successfully passed the state examinations and secured a government official post, unlike other Yeongnam Muninnok records. The study has examined the Yeongnam Academy and the Giho Academy that are distinctly differentiated from each oth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branches of the Ubok Academy. The former, which is a majority scholarly group, established the lineage of the Yeungnam Academy involving Yi Hwang, Ryu Seong-ryong, and Jeong Gyeong-se by securing the right to practice fall memorial service and operate Donamseowon Confucian Academy and solidified its position as the foothold educational institute of Ubok Academy. The establishment of the Ubok villa, publishing of annuals, establishment of the Usan Confucian Academ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Ubuksan Suseolso in the late 18th century were another manifestation to ensure the identity and sense of succession as the descendants of Ubok literary men. Meanwhile, the phenomenon of introducing literary men oriented toward Gihohak Study in Yeongnam region is quote uncommon. Despite being in small number, it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in understanding Jeong Gyeong-se’s tolerant aspect of embracing the Gihohak in a conciliatory manner while inheriting Yeongnamhak. It is also noted that it served as the beginning of establishing the Seoingye faction in Yeongnam.

      • 조선 왕실보첩에 나타난 친족 의식

        원창애 ( Won Chang-ae ) 한국계보연구회 2013 한국계보연구 Vol.4 No.-

        고려 후기 수용된 성리학은 조선 전기를 거치면서 학문적으로 성숙되고 심화하여 17세기 이후 일상적인 삶에까지 깊이 적용되고 실천되기에 이르렀다. 조선 전기에는 후한 풍속이라 중히 여겼던 전통 의식이나 제도가 성리학적 이념에 비추어 적용하고 변화되는 것이 바른 방향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조선 시대의 친족 제도와 친족 의식 역시 그러한 영향을 받았다. 조선 전기까지도 부계와 모계를 모두 중시하는 친족 의식이 17세기 이후로는 부계 위주의 친족 의식으로 변화되었다. 조선 시대 친족 의식의 변화를 잘 보여 준 것이 바로 왕실이다. 왕실의 친족 의식은 가장 오랫동안 전통적인 모습을 간직하였다. 전통적인 친족 의식을 담아서 편찬된 왕실보첩인 『종친톡』ㆍ『유부록』은 17세기 중반 이후 숙종 대부터 변화를 겪게 되었다. 『종친록』ㆍ『유부록』을 재편한 『선원록』의 편찬, 성리학적 의식이 그대로 반영된 『선원계보기략』을 위시하여 다양한 왕실보첩이 편찬되었다. 태종 대부터 편찬되기 시작한 『종친록』에는 男系만, 『유부록』에는 女系만 수록하여서 왕녀의 자손과 왕자 가계의 여계가 수록되어 있다. 『종친록』ㆍ『유부록』에는 역대 국왕의 6대손까지 수록되어 있다. 세종 대에 오복 제가 연구되고, 이에 의거하여 친족 관계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服親은 4대인 緦麻親까지이며, 5대 단문친은 同姓親이며, 6대에는 친속 관계가 끊어진다는『예기』의 설에 근거하여 친족 관계를 정의하였다. 친족 만이 수록되는 왕실보첩에 친족 관계가 끊어지는 6대손까지 실린 것은 법 제와 전통이 서로 상충되는 부분이다. 특히 여계를 수록한 『유부록』은 전통적인 친족 의식이 잘 드러나 있다. 중국적 관점에서 보면 복제와 관련이 없는 외증손ㆍ외현손은 친족이라 하기 어렵다. 그런데 『유부록』에는 국왕의 외6대손까지 등재되어 있다. 조선 전기 중국의 친족 제도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법제화하여 부계의 비중이 켜져 가고 있지만, 여전히 모계 친족도 중히 여기는 양측적인 친족 의식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성리학적 친족 의식과 전통적인 친족 의식이 양립하는 『종친록』ㆍ『유부록』은 17세기에 변화를 거치게 되었다. 그 단초는 『종친록』ㆍ『유부록』에 등재되어 있는 왕실 친족의 예우 문제와 『종친록』ㆍ『유부록』의 수정 문제 가 논의된 것이다. 효종 대에 『종친록』ㆍ『유부록』에 올라 있는 천인을 속 신하는 문제를 놓고 친손과 외손이 똑같이 적용될 수는 없다는 논의가 있었으나, 이미 보첩에 등재된 인물을 차별할 수는 없다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게다가 전란으로 소실되어 史庫에 보관된 것을 등사한 『종친록』ㆍ 『유부록』 수정 문제가 인조 대부터 지속적으로 거론되었으나 실행되지는 못하였다. 숙종 즉위 후에 마침내 『종친록』ㆍ『유부록』수정 작업이 시작되었다. 『종친록』ㆍ『유부록』으로 나뉜 왕실보첩을 재편하여 『선원록』이라는 이름으로 고쳤다. 또한 『선원록』 편찬에 최종적으로 참여한 서 인의 예학 경향이 왕실보첩에 반영되었다. 예학이 심화되어 갈수록 『가례』와 조선의 전통적인 관습과의 괴리를 어떻게 좁혀 갈 것인가 하는 것이 과제였다. 당시의 예학자들은 주자의 『가례』, 중국의 古禮, 그리고 조선의 전통적인 관습 등을 시의성에 맞게 합리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17세기 서인과 남인의 예에 대한 논쟁을 통해서 서로의 의견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긴 했으나, 시의성과 합리성을 추구하는 기본적인 시각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서인들은 전통적인 왕실보첩의 체제가 합리적인 양반가 보첩 체제로 수정될 수 있다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한 禮意識을 가지고 있었다. 