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청소년 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조현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빅데이터를 통해 청소년활동과 역량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역량 중심의 청소년활동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textom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 청소년+역량, 청소년+활동+역량을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두 번의 정제과정을 거쳤으며, 단어빈도를 바탕으로 상위 키워드 50개를 선정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해서 상위 키워드를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청소년 활동에 관한 사회적인 인식에는 봉사활동이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봉사활동과 연구가 청소년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밀접한 요인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으로서 봉사활동과 관련된 연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 역량의 빈도분석 결과, 청소년, 연구, 지원, 프로그램, 역량, 교육 순으로 빈도가 높았다. 에고 네트웍크 시각화에서는 교육과 프로그램이 청소년 역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어였던 청소년과 역량 키워드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청소년 역량과 관련해서는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춘 역량교육을 중요한 키워드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청소년, 활동, 역량을 모두 고려할 때, 사회적인 인식은 역량개발, 프로그램요소, 청소년 연구주제, 활성화의 4가지 토픽으로 대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역량 중심의 청소년 활동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자율동아리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청소년활동 핵심역량 차이분석

        김한솔,장여옥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9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자율동아리활동 참여특성에 따른 청소년활동 핵심역량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고등학교 중 자율동아리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두 곳의 일반 고등학교 청소년 176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과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청소년활동 핵심역량의 차이를 보였다.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보다 협업 역량에서 높게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 고등학교 2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해서 의사소통, 협업, 창의력, 사회정서, 진로개발 역량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율동아리활동 참여지속성, 참여유형, 참여기간, 참여정도에 따라 청소년활동 핵심역량은 차이가 있었다. 자율동아리활동의 참여지속성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이 높았다. 자율동아리활동 참여유형 중 청소년단체활동은 청소년의 의사소통, 사회정서, 진로개발 역량을 높였다. 활발하게 자율동아리활동에 참여한 청소년들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들보다 의사소통과 협업 역량을 높게 보였다. 반면에 자율동아리활동 참여기간에 따른 청소년활동 역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율동아리활동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참여활동이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동진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4

        배경: 본 연구는 청소년정책참여에 있어서 청소년들의 정책인지도 제고를 위해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청소년의 시설이용경험, 참여활동,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모색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에서 참여활동의 매개효과와 청소년활동 지원정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2018 청소년활동 참여실태조사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에 이르는 청소년 9,041명의 데이터를 SPSS 27.0과 SPSS PROCESS macro 4.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은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를 참여활동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참여활동의 관계를 청소년활동 지원정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과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의 관계에 있어서 청소년활동 지원정도는 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청소년활동정책 인지도 제고를 위해서는 청소년활동시설 이용경험, 참여활동의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청소년활동에 대한 가정, 지역사회 등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정책의 과제

