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예측요인과 학업열의 분석

        이성원 ( Lee Sung Won ),주지선 ( Ju Ji Su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2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여 예측요인을 살펴보고,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열의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학교 1학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총 2,394명이다. 청소년의 여가시간으로 독서 시간, 운동 및 신체활동 시간, 매체 이용시간, 친구들과 노는 시간을 투입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예측요인으로 개인, 가정, 학교 요인을 투입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업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3개로 나타났으며, 각 집단을 저여가 집단, 유희·오락 집단, 지식·활동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예측요인은 성별, 건강상태, 성적 수준, 부모의 비일관성, 학교생활 만족도, 친구 관계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시간 활용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학업열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업열의는 지식·활동 집단, 저여가 집단, 유희·오락 집단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사점: 본 연구는 청소년의 여가시간 활용을 사람중심 접근으로 분류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학업열의를 높이기 위한 여가시간의 활용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rive latent profiles based on adolescents’ leisure time use, examine predictive factors for each latent profile, and identify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based on latent profiles of leisure time use. Methodolog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year of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KCYPS 2018. And a total of 2,394 students were analyze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y inputting reading time,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time, media use time, and playtime with friends as leisure time of adolescents.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putting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as predictive factors for the latent profile.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Findings: The latent profiles based on adolescents’ leisure time us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low level leisure group, play/entertainment group, and knowledge/activity group. The predictive factors for the latent profile of leisure time use were gender, health condition, grade level, inconsistency in parenting attitude,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engagement according to latent profile of leisure time use. Academic engagement was highest in the knowledge/activity group, the low leisure group, and the play/entertainment group in that order.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ssified the adolescents’ leisure time use as a people-centered approach. And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use of leisure time to increase the academic engagement of adolescents.

      • KCI등재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잠재프로파일 분류와 예측요인 검증: 자녀 집행기능곤란의 차이

        조현지,허무녕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23 복지상담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잠재프로파일 별 자녀 집행기능곤란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잠재프로파일의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으로서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패널(PSKC)의 13차 년도 조사에 참여한 부모와 자녀 등 595가구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은 3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저위험 집단’(25.9%)과 ‘중위험 집단’(53.4%), ‘고위험 집단’(20.7%)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별 자녀의 집행기능곤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집행기능곤란은 ‘저위험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두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정서조절곤란 프로파일 분류에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잠재프로파일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연구들과 논의하고, 결론적으로 부모의 정서조절곤란을 해소해주기 위해 정서조절곤란의 수준에 따라 상이한 개입이 효율적일 수 있음을 함의로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ir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as the predictors an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these latent profi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5 parents an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13th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by latent profile analysis(LPA),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Mpuls 8.9 and SPSS 23.0. Major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ere three different latent profiles, named Low-risk group(25.9%), Mid-risk group(53.4%) and High-risk group(20.7%) were foun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the latent profiles. Low-risk group had the lowest score for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risk and High-risk group. Third,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of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can caus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y classifying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s’ emotion dysregulation and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etween the profiles.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existing research and conclude with the implication that different interventions may be effective depending on the level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order to address parental emotional distress.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유형 탐색

        김화록,김보현,박미경,이홍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8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childcare teachers with play support competence (PSC) and to describe each latent profile characteristic. Method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a survey to a total of 338 childcare teachers who were working childcare center in metropolitan. We composed PSC of childcare teacher into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PSC level. We analyzed latent profile, which is a person-centered approach, and based on the results, we categorized the PSC profile of childcare teachers and defined their characteristic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ive PSC profiles: the ‘low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related to play support, was 4.14% of all childcare teachers, the ‘low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low cognitive, affective, and practical competence levels, was 19.23% of all, the ‘medium PSC profil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37.28% of all, the ‘high PSC profil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2.78% of all, and the ‘highest PSC profile, which had ver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16.57% of al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PSC within the childcare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childcare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PSC.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PSC is requir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별특성을 규명하여 놀이지원역량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수도권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인지적, 정의적, 실천적 역량으로 구분하고,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사람 중심적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인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하여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인지적 역량, 정의적 역량, 실천적 역량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5개로 도출되었다. 놀이지원 관련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놀이지원역량 최저 집단’은 전체어린이집 교사의 4.14%,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낮은 ‘놀이지원역량 저집단’이 19.23%,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수준이 모두 평균수준인 ‘놀이지원역량 중집단’이 37.2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비교적 높은 ‘놀이지원역량 고집단’이22.78%, 인지, 정의, 실천적 역량 수준이 매우 높은 ‘놀이지원역량 최고 집단’은 16.57%로 분류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놀이지원역량과 관련하여 어린이집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 보다는 집단내 놀이지원역량 수준에 따른 다양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하고,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용한 잠재집단연구

