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만주사변’ 후 조선혁명군과 만주 중국 의용군의 연대활동 재고

        양지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7

        The Choseon Revolutionary Army, which was formed in 1929 based on the Korean community in South Manchuria, attempted to form an alliance with the northeastern army after Japan invaded Manchuria in 1931. It was Wang Dongxuan, who had long forged ties with the Korean revolutionary forces that had proposed solidarity. While working with Wang Dongxuan to organize the Liaoning People's Self-Defense Force, he proposed an alliance with Liang Shifu, who was leading the big city council to expand his influence, and formed the Liaoning Farmers' Self-Defense Force together. When Japan invaded Manchuria in 1931, the Northeast Anti-Japanese People's Salvation Association was organized in Beijing, and Tang Juwu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the Defense Force. The Northeast Anti-Japanese People's Salvation Association sent correspondents to Korean revolutionary organizations operating in the Northeast to form a full alliance, forward a anti-Japanese struggles against Japan and vacuum operations on the Korean border. The revolutionary forces of Korea and China, which formed the Liaoning People's Self-Defense Force, won the Japanese army greatly, including the Battle of Yeongneungga in April 1933 and the Battle of the Great Warrior in July. However, the Liaoning People's Self-Defense Force, which was already under the rule of Manchuria, fell into isolation, and Tang Juwu of the Liaoning People's Self-Defense Force decided to move to the jurisdiction to request assistance. As the activities of the Liaoning People's Self-Defense Force became difficult, the Choseon Revolutionary Army, which was active as the Liaoning People's Self-Defense Force, resumed its independent activities after recovering its original name. But the Choseon Revolutionary Army also had many difficulties in its activities. With the Korean community and Chinese support cut off, the troops were forced to live on bark and grass roots while hiding in deep mountain valleys or caves to avoid. Nevertheless, they persisted in their belief in independence and continued to fight back. The repeated large-scale siege of Japan and Manchuria has effectively put the Choseon Revolutionary Army on the verge of collapse.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remaining forces of the Korean Revolutionary Army decided to form an alliance with the Northeast Anti-Japanese Regiment affiliated with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1929년 남만주 한인사회를 기반으로 창설된 조선혁명군은 1931년 일본의 만주 침공을 계기로 조직된 중국 의용군과의 연대를 시도하였다. 오랫동안 한국혁명세력과 유대관계를 맺어 온 왕통쉔과 함께 요녕민중자위단을 조직해 활동하였으며, 이후 세력 확대를 위해 다시 대도회를 이끌던 량시푸에게 연대를 제안해 요녕농민자위단을 결성하고 활동하였다. 한편, 1931년 일본이 만주를 침공하자, 베이징에서도 동북항일민중구국회가 조직되었으며, 탕쥐우를 방어군 단장으로 추대하였다. 동북항일민중구국회는 중국 만주에서 활동하는 한국혁명단체에 특파원을 파견해 완전한 연대를 이루고 대일항일투쟁 및 한국경내에 대한 진공작전 등을 추진하였다. 요녕민중자위군을 결성한 한중의 혁명세력은 1933년 4월 용링제전투, 7월의 콰이다마오즈 전투 등 일본군과 싸워 큰 승리를 거두었다. 하지만 일본의 침략이 더욱 거세지며 요녕민중자위군은 점차 고립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총사령 탕쥐우가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관내로의 이동을 결정하면서 요녕민중자위군의 활동은 사실상 중단되었으며, 조선혁명군은 원래의 이름을 회복한 뒤 독자적 활동을 재개하였다. 요녕민중자위군 마저 활동을 중단한 뒤 조선혁명군은 더욱 큰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한인사회는 물론 중국 측 지원 역시 끊기자 일본의 추격과 공격을 피해 깊은 산골짜기나 동굴 속에 은신하면서 나무껍질과 풀뿌리로 연명하는 처지에 놓이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립에 대한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하지만, 일본과 만주국의 거듭되는 대규모 포위공격으로 사실상 붕괴 위기에 처했다. 결국 이를 타개하기 위해 관내로의 이동을 결정하였고, 그 가운데 일부는 중국공산당 계열인 동북항일연군에 합류해 항일투쟁을 계속해나갔다.