        박선영 ( Sun Young Park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4

        2020년 코로나19는 한국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청소년기관이나 청소년현장에서의 청소년활동은 처음 겪는 코로나 여파로 매우 혼란한 상황에 처해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코로나가 촉발시킨 새로운 환경과 사회에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코로나가 촉발시킨 다양한 문제들을 문석하고, 둘째, 코로나 시대와 코로나 이후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지도, 청소년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유럽연합, 유럽평의회 공식 보고서와 관련 홈페이지의 문서를 활용하여 청소년현황과 실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유럽과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분석과 청소년기관이 처한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이해 및 대응 방안의 탐구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코로나19 이후 청소년활동은 디지털 청소년활동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이때 디지털 청소년활동은 디지털 기기를 바탕으로 한 대면활동과 비대면 활동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청소년활동과 청소년지도는 공교육의 중요한 파트너로서의 역할 확장과 재개념화가 있어야 할 것이며 정부 역시 청소년활동 생태계 보전을 위한 예산 지원과 정책 지원이 있어야 한다. Covid-19 has effected a lot in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youth centres and youth work agencies are having struggles in the management of youth work due to the for the first time experiences for all.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ways and development of youth work in the new era which had initiated by Covid-19. This study aims firstly, to investigated the issues around young people caused by Covid-19. The second aim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young people and youth work.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aims, this study analysed the official documents from South Korea Youth Work Agency, European Commission, and the Council of Europe. Research finding are firstly, there were universal problems of youth work around the world especially funding for the youth work management. Secondly, this research found that loc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governments should work together to overcome aftermath of Covid-19.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reconceptualisation of youth work such as digital youth work, and the support from the government to preserve and make youth work effective for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손진희 ( Son Jin-hee ),김지민 ( Kim Ji-min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여가활동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실천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66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여가활동 실태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여가시간은 평일 1-2시간, 주말 4시간이상이 가장 많았다. 둘째, 청소년들은 여가시간에 컴퓨터, 게임, 핸드폰을 주로 하였다. 이와 더불어 초등학생과 중등·고등학생 간 차이를 보았는데 초등학생은 여가시간에 운동을 한다는 응답이 더 많았고, 중·고등학생은 수면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셋째, 청소년들은 주로 집에서 여가활동을 하고 있고 PC방이나 노래방에 간다는 응답도 많았다. 넷째, 청소년들은 비용부담과 시설이나 장소의 부족으로 여가활동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섯째, 청소년시설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없어서 여가활동에 참여하지 못하고 있었다. 여섯째, 여가활동과 관련된 정보는 학교와 선생님, 친구, 선후배 등을 통해 얻고 있었다. 일곱째, 여가활동에 함께 참여하고 싶은 사람은 친구와 가족이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이 참여하고 싶은 활동은 문화-예술 활동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청소년 여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leisure activities of youths and present practical tasks for activating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m. To this end, 663 youths living in Gyeonggi-do were checked for their leisur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ths had the most leisure time of 1 to 2 hours on weekdays and 4 hours on weekends. Second, youths usually played computer, games, and cell phones in their free time.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as seen, with more respondents saying that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exercise in their free time, whil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aid they sleep. Third, youths usually do leisure activities at home and there were many responses that they went to PC rooms or singing rooms. Fourth, youth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leisure activities due to the cost burden and lack of facilities or places. Fifth, they were unable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because they did not have information about youth facilities or programs. Sixth, information related to leisure activities was obtained through school, teachers, friends, seniors and juniors. Seventh, it was friends and family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ogether. Lastly, the activities that teenagers want to participate in wer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ways to effectively utilize youth leisure.

      • KCI등재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

        주성숙 ( Joo¸ Seong Suk ),김정일 ( Kim Jeong Il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목적: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를 매개로 한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청소년들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이용하기 편리한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청소년시설 중 30개 시설을 선정하여 청소년지도사 279명과 선정된 기관에서 최근 6개월 내에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 중인 청소년 3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에 참여한 청소년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지도사가 인식하는 만족도에 대하여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총587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이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가설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두 채택 되었다. 둘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관계에서 변인간 모두 양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자아인식은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직무자체와 동료가 가장 높았다.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상관관계에서는 투명한 관계성이 프로그램 만족 ,시설 만족, 지도자 만족 모두에서 높았다. 또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직무자체와 보수, 시설 만족과 지도자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과 활동 참여 청소년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는 유의하였으며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에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와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은 활동 참여 청소년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적 관계모형을 바탕으로 청소년시설 대표의 진정성 리더십의 영향력 보다는 청소년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청소년지도사의 인식 만족도가 훨씬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authentic leadership on the satisfaction of the you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youth instructor's perception satisfaction as a medium. Methodology: Youth centers, youth culture centers, youth activity promotion centers, and other youth facilities that are easily accessible are selected, and 279 youth instructors and selected institutions have participated in or participated in activities within the last 6 months. It was conducted with 308 youths who are in the process. Findings: A total of 5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a measuring tool for the authentic leadership of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the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perceived by youth instructor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dopte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research hypothe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e effect of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youth facility representatives on the perception satisfaction of the youth instructor and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ting youth.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elf-awareness of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representative of the youth facility was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job self and colleagues of the youth leader's satisfaction with the perce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youth facilities' authenticity leadership and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the satisfaction of youth's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 facility's satisfaction, and the leader's satisfaction with the transparent relationship, and the job and the remuneration's satisfaction with the leader's satisfaction in relation to the awareness satisfaction of youth leader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Thirdly, the results of the sobel-test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ccurate verification of how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youth lea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 of the youth facility and the activity participation youth satisfaction level, and it was found that the perceived satisfaction of the youth leader was significant and played a partial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 authenticity leadership and the activity participation youth satisfaction level. Conclusion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wareness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leader and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representatives of youth facilities were the main predi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activity. Also, based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it was also shown that the awareness satisfaction level of the youth leader interacting directly with the youth rather than the authenticity of the youth facility's representative. Especially, it is meaningful that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the youth facilities representatives interacted with the youth participating in the activities. Through this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representative's authenticity leadership in youth facilities on the satisfaction of youth participation and awareness among youth leaders was know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find a prior study that was handled directly, so, various youth facilities presented authenticity leadership considering representatives and middle managers.