        신택수(Tacksoo Sh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 교육평가연구 Vol.23 No.3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 LCA)은 특정 모집단에 존재하는 비관측 이질적 잠재집단을 추적하고 이들 집단과 관계있는 특성변인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연구문제를 효과적으로 논의할 수 있어 많은 행동/사회과학연구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LCA와 관련된 기술적 발전도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혼합모형기법(Mixture Modeling Technique)을 이용한 LCA는 군집분포의 형태에 따라 잠재집단의 수를 과대 또는 과소 추정할 수 있으며 수립된 모형이 복잡하거나 잠재집단의 수가 증가할 경우 결과의 불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리 알고리듬이 간명하고 분포도의 모양, 표본의 수, 다중공선성 등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종단프로파일분석과 군집분석을 이 용하여 대안적인 잠재집단성장분석을 시도해 본다. 연구는 총 1,916명의 미국 북서부 종단학업성취도 읽기검사를 바탕으로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 GMM)과 대안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잠재집단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두 접근 방법에 의해 각각 3개와 2개의 성장형태가 다른 잠재집단이 추출되었고 특수교육프로그램과 영어교육프로그램 을 수강한 학생의 경우 성장이 빠른 집단에 속할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두 접근방법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환경,자료의 형태 및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석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Latent class analysis(LCA) aims to uncover unobserved heterogeneity in a population and to find substantively meaningful groups of people that are similar in their responses to measured variables or growth trajectories(i.e., Growth Mixture Modeling; GMM). The use of this mixture modeling technique (MMT) has allowed for deeper investigation of a variety of substantive behavior/social science researches. Despite technical development and usefulness of LCA/GMM in practice, it contains several problems. Depending on shapes of aggregated distribution, this technique may over or underestimate the number of classes. Also, a complicated structure including small sample size and relatively large number of classes might adversely affect convergence rate and validity of statistical inferences. At this point, this study introduces an alternative latent class approach using longitudinal profile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Relatively simple mathematical algorithm under an alternative method could easily detect latent classes. Also, these statistical techniques are not dramatically influenced by distributional shape and sample size, as well as multicollinearity. With longitudinal academic achievement scores (n = 1,916) from a large urban school district in the upper Midwestern U.S., the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two latent class techniques. The GMM and the alternative latent analysis approach found respectively three and two latent classes tha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growth trajectories. Students who received the special education and English language program tended to report faster growth rat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as well as other pertaining issues for these two approaches are discussed. Lastly, this study is to alert applied researchers to selected analytical issues that are required for consideration in decisions to apply one of these two approaches based on research circumstances.

      • KCI등재

        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역량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LPA)

        이미지,지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This study examine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areer competencies amo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latent profile analysis(LPA). Data was gathered from 441 participa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answered items in battery of career competenc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atent Profile Analysis(LPA) was conducted to explor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latent profile. In result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by three latent profiles: (a) low service needs profile, (b) career support focused needs profile, (c) daily life support focused needs profil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n designing and applying career education and service support amo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역량 유형 및 특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11월 약 3주에 걸쳐 장애인 고용서비스 판정도구 검사지를 전국적으로 배포 및 수집하였으며, 지적장애인 441명의 검사 결과를 토대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여 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역량 유형별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지적장애인의 직업적 역량 유형별 잠재프로파일은 총 3개로 분류되었다. 잠재집단 1 ‘전반적 낮은 지원요구형 ’ 잠재집단 2 ‘직업생활 지원강조형 ’ 잠재집단 3 ‘일상생활 지원강조형 ’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인을 위한 고용 및 직업훈련서비스의 설계 및 적용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Latent Profile Analysis According to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un-Mi, Kim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of latent profile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ubject selection criteria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tent class. The survey data of 1072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male; 648, female; 424) in G city, Jeollabuk-do and the scale composed of 8 sub-factors: ‘SAT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orientation’, ‘pursuit of interest’, ‘teacher orientation’, ‘career development’, ‘others' recommendation’, and ‘subject availability’ were used for latent profile analysis and cross-analysis between potential lay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ubject selection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profiles. The four groups were named 'High Perception Type', 'Low Perception Type', 'Self-Directed Type', and 'Stability-Oriented Type' according to their typ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latent classes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subject selection criteria. These results can help identify the subject selection tendencies of latent groups in the oper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5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emphasizes the student-centered course selection curriculum and they can also provide customized course selection guidance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 KCI등재

        프로골퍼의 회복탄력성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른 자기관리, 운동능력믿음, 인지된 경기력의 차이

        박성무,허진영 한국체육과학회 2020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9 No.3

        This study is aimed at classifying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of a subgroup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f professional golfers and verifying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athletic ability beliefs, and perceived performance according to classified latent profiles. A total of 249 professional golfers from KPGA and KLPGA bas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perform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a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athletic ability beliefs, and perceived performance by classified sub-profile groups. In addition,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are set to α=05.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of professional golfers was classified into two latent groups, and the form of the latent profile was shown to be a high-level group that perceives psychological resilience at a high level and low-level group that perceives psychological resilience at a low level. Second,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rofil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 such as body management, interperson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p<.001). Third,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athletic ability beliefs based on the classified profil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factor such as real beliefs and incremental beliefs (p<05). Fourth,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ceived performance according to classified profile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p<05). The more psychologically resilient professional golfers are, the more flexible they are in dealing with and overcoming situations of unexpected adversity and ordeals.

