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컨설팅이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

        김은지,강주리,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6 사고개발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earning consultation 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of college underachievers. The participants were 81 underachievers who warned scholastically at least once.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n=43) or the control group(n=38). The study was conducted for 8 weeks,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5.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participated in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but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learning consultation was provided with two modes: the personalized and the group consultation. The personalized consultation consisted of two sessions and the group consultation consisted of four sessions. Each session has an approximate duration of 120 minutes. All subjects were administrated both self-regulated learning scale and achievement motivation scale as pretest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xperiment, two independent t-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ing consultat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we discussed that what kinds of service do college need to provide to college underachievers. 본 연구는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학습컨설팅이 이들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기존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컨설팅 전문가로부터 검증받은 후 학습부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였다. K대학에서 1회 이상 학사경고를 받고 이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학습부진 대학생 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에서 학습컨설팅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43명)은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학생(38명)은 학습컨설팅에 참여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되었다. 학습컨설팅은 총 8주 동안 개인 학습컨설팅 2회, 집단 학습컨설팅 4회로 회당 120분씩 진행되었으며,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은 학습부진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및 성취동기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부진 대학생에게 어떤 형태의 서비스가 향후 제공되어야 할지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 학습컨설팅의 적용 및 효과

        윤소정(Yune, Sojung),전보라(Jeon, Bora),김회용(Kim, Hoyyo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플래너를 활용하여 중등학교기반 시간관리 컨설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B시의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3개교의 총 1911명 학생이다. 연구 방법은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학습컨설팅을 적용하고, 학습컨설팅의 결과 평가와 과정 평가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결과와 질적 결과 모두를 분석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학습컨설팅의 양적 결과 분석에는 이원변량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질적 결과 분석에는 의미단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시간관리 학습컨설팅 모형은 도입-진단-실행계획수립-실행-종결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학습컨설팅의 적용은 3개월에 걸쳐 12명의 컨설턴트들이 투입되어 진행되었으며, 플래너 점검과 피드백, 학부모·교사·학생 연구, 온라인 사이트 운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학습컨설팅을 통해 학습플래너 작성 능력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학습플래너의 유용성 인식과 학습플래너 사용 증대 결심, 시간관리 능력 제고, 성적 향상 믿음에서 의미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학교와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플래너를 활용한 시간관리 학습 컨설팅이 중학생에게 의미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time management secondary school consulting model and examine the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A total of 1911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four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in “B” city. A method of learning consulting model was developed using planner execution, and evaluation through the process of consulting. The results of the effects were analyzed. This study used a mixed-design study. For quantitative approach, two-way ANOVA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For qualitative approach, a semantic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time management consulting model was composed of an Introduced-Diagnosis-Implementation Plan-Do-closing process. Second, the three-month consult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sultants has been introduced to 12 people. Inspections and feedback planners, parents, teachers, student research, and an online site operation were conducted. As a result, learning planner's ability to create change through learning consulting was achieved, but it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timing. Usefulness of learning awareness and learning planner increased with determination, time management skills, and improving grade enhancement. These effects were significant in the faith,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he gender difference was due to the interaction.

      • KCI등재후보

        학습 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형정은,정명화 대한사고개발학회 2010 사고개발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 tion program" on for the college student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program will be proceed by the combination of direct consultation and nine times of indirect consultation, so called "integrated learning consultation". This study was used 'mixed-design study'. First of all quantitative approach was used: First, self-regulated learning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n, the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econd, to underst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ubjects, grade point averages (GPA)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examined by using the paired sample t-test. Third,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surveys. For qualitative approach, FGI about the program had been made for the accurate judge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several aspects to consider. First, the lev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s participating the program were significantly lower. Second, subjects’ levels of Academic Achieve- m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ird,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s acquired learning strategy and evaluating current learning skill were useful, but effort for learning skill and learning disability was not enough to fulfill the demand. Last, analyzing the contents of FGI showed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self-regulated learning skill, because it needs a certain amount time to make it as habbit. With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paper provides the discussion of the effects for th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by processing the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전문대학 학생의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의 D전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3월 15일부터 5월 24일까지 1시간 30분씩 총 9회의 직접컨설팅과 60분씩 총 1회의 간접컨설팅으로, 직접컨설팅과 간접컨설팅이 통합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를 함께 사용한 혼합설계연구이다. 양적연구로는, 첫째, 자기조절학습 설문지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둘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파악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의 연구 대상의 전체평균평점을 조사하였고 이를 분석하기 위해 대응표본(paired sample) t-test를 실시하였다. 셋째, 만족도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연구로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과의 FGI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에 참가한 전문대학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 분석 결과 학습기술 전략 습득 및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학습법 평가에 도움이 되었지만 학습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노력과 학습장애요소 제거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FGI 내용 분석 결과 자기조절학습을 습관으로 형성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의 실시가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전문가 모형의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적용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효과

