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30년 역사의 성과와 가정과교육의 미래 비전과 사명

        유태명,양지선,주수언,유난숙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flect on the 3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hereafter KHEEA) and to put forth a vision and a mission statement. To meet this purpose, first, reflection points were including the achievements of KHEEA for the last 30 years, the statu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mes of the bi-annual conferences of the Association, and the social contribu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s. It was revealed that research and instruction in home economics education thrived by addressing social needs through its efforts in its 30 years of history. Second, a vision and a miss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ere proposed in order to explore the prospectiv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sharing of vision and mission functions as an ideal value and goal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 profession should pursue, and it leads home economics professions to the direction that it should pursue. From this study, acting on a vision and a miss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a free individual, free society and sustainable environment, ultimately achieving the total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ociety, and environment. This study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rol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will become more prominent in the future society.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상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education researches on the housing in Korea and Japan. It was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inquiry, 49 articles(20 from Korea and 29 from Japan) were collected from 1989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housing education was not quantitatively enough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in Korean and Japan. Second, regarding research fields, there were lots of articles about ‘the perception of housing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Japan, articl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major fields. Third, the major research topic was ‘overall of the housing education’ in Korea, while ‘living space’ in Japan. Fourth, the major data collecting method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experiments, mostl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s were most often used for data analyses. 주제어(Key Words) : 주거교육(housing education), 연구동향(trends of research),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본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이 연구는 주거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창간 시점인 1989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회지의 발행 현황은 한국과 일본의 모두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일본의 경우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한국에서의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하다. 연구영역은 한국에서는 교과인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와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단원은 한국에서는 주생활 단원 전반이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일본 모두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시킨 연구가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한국은 조사연구의 비율이 실험연구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일본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 차이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비율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 연구대상의 범위가 다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규모는 한국과 일본 모두 300명대 이하의 연구가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분석방법은 두 나라 모두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신여성 방신영의 업적과 사회활동

        김성은 ( Kim Sung Eun ) 한국여성사학회 2015 여성과 역사 Vol.- No.23

        방신영의 『조선요리제법』(광학서포, 1917)은 1917년 처음 출판된 이래 수차례의 개정증보를 거쳐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장충도서출판사, 1960)이 33판으로 출간될 때까지 50여 년 동안 꾸준히 인기를 누렸다. 방신영의 주요 업적은 『조선요리제법』의 저술과 출판, 그리고 이 책의 진화(개정 증보)에 있다고 하겠다. 방신영이 처음 이 책을 출간했을 때 음식솜씨가 뛰어났던 어머니에게서 전해들은 요리법을 그대로 옮겨 기록한 것이었다. 『조선요리제법』은 이 책 자체만으로도 전통 가정음식의 집대성 및 체계화, 요리책(또는 음식조리법) 의 출판과 판매, 근대식 출판시스템을 통한 대량생산과 서점가 배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조선요리제법』은 근대식 인쇄 및 출판시스템에 의해 출간된 최초의 한국요리책이었다. 1670년경 이시명의 처 안동 장씨가 지은 한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41면)이 필사본 1책으로 전해진 지 240여년 만에 인쇄본으로 출간된 최초의 한국음식조리서로도 의의를 갖는다. 가정에서 계승되어오던 한국음식조리법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해 『조선요리제법』으로 저술한 이가 정신여학교를 졸업한 신여성이었다는 점도 흥미롭다. 늘 가까이에 있어 그 가치를 간과하기 쉬운 전통음식문화의 가치를 일찌감치 깨달아 집안 대대로 전해 내려오던 한국전통가정음식요리법을 구술로 풀어내는 어머니의 지식과 경험을 한글 기록으로 남겨 후대에 전한 이가 근대교육과 서구문물의 수혜를 받은 신여성이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후 방신영은 일본에 유학 가서 영양학을 전공했는데 영양학 지식은 식단 짜기 등으로 『조선요리제법』의 개정 증보에 반영되었다. 뿐만 아니라 방신영은 개정 증보된 『조선요리제법』의 말미에 서양음식 만드는 법도 부기해 가정에서 주부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전통 음식조리법과 근대 영양학의 결합, 전통과 근대의 조화, 전통의 근대적 계승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군다나 『조선요리제법』은 개정 증보를 거듭하며 어머니의 요리 지식과 경험에 바탕을 둔 조리법에 방신영의 요리 경험과 근대의 영양학 이론이 더해진 실전용 가정요리책으로 진화해갔고 그 명성과 입지가 한층 더 강화되었다. 방신영은 이화여자전문학교 가사과 교원으로 부임해 가사과와 가정학을 자연과학 계통의 고등교육과정으로 정립하고 여학생들에게 실습교육을 실시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방신영은 전통가정요리책을 저술하는 한편 여성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조선여성교육회에 참여해 활동하거나 직접 지역 현장에서 여자야학을 운영하는 열의를 보이기도 했다. 이후 정식 교사가 되어 정신여학교 교사로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로 교육현장에서 여학생들을 가르치는데 헌신했다. 뿐만 아니라 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YWCA)와 근우회의 여성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의 삶은 전통의 계승과 근대의식, 여성교육과 여권의식, 근대주부의 양성과 근대가정의 확산을 목표로 한 가정학 교육, 한국전통음식조리법의 근대적 체계화와 대중화로 요약된다. Bang Shin-Young was the professor of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of Ewha Woman`s College. Especially she was famous for the author of Korean cookbook for almost 50 years. She wrote Korean recipe book according to her mother`s oral statement. Her mother was a excellent housewife on the Korean dishes. The leader of Korean national movement and the teacher of Bang Shin-Young`s brother gave counsel to her advised, she began to write down her mother`s recipe on Korean food. She published her own Korean cookbook, fought for her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copyright against act of reproduction by lawsuit, and won. Her book was the first modern cookbook by mass printing technology. It became very popular on Korean people, was sold out, and was issued in a revised and an enlarged edition again and again for 50 years. The Korean cookbook was the required reading and cooking guidebook at Korean home, the textbook at girls` school and th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of Ewha Woman`s College, and the bestseller and steady seller in Modern Korea. The book was revised and enlarged by her own cook experience as the years rolled by. The meaning of the Korean cookbook and social phenomenon surrounding it was the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 culture and transforming new Korean modern culture. And she contributed to identifying Home Economics at Ewha as an academic and practical training. She has the sense of women`s rights and responsibility for improving Korean women`s illiteracy and low status as a New Woman and intellectual. So she performed her education service like establishing night school for women as a teacher and manager for free and participating actively in the association of Korean female education, YWCA and Geun woo Association. Additionally she established women`s employment agency and trained women about skill like knitting for earning money and improving her economic condition.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