      • KCI등재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에 따른 유형과 주관적 건강 및 종합적 행동 경향의 차이

        임영명(Young-Myoung Lim),김아람(Ah-Ram Kim),박지혁(Ji-Hyuk Park) 대한작업치료학회 202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2 No.1

        목적: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s Analysis, LPA) 을 통해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관련된 영향요인과 주관적 건강, 종합적인 행동 경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중고령자 300명을 대상으로 건강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주관적 건강(Self-Rated Health), 종합적인 행동 경향(Yonsei Lifestyle Profile-ABCD)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 자료는 LPA를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가치체계 특성에 따라 3개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낮은 건강 가치체계 (Profile1)’, ‘높은 건강 가치체계(Profile2)’, ‘중간정도의 건강 가치체계(Profile3)’로 명명되었다.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개인적 요인에서 교육 수준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종합적 행동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가 건강을 추구하는 유형일수록 일상에서 더 건강한 방식의 행동을 채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라이프스타일을 건강한 방식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가치체계를 고려한 개입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the healthy lifestyl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ze differences in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ubjective health, and comprehensive behavioral tendencies. Methods: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Self-Rated Health, and Yonsei Lifestyle Profile-ABCD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LPA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lifestyle value system dat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ofiles.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value system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Low Health Values System (Profile1),’ ‘High Health Values System (Profile2),’ and ‘Moderate Health Values System (Profile3).’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latent profile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jective health and overall behavioral tendencies among the profile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ioritize health in their value systems are more likely to adopt healthier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lue systems when design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aimed at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from a health management perspective.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보호요인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김건태,이수정,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4 초등상담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 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스트레스검사 아동청소년용(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Adolescents, IESS-A)을 전국 초중고 등학생 2,923명에게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 및 스트레 스 반응 간의 상관을 도출하고,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간에는 .21~.64 범위의 정적 상관 (중앙치 .33), 스트레스 보호요인과 스트레스 반응 간에는 -.36~-.16 범위의 부적 상관(중앙치 -.25)이 있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5개의 잠재프로파일(미분화, 평범, 저 보호적, 고 취약적, 고 보호적)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취약성 수준과 스트레스 보호요인 수준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개의 잠재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반응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 수준은 미분화>고 보호적>평범>저 보호적>고 취약적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척도(신체화, 우울, 불안, 분노, 공격행동) 수 준도 동일한 순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file types according to the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s according to them.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Adolescents(IESS-A) for 2,92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 derived correlations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and stress responses, and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o see how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interact to explain stress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stress response in the range of .21~.64 (median value .33),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protective factors and stress response in the range of -.36~-.16 (median value -.25). Second, we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As a result, 5 latent profiles (undifferentiated, ordinary, low-protective, high-vulnerable, high-protective) were deriv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derived latent profiles. Third,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 among the 5 latent profiles, we performed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hoc verific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 among each latent profile. The level of stress response was highest in undifferentiated>high-protective>ordinary>low-protective>high-vulnerable order, and the level of sub-scales of stress response also showed the same order. As a final poi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escribed.

      • KCI등재

        대학생활 참여 유형별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 및 대학생활 만족도 차이 분석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중심으로

        홍소정(Sojung Hong),심명정(Myungjung Shim),이윤수(Yuns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활 참여도에 따른 대학생 잠재프로파일을 식별하고, 프로파일별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와 대학생활 만족도 간 차이를 규명하는 데 있다. 방법 대학생 재정 지원, 대학생활 참여도, 대학생활 만족도 등을 조사한 한국장학패널(KOSAPS)에서 대학생활 참여도에 응답한 1,05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PA)을 적용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프로파일별 결과변수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3단계 접근법이 활용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대학생활 중 교과 및 비교과 활동 참여도에 따라 4개의 프로파일(비교과 우선 프로파일, 교과 우선 프로파일, 참여저조 프로파일, 참여 활발 프로파일)이 분류되었고, 재정(학자금) 지원 만족도가 높아지면 비교과 우선 프로파일보다 교과 우선 프로파일이나 참여 활발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고, 참여 저조 프로파일보다 교과 우선 프로파일이나 참여 활발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의 프로파일별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참여 활발 프로파일이 가장 높았고, 교과 우선 프로파일, 비교과 우선 프로파일, 참여 저조 프로파일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별 맞춤형 진로지도 방안 및 고등교육 재정 지원 정책 수립과 관련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latent profiles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financial support and with college life between the latent profiles.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of 1,051 university students from the 4th Korea Student Aid Panel Survey (KOSAPS) us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predictors and the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between the latent profiles were examined using a 3-step approach. Results We identified four latent profiles: extracurricular programs preferred profile,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low participation profile, and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We also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financial support,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and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than other profile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four profiles, the active participation profil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urricular preferred profile, extracurricular programs preferred profile, and low participation profil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