        윤채영(Chae Young Yun),윤소정(So Jung Yune),김정섭(Jung Sub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직 컨설팅 경험이 부족하여 학습컨설팅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지 않은 한국 학교현장에 적합한 전문가 모형 학습컨설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학습 및 행동문제 전문가인 학습컨설턴트는 학생들의 문제 진단과 개입에 대한 직접적인 실행을 학교로부터 의뢰 받아 학습컨설팅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진행하였다. 학습컨설팅 과정에서 학습컨설턴트는 의뢰대상인 중학교 신입생이 겪게 될 학업문제 예방과 새로운 중학교 학습환경 적응 및 학업역량 강화를 목표로 학생관찰과 면담, 예비 조사를 통해 문제를 진단하고, 실행계획을 설정하고 그 계획안을 의뢰학교 학교장과 담당교사와 협의를 통해 검토한 후, 개발된 학습전략을 컨설턴트가 직접 실행하고 평가하였다. 컨설팅의 전 과정은 Schein(1990, 1999)이 제안한 전문가모형 중 전문가가 진단을 주도하는 의사-환자모형과 실행을 주도하는 전문성구매 모형을 결합한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J중학교 1학년 학생 213명(실험집단)과 D중학교 1학년 학생 151명(통제집단)이었다. 실험집단에게는 창의적 재량활동시간을 활용하여 학습컨설팅을 중학교 입학 직후부터 한 학기동안(17주) 적용하였고, 통제집단 중학생들은 정규교육과정에 따라 다른 창의적 재량활동을 하였다. 학습전략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중다공변량분석(MANCOVA)을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학습전략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전문가모형 학교기반 학습컨설팅이 중학생의 학습전략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learning consultation based on the expert consulting model to 7th graders at the Korean boys` middle school and examine the effect on learning strategies. In a process of school based learning consulting, which is proceeded from problem screening, problem specification, choosing a proper. Learning consultant tried to figure out 7th-grade students` needs to acquire learning strategies because their new curriculums and learning environments of middle school are dramatically different from those of elementary school. Moreover, Research has demonstrated a strong link among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wa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A total of 364 male students in the 7th grade participated as subjects, of whom 21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ing implementation as experimental group and a further 151 subjects formed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s has taken a learning strategies education program to help the freshmen adjust at their new learning environment well. The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7 weeks at the first semester. Learning Strategy Scale was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 MANCOVA was conducted. Mean scores on learning strategy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but those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As a result, the preventive learning consultation appeared to help 7th grade students increased the level of learning strategies using. This result was expect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to adjust a new learning environment with educated learning strategies in the learning consulting.

      • KCI등재

        학사경고 경험 대학생의 학업적 특성과 집단 학습컨설팅 효과

        전보라(Jun Bo ra),강승희(Kang Seung hee),윤소정(Yune S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9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학업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을 대상으로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P대학의 학사경고 경험이 있는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 간 개인학습컨 설팅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총 13회기의 집단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과 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양적 결과와 질적 결과 모두를 분석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개인학습컨설팅의 결과와 집단학습컨설팅 후 성찰노트의 결과 분석은 질적분석방법인 의미단위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집단학습컨설팅의 양적 결과 분 석에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학 습전략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통합적 방법의 학습전략 향상을 위한 집단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학사경고 경험 대학생의 적극적 학습전략 개발에 의미 있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having academic probation experiences and to examine the effect on learning consultation for development of active learning strategies. A total of 22 students having academic probation experience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P University. The Study period is 2 month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3, provided to individual learning consultation. After being a individual learning consultation, the group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of thirteen session. This study used a mixed-design study. For qualitative approach, a semantic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quantitative approach, t-test was conducted.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individual learning consulting was able to identify academic difficulty of University students having academic probation. Second, Group learning consultation program has a meaningful effect to improve the learning strategies of students. Through this study, we are identified to learning consultation bring to meaningful effects on the development active learning strategies of university students having academic probation experiences.