중국의 고례나 『가례』에는 어긋나지만 전통적인 친족 의식에 따라 6대 내외손까지 실린 기존의 왕실보첩 체제를 인정하되, 왕실 남계 손의 수록 대수를 늘려서 여계 손과의 차별성을 드러내려고 하였다. 그 결과 이전의 『종친록』에 6대손까지 수록되었던 왕실 남계 가계를 9대손으로 늘여서 기록하고, 『유부록』에 기록된 여계 자손은 예전처럼 6대손까지로 한정하였다. 또한 보첩 내에 기록된 여성도 체제를 바꾸어서 이미 기록된 여성 이름은 사위의 이름을 기재하고, 그 아래에 細註로 처리를 하였다. 그리고 아녀자의 이름을 알아내어 보첩에 기재하기는 어렵다는 이유를 내세워서 기록되지 않은 여자의 이름을 기재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다. 이렇게 함으로써 ‘先男後女’, ‘詳內略外’의 원칙을 왕실보첩에도 적용하였다. It was presumed, by a rule of thumb, that the scopes of relatives or relative consciousness was not so much different from that of Chinese, because the neo - Confucianism had early been rooted as the ruling ideology of Chosun(朝鮮) dynasty. The following research, however, gradually has disproved this naive hypothesis that bilateral relatives of the previous dynasty, Koryeo(高麗), had changed into kinsman system. It was only around the 17th century which saw the transition from bilateral to unilateral, after many different features were accumulated in the research. Although the neo - Confucianism was imported around the late period of Koryeo dynasty, it took quite a long time to be full-fledged and practical in their daily lives, that is, from the 17th century around. In early days of Chosun, the traditional values were rather kept with the generous evaluation, ‘familiar custom’. But as the newly adopted ideology attained righteous position, they began to ratify all of the old values accordingly. The records of royal relatives also seem to reflect this sort of shift perspicuously. The records for king’s families show the transition in which early versions had conservatively preserved the old tradition for quite a long time. There are such materials remained until now for the royal families; ‘Relatives Records’(宗親錄), ‘Included Clans’(類附錄), ‘Essential Documents for Precious Blood’(廟原系譜/紀略), ‘Precious Blood Documents’ (增源錄) and ‘Records for Queens’(王妃世譜). Among them, ‘Relative Records’ and ‘Included Clans’ were drastically changed from the king Sookjong(肅宗) era, around the 17th century. That is, the ramified version of 'Precious Blood Document’, neo-confucian versions of ‘Essential Documents for Precious Blood’ and ‘Records for Queens’ had newly been edited. Their continuous enlarged versions allow us to detect which features were changed in this trend. ‘Relative Records’ list the lineage of sons (princes) and ‘Included Clans' contain daughters (princess) and additional grand daughters from each princes. Both materials delineate the 6th generations. The 4th king of Sejong(世宗) adopted ‘Five Land Divisions’(五服制) and regulated the royal relatives accordingly in the same way. Chinese ‘Canonical Script of Rites’(禮言己) says that the mourning close-relatives who should wear the most harsh garment(總麻親) expand up to the 4th descendents and the 5th nodes are allowed, only if for the same family name, to wear fine textile(袒免親). But the 6th generations onwards have no ties at all without any obligation. It is not clear yet why this peculiarity of royal genealogy reached up to the 6th nodes which was declared, by the neo -confucian ideology, not clans’ any more. 