        조재순,전미경,이윤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89,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has served as the premiere academic organization in the field, through the semiannual meetings, the journal, and other informal activities. The Association has played important roles in organizing the members and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in reacting to the many challenges that Home Economics Education in South Korea had to encounter due to the social and curricular changes. This study reviews the past 20 years' activities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in order to illuminate its accomplishments in terms of academic and non-academic activities. An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was conducted, followed by thorough analyses of the semiannual meetings, informal activities, and the journal. The article is also discussing future tasks that the Association would need to pay attention to and thrive to accomplish in order to continue serving its role of guiding the academic community. 1989년에 창립된 이래, 한국가정과교육학회는 학술대회, 학술지 및 다양한 활동들을 통하여 이 분야의 주요 학술단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사회적 환경 및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가정과교육이 맞게 된 다양한 도전과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하여 학회는 회원들을 조직화하고 학술공동체를 이끄는 노력을 해 왔다.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한국가정과교육학회의 활동을 검토해 봄으로써 학회가 이루어 온 성과들을 정리하였다. 특히 가정과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적 변화에 대하여 분석한 내용과, 지금까지의 학술대회 및 특별활동, 학술지를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학회가 주도적 역할을 계속 수행하기 위하여 앞으로 관심을 기울이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이윤정,김은정,김지선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The 586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between July, 2003 and December 2018 were examined using Neckinger 4, a social network analysis software.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measures(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were calculated for the words appear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and the centrality analysis and LAD(Latent Dirichlet Allocation) were conducted for the four sub-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words are parents, culture, unit, health, career, consumption, practicality, etc. The words such as parents and management scored high in degree centrality; parents and male students in closeness centrality; and male students and units in betweenness centrality. Second, when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words such as education, family, purpose, class, middle school, and school appeared most frequently across the periods; but some words such as ‘purpose’ (in period 3 and 4), or ‘process’ (in period 4) were salient only in certain periods. Third, the words with high centrality were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types of centrality within each period. Fourth, the topic analysis using LAD showed that curriculum, textbook, family healthiness, teaching-learning, evaluation, dietary life, appearance management, and consumption were the topics consistently appeared across all periods. The topics have become diversified and deepened. New topics such as teacher training and safety appeared in later periods, possibly due to the curriculum and national policy changes, and housing as a less represented topic is suggested as an area that needs further research atten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in that it allows researchers to identify the major research interests and the trends in research by researchers in home economic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