      • KCI등재

        학습컨설팅 운영에서 한국교육심리학회의 역할과 과제

        박병기(Byung Gee Bak)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한국교육의 문제는 끊임없이 심화되고 확장되고 있다. 학습컨설팅은 한국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교육심리학회(KEPA)가 주도하는 새로운 교육운동이다. 이 글의 목적은 학습컨설팅의 시작과 정착 그리고 발전과 관련하여 KEPA의 역할과 과제를 조망하는 것이다. 첫째, 학습컨설팅의 운영에 있어 KEPA의 역할이 출범, 관리, 평가, 그리고 가교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공식적으로는 2011년 하반기에야 출범되었지만, 그 배경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KEPA의 지속적인 관심이 있었다. KEPA는 향후 학습컨설턴트 자격증 관리뿐만 아니라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효과를 질적으로 향상시켜야 하는 책임을 진다. 학습컨설팅의 질관리를 위해서는 학습컨설턴트의 활동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학습컨설팅이라는 교육운동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KEPA가 학습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과 단체들의 가교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둘째, KEPA의 과제가 발전, 심화, 연계, 창출 등 네 가지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KEPA는 학습컨설팅의 내용과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는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KEPA의 근본은 학술단체이므로 이에 걸맞게 학습컨설팅 관련 학술연구를 심화시켜야 한다. 학술단체로서의 KEPA와 교육기관으로서의 각 대학(원)은 교육과정을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학습컨설팅 시스템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다. 학습컨설턴트의 자격증은 그의 생계와 연결되어야 실효성이 있을 것이므로, KEPA는 자격증에 적합한 직업을 창출하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이 글의 말미에는 KEPA가 지향하는 학습컨설팅의 모습이 학습문제를 보는 두 가지의 관점, 즉 복합성과 메타문제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Educational problems in Korea have been continuously being deepened and expanded. A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is a new educational movement initiated by KEPA(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overlook the roles and tasks of KEPA in the management of this system. First, the roles were overlooked in view of beginning, administration, evaluation, and bridging. Although the system of learning consultation formally began in late 2011, the KEPA had shown a consistent interest in it for several years. KEPA should administer the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ith quality control. For the quality control, evaluations are needed on the performance of learning consultants. For the success of learning consultation movement, KEPA should act as a bridge connecting all the persons and institutes interested in learning problems. Second, the tasks of KEPA were overlooked in terms of development, enrichment, connection, and creation, KEPA is needed to incessantly develop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arning consultation. As an academic organization, KEPA should actively study about learning consultation in academic ways. KEPA should search a reasonable way to connect tracks of learning consultation with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KEPA should pay a great effort to create the earning jobs appropriate for the certificate of learning consultant. The last part of this article was filled with the feature of learning consultation system which KEPA ought to pursue.

      • KCI등재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전보라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nline learning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arning consulting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to derive its meaning. To this end, learning consulting was conducted on 14 students of P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Colaizzi. Specific findings include: First, in the context of online learning, university students were having difficulty using efficient time management. Second, university students were suffering from problems of maladjustment in online learning, such as poor concentration, a fear of assignments and test management. Third,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declining sense of existence due to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this study results, we were able to broaden the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online learning experiences and understand what aspects of learning support are needed for online learning. It also proposed ways to support learning at the university and new directions for learning consulting.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학습컨설팅에 참여한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을 밝히고 그 의미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학년도 1학기 P대학의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대학생들은 효율적인 시간관리 활용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은 집중력 저하, 과제 및 시험 관리에 대한 두려움과 같은 온라인 학습의 부적응 문제를 겪고 있었다. 셋째, 대학생들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교수와 학생 간 소통의 부재로 인해 현존감이 감소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및 이해를 넓히고, 온라인 학습에 있어서 어떤 측면의 학습지원이 필요한 지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대학 차원에서의 학습지원 방안과 학습컨설팅의 새로운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

        김소영,최지만,김정섭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를 대상으로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여 이들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A초등학교 4, 5학년 학습부진학생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윤채영, 김정섭(2010)이 제시한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과정에 따라 학습컨설팅을 실시하였다. 대상학생에 대한 정보수집과 문제분석을 위해 진단검사는 학습능력진단검사와 주의집중능력검사 등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진단검사 결과와 문헌연구, 학교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집중력 관리 중심의 학습컨설팅을 실시하기로 결정하고 맞춤형 개입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은 학습부진의 주요 원인인 집중력 관리를 주제로 보조적인 학습전략을 추가하여 구안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하여 10주간 학습컨설팅을 적용하였으며, 주의집중능력검사를 사전 ․ 사후에 실시하여 공분산분석(ANCOVA)를 통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주의집중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컨설팅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주의집중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ty the effects of learning consultation on the management of concentration for underachieve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30 underachieved students in the fourth and fifty grades. Learning consultation was carried out based on model of school based learning consultation(Yun & Kim, 2010). To diagnose and analyze students’ problems, two instruments were adopted: Learning Ability Diagnosis Test and Concentration Ability Test. With the result of the diagnosis, documentary research, and school’s need, it was determined to apply learning consultation for enhancing the management of concentration and to make the intervention program on demand. The learning consultation was performed for 10 weeks, and carried out Attention Concentration Ability Test(Lee, 2011) to analyze the effect of learning consult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otal score, visual attention, aural attention, and continued concentration except learning concentration.