'included Clans’(類附錄) show the traditional meaning of relatives, because it still kept daughters lineages. The neo-confucian principle does not include maternal great children and great-great children who are exempt from wearing any special cloth because they are regarded not relatives any more. This does not explain why the royal genealogies kept the relative up to the 6th generations of maternal lineage. Moreover, ‘Included Clans’ fairly treat the offsprings the same way, regardless of paternal side and maternal side. Although some weight can gradually be observed more on paternal line, it can be stated that the old custom was more or less respected. It further kept some identity which sharply distinguished from aristocratic classes because female names were recorded independently. The normal way at that time was that the husband names were substituted to represent daughters throughout the whole period. The typical way to describe was the exact name of daughter which was followed by “this girl married to whom." It is not sure whether this template goes back to the previous dynasty or not. One of the earliest versions for high class genealogies, ‘Matrix of Haeju Oh Clans’(海州吳氏族圖), listed only son-in - law names which was assumed written in 1401. The bilateral model of clans began to change in the 17th century, when the cordial reception was at issue and the modification was dis cussed on ‘Relative Records’ and ‘Included Clans’ as well. The debate went on how slaves could become a commoner by paying for themselves, from king Hyojong(孝宗) era, but some persistently argued discrimination between direct discendants and maternal offsprings. But they agreed with no discrimination, only if already listed in the records, so as to pay respect to the customs. Only after the debate, in king Injo(仁祖) era, on issuing a copy production of royal records, due to destruction from several Chinese invasions(淸), there began at last to modify two records, as the king Sookjong(肅宗) was enthroned. The main points were imitation of literati styles, in which five or six rows were divided in each page of records and paternal maxims were authorized such as ‘First Males and then. Females’(先男後女) and ‘Precise for Males but Coarse for Females’(詳內外略). The coalitional edition was also published with the name of ‘Documents for Precious Blood’(增源錄). This order reflected the arguments from Western Party(西人) who took part in the edition at that time. Their urgent tasks were regulation between two different features from our tradition and from the new ideology. Although some disagreements were observed between Western Party(西人) and Southern Party(南人), they could successfully reach at consensus in which some ‘timely,and reasonable' measure counted in the negotiation of differences among ‘Family Ritual Norms’(家禮) written by Zhu Xi(朱熹, 1139~1200), Chinese old rites, and our traditional ones. The Western Party members kept some idea to merge two different systems. Although imported ideologies did not allow, the newly edition preserved the previous royal genealogy which included up to the 6th node of offsprings, while the discrimination was so attested that only male descendants expanded further up to the 9th node in ‘Relative Records’. The son-in-law names occupied the daughter nodes instead, while female names, for the time being, were inserted as a footnote. But they were ultimately removed, solely because they could not identify female names with ease. This is a way that the royal records also fit to the norms prevailed at that time; ‘First Males and then Females’ and ‘Precise for Males but Coarse for Fem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