      • KCI등재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th Activities for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 Lee Hae Gyoung ),( Son Jin Hee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목적: 청소년활동현장을 탐색하여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추진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시설에서 근무하는 청소년지도자와 청소년관련학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청소년지도자 300명에게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한 청소년활동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확인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PA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결론: 첫째, 청소년활동현장이 고교학점제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 “전문지도자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다음으로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효율적 활동환경구축”,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실행하고 있는 것은 “전문지도자 활용”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진로활동 내실화”, “청소년활동 중심으로 수업 개선”,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 “온라인 공동교육과정운영”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요도가 높지만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중점개선 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타 기관 연계형 공동교육과정 운영”이 포함되었다. 고교학점제를 위해 중요한 요소이면서 청소년활동현장에서 충분히 실행되고 있는 유지강화영역에는 “다양한 활동개설”,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지역 기관 및 단체를 활용한 수업 운영”, “전문지도자 활용”, “효율적 활동환경 구축”이 있었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은 점진개선영역에는 “희망 활동 수요에 대한 사전 조사”, “과정중심평가 활성화”가 포함되었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가 높은 지속유지 영역에는 “개설 활동에 대해 청소년이 직접 신청”, “청소년활동 중심으로의 수업 개선”이 있었다. Purpose: We propose a promotion plan for the successful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exploring youth activities. Methodology: To this e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confirmed to 300 youth leaders and prospective youth leaders majoring in youth-related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IPA technique. Findings: First, it is most important to use professional youth workers to successfully prepar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youth activity field. Next, various activities, online joint curriculum operatio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establishment, and joint curriculum operation linked to other institutions were considered important. Second,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what is being implemented in the youth activity field to introduc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he use of professional leader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areer activities were internalized, classes were improved,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was established, and online joint curriculum was operated, focusing on youth activities. Third, looking at the IPA analysis results, opening various activities and operating other institutions-linked joint curriculum were included in the areas of key improvement that were important but not implemented. Areas of maintenance and reinforcement,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re fully implemented in youth activities, included opening various activities, operating classes using local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using professional youth workers, and building an efficient activity environment. The areas of gradual improvement, where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low, included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demand for desired activities and activation of process-oriented evaluation. In the areas of maintenance, which are low in importance but high in performance, there were Youth directly apply for opening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classes centered on youth activities.

      • KCI등재

        청소년 실태조사를 통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 모색 - 경기도 청소년을 중심으로