      • KCI등재후보

        윤리적 매트릭스를 활용한 2015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음식윤리 내용 분석

        양지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가정생활 영역에 나타난 음식윤리 교육내용 을 분석하기 위해 내용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윤리 내용은 생산 영역에서 총 44개, 유통 및 분배 영역에서 총 17개, 소비 영역에 서 총 89개로 나타났다. 제시방식은 전체적으로 사진·그림·표와 본문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 고, 보충자료와 활동과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식윤리 내용은 생산 영역의 웰빙 측면에서 먹 거리 안전성, 지속가능한 농업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공정성 측면에서 농민차별과 불평등, 식량 주권과 관련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유통 및 분배 영역의 웰빙 측면에서 로컬푸드(탄소발 자국), 먹거리 안전성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공정성 측면에서 공정무역, 유통산업 노동자들 의 노동시간과 관련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소비 영역의 웰빙 측면에서 건강한 식생활, 섭식장 애, 탐식·폭식·거식의 문제, 비만과 다이어트, 자율성 측면에서 슬로우푸드·패스트푸드·인스턴트푸 드, 음식문화와 음식 스타일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공정성 측면에서 새로운 먹거리 공동체, 음식선택권·음식격차, 윤리적인 소비와 관련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음식윤리를 통해 학생들에게 실천적인 인식을 높일 수 있고, 음식에 대한 지속 가능한 접근, 건강한 관계를 가르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각 영역에서 사진이나 그림보다는 본문의 진술을 높이고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들을 기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ddressing of food ethics in 2015 revised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 analysis conducted using ethical matrices and food ethics contents systems for research purpo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44 food ethics contents in the production area, 17 in the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areas, and 89 in consumption areas. The key presentation methods were photographs, figures, tables and text. Secondly, a broad range of ethical issues were addressed in food production, distribution, consumption, and processing activities. In food production, food-safety and sustainable agriculture were the key issues addressed. In food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local food(carbon footprint) and food safety were focused on. With regard to consumption, healthy food life, eating disorders, and food culture were explored. The ethical issues covered under each topic revealed that farmer' discrimination, inequality, and food sovereignty were not addressed under production. In addition, in the food circulation and distribution areas, fair trade and working hours of workers in the distribution industry were not addressed. Furthermore, in the consumption area, ethical consumption, food options, and food gaps were not addressed. Therefore, food ethics as ethical principles maximize practical learning to students and can facilitate the teaching of sustainable and healthy approaches to food, in addition to healthy relationships with food. Specific and accurate contents need be described through texts rather than pictures or photographs in each area.

      • KCI등재

        교사의 수정적 피드백 유형이 대학생의 쓰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학문목적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민족지학적 방법 활용 중심으로-

        양지선 국제어문학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6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corrective feedback (CF) type on improvement in the writing skills of undergraduate students. For this study conducted longitudinal research on learners’ writing tasks using ethnographic methods such as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the course of a 16-week program, changes in the learners’ writing skills and the pre- and post-feedback awareness of their writing skills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ree rounds of face-to-face and written feedback pertaining to the writing tasks was considered. An observational log of the learners’ writing changes and characteristics was also recorde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the learners preferred to receive written as well as direct (face-to-face) feedback. This is because of their perception that written feedback is a record that can be consulted at any time without any psychological burden. Direct feedback was familiar to learners because they had been receiving it since the beginning of their basic Korean language education, thus, developing their perception that direct feedback is a way to obtain accurate feedback immediately. By classifying the learners’ writing errors into vocabulary, grammar, content, expression, and composition, the parts of their writing that show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number of errors and improved writing were identified. It was found that learners with a clearer learning motive and similar learning purpose improved their writing to a large extent after receiving CF.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tructor designed the class and the motivation of the learners after the feedback process had an effect on the their writing ability.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repetitive CF from teachers is necessary for improving the learners’ writing skills because they interpreted the teachers’ CF as an interest in themselves. 본 연구는 교수자의 수정적 피드백 유형이 학부 유학생들의 쓰기 실력 향상에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자 학습자들의 쓰기 과제에 대해 관찰, 인터뷰 등민족지학적 방법을 활용한 종단연구를 하였다. 16주 과정의 수업을 진행하면서학습자의 쓰기 실력 변화와 피드백에 대한 사전, 사후 인식의 변화에 대해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과제를 대상으로 1차에서 3차에 걸쳐 대면 및 서면 피드백을 하여 글의 오류 변화와 내용, 표현, 구성 면에서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고 학습자의 변화, 특징에 대해 관찰기록지를 작성하였다. 학습자들은 대부분 서면 피드백과 직접 피드백을 선호하였는데, 서면 피드백은 기록이 남기 때문에 언제든 확인이 가능하고 심리적으로 부담이 없기 때문이라 하였고, 직접 피드백은 한국어 학습을 시작할 때부터 받은 피드백이라 익숙하고 정확한 피드백을 빨리 받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쓰기 오류를 어휘, 문법, 내용, 표현, 구성으로 분류하여 어떤 부분에서 오류의 감소와 쓰기 향상을 보였는지 살피고 학습자들의 쓰기 실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변인을 확인하고자 관찰 기록지를 작성하여 살핀 결과, 학습 동기가 분명하고, 목적이 같은 학습 구성원이 많을수록 쓰기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교사가 어떤 방향으로 수업을 설계하는지, 피드백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어떤 동기를 부여하는지가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엇보다도 학습자들은 반복적인 교사의 수정 피드백을 학습자 자신에 대한관심으로 받아들여 학습 의욕을 상승시키기에 교사의 반복적인 피드백이 쓰기향상을 위해 꼭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朴龍泰의 생애와 독립운동