      • KCI등재

        대학 플립러닝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 컨설팅 도구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김미화 ( Mihwa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1

        이 연구는 대학교육 현장에서 교수자가 플립러닝을 도입ㆍ운영한 수업에 대해 수업컨설턴트가 실제적이고 체계적으로 수업컨설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학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를 개발ㆍ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대학 플립러닝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요 교수학습 전략과 적용 사례, 그리고 플립러닝 수업 컨설팅에 관한 주요 문헌들을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수업 단계(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에 따라 확인해야 하는 사항은 분석문항으로, 분석문항을 활용하고자 할 때 점검해야 하는 부가설명들은 각 문항의 하단에 괄호로, 분석문항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참조해야 하는 자료목록은 해당 문항 옆에 분석대상 자료로 내용을 구성하여 대학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수업컨설팅 도구 초안은 2차례에 걸쳐 전문가 5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검증받은 분석도구가 실제 수업컨설팅 현장에서 적용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업컨설팅 경험이 풍부한 수업컨설턴트 5명을 대상으로 외적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총 21개의 문항이 대학의 플립러닝 수업컨설팅을 위한 분석 문항으로 선정되었으며, 실제로 활용 가능한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도구 양식이 개발되었다. 결론적으로, 자기수업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의 활용 가능성, 분석하고자 하는 수업의 특성에 따른 수업컨설팅 도구의 융통적 활용,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위한 충분한 자료의 제공, 다양한 분석자료 활용의 필요성, 분석문항별 상세 안내를 위한 부가 설명의 적절성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to support consultants to perform practical and systematic consulting on flipped learning instructions designed and implemented by university professors or instructors in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on the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for flipped learning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it was developed a draft of a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based on items that can analyze the instructional phases of flipped learning (pre-class, in-class, after-class), the additional guides for each items, and a list of materials to refer for confirming the content of instructional consulting. The draft of the developed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was validated twice by 5 experts in the field of flipped learning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in higher education. In addition, the external validity was implemented by 5 instructional consultants with experience in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to confirm whether this tool is applicable in the actual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final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with 21 items for analyzing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was developed. Finally, it was discussed about the applicability as a tool for self-instructional consulting, the flexible use of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too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ions, providing various instructional resource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the necessity of using various list of materials, and the appropriateness of additional guides for detailed explanation of each item.

      • KCI등재후보

        자기조절 학습컨설팅이 초등 읽기학습부진 사례의 읽기능력과 국어과 성취에 미치는 효과

        김라견(Ra-Kyun Kim),이명숙(Myung Sook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G시 교육청 소속 N초등학교 소규모 3학년 학급 전체 7명 가운데 읽기학습부진 학생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기조절 학습컨설팅이 이들의 읽기능력(독해력과 읽기유창성)과 국어과 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컨설팅의 절차와 과정에 따라 이루어진 기초선 관찰과 사전 평가에서 연구대상자들은 학습전략사용, 학습동기 및 학습부진 요인에서 서로 상이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학생의 요구에 부응하는 개별화 자기조절 학습컨설팅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적용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전후검사설계(single subject pre- and post- test design)를 변형적으로 사용하여 자기조절전략, 독해력, 읽기유창성, 그리고 국어과 수행에 대한 성취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단순히 양적 분석에서 얻을 수 없는 읽기학습 행동에 대한 관찰과 면담 자료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 학습컨설팅 활동이 읽기학습부진아의 읽기능력과 국어과 성취의 점진적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증거기반 개별화 자기조절 학습컨설팅이 읽기학습부진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아마도 가장 중요한 것은 증거기반 학습컨설팅이 교실수업의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적용된 점이며, 학습컨설팅은 학생의 학습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책무성 이행의 수단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consultation on reading ability  and Korean language curriculum-based performance of reading underachievers. Three students from N  Elementary School in the North Gyeongsang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consultation processes, and  each student had different reading problems such as lack of learning strategy, learning motivation, and reading  ability. Individualized consultation procedures were followed and a total of 10 interventions were implemented for three  students. Each instruction time lasted 40 minutes. In this study single subject pre- and post- test design was  adopted, before executing self-regulated learning consultation for each student, pre-tes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reading ability(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fluency) and Korean language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observation log. After finishing the interventions, post-test of reading ability and Korean  language performance (4 times) were assessed. The results show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consultations were effective for improving reading ability for  reading underachievers. Moreover, the results of Korean language performance were enhanced progressively.  Therefore, self-regulated learning consultation appeared to be a good-fitting tool for underachiever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provides a model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lassroom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