        권일남 ( Kwon Il Nam ),전명순 ( Jeon Myong Sun ),서재범 ( Seo Jae Bum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청소년의 청소년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론/접근: 이를 위해 청소년 2153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활동참여정도와 수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결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청소년활동 참여수준에 있어서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었고, 청소년시설을 알게 된 경로는 친구와 선후배를 통해서가 많았고, 청소년동아리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일반적활동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시설의 아쉬운 점으로는 프로그램의 다양성,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프로그램 부족, 홍보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활동 참여가 의미있고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에서 제공해 주기를 원하는 활동에는 심리적 자존감을 높여주는 활동, 편안한 쉼과 여가를 즐기는 활동, 사회적 약자지원 청소년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다섯째, 성별, 연령, 지역에 따라 청소년시설에서 제공하는 활동영역에 대한 만족 기대가 달랐다. 여섯째,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로는 진로체험중심의 시설과 스포츠특성화시설에 대한 필요를 가장 크게 요구하였다. 일곱째, 비대면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지만, 필요 장비를 다루는 법, 비대면활동 개발방법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또한, 경기북부와 경기남부의 청소년은 지역에 만들어지기를 원하는 시설(경기북부-스포츠 특성화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 경기남부-녹음, 제작이 가능한 활동시설, 진로체험 중심 특성화시설)에서 차이를 보였다. 시사점: 이러한 결과로 경기도 청소년들의 활동 참여와 청소년활동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Background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based on a survey on youth activities in Gyeonggi Province. Methodology/Approach: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53 adolescents about the degree and level of thei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Findings/Conclu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age in the level of youth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and the channels to know youth facilities were through friends and seniors and juniors, and youth club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and general activities were highly engaged. Second, the regrets of youth facilities were lack of diversity in programs, lack of programs that can represent the region, and lack of publicity. Third,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was recognized as meaningful and important. Fourth, the activities that the region wanted to provide were highly demanding for activities that enhance psychological self-esteem, activities that enjoy comfortable rest and leisure, and volunteer activities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Fifth, satisfaction expectations for the activity areas provided by youth faciliti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age, and region. Sixth, as facilities that were desired to be built in the region, the need for career experience-oriented facilities and sports specialized facilities was most demanded. Seventh, it wa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activities non-face-to-face, but showed difficulties in how to handle necessary equipment and develop non-face-to-face activities. In addition, youths in northern Gyeonggi and southern Gyeonggi showed differences in the facilities they wanted to be built in the region.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is, Gyeonggi-do youth's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direction of youth activit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이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김영애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0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6 No.2

        청소년기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다양한 활동을 들 수 있다. 다양한 활동에 있어서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가에 따라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고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맥락적 요인 중, 청소년의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이 진로발달 및 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YPS: Korea Youth Panel Survey) 데이터 중학생용 3차년도의 자료를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는 2010년 당시 초등학교1학년과 4학년, 중학교 1학년이었던 학생들의 전반적인 성장과 발달 과정을 2016년까지 7년 동안매년 추적 조사하고 자료를 축적해 나가는 것이 목적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3차년도(2012) 자료는 1차년도 조사결과 최종 표본으로 구축된 2,351명의 청소년들과 그들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자료이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의 다양한 영역의활동은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을 조성하는데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체험활동과 지역사회인식에서의 다양한 활동은청소년기의 자아 및 진로정체감 확립에 미치는 영향을 발견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이 자아실현과진로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인 합의가 필요하다. 셋째, 직・간접적인 지역사회 참여를통해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진로정체감을 개발하고 확립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와 타인에 대한 관심과 관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도 변화추이와 청소년 활동의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이응택,오승근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2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8 No.4

        배경: 최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과의존이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소년활동은 스마트폰과의존 예방과 치료현장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과의존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종단적 연구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활동과 스마트폰과의존의 관련성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스마트폰과의존 변화를 확인하고 청소년활동이 스마트폰과의존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남학생 1,401명(54.2%), 여학생 1,182명(45.8%)으로 총 2,564명이었다. 결과: 첫째, 청소년기 스마트폰과의존의 변화추이를 살펴본 결과, 선형적으로 스마트폰과의존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학교 시기의 청소년활동 참여횟수가 스마트폰과의존에 미치는 동시효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그러나 중학교 2학년 시기에 청소년활동 참여횟수는 스마트폰과의존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소년활동 참여만족도는 중학교 3학년시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연효과는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청소년활동 참여횟수와 중학교 2학년 시기의 스마트폰과의존의 관계에서 확인되었다. 시사점: 청소년기 스마트폰과의존 예방과 치료를 위해 청소년활동을 제공해야 한다. 특히 스마트폰과의존 예방을 위한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청소년활동은 스마트폰과의존 예방에 효과적임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