        양지선 서울역사편찬원 2016 서울과 역사 Vol.- No.92

        Park Yong-tae was born in Mapo-dong, Hanseong-bu on February 14, 1888. Committed to independence movement, he defected to China in August 1917 and moved to Tianjin. After the move to Tianjin, he participated in organizing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and launched independence activities to greatly contribute to creating the basis of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region. When Bulbyeondan was organized as the first independence movement group in Tianjin region around March of 1919, Park Yong-tae provided the funds for organization. Also, as a manager of general affairs, he took charge of the group's operation funds, and was deeply involved in propaganda activities. Afterwards, he led the organization of the students' association, Korean Residents Union and Tianjin Korean Comrade Party. During his activities, Park buil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t Shanghai, and kept a position of pro-provisional government. However, in 1921, Park Yong-tae was suddenly arrested. After being in prison for three years, he was prohibited from staying in China and came back to Korea, mostl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related to Daejonggyo. In 1924, Park organized Daejonggyo Promotion Society to pursue the expansion of Daejonggyo by providing lectures and publishing doctrine books. After he went back to Tianjin, Park Yong-tae organized Tianjin Association for Joseon Grand Independence Party, and published Joseonjihyeol (the blood of Joseon) to propagate resistance policies such as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China. In fact after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in 1937, he helped collect information on Japanese military when Kim Gu launched confusion operations at the rear together with Chinese Kuomintang. Park Yong-tae passed away in 1938, a year of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박용태는 1888년 2월 14일 한성부 마포동에서 태어났다. 독립운동에 뜻을 두고 1917년 8월 중국으로 망명해 천진으로 이주했다. 천진 이주 후 독립운동단체의 조직과 활동에 가담하며 이 지역 독립운동의 기반 마련에 크게 기여하였다. 1919년 3월경에 조직한 천진지역 최초의 독립운동단체로, 불변단이 조직될 때 박용태가 조직 자금을 마련하고, 서무로서 운영자금을 책임졌을 뿐만아니라 선전활동에도 깊이 관여했다. 이후 학생회, 민단, 천진한교동지회의조직을 주도하였다. 활동하는 동안 상해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친임시정부적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런데 1921년 그가 갑작스럽게 피체되고 말았다. 3년 간 복역한 후 중국재류금지로 국내에 머물며 주로 대종교 관련 활동에 몸담았다. 1924년 대종교진흥회를 조직해 강연활동과 교리서 출간을 통한 대종교 세력의 확대를도모했다. 천진으로 다시 돌아온 후 천진조선대독립당주비회를 조직하고 기관지 조선지혈을 발행하여 한중연대 등 투쟁방략을 선전하였다. 실제로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김구가 중국국민당과 함께 적 후방 교란작전을 펼칠 때 그들을 도와 일제 정보를 수집하였다. 전쟁 발발 1년 뒤인 1938년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